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상은 염제 신농의 후손으로, 상나라 조정에서 20년간 봉사했으나 주왕의 폭정을 참지 못하고 위수에서 낚시하며 때를 기다렸다. 주 문왕을 만나 군사로 초빙되어 '태공망'이라는 호를 얻었으며, 제나라에 봉해진 후 전처를 거절한 일화가 전해진다. 군사 전략가로서 《육도》와 《삼략》에 그의 병법이 담겨 있으며, 민본주의 사상을 강조하여 후대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당나라 때 무성왕으로 추존되었으며, 명나라 소설 《봉신연의》에서는 강자아로 등장하여 신선들의 전쟁을 이끄는 주인공으로 그려진다. 한국에서는 지혜와 충절의 상징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진주 강씨가 그의 후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상 - 주나라
주나라는 기원전 1046년부터 기원전 256년까지 존속한 중국의 중요한 왕조로, 서주 시대의 봉건제 통치와 동주 시대의 사상적 발전, 그리고 중국 문명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요약된다.
강상 | |
---|---|
이름 | |
한자 | 姜子牙 |
병음 | Jiāng Zǐyá |
웨이드-자일스 | Chiang¹ Tzŭ³-ya² |
다른 이름 | 강상 |
한자 | 姜尚 |
병음 | Jiāng Shàng |
웨이드-자일스 | Chiang Shang |
다른 이름 | 여상 |
한자 | 呂尚 |
간체자 | 吕尚 |
병음 | Lǚ Shàng |
웨이드-자일스 | Lü³ Shang⁴ |
다른 이름 | 상보 |
한자 | 尚父 |
병음 | Shàngfù |
웨이드-자일스 | Shang⁴-fu⁴ |
다른 이름 | 사상보 |
한자 | 师尚父 |
병음 | Shī Shàngfù |
웨이드-자일스 | Shih Shang-fu |
광둥어 | Goeng1 Zi2 Ngaa4 |
광둥어 | Goeng1 Soeng6 |
광둥어 | Leoi5 Soeng6 |
광둥어 | Soeng6 Fu6 |
광둥어 | Si1 Soeng6 Fu6 |
작위 | |
시호 | 제태공 |
한자 | 齊太公 |
간체자 | 齐太公 |
병음 | Qí Tài Gōng |
웨이드-자일스 | Ch‘i¹ T‘ai⁴ Kung¹ |
다른 이름 | 강태공 |
한자 | 姜太公 |
병음 | Jiāng Tài Gōng |
웨이드-자일스 | Chiang¹ T‘ai⁴ Kung¹ |
다른 이름 | 태공망 |
한자 | 太公望 |
병음 | Tài Gōng Wàng |
웨이드-자일스 | T‘ai⁴ Kung¹ Wang⁴ |
다른 이름 | 여망 |
한자 | 呂望 |
간체자 | 吕望 |
병음 | Lǚ Wàng |
웨이드-자일스 | Lü Wang |
광둥어 | Goeng1 Taai3 Gung1 |
광둥어 | Taai3 Gung1 Mong6 |
광둥어 | Cai4 Taai3 Gung1 |
광둥어 | Leoi5 Mong6 |
인물 정보 | |
![]() | |
출생 | 기원전 1128년 |
사망 | 기원전 1015년 (113세) |
성 | 강(姜) |
씨 | 여(呂) |
이름 | 상(尚) |
자 | 자아(子牙) |
시호 | 태공(太公) |
묘호 | 시조(始祖) (후량에 의해 추존) |
배우자 | 신강 |
자녀 | 제나라 정공 이강 |
가문 | 강 |
왕조 | 강제 |
관직 및 봉토 | |
작위 | 제나라 공작 |
통치 기간 | 기원전 11세기 |
후임 | 제나라 정공 |
기타 정보 | |
사당 이름 | 문무묘 |
시호 | 무성왕 |
2. 생애 및 업적
