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목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목면은 경상남도 거제시에 속하는 면으로,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걸쳐 장문포진, 율포진 등의 군사적 요충지였다. 1909년 외포면을 폐지하고 장목면을 신설하여 현재의 행정 구역을 갖추게 되었다. 현재 10개의 법정리를 관할하며, 대금산, 농소몽돌해수욕장, 김영삼 대통령 생가, 거제 장문포 왜성 등 관광 명소와 장목항, 외포항 등의 어항이 있다. 특산물로는 양파, 멸치, 대구, 조개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9년 설치 -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충청북도농업기술원은 충청북도의 농업 기술 발전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1909년 충청북도모범농장으로 시작하여 명칭 변경을 거쳐 1998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연구개발국과 기술지원국을 통해 연구 및 기술 지원을 수행한다. - 거제시의 행정 구역 - 옥포동
경상남도 거제시 옥포동은 옥포항을 중심으로 옥포성과 옥포대첩기념공원 등의 관광 명소가 있으며, 임진왜란 첫 승전지인 옥포해전의 배경 지역으로 옥포대첩기념공원이 조성되었고, 여러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위치한다. - 거제시의 행정 구역 - 거제면
거제면은 대한민국 거제시 북서부에 위치한 면으로, 삼한시대 독로국에 속했으며 조선시대 관아가 위치하여 현재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고, 선자산, 거제향교 등 문화유적과 거제스포츠파크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 경상남도의 읍·면 - 삼랑진읍
삼랑진읍은 낙동강과 밀양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여 세 갈래 물결이 일렁이는 나루라는 뜻으로 유래했으며, 삼랑진역을 중심으로 교통의 요지이고, 만어사, 김범우 순교자 성지, 작원관 등의 문화·관광 자원이 있으며, 딸기와 복숭아가 특산물이다. - 경상남도의 읍·면 - 진동면 (창원시)
진동면은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위치하며 진해만과 접하고 구릉성 산지로 이루어진 면으로, 조선시대 진해현에 속했으며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국도와 환승센터를 통해 교통이 편리하며 광암항과 다양한 문화재가 위치해 있다.
장목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장목면 |
한자 표기 | 長木面 |
광역시도 | 경상남도 |
시군구 | 거제시 |
면적 | 36.86 |
세대 | 2,387 |
세대 조사일 | 2011년 6월 1일 |
인구 | 4433 |
인구 조사일 | 2022년 3월 |
법정리 | 10 |
반 | 52 |
면사무소 | 장목면 장동1길 46-1 |
홈페이지 | 장목면 사무소 |
2. 연혁
2. 1. 장문포와 장목진
1012년(고려 현종 3년) 기성현 때 '장문포'라 칭해졌고, 하청부곡에 속했다. 1271년(고려 원종 12년) 왜구의 침범으로 거창현 가조현으로 피난 갔다가 1422년(조선 세종 4년) 옛터로 돌아왔다. 1432년(세종 14년) 거제현 관하 칠면에 하청면이 속했다.1656년(효종 7년) 통제사 유혁연이 장목포진을 설치하고 별장이 수비하게 했다. 장목포진에는 군관, 진무, 지인, 사령 등 다양한 직책과 전선, 병선, 사후선 등의 배가 있었다. 1712년(숙종 19년)에는 첨절제사가 파견되었다. 율포보는 임진왜란 이후 1664년(현종 5년) 동부면 가배량으로 옮겼다가 1688년(숙종 14년) 율포로 옮겨 '율포진'이라 하였다.
2. 2. 구율포와 외포면
1769년(영조 45년) 방리 개편으로 현재의 장목면에 하청면의 장목, 저도, 황포, 유포, 구영등, 농소포, 저포, 구율포, 대금산, 시방과 연초면의 이물도, 외포 등 12방이 있었다.[2] 1889년(고종 26년) 리제(里制) 개편으로 하청면의 율천, 대금, 시방, 장목, 관포, 송진, 황포, 구영, 상유, 하유, 저도, 농소, 궁농, 두모와 연초면의 외포 등 15리로 개편하였다.[2] 1895년(고종 26년) 5월 26일 ‘외포면’을 신설하여 하청면의 율천, 율리, 대금, 시방과 연초면의 이물도, 외포, 덕상, 덕하, 덕포 등 9리를 관할하였다.[2]2. 3. 장목면의 성립과 변천
1909년(융희 3년) 6월 25일 외포면을 폐지하고 장목면을 신설하면서, 외포면의 일부(덕상, 덕하, 덕포)는 이운면에 편입하고, 하청면의 장목, 관포, 두모, 송진, 황포, 구영, 상유, 하유, 저도, 농소, 궁농과 외포면의 율천, 율리, 대금, 시방, 이물도, 외포 등 모두 17개 리를 관할하였다.[3] 1915년 6월 1일 장목, 관포, 송진포, 농소, 유호, 구영, 율천, 대금, 시방, 외포 등 10개 리로 통합되었다.[4][5] 1967년 8월 12일 장목면 외포출장소가 설치되어 시방, 외포 2개 리와 이수, 시방, 흥남, 상포, 외포, 소계, 대계 등 7개 행정리를 관할하였으며, 이후 서목이 분리되어 8개 행정리가 되었다.[6]3. 행정 구역
장목면은 율천리, 유호리, 송진포리, 농소리, 시방리, 외포리, 구영리, 관포리, 대금리, 장목리의 10개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법정리 | 한자 | 비고 |
---|---|---|
율천리 | 栗川里 | |
유호리 | 柳湖里 | |
송진포리 | 松眞浦里 | |
농소리 | 農所里 | |
시방리 | 矢方里 | |
외포리 | 外浦里 | |
구영리 | 舊永里 | |
관포리 | 冠浦里 | |
대금리 | 大錦里 | |
장목리 | 長木里 |
4. 지리
4. 1. 주요 지형
5. 관광
대금산
농소몽돌해수욕장
김영삼 대통령 생가는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김영삼의 생가이다.
거제 장문포 왜성은 임진왜란 때 왜군이 쌓은 성이다.
거제 구영등성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사용된 산성이다.
거제 구율포진성은 조선시대 수군 진영이다.
저도 청해대는 대통령 별장으로, 일반인 출입이 제한된다.
장목진 객사는 조선시대 장목진의 관아 건물이다.
장목항
외포항
5. 1. 역사 유적
김영삼 대통령 생가는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김영삼의 생가이다. 거제 장문포 왜성은 임진왜란 때 왜군이 쌓은 성이다. 거제 구영등성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사용된 산성이다. 거제 구율포진성은 조선시대 수군 진영이다. 저도 청해대는 대통령 별장으로, 일반인 출입이 제한된다. 장목진 객사는 조선시대 장목진의 관아 건물이다.5. 2. 어항
6. 특산물
7. 기타
7. 1. 관련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지명유래
http://www.geoje.go.[...]
2012-07-17
[2]
법률
칙령 제98호 면리(面里) 개편
[3]
법률
칙령 제30호
[4]
법률
도령 제20호 법정동리령
[5]
웹사이트
장목면 지명 유래
http://www.geoje.go.[...]
2012-07-17
[6]
법률
군조례 제127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