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하르트 호흐실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르하르트 호흐실트는 독일 출신의 수학자이다. 베를린에서 태어나 나치 정권의 반유대주의 정책을 피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이주하여 수학 학위를 취득했다.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군으로 복무했다.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과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호흐실트 코호몰로지 이론을 도입하는 등 대수학 발전에 기여했다.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었으며, 르로이 P. 스틸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이프타운 대학교 동문 - 리처드 E. 그랜트
에스와티니 태생의 영국 배우이자 감독인 리처드 E. 그랜트는 영화 《위드네일과 나》로 데뷔하여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고 《와와》를 감독했으며, 《당신을 용서할 수 있을까요?》로 뉴욕 비평가 협회상 남우조연상을 수상하고 드라마 《로키》에서 클래식 로키 역을 맡았다. - 케이프타운 대학교 동문 - 앨런 코맥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미국 물리학자 앨런 코맥은 X선 기술 연구를 통해 컴퓨터 단층 촬영(CT) 스캔의 이론적 기초를 개발한 공로로 1979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고드프리 하운스필드와 공동 수상했다. -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교수 - 루돌프 마커스
루돌프 마커스는 캐나다 출신의 미국 화학자로서 전자 전달 이론 연구로 1992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RRKM 이론 개발에 기여했고, 여러 학술 단체 회원으로 활동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한 저명한 학자이다. -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교수 - 리처드 파워스
리처드 파워스는 미국의 소설가이자 명예 영어 교수이며, 다양한 주제를 다룬 소설을 발표하여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게르하르트 호흐실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Gerhard Paul Hochschild |
출생일 | 1915년 4월 29일 |
출생지 | 독일 베를린 |
사망일 | 2010년 7월 8일 (향년 95세) |
사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엘세리토 |
국적 | 독일, 미국 |
배우자 | Ruth Heinsheimer |
부모 | 릴리 호흐실트, 하인리히 호흐실트 |
교육 | |
출신 대학 | 케이프타운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
박사 지도 교수 | 클로드 슈발레 |
박사 제자 | 안제이 비아위니츠키비루라 제임스 액스 |
경력 | |
직장 |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업적 | |
알려진 업적 | 호흐실트 코호몰로지 |
2. 생애
1915년 독일 베를린에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0][9] 1933년 나치 당이 정권을 잡고 반유대주의 정책을 강화하자, 남아프리카 케이프타운으로 이주하였다.
케이프타운 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마친 후[10],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클로드 슈발레의 지도로 1941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10]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군에 징병되었으며, 1942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였다.
전후에는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1948년)과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1958년)에서 수학 교수로 활동하였다. 1982년 버클리에서 정년 퇴임하였으며, 2010년 7월 8일 캘리포니아주 El Cerrito|엘세리토영어에서 향년 95세로 세상을 떠났다.[10]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15년 4월 29일 독일 베를린에서 중산층 유대인 가정의 아들로 태어났다.[10][9][8][1] 그의 부모는 릴리와 하인리히 호흐실트였으며,[2] 형이 한 명 있었다.[8] 아버지는 공학 학위를 가진 특허 변호사였다.[3]1933년 나치 당이 정권을 잡고 반유대주의 정책을 펴자, 그의 아버지는 그를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보냈다.[3] 그는 케이프타운에서 할아버지의 사촌인 베르톨트 호흐실트가 설립한 호흐실트 가문 재단의 자금 지원을 받아 학교에 다닐 수 있었다.[3]
케이프타운 대학교에서 1936년 수학 학사 학위를, 1937년 수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0][8]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 대학교에 입학하여 클로드 슈발레의 지도를 받았다.[10] 1941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반단순 대수와 일반화된 미분''에 관한 논문으로 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0][8]
2. 2. 경력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는 동안 미군에 징병되었다. 전쟁 중인 1942년 6월에 미국 시민권을 획득하였다.1948년에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의 수학 교수가 되었고, 1958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로 이직하였다. 1956년부터 1957년까지 고등연구소에 방문 연구원으로 있었다. 버클리 재직 중 안제이 비아위니츠키-비룰라와 제임스 액스 등을 지도하였다.
