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르마니카 제1군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르마니카 제1군단은 로마 제국의 군단으로, 기원전 48년경에 창설되어 서기 70년경 해체되었다. 아우구스투스 치하에서 히스파니아에서 칸타브리아 전쟁에 참전했고, 이후 라인강 전선으로 이동하여 게르마니아 지역에서 활약하며 '게르마니카' 칭호를 얻었다. 서기 14년 게르마니쿠스의 지휘하에 군단 내 반란이 일어났으나 진압되었다. 네로 사후 내전에서 비텔리우스를 지지했으나, 바타비아 반란 진압 과정에서 항복하고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48년 - 파르살루스 전투
    파르살루스 전투는 기원전 48년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 간에 벌어진 로마 내전의 결정적인 전투로, 카이사르가 승리하여 로마의 유일한 권력자가 되는 발판을 마련했다.
  • 기원전 48년 - 디라키움 공방전
    기원전 48년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내전 중 디라키움에서 벌어진 공방전에서 카이사르는 폼페이우스를 포위하려 했으나 패배하고 테살리아로 철수했으며, 이는 카이사르의 몇 안 되는 패배 중 하나였지만 폼페이우스의 추격 주저로 카이사르는 전력을 재정비하여 파르살루스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 기원전 40년대 설립 - 갈리카 제3군단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창설한 갈리카 제3군단은 로마 제국의 주요 사건에 참여하고 시리아 속주에 장기간 주둔하며 동방 지역 안정화에 기여했으며 4세기 초까지 존속했다.
  • 기원전 40년대 설립 - 마케도니카 제5군단
    마케도니카 제5군단은 옥타비아누스에 의해 창설되어 악티움 해전 참전 후 '마케도니카'라는 코그노멘을 얻고 다양한 지역에서 활동하며 로마 제국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 존속한 군단 중 하나이다.
  • 번역이 검토되지 않은 문서 - 베추아날란드 보호령
    베추아날란드 보호령은 1885년 영국이 현재의 보츠와나에 수립한 보호령으로, 츠와나족의 땅을 의미하며, 영국령 베추아날란드는 케이프 식민지에 합병되었으나, 츠와나족의 반대로 로디지아나 남아프리카에 넘어가지 않고 1966년 보츠와나 공화국으로 독립할 때까지 영국의 통치를 받았다.
  • 번역이 검토되지 않은 문서 - 굿모닝 미드나이트
    《굿모닝 미드나이트》는 전쟁으로 고립된 천문학자와 귀환하는 우주인의 이야기를 교차적으로 그리며 종말 이후의 상황과 인물들의 고통을 탐구하는 소설로, 후반부에는 반전이 드러나고 《미드나이트 스카이》로 영화화되었다.
게르마니카 제1군단
군사 정보
부대 명칭제1군단 "게르마니카"
활동 기간기원전 48년 – 서기 70년
국가로마 공화국로마 제국
소속불명
종류로마 군단 (마리우스)
규모부대 생애에 따라 다양함. 창설 당시에는 대략 3,500명의 전투병과 지원병으로 구성됨.
주둔지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기원전 30년 – 기원전 16년)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1세기 초 – 서기 69년)
별명"게르마니카", 아우구스투스 시대
수호신불명
슬로건불명
색상불명
행진곡불명
마스코트황소자리
전투파르살루스 전투 (기원전 48년)
칸타브리아 전쟁 (기원전 29년–기원전 19년)
드루수스 게르만 원정
바타비 반란 (70년)
주요 지휘관율리우스 카이사르 (원정)
드루수스 (원정)
파비우스 발렌스 (장교)
헤렌니우스 갈루스 (장교)
기념일불명

2. 창설과 초기 활동 (기원전 48년 ~ 기원전 16년)

2. 1. 히스파니아에서의 굴욕 (기원전 30년 ~ 기원전 16년)

