감자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자바리는 인도양과 태평양에 걸쳐 분포하는 어종으로,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 몸길이는 몸 깊이의 2.9~3.5배이며, 몸 전체는 옅은 갈색 회색에 크고 어두운 반점으로 덮여 있다. 감자바리는 산호초 채널과 암초에 서식하며, 매복 포식자로서 작은 물고기, 갑각류 등을 먹는다. 약 12세에 성적으로 성숙하며, 암컷선숙 자웅동체일 가능성이 있다. 서식지 전역에서 어업에 이용되나, 현재 위협받는 종은 아니며, 일부 지역에서는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9년 기재된 물고기 - 이빨청어
이빨청어는 청어목에 속하는 어류 종으로, 서아프리카 강에서 발견되는 이빨청어과 유일종인 이빨청어(Denticeps clupeoides)를 포함하며, 독특한 특징으로 분류학적 중요성을 가진다. - 바리과 - 자바리
자바리는 서태평양 연안에 분포하며 야행성으로 작은 어류를 먹고 암컷에서 수컷으로 성전환하며 최대 136cm까지 성장하고 고급 식재료로 이용된다. - 바리과 - 참바리아과
참바리아과는 블리커가 명명한 바리과에 속하는 아과로, 튼튼한 몸과 큰 입을 가진 바리류 물고기 234종을 포함하며, 육식성이고 단독 생활을 하는 특징이 있고, 식재료, 스포츠 피싱, 관상어 등으로 이용되지만 시가테라 독을 주의해야 한다. - 태국의 물고기 - 가다랑어
가다랑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몸에 검은색 세로띠가 있는 방추형 어류로, 작은 어류 등을 섭취하고 다른 어류의 먹이가 되기도 하며,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지만 수은 오염 문제가 있어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 태국의 물고기 - 뱀상어
뱀상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호랑이 무늬를 가진 흉상어목의 큰 상어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는 기회주의적 포식자이지만 사람을 공격하는 경우는 드물다.
감자바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학명 | Epinephelus tukula |
명명자 | Morgans, 1959 |
상태 | LC (최소 관심) |
분포 | |
![]() | |
일반 정보 | |
영어 이름 | Potato grouper, potato cod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류강 |
목 | 농어목 |
아목 | 농어아목 |
상과 | 농어상과 |
과 | 바리과 |
아과 | 하타아과 |
속 | 우레기속 |
이미지 | |
![]() | |
![]() |
2. 분포
감자바리는 인도-태평양 해역에 걸쳐 넓게 분포하지만,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흔하지 않거나 드물게 발견된다.[1][10] 서식 범위는 홍해와 동아프리카 해안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는 솔로몬 제도, 북쪽으로는 일본 남부, 남쪽으로는 오스트레일리아까지 이른다.[1][10] 다만 페르시아만에서는 서식이 확인되지 않았다.[1][10]
2. 1. 주요 서식지
감자바리는 인도양과 태평양에 걸쳐 넓게 분포하지만,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흔하지 않거나 드물게 발견된다.[1]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곳은 홍해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콰줄루나탈 주에 이르는 동아프리카 해안과 마다가스카르, 세이셸, 모리셔스, 레위니옹과 같은 인도양 섬들 주변이다.[1][10]또한 인도 서부와 스리랑카 해안에서 동쪽으로 솔로몬 제도까지, 북쪽으로는 일본 남부, 남쪽으로는 오스트레일리아까지 분포한다.[1][10] 페르시아만에서는 서식이 기록된 바 없다.[1][10]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의 샤크 만에서 시작하여 북부 해안을 따라 퀸즐랜드 주의 모튼 만까지 분포하며,[2][11]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에서도 발견된다.[5][12] 일본에서는 남일본의 태평양 연안에 널리 분포하며, 류큐 열도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11]
3. 형태
감자바리는 크게 자라는 바리과 어종으로, 최대 200cm까지 자라며 무게는 110kg에 달할 수 있다.[2][11] 몸에 있는 크고 어두운 반점이 감자와 비슷하여 영어 일반명이 유래되었다.[2][11]
3. 1. 특징