강상(姜尙)은 염제(炎帝) 신농(神農)의 51세손으로, 주나라 문왕, 무왕, 성왕(成王), 강왕(康王) 4대에 걸쳐 태사(太師)를 지냈으며, 춘추전국 시기 제(齊)나라의 창시자이다. 그의 딸은 주 무왕의 왕후가 되었다.[1]
기원전 1046년, 상나라 주왕의 폭정에 맞서 주 문왕의 스승이 되었고, 문왕 사후에는 무왕을 보필하여 목야 전쟁(牧野戰爭)에서 4만 5천의 군사로 72만의 상나라 군대를 대파하는 기적을 이끌었다.[1] 이 전쟁은 정의가 반드시 승리한다는 교훈을 남겼다. 이후 강상은 제나라의 초대 군주로 즉위하여, 800여 년간 존속한 제나라의 기틀을 다졌다.[1]
강상은 주나라 문왕, 무왕의 스승이자 장인으로서, 제나라를 '천하의 스승국'으로 이끌었다. 그는 제나라 2대 군주 자리를 큰아들 강급(제 정공)에게 물려주었다. 제나라는 15대 임금 제 환공 강소백(姜小白) 시기에 춘추시대 첫 번째 패왕(覇王)이 되어 강태공의 위업을 이었다. 제나라는 전성기에 사방 5000리를 아우르는 대국으로 성장했다.[1]
강태공은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 한 번 엎질러진 물은 다시 주워 담을 수 없다)이라는 명언을 남겼다. 이는 그가 주문왕을 만나기 전 생활고로 떠났던 전 부인 마씨(馬氏)가 강태공이 제나라 왕이 된 후 돌아와 아내로 맞아주길 청하자, 물을 엎지르며 한 말에서 유래한다.[19]
기원전 1072년에 139세의 나이로 신선계에 들었다고 전해진다. 그의 의관은 서주(西周) 호경(鎬京)에 안장되었고, 제나라 사람들은 그의 덕을 기려 제나라에 의관총(衣冠塚)을 세웠다. 그는 주역을 확립하고, 병법서인 육도삼략(六韜三略)을 저술했는데, 이는 후대 병법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당나라와 청나라 황실은 강태공을 무성왕(武成王)으로 칭송했고, 북송 진종은 소열무성왕(昭烈武成王)으로 추봉하였다.[1]
강상의 이름은 '상'(尙)이며, 성씨는 강(姜)과 여(呂) 두 가지를 사용했다. 그는 '상부'(尙父)와 '자아'(子牙)라는 자(字)를 가졌으며, '강상'과 '강자아'라는 이름은 명나라 시대 소설 ''봉신연의''에 등장하면서 널리 알려졌다.[3] 그는 시호(諡號)로 태공(太公)이라 불렸으며, '강태공', '태공망', '여망'(呂望) 등으로도 불린다.[3]
그의 출신과 경력은 여러 전설에 싸여 명확하지 않다. 《사기》에 따르면, 그는 동중국해 해안 출신으로, 조상은 치수 사업에서 우(禹)를 보좌했다고 한다.[21][28] 원래는 도살업자나 음식업으로 생계를 유지했다는 전승도 있다.[19][20] 주나라에 섬기기 전에는 은나라의 제신을 섬겼으나, 그의 무도함에 떠나 여러 제후들을 설득하다가 마지막에 서백 창(문왕)에게 의탁했다고 전해진다.[28]
강상은 영구(營丘, 현재의 산둥성쯔보시린쯔구)에 부임한 후, 주민들의 습속에 따라 의례를 간소화하고 어업과 제염을 장려하여 제나라의 국력을 강화했다.[28] 또한, 성왕으로부터 반란 진압 권한을 부여받았다.[31] 그는 매우 장수하여 100세가 넘어 사망했다고 한다.[31]
강씨는 주나라와 혼인 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21][33] 춘추 시대 제나라는 시조인 강상의 신격화를 통해 권위를 높였다.[34] 당나라 시대에는 강상을 모시는 태공묘가 건립되었고, 760년 숙종(肅宗)은 그를 '무성왕'으로 추증했다.[35] 명나라 시대에 홍무제는 여상을 왕으로 제사하는 것을 중단시켰다.[35]
2. 1. 주나라 건국 이전
