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환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환버스는 특정 지역을 반복하여 운행하는 버스를 의미한다.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경상남도(거제시, 김해시), 전라남도(목포시, 나주시, 순천시), 충청남도(천안시), 충청북도(청주시) 등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운행되고 있다. 각 지역별로 노선 번호 체계, 요금, 운행 형태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2. 지역별 특성

대한민국 각 지역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순환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 서울특별시: 2004년 7월부터 간선, 지선, 광역버스와의 환승 시스템의 일환으로 도입되었으며, '옐로버스'라고도 불린다. 현재 도심을 순환하는 녹색순환버스 4개 노선이 운행 중이다.[1]
  • 부산광역시: 도시형버스 형태의 133번 노선이 순환 노선으로 운행 중이다.
  • 인천광역시: 교통 소외 지역 또는 연계성 부족 해소를 위해 9개의 순환버스 노선을 운행 중이다. 간선버스 형태와 지선버스 형태로 운행되는 노선들이 있다.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에서 출발하여 황금동, 남구 대명동, 달서구 두류동, 서구 평리동과 비산동, 북구 노원동과 복현동, 동구 효목동, 수성구 만촌동을 거쳐 다시 황금동과 범물동으로 돌아오는 순환 3번을 비롯하여, 간선버스와 지선버스 중에서도 순환 또는 루프형으로 운행하는 노선들이 있다.[1]
  • 대전광역시: 대전역 순환 노선인 317번과 616번, 대덕테크노밸리를 순환하는 첨단1번이 운행 중이다.[1]
  • 광주광역시: 순환01번과 상무62번이 상무지구 순환 노선으로 운행 중이다. 순환01번은 서구, 남구, 북구, 동구를 경유하며, 상무62번은 광산구 소촌동, 하남지구, 운남지구를 연계한다.[1]
  • 경상남도: 거제시, 김해시 등에서 순환버스가 운행 중이다.
  • 거제시: "도심순환버스"라 불리며, 고현 지역 일대를 운행한다.
  • 김해시: 25번(장유면 반시계방향 순환), 26번(장유면 시계방향 순환), 2번(외동터미널 ↔ 삼안동), 7번(2번의 반대 방면), 대동순환 A/B번(안막3구 ↔ 안막3구) 노선이 있다.
  • 전라남도: 목포시, 나주시, 순천시 등에서 순환버스가 운행 중이다.
  • 목포시: 3번, 7번, 15번 노선이 있다.[1]
  • 나주시: 중부선, 남부선[2], 제한선[3] 노선이 있으며, 광신고속, 나주교통이 공동 운행한다.
  • 순천시: 19번(주암면, 송광면 순환)[4], 36번과 37번(황전면, 월등면 순환)[5], 81번과 82번(별량면 순환)[6], 97번과 98번(해룡면 순환)[7], 100번과 101번(도심 순환)[8]이 운행 중이다.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만 순환버스가 운행되고 있으며, 도시형버스 형태로 한 자릿수 노선 번호로 표기한다.
  • 천안시: 1번, 2번, 3번, 7번 노선이 있다.
  •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순환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청주시: 권역별 순환버스(20-1, 20-2, 30-1, 30-2, 40-1, 40-2, 50-1, 50-2번)가 운행 중이며[10], 이 외에도 순환 형태로 운행하는 시내일반 노선이 여럿 있다.

2. 1. 서울특별시

2004년 7월부터 간선, 지선, 광역버스와 환승 시스템의 일환으로 도입되었으며, 공식적인 분류상 순환버스는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어 '옐로버스'라고도 불린다.[1]

2021년 7월 현재 서울 도심을 순환하는 녹색순환버스 4개 노선(01A, 01B, 02, 04번)이 운행 중이며, 요금은 현금 700KRW, 버스카드 이용 시 600KRW이다.[1]

번호 체계는 두 자리로 노선 운행 권역번호(앞번호), 일련번호(뒷번호)로 구성되어 있다.[1]

버스 개편 전의 순환버스는 마을버스와 도시형버스의 중간 개념이었다.[1]

2. 2. 부산광역시

도시형버스 형태의 노선 133번이 순환 노선으로 운행하고 있다.

2. 3. 인천광역시

인천교통공사에서 교통 소외 지역 또는 연계성 부족 해소를 목적으로 9개의 순환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720번은 간선버스 형태로 운행되나, 31번, 43번, 51번, 81번, 82번, 91번, 92번은 지선버스 형태로 운행되고 있다. 그 밖에도 6번, 6-1번과 539번 순환 형태로 운영되는 간선버스지선버스가 있다.

