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제시의 시내버스는 2010년 4월부터 노선 번호 체계를 도입하고 있으며, 도시형 버스와 직행좌석버스로 구분되어 운행된다.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도시형 버스는 고현을 중심으로 운행하며,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2000번 노선도 거제시를 경유한다. 2011년 1월부터 현행 운임 체계가 적용되었으며, 교통카드와 현금으로 지불 가능하다. 2010년 7월부터는 무료 환승 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며, 2010년부터 저상버스 운행도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제시의 교통 - 거가대로
거가대로는 경상남도 거제시와 부산광역시 강서구를 잇는 총연장 약 20km의 자동차 전용도로이자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의 일부 구간으로, 거가대교를 포함한 교량과 터널로 구성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건설 과정에서 환경 문제 논란도 있었다. - 거제시의 교통 - 마산 - 거제 연결도로
마산 - 거제 연결도로는 창원시와 거제시를 잇는 도로 건설 사업으로, 해저터널 방식으로 건설되어 물류 운송의 편의를 제공할 예정이다. - 경상남도의 버스 교통 - 창녕시외버스터미널
창녕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위치하며 수도권과 영남권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터미널이다. - 경상남도의 버스 교통 - 밀양시외버스터미널
밀양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밀양시에 위치하여 시외버스와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영남권 주요 도시와 밀양시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그리고 밀양시 전역과 주변 지역을 잇는 시내버스 노선망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거제시의 시내버스 | |
---|---|
일반 정보 | |
![]() | |
구분 | 시내버스 |
서비스 지역 | 경상남도 거제시 |
기타 지역 | 부산광역시 |
관리 기관 | 거제시청 도시건설국 교통행정과 |
운행 정보 | |
노선 수 | 80 |
인가 대수 | 92 |
결제 정보 |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 카드 |
선불 카드 | 티머니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BC, 롯데, 삼성, 신한, 외환, 하나SK, 현대 |
웹사이트 | |
사이트 | 거제 버스정보시스템 |
2. 현황
현재 거제시의 시내버스는 2010년 4월부터 도입된 노선 번호 체계를 사용하고 있으며, 버스 측면에 행선지 안내기를 설치하고 일부 정류장에는 버스 정보 시스템 전광판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2020년 1월 10일부터 현재의 운임 체계가 적용되었다.[1]
거제 시내버스는 다른 지역과 달리 왕복 운행이 아닌 편도 구간만 운행하며, 노선 번호뿐만 아니라 운행 구간도 정해져 있다. 배차 간격 대신 시간표대로 운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차량은 대부분 현대자동차의 뉴 슈퍼 에어로시티 차종이며, 최근에는 개선된 뉴 슈퍼 에어로시티 모델을 도입하고 있다.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도 운행 중이며, 이 차량은 대우버스 BS110CN을 사용한다. 직행좌석버스는 현대 유니버스를 사용한다.
2011년 1월 10일부터 현재의 요금 체계가 적용되었으며, 2014년 1월 22일 부산광역시 급행버스와 동일한 형태로 직행좌석버스 운임 체계가 신설되었다. 일반버스는 시계외 운행 시 km당 116.14원이 추가되며, 요금은 현금이나 교통카드로 낼 수 있다. 2010년 7월 16일부터 무료 환승 제도가 시행되어, 교통카드를 사용할 경우 하차 후 40분 안에 다른 노선 버스로 환승하면 요금이 면제된다. 단, 1장의 카드로 여러 명의 요금을 낼 때는 1명만 무료 환승이 가능하며, 일반버스와 직행좌석버스 간, 동일 노선 간에는 무료 환승이 되지 않는다.[1]
2. 1. 번호 체계
2010년 4월부터 현재의 버스 노선 번호 체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2020년 1월 10일부터 현재의 운임 체계가 적용되었다.[1]거제시의 시내버스는 도시형버스와 직행좌석버스로 나뉜다. 도시형버스는 고현을 중심으로 각 지역을 연결하며, 10번대부터 400번대까지 노선 번호를 사용한다. 직행좌석버스는 2000번대와 4000번대 노선으로, 부산 및 거제시 내 주요 지역을 연결한다.[1]
2. 1. 1. 도시형버스
고현을 중심으로 능포, 구조라해수욕장, 장목, 사곡, 둔덕, 거제대교, 동부, 남부(저구), 해금강 등 주요 지역을 연결한다. 옛 신현읍, 장승포시, 동부면(학동), 남부면 지역 내 순환버스도 운행한다.노선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
10번대 | 고현 | 옥포시내 경유(1*-1) | 능포 |
20번대 | 고현 | 옥포시내 경유(2*-1) | 구조라해수욕장 |
30번대 | 고현 | 장목 | |
40번대 | 고현 | 사곡, 둔덕 | 거제대교 |
50번대 | 고현 | 동부, 남부 (저구) | |
55번대 | 고현 | 해금강 | |
60번대 | 능포 | 일운, 동부 | |
70번대 | 고현 | 삼거, 거제, 둔덕 | 거제대교 |
100번대 | 고현동 | 장평동, 상문동, 수양동 | 고현동 |
300번대 | 능포 | 능포 | |
400번대 | 동부면(학동) | 남부(해금강, 다대, 저구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