강상(姜尚)은 염제(炎帝) 신농(神農)의 51세손으로, 상나라 조정에서 20년간 봉사했다. 그러나 상나라의 마지막 왕인 주왕의 폭정과 애첩 달기의 만행에 환멸을 느껴 은둔 생활을 시작했다.[5] 은둔하는 동안, 그는 위수(渭水)에서 낚시를 하며 때를 기다렸다.[6] 이때 낚싯바늘이 없거나 곧은 낚싯바늘을 사용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데, 이는 준비된 자만이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비유로 해석된다.[6]강태공이 주나라 문왕을 만나게 된 계기는 여러가지 설이 있으나, 그중 사기에 기록된 세 가지 일화는 다음과 같다.[36]
- 문왕은 사냥을 나가기 전 점을 쳤는데, 짐승이 아닌 훌륭한 인재를 얻을 것이라는 점괘를 받았다. 문왕은 위수에서 낚시를 하고 있던 강태공을 만나 그와 이야기를 나누었고, 그가 자신의 할아버지인 태공이 기다리던 인물임을 깨닫고 '태공망(太公望)'이라는 칭호를 주며 군사(軍師)로 초빙하였다. 이것이 가장 널리 알려진 이야기이다.[38]
- 강태공은 원래 은나라를 섬겼으나, 제신(주왕)의 악행에 실망하여 은나라를 떠나 여러 제후들을 찾아다녔지만, 결국 문왕을 섬기게 되었다.
- 강태공은 동쪽 해변에 은거하고 있었는데, 주나라의 신하이자 옛 친구인 산의생과 굉요의 권유로 문왕을 만나게 되었다. 강태공은 제신에게 미녀와 재물을 바쳐 문왕을 석방시키고, 그 후 주나라에 등용되었다.
주 문왕은 강태공의 비범함을 알아보고 그를 재상으로 임명하고, '강태공망(姜太公望, "위대한 공작의 희망")'이라는 칭호를 주었다.[7] 이후 강태공은 문왕과 주 무왕을 도와 주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우게 된다.
강태공과 관련된 유명한 고사성어로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 엎질러진 물은 다시 담을 수 없다)'이 있다. 이는 강태공이 제나라 왕이 된 후, 자신을 버리고 떠났던 전처 마씨(馬氏)가 다시 돌아오자 물을 엎지르며 한 말에서 유래한다.[19]
3. 사상 및 영향
강태공은 백성이 번영해야 국가가 강해질 수 있다는 민본주의(民本主義) 사상을 강조했다. 관리들이 부를 축적하는 동안 백성이 가난에 시달린다면 군주는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고 보았다. 국가를 다스리는 주요 원칙은 백성을 사랑하는 것이며, 이는 세금과 부역을 줄이는 것을 의미했다.[21] 이러한 사상 덕분에 문왕은 주나라를 빠르게 번영시킬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의 병법서인 《육도》는 고대 중국의 무경칠서 중 하나로 여겨지며, 당나라 시대에 그는 무(武)의 수호신으로서 별도의 사당을 받아 공식적으로 공자에 버금가는 지위를 얻었다.[35]
역사상 중요한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출신과 경력은 수많은 전설에 싸여 실체를 파악하기 어렵다.[21] 은나라 시대 갑골문에는 여상의 영지인 제(齊)의 이름이 존재하지만, 주(周) 초기 금문에는 여상에 해당하는 인물의 이름을 기록한 것은 확인되지 않았다.[27]
춘추 초기 강국이 된 제(齊)는 자국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시조인 여상의 신격화를 행했다.[34] 당나라 현종은 731년 여상과 전한의 장량을 모시는 태공묘를 각지에 건립했고,[35] 760년 숙종은 여상에게 '''무성왕'''을 추증하여 태공묘는 무성왕묘라고 불리게 되었다.[35] 문선왕 공자와 함께 문무묘에 제사되었으며, 당나라 시대의 사관에 의해 고금의 명장 10명이 선택되어 태공망과 함께 제사되었다(무묘십철). 782년 덕종은 당나라 시대의 사관이 선출한 64명의 명장을 무성왕묘에 합사했다(무묘육십사장). 명나라 홍무제는 주(周)의 신하인 여상을 왕으로 제사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하여 무성왕묘 제사를 중단시켰다.[35]
