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 남대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성 남대문은 1391년에 착공하여 1394년에 완공된 건축물이다.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쳐 1900년에 크게 개수되었으나, 한국 전쟁 중 파괴되어 1954년에 복구되었다. 남대문은 석성 위에 세워진 목조 단층 문루로, 고려 말기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2013년에는 개성역사유적지구의 일부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성문 - 대동문
고구려 시대 평양성 축조 시 세워진 대동문은 웅장한 돌 축대와 무지개형 문이 특징이며, 재건을 거쳐 한국 문루 건축의 전형과 선조들의 건축술을 보여주었고, 평양종을 설치하여 시간을 알리는 역할도 했으나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훼손 후 보수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성문 - 칠성문
칠성문은 언덕 둑에 맞춰 견고하게 축조된 방어적 기능과 아름다운 건축미를 가진 성문으로, 옹성과 함께 정면 3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합각식 문루와 통천장 구조, 화려한 모루단청이 특징이다. - 개성역사유적지구 - 공민왕릉
공민왕릉은 고려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능으로, 9년에 걸쳐 건설되었으며, 석상과 함께 일제강점기 훼손 후 북한에서 보수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개성역사유적지구 - 고려왕릉
고려왕릉은 유교와 풍수지리 사상에 따라 조성되었으며, 석상과 석수 등이 배치된 봉분과 돌담으로 둘러싸인 장방형 능역을 갖추고 있고, 잦은 외침과 도굴로 피해를 입었으며, 2013년에는 일부 왕릉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세계유산 - 개성시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시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정치, 경제, 문화, 상업의 중심지 역할을 한, 현재 개성공업지구와 고려 유적이 남아있는 황해북도 소재의 특별시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세계유산 - 덕흥리 고분
덕흥리 고분은 408년에 사망한 고구려 고위 관료 진의 무덤으로, 횡혈식석실 구조와 벽화를 통해 그의 생전 모습과 신분, 불교 신앙을 보여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고구려 고분군에 속하는 중요한 유적이다.
개성 남대문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성 남대문 | |
![]() | |
일반 정보 | |
한글 | 남대문 |
한자 | 南大門 |
로마자 표기 | Namdaemun |
문화관광부 표기 | Namdaemun |
위치 | 개성직할시 북안동 |
상세 정보 | |
유형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보 |
지정 번호 | 124 |
시대 | 1394년 (태조 3년) |
세계유산 정보 | 개성역사유적지구 - 개성 남대문 |
지정 번호 (세계유산) | 1278-003 |
기준 (세계유산) | (ⅱ), (ⅲ) |
영문명 (세계유산) | Historic Monuments and Sites in Kaesong |
불문명 (세계유산) | Monuments et sites historiques de Kaesong |
회차 (세계유산) | 제37차 |
등록년 (세계유산) | 2013년 |
소재국 (세계유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등록 구분 (세계유산) | 문화유산 |
기타 정보 | |
참고 자료 | 개성남대문 개성남대문 (cybernk) |
2. 역사
1391년에 착공하여 1394년(태조 3년)에 완공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보수되었다. 1900년(광무 4년)에 크게 개수되었으며, 1950년 한국 전쟁 때 파괴되어 1954년에 복구되었다. 개성성 내성은 1393년(태조 2년)에 쌓은 석성(石城)으로 남대문, 동대문, 북소문 등 7개의 문과 두 곳에 수구문(水口門)이 설치되었다.[3]
2. 1. 건축 양식
1391년에 착공하여 1394년(태조 3년)에 완공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보수되었으며, 1900년(광무 4년)에 크게 개수되었다. 1950년 한국 전쟁 때 파괴되어 1954년에 복구되었다. 남대문은 돌로 된 축대 위에 있는 목조 단층 문루로, 정면 3칸(12.63m), 측면 2칸(7.96m)이다. 직사각형으로 다듬은 화강석을 쌓아 만든 축대 가운데에 무지개문(虹霓門)을 만들었다. 문루의 네 모서리 기둥들을 약간 안쪽으로 눕혀 건물을 안정되게 보이도록 하면서 건물의 강도도 높였다. 지붕은 겹처마의 합각지붕이고 공포(栱包)는 안팎 3포로 짜올려 고려 말기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단청은 궁궐에 사용되는 모로단청으로 되어 있으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 문루의 왼쪽에는 연복사종이 걸려 있다. 이 범종은 1563년 연복사가 불타 없어진 이후 절에 있던 종을 옮겨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3]
2. 2. 단청과 연복사종
단청은 궁궐에 사용되는 모로단청으로 되어 있으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 문루의 왼쪽에는 연복사종이 걸려 있다. 이 범종은 1563년 연복사가 불타 없어진 이후, 절에 있던 종을 옮겨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3]3. 개성 역사유적 지구
개성 남대문은 개성역사유적지구의 일부로, 2013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3. 1. 등재 내용
2013년 6월 23일, 제3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 위원회 회의에서 개성 성곽 5개 구역, 개성 성균관, 개성 첨성대 유적, 만월대 유적, 선죽교, 숭양서원, 표충사, 현릉(왕건릉) 및 7개 왕릉과 명릉, 현정릉(공민왕릉)과 함께 개성역사유적지구로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3. 2. 등재 의의
개성 남대문은 2013년 6월 23일, 제3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 위원회 회의에서 개성 성곽, 개성 성균관, 개성 첨성대, 만월대, 선죽교, 숭양서원, 표충사, 현릉(왕건릉) 및 7개 왕릉과 명릉, 현정릉(공민왕릉)과 함께 개성역사유적지구로 등재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개성남대문
http://encykorea.aks[...]
[2]
웹사이트
개성남대문
http://www.cybernk.n[...]
[3]
서적
개성의 문화유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