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덕광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검덕광산은 헤산-리원륙향사의 동쪽에 위치하며, 마천령계 퇴적변성암과 관입암, 맥암이 분포하는 지역이다. 이 지역은 여러 차례의 구조 운동을 겪었으며, 1차 및 2차 습곡, 단렬 구조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광상 특성상 층상광체가 기본을 이루며, 배태암 종류에 따라 규질암형과 고회암형 광체로 구분된다. 주요 산업적 광물은 섬아연광과 방연광이며, 경제적, 정치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검덕광산 | |
---|---|
개요 | |
이름 | 검덕 광산 |
위치 | 탄천시 |
소재지 | 함경남도 |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광산 정보 | |
생산품 | 납, 아연 |
추가 정보 |
2. 지질 개요
검덕광산은 지체구조적으로 헤산-리원륙향사의 동쪽 가에 자리잡고 있다.[6]
광상구역에는 마천령계 북대천통과 남대천통의 퇴적변성암들과 그를 관입한 여러 시대의 관입암 및 맥암이 넓게 분포되어있으며 여러 차례의 구조운동을 받았다.[6]
광상구역에서 북대천통은 하부층상고회암층, 중부편암과 고회암의 호층, 상부층상고회암층으로 되어있다.[6] 하부층은 백색, 회백색의 중립-세립괴상고회암으로 되어있으며 광상구역의 동부에 분포되어있다.[6] 중부층은 밑에서부터 위로 가면서 투각섬석고회암층, 고회암과 편암의 호층, 세호상고회암층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세호상고회암층에서는 해조류화석이 나온다.[6] 상부층은 기본함광층으로 살구색고회암, 잡색대리암, 층상고회암으로 되어있으며 그 층후는 300 m 이상이다.[6]
광상구역에는 관입암체로서 만탑산관입암체와 송동골관입암체, 화약고관입암체 그리고 규모가 작은 직동관입암체, 사이점관입암체, 중토장관입암체 등이 알려져있다.[6] 관입암체의 드러난 면적은 제일 큰 만탑산관입암체에서 130 ㎢, 송동골관입암체에서 0.3 ㎢이며 나머지 관입암체는 규모가 작다.[6] 이들은 흑운모각섬석화강섬록암, 흑운모각섬석화강암, 우백질화강암 등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중생대에 관입하였다.[6] 중생대관입암체들의 주위에는 거정암, 세정암, 화강반암, 규장암, 황반암 등의 분화암맥들이 동반되고 있다.[6]
광상구역에는 휘록암맥들이 넓게 분포하고 있는데, 이들은 북대천통과 남대천통을 절단하고 있으며 대개 북동-남서방향 부분적으로 남북 또는 동서방향의 주향을 가진다.[6] 보통은 두께가 수 m에서 수십 m이나 드물게 100 m을 넘길때도 있다.[6]
광상구역의 지층들은 두차례 이상에 걸치는 습곡 및 단렬운동을 받아 복잡하게 요란되었다.[6] 광상구역에서 가장 중요한 구조는 습곡구조로 1차습곡과 2차습곡으로 갈라진다.[6] 1차습곡은 하부원생대 말에 이루어진 등사습곡으로 너비에 비하여 높이가 수~수십배나 더 크며 형태가 비선상성, 비상사성, 비대칭성을 가진다.[6] 중요한 1차습곡으로는 검덕산1차향사, 중토장1차배사, 검덕본산1차향사등이 있는데 향사핵부에는 남대천통의 편암이 놓여있고 축면의 주향은 거의 남북, 동쪽 혹은 서쪽으로 50 ~ 80˚ 경사져있다.[6] 2차습곡은 대칭습곡이며 너비와 높이가 거의 같거나 너비가 보다 더 큰 경우가 있다.[6] 부채형벽리와 연신습곡이 특징적으로 결합되어있다.[6] 대표적인 2차습곡은 검덕산2차배사와 여은동2차향사, 본산2차향사들이다.[6] 2차습곡의 주향도 대체로 남북방향이며 날개들의 경사각은 30 ~ 70˚이다.[6]
단렬구조에서 기본은 북동-남서계열이며 부분적으로는 북서 또는 남북계열로도 나타난다.[6] 북동-남서계열의 단층으로는 백바위골단층, 중토장-솔밭골단층, 본산단층군, 화약골단층, 송동단층들이 알려져있고 북서-남동계열의 단층에서 대표적인 것은 남사갱단층, 간골단층, 25호단층, 6수갱단층, 어화동단층 들이 있다.[6]
2. 1. 북대천통
2. 1. 1. 상부층의 분층
상부층은 다음과 같이 6개 분층으로 구분된다.- 제1분층 : 살구색고회암층으로 금운모와 투각섬석 변반정을 다량 함유한다.