3. 1. 군사 전략
강태공은 군사 전략가로서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의 병법은 《육도삼략》에 담겨 전해지며, 후대 병법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5] 특히, 목야 전투에서 4만 5천 명의 군사로 72만 명의 상나라 군대를 대파하는 기적을 이루어 냈는데, 이는 적은 수로 많은 적을 물리치는 '이소격중(以少擊衆)'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또한 이 전쟁은 정의(正義)는 반드시 필승(必勝)한다는 '정의필승'의 전쟁으로 평가받는다.강태공은 주 문왕 사후, 그의 아들 무왕을 도와 상나라를 공격할 때, "성공하려면 인내심을 가져야 하오. 우리는 상나라 왕을 제거할 적절한 기회를 기다려야 하오."라고 조언하며 신중한 전략을 강조했다.[7] 목야 전투에서 강태공은 군대를 이끌고 돌격하여 북을 울리고, 부하 100명과 함께 상나라 군대를 남서쪽으로 유인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이로 인해 무왕의 군대는 신속하게 수도를 포위할 수 있었고, 훈련받지 않은 노예병과 많은 이들의 항복 및 반란으로 인해 주나라는 수도를 함락할 수 있었다.
강태공의 병법서인 《육도》는 고대 중국의 무경칠서 중 하나로 여겨진다.[39] 당나라 시대에는 무(武)의 수호신으로서 별도의 사당을 받았으며, 공식적으로 공자에 버금가는 지위를 얻었다.
3. 2. 정치 및 문화
강태공은 백성을 중시하는 민본주의(民本主義) 사상을 강조했다. 그는 백성이 번영해야 국가가 강해질 수 있다고 믿었으며, 세금과 부역을 줄여 백성들의 삶을 안정시키고자 노력했다.[21] 이러한 강태공의 사상은 유교(儒敎)와 도교(道敎) 등 후대 중국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문화권에도 널리 퍼졌다.강태공은 백성이 번영해야만 국가가 강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관리들이 부를 축적하는 동안 백성이 가난에 시달린다면, 군주는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고 보았다. 국가를 다스리는 주요 원칙은 백성을 사랑하는 것이며, 백성을 사랑한다는 것은 세금과 부역을 줄이는 것을 의미했다. 이러한 생각을 따른 덕분에, 문왕은 주나라를 매우 빠르게 번영시켰다고 전해진다.[21]
그의 병법서인 《육도》는 고대 중국의 무경칠서 중 하나로 여겨진다.[34] 당나라 시대에 그는 무(武)의 수호신으로서 별도의 사당을 받았으며, 이로써 공식적으로 공자에 버금가는 지위를 얻었다.[35]
4. 후대의 평가 및 계승
강태공은 후대에 무성왕(武成王)으로 추존되었으며, 당나라 때는 무(武)의 수호신으로 추앙받았다.[35] 송나라 진종은 강태공에게 소열무성왕(昭烈武成王)이라는 시호를 추가했다.[16]
명나라 시대 소설 《봉신연의》에서 강태공은 신선들의 전쟁을 이끄는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그는 성스러운 산, 날씨, 역병에서 별자리, 시간의 순환, 오행 등 광범위한 영역을 대표하는 365명의 주요 신과 수천 명의 하위 신을 신격화했다.[16]
그에 관한 두 가지 해후어가 있다.