표준 길이는 몸 깊이의 2.9~3.5배이다. 눈 사이는 약간 볼록하며, 머리 등쪽 윤곽은 직선적이다. 전새개골은 둥글거나 거의 각진 모양이며, 모서리에 약간 확대된 톱니가 있다. 아가미 덮개의 위쪽 가장자리는 직선적이다.[2][13] 등지느러미는 11개의 가시와 14~15개의 연조로 이루어져 있으며,[3][14] 가시 사이의 막은 패여 있다.[2][11] 뒷지느러미는 3개의 가시와 8개의 연조로 구성된다.[3][14] 꼬리지느러미는 둥글다.[2][11]몸 전체는 옅은 갈색을 띤 회색이며, 크고 어두운 반점들이 넓게 퍼져 있다. 눈에서는 어두운 선이 방사상으로 뻗어 나오며, 지느러미에는 작은 검은 반점들이 흩어져 있다.[4][15]
감자바리는 크게 자라는 바리과 어종으로, 최대 기록된 길이는 200cm, 무게는 110kg에 달한다.[2][11] 몸의 어두운 반점이 감자와 비슷하다고 하여 영어 일반명이 유래되었다.[2][11]
4. 생태
감자바리는 강한 조류가 흐르는 산호초 채널과 해산 주변 산호초에서 발견되는[2][11] 농어목 어류이다. 주로 단독 생활을 하며[2][11] 매복을 통해 먹이를 사냥하는 포식자이다.[6][16] 감자바리의 구체적인 서식 환경, 먹이, 번식 및 영역 행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4. 1. 서식 환경
감자바리는 강한 조류가 흐르는 산호초 채널과 해산 주변 산호초, 암초 등에서 발견된다.[2][11] 어린 개체는 얕은 물을 선호하며 종종 암초의 조수 웅덩이에서 발견되는 반면, 성체는 10m에서 150m 깊이 사이에서 발견된다.[2][11]감자바리는 주로 단독 생활을 하며, 일반적으로 자신의 영토 내에 머무른다.[2][11] 자신의 영역에 접근하는 대상에게는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활동 범위는 비교적 좁다.[6][16] 매복형 포식자이며, 산호 등을 은신처 삼아 숨어 있다가 먹이가 사정거리에 들어오면 빠르게 달려들어 통째로 삼킨다.[6][16] 주된 먹이는 작은 가오리, 게, 물고기, 오징어, 문어, 가시발새우 및 바다가재 등이다.[6][16]
약 12세가 되면 몸길이 90cm에서 99cm, 몸무게 16kg에서 18kg 정도로 성 성숙한다.[1][10] 어린 개체들이 모여 있는 모습이 관찰된 적은 있지만, 성체가 산란을 위해 특정 장소에 모이는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1][10] 사육 환경에서는 암컷에서 수컷으로 성전환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는데, 이를 통해 다른 일부 농어목 어류처럼 암컷선숙 자웅동체일 가능성이 제기된다.[1][10]
4. 2. 먹이
감자바리는 매복 포식자이다.[6][16] 주로 작은 가오리, 게, 물고기, 오징어, 문어, 가시발새우, 바다가재 등을 먹이로 삼는다.[6][16] 사냥할 때는 산호 뒤에 숨어 있다가 먹이가 가까이 다가오면 빠르게 달려들어 통째로 삼킨다.[6][16]4. 3. 번식
약 12세가 되면 성 성숙하며, 이때 몸길이는 90cm에서 99cm, 몸무게는 16kg에서 18kg 정도가 된다.[1][10] 어린 물고기들이 모이는 모습은 관찰되었지만, 성체가 산란을 위해 특정 장소에 모이는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1] 사육 환경에서는 암컷에서 수컷으로 성전환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는데, 이를 통해 감자바리가 다른 농어목 물고기처럼 암컷선숙 자웅동체일 가능성이 제기된다.[1][10]4. 4. 영역 행동
감자바리는 강한 조류가 흐르는 산호초 채널이나 해산 주변의 산호초, 암초 등지에서 주로 발견된다.[2][11] 어린 개체는 얕은 물을 선호하여 암초의 조수 웅덩이에서 종종 발견되지만, 다 자란 성체는 수심 10m에서 150m 사이의 비교적 깊은 곳에서 서식한다.[2][11]주로 단독으로 생활하며, 일반적으로 자신이 정한 영역 안에서 머무는 경향이 있다.[2][11] 감자바리는 매복형 포식자로, 산호 등을 은신처 삼아 숨어 있다가 먹이가 사정거리에 들어오면 갑자기 달려들어 통째로 삼킨다.[6][16] 먹이로는 작은 가오리, 게, 다른 물고기들, 오징어, 문어, 그리고 가시발새우나 바다가재와 같은 갑각류를 포함한다.[6][16]
자신의 영토를 방어하며 다른 개체가 접근하면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지만, 활동하는 영역 자체는 비교적 좁은 편이다.[6][16]
감자바리는 약 12세가 되면 몸길이 90cm에서 99cm, 몸무게 16kg에서 18kg 정도로 성 성숙한다.[1][10] 어린 물고기들이 모여 있는 모습이 관찰된 적은 있지만, 성체가 산란을 위해 특정 장소에 모이는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1][10] 사육 환경에서는 암컷이 수컷으로 성전환하는 것이 관찰된 사례가 있어, 다른 일부 농어목 어류처럼 암컷선숙 자웅동체일 가능성이 제기된다.[1][10]
5. 인간과의 관계
