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석주 (193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석주(1939년)는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출신의 북한 외교관으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측근으로 활동했다. 평양외국어대학과 베이징 대학에서 수학했으며, 외무성에서 외교관 경력을 시작하여, 1980년 조선로동당 국제부 과장, 1984년 외교부 부부장, 1986년 외교부 제1부부장을 역임했다. 1994년 제네바 합의를 이끌었으며, 2000년대 6자 회담에서 북한 외교를 담당했다. 2007년 외무상 직무대리를 수행했고, 2010년 부총리에 임명되었다. 2016년 식도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양외국어대학 동문 - 강명도
    강명도는 평양 출신으로 북한 요직을 거쳐 1994년 탈북하여 대한민국으로 망명한 김일성 외척 출신의 북한 전문가로, 대학교수와 방송 활동, 저술 등을 통해 북한 사회의 실상과 내부 비밀을 알리고 있다.
  • 평양외국어대학 동문 - 리용호 (정치인)
    리용호는 1956년 평양 출생으로 외무성에서 외교관 경력을 시작하여 6자 회담 북한 수석대표, 외무상을 역임했으나 2020년 해임된 북한의 정치인이다.
  • 평안남도 출신 - 송종의
    송종의는 1941년 평안남도 중화군 출생의 대한민국 법조인으로, 검사로 재직하며 서울지방검찰청 검사장, 대검찰청 차장검사 등 요직을 역임하고 법제처장을 지냈으며, 베트남 전쟁 참전, 밤나무 심기, 천고법치문화재단 설립 등의 활동을 했으나 인혁당 사건, 민청학련 사건, 노무현 전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 결재, 형제복지원 사건 조사 거부 등 여러 논란에도 연루되었다.
  • 평안남도 출신 - 김형직
    김형직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김일성의 아버지로, 조선국민회에 참여하고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했으며, 북한에서는 항일 독립운동 지도자로 추앙받지만 반공주의적 성향을 가졌다는 증언도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교관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교관 - 김정남 (김정일의 아들)
    김정남은 김정일의 장남으로, 한때 후계자로 거론되었으나 위조 여권 사건 이후 후계 경쟁에서 멀어졌으며, 김정은의 권력 승계에 반대하다가 2017년 말레이시아에서 암살되었다.
강석주 (1939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강석주
이름강석주
로마자 표기Gang Seok-ju
한글 표기강석주
IPAkaŋ.sɔk̚.t͈su
직책
내각 부총리임기 시작: 2010년 9월
임기 종료: 2016년 5월
총리: 최영림, 박봉주
최고 지도자: 김정은
외무상 직무 대행임기: 2007년
총리: 김영일
최고 지도자: 김정일
전임: 백남순
후임: 박의춘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임기 시작: 1991년 12월
임기 종료: 2016년 5월 20일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임기 시작: 1986년 11월
임기 종료: 2016년 5월 20일
개인 정보
출생일1939년 8월 29일
출생지평안남도 평원군
사망일2016년 5월 20일
사망지평양직할시
정당조선로동당
학력평양외국어대학 (국제관계대학)
직업외교관
기타 정보
소속 정당조선로동당
훈장김정일훈장

2. 생애

姜錫柱|강석주중국어는 1939년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평원군에서 태어나, 평양외국어대학 영어과를 전공하고 베이징 대학 유학 후 외무성에서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측근으로, 제1차 북핵 위기 당시 제네바 합의를 이끌어 냈으며, 이후 내각 부총리, 조선로동당 국제부장을 역임했다. 2010년대 중반 건강 악화로 2016년 5월 20일 식도암으로 사망했다.[17]

시기내용
1939년평안남도 평원군 출생
1980년 ~ 2014년외교관 및 정치 경력
2016년 5월 20일식도암으로 사망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姜錫柱|강석주중국어는 1939년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평원군에서 태어났다. 평양외국어대학 영어과를 전공하고 베이징 대학에 유학을 다녀온 후, 외무성(당시 외무부)에서 외교관 경력을 시작했다. 평양 국제관계대학 프랑스어과를 졸업하기도 했다.

2. 2. 외교관 경력

강석주는 평양외국어대학에서 영어를 전공하고 베이징 대학으로 유학을 다녀온 후, 외무성(당시 외무부)에 들어가 외교관 경력을 시작했다.[13]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측근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제1부상에 임명되어 대외관계를 총괄했다.[13] 1994년 6월 제1차 북핵 위기 당시 스위스 제네바에서 로버트 갈루치 미국 대북 특사와 협상하여 제네바 합의를 이끌어냈다.[13]

백남순 외무상이 대외행사 참석 등 얼굴 마담격 역할에 그치고, 외무성 내 실권은 강석주 제1부상과 김계관 부상 라인에 있었다고 전해진다.[13] 백남순 외무상 사망 후 잠시 외무상 직무대리를 수행했으며,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신임이 두터워 외교정책의 실무책임을 도맡아 온 것으로 알려졌다.[14]