- 강태공이 낚시를 한다 - 원하는 자가 낚시에 걸린다. (스스로 목을 매는 경우를 의미한다.)
- 강태공이 신을 봉한다 - 자신을 제외한다. (스스로를 제외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4. 1. 한국에의 영향
한국에서도 강태공은 지혜와 충절의 상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그의 낚시 이야기는 인내와 기다림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교훈으로 자주 인용된다. 강태공의 후손들은 여러 성씨로 분화되었는데, 진주 강씨는 강태공을 시조로 모시는 대표적인 한국 성씨 중 하나이다.5. 가족 관계
강상(姜尙)은 염제(炎帝) 신농(神農)의 51세손으로, 강(姜)씨와 여(呂)씨 두 성을 사용했다. 주나라 건국에 공을 세워 제나라의 시조가 되었으며, 가족들은 주나라 왕실 및 여러 제후국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5. 1. 처와 자녀
강상은 두 명의 부인을 두었는데, 마씨(馬氏) 부인과 신씨의 강씨 부인(申姜 姜姓중국어)이다. 마씨 부인은 강태공이 주문왕을 만나기 전 생활고를 견디지 못하고 떠났으나, 강태공이 제나라 왕이 된 후 다시 돌아와 아내로 맞아주길 요청했다. 강태공은 엎질러진 물을 다시 담을 수 없다는 "복수불반분"의 고사를 남기며 거절했다.[3]자녀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설명 |
---|---|
제 정공(齊丁公) 강급(姜伋) | 장남. 제나라 2대 군주. 정씨(丁氏)의 시조. |
강정(姜丁) | 허나라(許國) 1대 왕. 허 문숙(許文叔). 허씨(許氏)의 시조. |
구목공(丘穆公) | 삼남. 중국 구씨(丘氏)의 시조. |
읍강(邑姜) | 딸. 주 무왕의 왕비. 주나라 성왕, 당나라 숙우를 낳음. |
정공자(公子丁중국어) | 아들 |
임공자 (公子壬중국어) | 아들 |
년공자 (公子年중국어) | 아들 |
기공자 (公子奇중국어) | 아들 |
방공자 (公子枋중국어) | 아들 |
소공자 (公子紹중국어) | 아들 |
락공자 (公子駱중국어) | 아들 |
명공자 (公子銘중국어) | 아들 |
청공자 (公子青중국어) | 아들 |
역공자 (公子易중국어) | 아들 |
상공자 (公子尚중국어) | 아들 |
기공자 (公子其중국어) | 아들 |
좌공자 (公子佐중국어) | 아들 |
강상의 사위는 주 무왕이며, 손자는 제 을공(齊乙公) 강득(姜得)으로 제나라 3대 군주이다. 강계자(姜季子)는 최씨(崔氏)의 시조이고, 강은(姜隐)의 아들 강호(姜虎)는 장국(鄣國) 1대 왕으로 장 목공(鄣穆公)이며, 장씨(章氏)의 시조이다. 그의 후손들은 그의 이름인 상을 성씨로 삼았다.[8]
5. 2. 후손
강상(姜尙)은 염제(炎帝) 신농(神農)의 51세손으로, 주나라 문왕, 무왕, 성왕(成王), 강왕(康王) 4대에 걸쳐 태사(太師)를 지냈으며, 춘추전국 시기 제(齊)나라의 창시자이다. 그의 딸은 주 무왕의 왕후가 되었다.[3]강태공의 후손들은 여러 성씨로 분화되었는데, 그 갈래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성씨 | 비고 |
---|---|---|
제 정공(齊丁公) 강급(姜伋) | 정씨(丁氏) | 제나라 2대 군주, 정씨(丁氏)의 시조.[3] |