2. 4.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에서 출발하여 황금동, 남구 대명동, 달서구 두류동, 서구 평리동과 비산동, 북구 노원동과 복현동, 동구 효목동, 수성구 만촌동을 거쳐 다시 황금동과 범물동으로 돌아오는 순환 3번은 중구달성군을 제외한 대구 전역을 운행하는 거대한 순환 노선이다. 순환 2-1번과 순환 3-1번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운행하고, 순환 2번과 순환 3번은 시계방향으로 운행한다.[1]

간선버스와 지선버스 중에서도 순환 또는 루프형으로 운행하는 노선들이 있다. 이들 버스는 -1 번호를 부여하고, 순환형 간선/지선 버스는 -1이 없는 번호는 시계방향, -1이 있는 번호는 반시계방향으로 운행한다.[1]

2. 5. 대전광역시

317번과 616번 노선은 대전역 순환 노선으로 운행하며, 대덕테크노밸리를 순환하는 첨단1번도 운행한다. 세 노선 모두 지선버스, 간선버스, 맞춤버스 노선이지만, 노선의 형태는 내선/외선순환으로 구분된다. 317번은 동구, 중구를, 616번은 동구, 대덕구를 연계하며 첨단1번은 탑립동~테크노밸리~송강동~탑립동을 시계방향으로만 운행한다.

2. 6.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에서는 순환01번(저상버스 운행 중)과 상무62번을 상무지구 순환 노선으로 운행하고 있다. 두 노선 모두 급행과 지선 노선이지만, 노선의 형태는 순환형이다. 순환01번은 서구, 남구, 북구, 동구를 경유하며, 상무62번은 광산구 소촌동, 하남지구, 운남지구를 연계한다.[1]

2. 7. 경상남도

경상남도에는 거제시, 김해시 등 여러 지역에서 순환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2. 7. 1. 거제시

거제시의 순환버스는 대도시에서의 마을버스 또는 지선버스와 같은 개념이다. "도심순환버스"라 불리며, 고현 지역 일대를 운행한다.

2. 7. 2. 김해시

25번: 장유면 반시계방향 순환

26번: 장유면 시계방향 순환

2번: 외동터미널 ↔ 삼안동

7번: 외동터미널 ↔ 삼안동 (2번의 반대 방면)

대동순환 A번: 안막3구 ↔ 안막3구 (대동순환 B번의 반대 방면)

대동순환 B번: 안막3구 ↔ 안막3구 (대동순환 A번의 반대 방면)

2. 8. 전라남도

전라남도 목포시, 나주시, 순천시 등 여러 지역에서 순환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2. 8. 1. 목포시

2007년 3월 1일 개편 시 녹색으로 재도색한 차량으로 운행한다. 노선은 3번, 7번, 15번이 있다.[1]

2. 8. 2. 나주시

나주시의 순환버스는 2008년 5월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주 노선은 중부선, 남부선[2], 제한선[3]이 있다. 광신고속, 나주교통이 공동으로 운행한다. 나주시외버스터미널, 영산포공용버스터미널 홈에서는 승하차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 점을 참고해야 한다.

2. 8. 3. 순천시

순천시의 순환버스는 19번(주암면, 송광면 순환)[4], 36번과 37번(황전면, 월등면 순환)[5], 81번과 82번(별량면 순환)[6], 97번과 98번(해룡면 순환)[7], 100번과 101번(도심 순환)[8]이 운행한다. 2013년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기간 동안 한시적으로 200번 순환버스[9]를 운행한 적이 있다.

2. 9. 충청남도

충청남도에서는 현재 천안시에서만 순환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천안시의 순환버스는 도시형버스 형태로 운행되며, 노선 번호는 한 자릿수로 표기한다.

2. 9. 1. 천안시

도시형버스 형태로 운행하며, 노선 번호는 한 자릿수로 표기한다.

  • 1번: 백석농공단지 ↔ 천안시청
  • 2번: 남부고가교 ↔ 남부고가교 (시계방향 순환)
  • 7번: 남부고가교 ↔ 남부고가교 (반시계방향 순환)
  • 3번: 백석농공단지 ↔ 백석농공단지

2. 10.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순환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나, 충청북도 전체적으로는 순환버스 형태의 노선이 없다.

2. 10. 1. 청주시

2005년부터 권역별 순환버스라는 개념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주로 근거리 위주로 운행되며 20-1, 20-2, 30-1, 30-2, 40-1, 40-2, 50-1, 50-2번이 이에 해당되는데[10] 특히 50-1번, 50-2번은 권역별 순환버스지만 운행거리가 길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외 시내일반으로 운행되고 있으나 순환 형태로 운행하는 노선이 여럿 있다.

참조

[1] 뉴스 '서울 도심 순환버스' 4개노선 운행 개시 https://www.ytn.co.k[...] YTN 2020-01-29
[2] 문서 중부선의 반시계 방향으로 운행
[3] 문서 시간마다 경유지 다르다.
[4] 문서 광천을 기점으로 하며 시간마다 경유지 다르다.
[5] 문서 괴목을 기점으로 하며 시간마다 경유지 다르다.
[6] 문서 81번의 반시계방향으로 운행.
[7] 문서 97번의 반시계 방향으로 운행.
[8] 문서 100번의 반시계 방향으로 운행.
[9] 문서 순천역을 기종점으로 운행했으며 단방향으로 운행했다.
[10] 문서 운행 초창기에는 10, 20, 20-1, 30, 40번으로 운행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