- 제2분층 : 잡색대리암분층으로 회백색호상대리암과 살구색대리암으로 구성된다.
- 제3분층 : 살구색고회암분층으로 제1분층과 암상이 유사하나 연장성이 불량하다.
- 제4분층 : 층상고회암층으로 백색/연회색 고회암, 호상고회암 그리고 규질암층을 포함하며 주요 배태암이다.
- 제5분층 : 살색고회암분층으로 금운모, 투각섬석, 활석, 마그네슘감람석 등을 함유하며 연장성이 양호하다.
- 제6분층 : 회백색대리암분층으로 방해석 대리암이다.
2. 2. 관입암체
2. 3. 휘록암맥
2. 4. 지질 구조
2. 4. 1. 1차 습곡
하부 원생대 말에 형성된 등사습곡으로, 비선상성, 비상사성, 비대칭성이 특징이다. 검덕산 1차 향사, 중토장 1차 배사, 검덕본산 1차 향사 등이 있으며, 향사핵부에는 남대천통의 편암이 분포한다. 축면의 주향은 거의 남북 방향이며, 동쪽 혹은 서쪽으로 50~80° 경사져 있다.2. 4. 2. 2차 습곡
대칭 습곡으로, 너비와 높이가 거의 같거나 너비가 더 큰 경우가 있다. 부채형 벽리와 연신 습곡이 특징적으로 결합된다. 검덕산 2차 배사, 여은동 2차 향사, 본산 2차 향사 등이 있다. 주향은 대체로 남북 방향이며, 날개들의 경사각은 30~70°이다.2. 4. 3. 단열 구조
검덕광산 지역에는 북동-남서 방향의 단층들이 발달되어 있고, 일부 지역에서는 북서 방향이나 남-북 방향의 단층도 관찰된다. 주요 단층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북동-남서 계열 단층: 백바위골단층, 중토장-솔밭골단층, 본산단층군, 화약골단층, 송동단층
- 북서-남동 계열 단층: 남사갱단층, 간골단층, 25호단층, 6수갱단층, 어화동단층
3. 광상 특성
검덕광상의 광체들은 층상광체와 맥상광체로 구분된다.[7] 그 가운데서 기본은 층상광체들이고 맥상광체는 극히 드물다.[7]
층상광체는 배태암층과 정합적으로 놓이면서 습곡구조에서의 위치에 따라 층모양, 판모양, 렌즈모양, 감자알모양, 안장모양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7] 광체들은 또한 배태암의 종류에 따라 규질암형광체와 고회암형광체로 나누어진다.[7] 규질암형광체는 규질암에 배태된 광체로 밀집괴상유화물광석으로 되여있다면 고회암형광체는 고회암에 배태된 광체로 세맥광염상유화물광석으로 되여있다.[7] 규질암형광체에서의 품위가 전반적으로 높다.[7]
본산지구에는 본산1차향사습곡의 동쪽날개에 놓인 본산동부광대와 그 서쪽날개에 놓인 본산서부광대가 있다.[7] 본산동부광대에는 5개의 광체, 본산서부광대에는 40개 이상의 크고 작은 광체들이 알려져있다.[7] 광대 안에서 광체들은 기본적으로 4개의 층준에 놓여있다.[7] 함광층인 북대천통 상부 제4분층 고회암안에서 1층준광체들은 아래경계에, 2층준광체는 가운데부분에 그리고 3층준광체들은 웃경계부에 각각 놓인다.[7] 4층준광체들은 제5분층과 제6분층의 경계부에 놓인다.[7] 광체들은 대개 규질암에 배태되여있다.[7]
로은동-중토장지구에는 로은동1차향사습곡의 동쪽 및 서쪽 날개에 놓여있는 로은동동부광대와 로은동서부광대, 중토장1차향사습곡의 동쪽 및 서쪽 날개에 놓여있는 중토장동부광대와 중토장서부광대가 있다.[7] 이 광대들의 주향은 거의 남북방향이며 수 ㎞의 주향연장과 수백 m의 심부연장을 가진다.[7] 로은동동부광대는 약 7 ㎞정도 연장을 가지며 산업적광체들은 본산단층 부근에 몰켜있다.[7] 광체들은 고회암형이다.[7] 로은동서부광대는 남쪽 만탑산기슭에서 북쪽 무학동골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여있는데 광체들의 질적구성은 로은동동부광대에서와 비슷하다.[7]