2000년대에는 6자 회담과 관련하여 김계관과 함께 북한 외교를 이끌었다.[15]

다음은 강석주의 주요 외교관 경력이다.[13][14][15][10][11]

연도내용
1984년 3월외교부 부부장(부외상)
1986년 6월외교부 제1부부장(제1부외상)
1993년 6월북미 고위급 회담 대표
1995년 1월제1부외상
1998년 9월제1부외상
2007년 1월 3일 ~ 2007년 5월 18일외무상 직무대리


2. 3. 정치 경력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측근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제1부상을 지내며 대외관계를 총괄했다.[13] 제1차 북핵 위기 당시인 1994년 6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로버트 갈루치 미국 대북 특사와 협상하여 제네바 합의를 이끌어냈다.

백남순 외무상이 대외행사 참석 등 사실상 얼굴 마담 역할만 수행했고, 외무성 내 실권은 강석주 제1부상과 김계관 부상 라인에 있었다고 전해진다.[13] 백남순 사망 후 잠시 외무상 직무대리를 수행했으며,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신임이 두터워 외교정책의 실무책임을 도맡아 온 것으로 알려졌다.[14]

2000년대에는 6자 회담과 관련하여 김계관과 함께 북한 외교를 이끌었다.[15] 이후 내각 부총리, 조선로동당 국제부장을 역임하였다.[16]

주요 정치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80년조선로동당 당 국제부 과장
1981년 4월유네스코 대표부 3등 서기관
1984년 3월외교부 부부장(부외상)
1986년 4월국가 유네스코 민족위원장
1986년 6월외교부 제1부부장(제1부외상)
1986년 11월최고인민회의 대의원
1990년 5월최고인민회의 외교위 부위원장
1991년 12월당 중앙위원
1993년 6월북미 고위급 회담 대표
1994년 7월김일성 국가 장의위원
1995년 1월제1부외상
1998년 9월제1부외상
2002년 9월, 2004년 5월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대신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조일 수뇌 회담에 동석
2007년 1월 3일 - 2007년 5월 18일외무상 직무대리
2010년 9월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정령에 따라 부총리에 취임, 조선로동당 대표자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에 선출
2014년 4월제13기 최고인민회의 제1차 회의에서 부총리직 해임, 당 중앙위원회 서기국 서기(국제 담당), 당 국제부장에 취임


2. 4. 사망

2010년대 중반 건강 악화로 공식 석상에서 모습을 드러내지 않다가, 2016년 5월 20일에 식도암으로 사망했다.[17] 사망 후에는 외무성 내에서 권력 투쟁이 발생, 강석주 계열의 세력은 후퇴하게 되었다.[11]

3. 주요 활동 및 업적

평안남도 평원군 출신으로, 평양 국제관계대학 프랑스어과를 졸업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측근으로, 외무성 제1부상을 지내며 대외 관계를 총괄했다.[13] 백남순 외무상이 대외행사 참석 등 형식적인 역할에 그쳤던 반면, 강석주는 김계관 부상과 함께 외무성의 실권을 쥐고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13]

주요 활동 및 경력은 다음과 같다.


  • 1980년 조선로동당 당 국제부 과장에 취임했다.
  • 1981년 4월, 유네스코 대표부 3등 서기관에 취임했다.
  • 1984년 3월, 외교부 부부장(부외상)에 취임했다.
  • 1986년 4월, 국가 유네스코 민족위원장에 취임했다.
  • 1986년 6월, 외교부 제1부부장(제1부외상)에 취임했다.
  • 1986년 11월부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맡았다.
  • 1990년 5월, 최고인민회의 외교위 부위원장에 취임했다.
  • 1991년 12월, 당 중앙위원에 취임했다.
  • 1993년 6월, 북미 고위급 회담 대표를 맡았다.
  • 1994년 7월, 김일성 국가 장의위원으로서 김일성의 장례식에 참례했다.
  • 1995년 1월, 제1부외상에 취임했다.
  • 1998년 9월, 제1부외상에 취임했다.
  • 2002년 9월과 2004년 5월 일본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대신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조일 수뇌 회담에 동석했다. 이후, 중조 수뇌 회담에는 반드시 동석한다고 알려져 있다.
  • 2010년 9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정령에 따라 부총리에 취임했다.
  • 2010년 9월, 조선로동당 대표자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에 선출되었다.
  • 2014년 4월, 제13기 최고인민회의 제1차 회의에서 부총리직을 해임. 당 중앙위원회 서기국 서기(국제 담당), 당 국제부장에 취임했다.
  • 2015년, 한국 언론에 의해, 강석주는 간암을 앓고 있으며, 김양건 (당 통일전선부장)이 외교 정책 전반을 총괄하고 있다고 보도되었다[10]
  • 2016년 5월 20일, 식도암으로 사망했다. 사망 후에는, 외무성 내에서 권력 투쟁이 발생, 강석주 계열의 세력은 후퇴하게 되었다[11]