내전 이후 군단은 아우구스투스의 군에 합류했다.[7] 이 군단은 마르쿠스 아그리파가 아우구스투스를 위해 지휘한 칸타브리인에 대한 히스파니아 정복 전쟁에 참여하여 대패를 당했던 제1군단과 동일한 군단으로 여겨진다. 히스파니아에서 발굴된 동전에 새겨진 비문은 기원전 30년에서 16년 사이에 1군단의 일부가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에 주둔하여 칸타브리아 전쟁에 참전했음을 암시한다. 디오 카시우스( [https://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Cassius_Dio/54*.html 54.11.5] )는 해당 전쟁에서 로마군이 패배를 겪은 후 한 군단이 아우구스타라는 칭호를 박탈당했다고 언급했다. 이 두 가지 언급은 같은 군단을 언급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로 인해 초기 1군단의 명칭과 상징이 기록에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스페인에 있는 동안 군단은 아키 식민 도시를 건설하는데 도움을 주었다.[1]

3. 게르마니아에서의 활약 (기원전 16년 ~ 서기 68년)

세기가 바뀔 무렵 제1군단은 라인강 전선으로 이동했다.[8] 군단은 티베리우스 황제의 빈델리시족과의 전쟁을 돕기 위해 라인강으로 이전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1] 타키투스의 ''연대기에서는'' 그들이 티베리우스로부터 군단기를 수여받았다고 언급하지만 언제 받았는지는 불분명하다. 이 기록은 새로운 군단이나 재창설된 군단만이 아퀼라를 수여받는다는 로마의 기존 관행에 위배되어 논란이 되었다. 다른 학설에서는 1군단이 콘스탄츠 호수 근처의 전투에서 승리한 후에 새로운 군단기를 받았다고 추측한다.[1] 게르마니아에서의 활약으로 군단은 명예를 회복하여 ''게르마니카(Germanica)라는'' 칭호를 얻었다.[1] 1군단이 정확히 언제 이 칭호를 수여받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아마도, ''게르마니카라는'' 칭호는 드루수스 휘하에서 1군단이 게르만 원정을 수행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부여되었을 것이다. 드루수스는 매우 인기가 많았고 그는 자신의 수하들이 활약을 한다면 그에 마땅한 명예를 얻을수 있도록 하였다.[1]

3. 1. 리메스 게르마니쿠스에서의 반란 (서기 14년)

바루스의 패배 후, 아우구스투스의 양자 티베리우스(드루수스의 형제)가 라인 강의 군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라인 강 전선 방어군은 8개 군단으로 증원되었다. 서기 13년 티베리우스가 이탈리아로 복귀했을 때, 아우구스투스는 드루수스의 아들 게르마니쿠스를 라인 강 8개 군단의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그 다음해에 아우구스투스가 죽고, 티베리우스가 그를 계승했다.

판노니아에서 시작된 대규모 항명 사태는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지역에 주둔하고 있던 제21군단 라팍스, 제5군단 알라우데, 제20군단 발레리아 빅트릭스의 병사들이 로마에서 온 신병들에게 선동되어 백부장들을 공격하고 최고 사령부를 고립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반란 소식을 듣고 갈리아에서 세금 징수 임무를 중단한 게르마니쿠스는 소규모 수행원만을 데리고 진영으로 복귀했다. 그는 병사들과 어울려 불만을 듣고 설득하여 대형을 갖추게 한 뒤 군단기를 꺼내 대화를 시작했다. 병사들은 게르마니쿠스에게 채찍질로 인한 상처를 보여주거나, 게르마니쿠스가 자살을 제안했지만 제지당하는 등 격앙된 분위기가 이어졌다.

게르마니쿠스는 항명 사태가 국가적 문제로 비화될 수 있음을 인지하고, 병사들과 타협하여 면책, 두 배의 급여, 16년 복무 기간 등의 조건을 제시했다. 제1군단과 제20군단은 쾰른으로 복귀했고, 게르마니쿠스는 티베리우스와 원로원의 승인을 받으러 떠났다.

이후 게르마니쿠스는 원로원의 사절과 함께 밤에 쾰른으로 돌아왔으나, 병사들은 게르마니쿠스가 약속을 지키지 않을 것이라고 오해하여 그를 침대에서 끌어냈다. 그러나 다음 날 오해는 풀렸고, 게르마니쿠스는 설득력 있는 연설로 병사들을 다시 설득했다.

게르마니쿠스에게 설득된 병사들은 호민관 주관의 군사재판을 통해 주동자들을 처벌하고, 백부장들의 직위 유지 여부를 판명받았다. 게르마니쿠스는 타협 조건을 충실히 이행한 후 로마로 복귀했다.