강정(姜丁) | 허씨(許氏) | 허나라(許國) 1대 왕, 허 문숙(許文叔). 허씨(許氏)의 시조.[3] |
구목공(丘穆公) | 구씨(丘氏) | 중국 구씨(丘氏)의 시조.[3] |
제 을공(齊乙公) 강득(姜得) | 제나라 3대 군주.[3] | |
강계자(姜季子) | 최씨(崔氏) | 최씨(崔氏)의 시조.[3] |
강은(姜隐) | [3] | |
강호(姜虎) | 장씨(章氏) | 강은(姜隐)의 아들. 장국(鄣國) 1대 왕. 장 목공(鄣穆公). 장씨(章氏)의 시조.[3] |
지공자(公子伋중국어) | 기원전 1025년부터 975년까지 제나라 정공으로 통치[3] | |
정공자 (公子丁중국어) | [3] | |
임공자 (公子壬중국어) | [3] | |
년공자 (公子年중국어) | [3] | |
기공자 (公子奇중국어) | [3] | |
방공자 (公子枋중국어) | [3] | |
소공자 (公子紹중국어) | [3] | |
락공자 (公子駱중국어) | [3] | |
명공자 (公子銘중국어) | [3] | |
청공자 (公子青중국어) | [3] | |
역공자 (公子易중국어) | [3] | |
상공자 (公子尚중국어) | [3] | |
기공자 (公子其중국어) | [3] | |
좌공자 (公子佐중국어) | [3] |
6. 대중문화 속 강태공
강태공은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영웅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인물로 그려진다.
- 베트남 요리 짜까 라봉(Chả cá Lã Vọng)은 강상의 호칭인 "여망"(Lü Wang, 베트남어로는 Lã Vọng)에서 유래되었다.[17]
- 작자 미상, 센류 "낚이십니까 등과 문왕 측에 다가감"[44]
- 미야기야 마사미쓰 『태공망』, 『왕가의 풍일』 분게이슌주, 「감당의 사람」, 『협골기』 고단샤 문고
- 모로호시 다이지로 「태공망전」, 『무면목・태공망전』 시오 출판사
- 요코야마 미쓰테루 『은주전설 태공망 전기』 시오 출판사 코믹
- 사케미 겐이치 『주공단』 분게이슌주
- 츠야마 키이치 「태공망 여상」 킨다이분게이샤
- 시바 고 『태공망 ~ 은 왕조를 쓰러뜨린 주의 명군사 ~』 PHP 연구소
- 쉬중린 『봉신연의』
- * 안능무 편역 『봉신연의』[46]
- * 후지사키 류 『봉신연의』 슈에이샤
- * 쉬중린 편 『완역・봉신연의』 코에이
- * 니카이도 요시히로 감역 『전역 봉신연의』 벤세이 출판
- * 와타나베 센슈 편역 『봉신연의』 카이세이샤
- * 야기하라 카즈에 편역 『봉신연의』 슈에이샤
- * 카토 토오루 『소설 봉신연의』 PHP 연구소
6. 1. 문학
중국 소설 《봉신연의》에서는 본명이 강자아이며, 곤륜산의 도사가 되어 신선들의 살겁을 깨기 위한 봉신을 주도하는 임무를 맡게 된다.《봉신연의》에서 강자아는 곤륜산(昆侖山)의 도교 종파인 선도(禪道)의 제자로 묘사된다. 점술 외에도 그는 구름을 타고,[12] 입에서 신성한 불을 뿜어내고,[9] 천둥[9] 과 번개[10] 를 자유자재로 일으키며, 군대의 존재를 감추기 위해 환영을 만들고,[11] 의식과 주문을 통해 수백 명의 난민을 휩쓸어가는 폭풍을 소환하고,[12] 산골짜기에 진을 친 상나라 군대를 얼리기 위해 눈을 내리게 하고,[13] 주나라 수도를 보호하기 위해 북해의 물로 장벽을 만드는 등[14] 초자연적인 능력을 발휘한다.