1955년 구겐하임 펠로우로 선정되었으며, 1979년에는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980년에는 미국 수학회(AMS)로부터 르로이 P. 스틸 상을 수상하였다.
1982년에 버클리에서 정년 퇴임하였으나, 1985년까지 시간 강사로 활동하며 강의를 이어갔다.[8]
2. 3. 개인사
1915년 베를린에서 유대인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10][9] 1933년 나치 당이 정권을 잡고 반유대주의 정책을 펴자, 호흐실트 가족은 남아프리카 케이프타운으로 피난했다.케이프타운 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10],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에 입학하여 클로드 슈발레의 지도로 1941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10]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군에 징집되었으며, 전쟁 중이던 1942년 6월에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전쟁 후 1948년에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의 수학 교수가 되었고, 1958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로 자리를 옮겼다. 1982년 버클리에서 은퇴했다.
1950년 7월, 루스 하인스하이머(Ruth Heinsheimer)와 결혼했다.[5] 독일 태생인 루스는 1939년 어머니와 함께 나치 독일을 탈출했다. 두 사람은 루스가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수학 석사 학위를 받고 게르하르트가 조교수로 재직하던 중 만났다.[6] 슬하에 딸 앤 호흐실드(Ann Hochschild, 1955년생)와 아들 피터 호흐실드(Peter Hochschild, 1957년생)를 두었다.[8][7]
2010년 7월 8일, 캘리포니아주 엘세리토( El Cerrito영어 )의 자택에서 향년 9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0][8]
3. 주요 업적
호흐실트는 1945년 대수 변형을 분류하는 대수학에 대한 코호몰로지 이론인 호흐실트 코호몰로지를 소개했다. 1952년에는 나카야마와 함께 류체론에 코호몰로지를 도입했다. 버트람 코스탄트 및 알렉스 F. T. W. 로젠버그와 함께 발표한 호흐실트-코스탄트-로젠버그 정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4. 출판물
- 1945: 〈결합 대수의 코호몰로지 군에 관하여〉 (On the cohomology groups of an associative algebraeng). Annals of Mathematics, Second Series, 46(1): 58–67.
- 1952: 〈유체론에서의 코호몰로지〉 (Cohomology in class field theoryeng) (with 나카야마 다다시). Annals of Mathematics, Second Series, 55(2): 348–366.
- 1965: 《리 군의 구조》 (The structure of Lie groupseng). 샌프란시스코: Holden–Day Inc.
- 1971: 《아핀 대수 군 입문》 (Introduction to affine algebraic groupseng). 샌프란시스코: Holden–Day Inc.
- 1981: 《대수 군과 리 대수의 기본 이론》 (Basic theory of algebraic groups and Lie algebraseng).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75. 베를린, 뉴욕: Springer-Verlag. ISBN 978-0-387-90541-9.
- 1983: 《초등 수학의 관점》 (Perspectives of elementary mathematicseng). 베를린, 뉴욕: Springer-Verlag. ISBN 978-0-387-90848-9.
참조
[1]
서적
Moscowitz, p. 1081
[2]
서적
Moscowitz, p. 1082
[3]
서적
Moscowitz, p. 1082
[4]
간행물
Hochschild-Kostant-Rosenberg theorem
http://ncatlab.org/n[...]
2014-04-08
[5]
서적
Moscowitz, p. 1087
[6]
서적
Moscowitz, p. 1087
[7]
서적
Moscowitz, p. 1087
[8]
웹사이트
IN MEMORIAM Gerhard Hochschild
https://senate.unive[...]
universityofcalifornia.edu
2018-12-22
[9]
서적
Moscowitz, p. 1081
[10]
웹인용
IN MEMORIAM Gerhard Hochschild
https://senate.unive[...]
universityofcalifornia.edu
2018-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