감자바리는 서식지 전역에서 인간에 의해 어업의 대상이 되며 식용으로 이용된다.[1][10] 남획에 취약할 수 있어 일부 지역에서는 보호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다.[1][2][9][10][11][17]
5. 1. 어업
감자바리는 서식지 전역에서 지역 및 수공업 어업의 대상이 된다.[1] 홍콩과 중국의 활어 시장에도 등장하지만, 현지에서는 인기가 없는 편이다.[1][10] 남획에 취약할 것으로 여겨지지만 현재 심각한 위협에 처한 것은 아니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보존 상태를 관심대상으로 분류하고 있다.[1][10] 남아프리카 공화국[2][11]과 호주[9][17]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주로 오키나와현과 가고시마현에서 식용으로 유통되지만, 가격이 비싼 편이다.[10]5. 2. 보존 상태
감자바리는 서식지 전역에서 지역 및 수공업 어업에 의해 이용된다.[1] 홍콩과 중국의 활어 시장에서도 볼 수 있지만, 현지에서는 인기가 많지 않다.[1] 남획에 취약할 것으로 여겨지지만, 현재 심각한 위협에 처한 것은 아니므로[1][10]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보존 상태를 관심대상(LC)으로 분류했다.[1][10] 남아프리카 공화국[2][11]과 호주[9][17]에서는 보호받고 있다. 일본에서는 주로 오키나와현과 가고시마현에서 식용으로 유통되지만, 가격이 비싼 편이다.5. 3. 한국에서의 이용 및 보존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감자바리'의 '한국에서의 이용 및 보존'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참조
[1]
간행물
"''Epinephelus tukula''"
2018
[2]
서적
FAO Species Catalogue. Vol. 16. Groupers of the world (family Serranidae, subfamily Epinephelinae).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the grouper, rockcod, hind, coral grouper and lyretail species known to date
http://www.fao.org/3[...]
FAO, Rome
[3]
FishBase
[4]
웹사이트
"''Epinephelus tukula''"
http://136.154.202.2[...]
Museums Victoria
2020-07-18
[5]
웹사이트
Potato Rockcod, ''Epinephelus tukula'' (Morgans, 1959)
https://australian.m[...]
Australian Museum
2020-07-18
[6]
웹사이트
Potato cod
https://www.dpaw.wa.[...]
Government of Western Australia
2020-07-18
[7]
학술지
Three confusing species of serranid fish, one described as new, from East Africa
[8]
Cof record
"''Epinephelus tukula''"
2020-07-18
[9]
웹사이트
COD, POTATO
http://fish-on.com.a[...]
Fish-On!
2020-07-18
[10]
간행물
"''Epinephelus tukula''"
2018
[11]
학술지
Three confusing species of serranid fish, one described as new, from East Africa
[12]
웹사이트
Potato Rockcod, ''Epinephelus tukula'' (Morgans, 1959)
https://australian.m[...]
Australian Museum
2024-04-26
[13]
서적
FAO Species Catalogue. Vol. 16. Groupers of the world (family Serranidae, subfamily Epinephelinae).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the grouper, rockcod, hind, coral grouper and lyretail species known to date
http://www.fao.org/3[...]
FAO, Rome
[14]
FishBase
[15]
웹사이트
"''Epinephelus tukula''"
http://136.154.202.2[...]
Museums Victoria
2024-04-26
[16]
웹사이트
Potato cod
https://www.dpaw.wa.[...]
Government of Western Australia
2024-04-26
[17]
웹사이트
COD, POTATO
http://fish-on.com.a[...]
Fish-On!
2024-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