3. 1. 제네바 합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측근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제1부상을 지내며 대외 관계를 총괄했다. 제1차 북핵 위기가 발생하고 북미 간 관계가 악화되던 중, 1994년 6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로버트 갈루치 미국 대북 특사와 협상하여 제네바 합의(북미 기본합의서)를 이끌어냈다.[13]

3. 2. 6자 회담

2000년대에는 6자 회담에 관련하여 김계관과 함께 북한 외교를 이끌었다.[15]

3. 3. 대외 관계

강석주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측근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제1부상을 맡아 대외관계를 총괄했다.[13] 제1차 북핵 위기 당시 1994년 6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로버트 갈루치 미국 대북 특사와 협상하여 제네바 합의를 이끌어냈다.

백남순 외무상이 대외행사 참석 등 형식적인 역할에 그쳤던 반면, 강석주는 김계관 부상과 함께 외무성의 실권을 쥐고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13] 백남순 외무상 사망 후에는 강석주 제1부상이 외교정책의 실무를 책임졌다.[14]

2000년대에는 6자 회담과 관련하여 김계관과 함께 북한 외교를 이끌었다.[15] 2002년 9월과 2004년 5월에는 일본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와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의 조일 수뇌 회담에 배석했고, 이후 북중 수뇌 회담에도 항상 동석했다고 알려져 있다.

4. 경력

연도직책
1980년조선로동당 당 국제부 과장
1981년 4월유네스코 대표부 3등 서기관
1984년 3월외교부 부부장(부외상)
1986년 4월국가 유네스코 민족위원장
1986년 6월외교부 제1부부장(제1부외상)
1986년 11월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1990년 5월최고인민회의 외교위 부위원장
1991년 12월당 중앙위원
1993년 6월북미 고위급 회담 대표
1994년 7월김일성 국가 장의위원
1995년 1월제1부외상
1998년 9월제1부외상
2002년 9월, 2004년 5월조일 수뇌 회담 동석
2010년 9월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정령에 따라 부총리
2010년 9월조선로동당 대표자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
2014년 4월제13기 최고인민회의 제1차 회의에서 부총리직 해임. 당 중앙위원회 서기국 서기(국제 담당), 당 국제부장
2015년김양건 (당 통일전선부장)이 외교 정책 전반을 총괄[10]
2016년 5월 20일식도암으로 사망. 사망 후 외무성 내 권력 투쟁 발생, 강석주 계열 세력 후퇴[11]


참조

[1] 뉴스 북한 외교라인 격상…6자회담 '청신호' 될까 http://news.sbs.co.k[...] SBS 2010-09-23
[2] 웹사이트 Biography http://world.kbs.co.[...]
[3] 서적 The Impossible State: North Korea, Past and Future http://archive.org/d[...] Ecco
[4] 뉴스 North Korea's top nuclear diplomat promoted to vice premier https://web.archive.[...] Reuters 2010-09-22
[5] 뉴스 N.Korea reshuffles officials ahead of key meeting https://web.archive.[...] Agence France-Presse 2010-09-23
[6] 뉴스 North Korea reshuffles diplomats https://www.bbc.co.u[...] BBC 2010-09-23
[7] 웹사이트 Top N. Korean diplomat Kang Sok-ju dies of cancer: state media http://www.koreahera[...] 2019-02-12
[8] 웹사이트 Kang Sok Ju Dies http://www.kcna.co.j[...] 2016-05-21
[9] 뉴스 北朝鮮 対米交渉担当、外交の司令塔の姜錫柱氏死去76歳 https://mainichi.jp/[...] 2016-05-21
[10] 뉴스 北朝鮮金養建死去「金正恩を突出行動を抑える人物消え、南北対話硬直も」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5-12-31
[11] 웹사이트 北朝鮮の米国通・韓成烈外務次官が失脚、鉱山送りに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01-30
[12] 웹인용 북한지역정보넷 - 강석주 http://www.cybernk.n[...] 2010-10-15
[13] 문서 donga.com[뉴스]-백남순 사망 불구 北외교기조 변화 없을듯 http://www.donga.com[...]
[14] 문서 http://www.voanews.c[...]
[15] 웹인용 강석주 극비 방중…6자회담 물꼬 트나 https://www.donga.co[...] 2024-07-28
[16] 웹인용 北, 비핵화 협상 교착 속 ‘대미외교 간판’ 강석주 원칙 강조 https://news.kbs.co.[...] 2024-07-28
[17] 웹인용 북 “강석주, 식도암 사망”…최룡해 장의위원장 맡아 https://www.hani.co.[...] 2024-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