그는 적에게는 무자비하여 보통 상나라 측의 포로 장군들을 처형하지만, 주나라에 충성한다.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진 조공명에게 상대가 되지 않자, 그는 또 다른 마법사 노야(陸壓)의 조언에 따라 부두교와 유사한 의식을 사용한다. 그는 라이벌의 허수아비를 만들고 화살로 쏘아 조공명을 죽음에 이르게 한다.[15]
- 봉신연의의 주인공 태공망은 강자아를 모델로 한다. 그러나 그의 성격은 상당히 코믹하다.
- R. F. 쿽의 소설 ''아편 전쟁'' 삼부작에서, 강자아는 시네가드 아카데미의 학사이자 주인공의 주요 멘토의 이름으로 등장한다.
- 오가타 코린 필 『태공망도』 교토국립박물관 소장[43]
- 히라후쿠 효쿠호 필 『태공망』 미에현립미술관 소장[44]
- 오카모토 카테이 찬, 타니 분초 필 『석반혜궤도』 히로시마현립역사박물관 소장[45]
6. 2. 영화 및 드라마
- 강자아 – 2020년 중국의 3D 컴퓨터 애니메이션 판타지 어드벤처 영화로, 청텅과 리웨이가 감독했다. 줄거리는 고전 소설인 봉신연의를 느슨하게 기반으로 한다.[46]
- 영화
- * 봉신전기 배틀 오브 갓 (2016년, 중국)
- * 레전드 오브 갓 ~봉신전설~ (2019년, 중국)
- * 리벤지 퀸 봉신: 달기 (2021년, 중국)
- 게임
- * 봉신연의 시리즈 (비디오 게임)
- * 무쌍 OROCHI 시리즈 (비디오 게임)
- * 페이트/그랜드 오더 (스마트폰 게임)
6. 3. 게임
- 봉신연의의 주인공 태공망은 강자아를 모델로 하며, 그의 성격은 원작과 달리 코믹하게 묘사된다.
- 문명 4: 워로드 확장팩의 "중국 통일" 시나리오에서 강태공은 제나라의 지도자로 등장한다.
- 비디오 게임 ''아주판 봉신연의'', ''봉신연의 2'', ''미스틱 히어로즈''에서 플레이 가능하다.
- 코에이의 ''무쌍 오로치 2''에서 강태공(태공망)은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역사적 기록과 달리 잘생긴 젊은 남자로 묘사된다. 다소 거만하지만 신성한 재능을 가진 전략가이자 선한 마음을 지녔으며, 복희, 여와, 달기 등에게 "소년"으로 불린다. 젊고 아름다운 여성으로 묘사되는 달기와의 경쟁 구도는 ''봉신연의''에서 영감을 받았다.
- ''파이널 판타지 XI''에서 "여상 낚싯대"는 잉어 10,000마리를 잡은 플레이어에게 주어지는 아이템으로, 작고 큰 물고기를 모두 잡을 수 있고 잘 파손되지 않는다.
- ''파이널 판타지 XIV'' 일본어 버전에서 태공망은 A Realm Reborn, Heavensward, Stormblood 지역에서 100마리의 다른 물고기를 잡으면 얻을 수 있는 칭호이다.
- 온라인 게임 ''워 오브 레전드''에서 강태공은 "능력" 45를 가진 플레이 가능한 승려이다.
- 게임 ''영웅전희''에서 태공망은 플레이어가 만나는 고대 영웅 중 한 명으로, 여성이다.
- ''드래갈리아 로스트''에서 강태공은 획득 가능한 여성 기린 모험가이다.
- 2021년 12월, ''페이트/그랜드 오더''는 태공망(강태공의 별명)을 새로운 서번트로 공개했다.