중토장동부광대는 산업적의의가 대단히 큰 광대로 만탑산관입암체의 북쪽접촉경계로부터 백바위골단층에 이르기까지 길게 연장되여있다.[7] 광대의 폭은 약 1.5 ㎞이다.[7] 광대 내에는 4 ~ 5개의 광체층준이 알려져있는데 이 중 최상부층준광체들이 가장 큰 산업적의의를 가진다.[7] 대부분의 광체는 고회암을 따라 형성되었으나 규질암에 있는 광체들도 적지 않다.[7] 광석의 품위는 높은 편이다.[7] 중토장서부광대는 인접 광대들과 평행으로 만탑산관입체의 북쪽변두리에서 시작해 북쪽으로 백바위골단층에 이르기까지 8 ㎞ 연장되여있다.[7] 광대의 폭은 수십 m이다.[7] 광대의 심부한계는 중토장단층하반에서만도 지표에서 1000 m 이상 내려간다.[7] 광체의 대부분은 규질암형이며 품위가 대단히 높다.[7]
황철골-직동지구는 솔밭골단층에 의해 1000 m 이상 아래로 내려앉은 본산서부광대의 북부연장에 해당된다.[7] 광대의 주향연장은 솔밭골단층에서 북으로 백바위골단층에 이르며 너비는 수십 m이다.[7] 본산광대에 비해 함광성이 그리 높지 못하고 규모도 작다.[7]
3. 1. 층상 광체
층상광체는 배태암층과 정합적으로 놓이며, 습곡 구조에서의 위치에 따라 층모양, 판모양, 렌즈모양, 감자알모양, 안장모양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7] 광체들은 또한 배태암의 종류에 따라 규질암형 광체와 고회암형 광체로 나누어진다.[7] 규질암형 광체는 규질암에 배태된 광체로 밀집괴상유화물광석으로 되어있다면 고회암형 광체는 고회암에 배태된 광체로 세맥광염상유화물광석으로 되어있다.[7] 규질암형 광체에서의 품위가 전반적으로 높다.[7]3. 1. 1. 규질암형 광체
검덕광상의 광체는 층상광체와 맥상광체로 구분되는데, 그 중에서 층상광체가 기본이며 맥상광체는 드물다. 층상광체는 배태암층과 정합적으로 놓이며, 습곡구조에서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광체는 배태암의 종류에 따라 규질암형 광체와 고회암형 광체로 나누어진다. 규질암형 광체는 규질암에 배태된 광체로, 밀집괴상유화물광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회암형 광체보다 품위가 전반적으로 높다.[7]3. 1. 2. 고회암형 광체
고회암에 배태된 광체로, 세맥광염상유화물광석으로 되어있다.[7]3. 2. 광체 분포
3. 3. 광물 조성
검덕광상에서는 50여 종의 광석 광물 및 비광석 광물이 산출된다.[7] 주요 산업적 광물은 섬아연광과 방연광이며, 황동광도 일부 산출된다.[7] 섬아연광과 방연광은 황철광, 자류철광 등을 포함하는 방연광-섬아연광 광석 형태로 나타난다.[7] 섬아연광은 연한 황갈색에서 흑갈색까지 다양한 색을 띤다.[7] 로은동-중토장지구에서는 류안방연광 등 안티몬 광물이 많아지면서 안티몬 품위가 높아진다.[7]3. 4. 광상 성인
4. 매장량 및 전망
5. 경제적, 정치적 의의
참조
[1]
웹사이트
The mining industry of North Korea
http://nautilus.org/[...]
chinapost.com.tw
2013-07-03
[2]
웹사이트
Reconstruction of the Flood-Damaged Komdok Area
https://www.38north.[...]
38 North
2021-04-10
[3]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1-04-10
[4]
웹사이트
Kumgol-dong
https://transphoto.o[...]
2021-04-10
[5]
웹사이트
http://encykorea.aks[...]
[6]
서적
조선지리전서 (지질과 지하자원)
교육도서출판사
[7]
서적
Ibi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