쾰른 요새가 해체된 후 군단은 으로 이전되었다.[9][10]

4. 네로 사후 내전과 군단의 해체 (서기 68년 ~ 70년)

서기 67년, 네로의 지위는 매우 불안정해졌다.[11] 원로원에 소속된 대다수의 의원들이 그에게 불만을 품었고, 여러 속주 총독들이 네로를 배제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했다. 아프리카 총독 루시우스 클로디우스 마케르와 갈리아 루그두넨시스의 총독 가이우스 율리우스 빈덱스 또한 네로에 대한 불만을 품고 있었다.[12]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의 총독인 세르비우스 술피키우스 갈바가 네로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을 때 두 사람 모두 그를 지원했다.[1] 제1군단은 황제인 네로를 지지했다. 군단은 가이우스 율리우스 빈덱스를 격퇴하는데 성공했지만 갈바는 결국 황제로 등극했다. 그 아후 제1군단은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의 총독인 비텔리우스를 황제로 지지했으며 비텔리우스는 황제로 등극하는데 성공했다. 비텔리우스는 후에 베스파시아누스에 의해 폐위되었다.[13]

4. 1. 바타비아 반란과 최후 (서기 69년 ~ 70년)

69년 바타비아 반란을 진압하기 위한 로마의 원정 부대가 나이메헌 근처에서 패배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두 개의 군단이 크산텐 에서 포위당했다.[14] 헤레니우스 갈루스가 이끄는 제1군단과 제16군단 갈리카, 게르마니아 수페리어에 주둔한 제22군단 프리미게니아가 그들을 구출하려 시도했지만, 그들은 결국 70년 3월에 항복했다. 구출 시도에 실패했던 두 군단, 제1군단과 제16군단 갈리카도 얼마 지나지 않아 항복했다.[15][16][17]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퀸투스 페틸리우스 케리아리스가 이끄는 강력한 군대를 파견하여 라인란트의 통제권을 회복하고 바타비아 반란을 진압하기까지는 몇 달이 걸렸다. 이후 제1군단의 잔존 부대는 제7군단 게미나로 재편성되었다.[18] 제1군단은 부대가 항복한 70년경에 해체되었을 것이다.[19]

이름직위시기위치출처
파비우스 발렌스레가투스 레기오니스68년-69년게르마니아타키투스, 역사 I.57
헤레니우스 갈루스레가투스 레지오니스69년-70년게르마니아타키투스, 역사 IV.19
토르콰투스 노벨루스 아티쿠스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서기 30년 이전게르마니아ILS 950


5. 주요 지휘관

5. 1.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5. 2.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인용 Legio I Germanica - Livius https://www.livius.o[...] 2020-07-31
[2] 서적 Legionary: The Roman Soldier's (Unofficial) Manual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2009-06-29
[3] 서적 Legions of Rome: The Definitive History of Every Imperial Roman Legion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2-07-03
[4] 서적 Nero's Killing Machine: The True Story of Rome's Remarkable 14th Legion https://books.google[...] Wiley 2005
[5]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Rom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4-05-14
[6] 서적 The Making of the Roman Army: From Republic to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01-04
[7] 웹인용 Legio I Germanica - Livius https://www.livius.o[...] 2020-07-31
[8] 웹인용 Legio I Germanica - Livius https://www.livius.o[...] 2020-07-31
[9] 서적 The Romans in Cologne and Lower Germany: A Guide to Roman Sites and Museums https://books.google[...] U. Preis 1995
[10] 서적 69 A.D.: The Year of Four Emperor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1] 웹인용 Legio I Germanica - Livius https://www.livius.o[...] 2020-07-31
[12]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and Rom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3] 문서 Tacitus, The Annals 1.44 wikisource:The Annal[...]
[14] 웹인용 Legio I Germanica - Livius https://www.livius.o[...] 2020-07-31
[15] 서적 The Making of the Roman Army: From Republic to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01-04
[16] 서적 The Grand Strategy of the Roman Empire: From the First Century CE to the Third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16-05-18
[17] 서적 Roman Legionary 58 BC–AD 69 https://books.google[...] Bloomsbury USA 2003-06-20
[18] 서적 Handbook to Roman Legionary Fortresses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2013-01-08
[19] 서적 Legions and Veterans: Roman Army Papers 1971-2000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Verlag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