- 봉신연의 시리즈 (비디오 게임)
- 무쌍 OROCHI 시리즈 (비디오 게임)
- 『페이트/그랜드 오더』 (스마트폰 게임)
7. 기타
강태공과 관련된 고사성어로는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과 '강태공이 낚시를 한다 - 원하는 자가 낚시에 걸린다' 등이 있다.[41] '복수불반분'은 한 번 엎질러진 물은 다시 담을 수 없다는 뜻으로, 강태공이 제나라 왕이 된 후 돌아온 전 부인 마씨(馬氏)에게 한 말에서 유래했다.[19]
중국과 도교 신앙에서 강태공(강자아)은 도교의 달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6] 한 전설에 따르면, 그는 곤륜산에서 얻은 지식으로 마법과 주문을 사용하여 상나라의 수호신인 천리안과 순풍이를 물리쳤다고 한다.[16] 또한, 명나라 시대 소설 《봉신연의》에서 강태공은 달기의 숙적이자 그녀의 처형에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중요한 인물로 등장한다. 소설의 줄거리는 강태공이 "창조의 목록"(봉신방, 封神榜)을 사용하여 전투에서 죽은 인간과 불멸자를 신격화하는 운명을 중심으로 전개된다.[16]
베트남 요리 중 구운 생선 요리인 짜까 라봉(Chả cá Lã Vọng)은 강상의 호칭인 "여망"(Lü Wang, 베트남어로는 Lã Vọng)에서 유래되었다.[17]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guoxue.co[...]
Guoxue.com
2012-05-14
[2]
서적
Shiji
Zhonghua Book Company
[3]
간행물
Discussion on Taigong's surname, clanname, given name and titles 《"太公"姓氏名号考论》
Taizhou Academy Newspapers (台州学院学报)
2003
[4]
문서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s://ctext.org/sh[...]
[5]
서적
The Seven Military Classics of Ancient China
Basic Books
2007
[6]
웹사이트
Learn Cantonese!
https://www.cantones[...]
1834
[7]
서적
"T'ai Kung's Six Secret Teachings"
Basic Books
2007
[8]
문서
The Oxford Dictionary of Family Names in Britain and Ireland
[9]
서적
封神演義
[10]
서적
封神演義
[11]
서적
封神演義
[12]
서적
封神演義
[13]
서적
封神演義
[14]
서적
封神演義
[15]
서적
封神演義
[16]
서적
Creation of the gods
http://worldcat.org/[...]
New world Press
1996
[17]
웹사이트
The kings of chả cá
http://www.thanhnien[...]
2011-06-03
[18]
문서
新唐書
[19]
문서
文明の原点
[20]
문서
中国五千年の物語
[21]
문서
呂尚
[22]
문서
呂尚
[23]
문서
呂尚
[24]
문서
斉太公世家第二
[25]
웹사이트
中國哲学書電子化計劃「呂望」
https://ctext.org/pr[...]
[26]
문서
春秋
山川出版社
2003-08
[27]
문서
古代中国の虚像と実像
[28]
웹사이트
史記
http://zh.wikisource[...]
[29]
문서
都市国家から中華へ 殷周春秋戦国
[30]
문서
中国五千年の物語
[31]
문서
史記
[32]
문서
都市国家から中華へ 殷周春秋戦国
[33]
문서
西周
山川出版社
2003-08
[34]
문서
古代中国の虚像と実像
[35]
문서
道教の神々
講談社
1996-07
[36]
서적
都市国家から中華へ 殷周春秋戦国
[37]
문서
[38]
서적
都市国家から中華へ 殷周春秋戦国
[39]
서적
古代中国の虚像と実像
[40]
서적
故事遍歴 中国成語集
時事通信社
1982-11
[41]
웹사이트
「太公釣魚願者上鉤」大紀元
http://www.epochtime[...]
[42]
서적
道教の神々
講談社
1996-07
[43]
웹사이트
尾形光琳筆「太公望図」京都国立博物館所蔵
https://emuseum.nich[...]
[44]
웹사이트
平福百穂筆「太公望」三重県立美術館
http://www.bunka.pre[...]
[45]
웹사이트
「南画へのいざない」頼山陽史跡資料館-[[谷文晁]]筆『石番蹊跪餌図』広島県立歴史博物館蔵
http://www.raisanyou[...]
[4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