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행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행기는 당나라 시기에 기록된 서역에 대한 정보를 담은 책이다. 왕궈웨이가 교정한 명가정본 《통전》에 수록된 《고행기교록》에 인용되었으며, 발한라국, 강국, 사자국, 불름국, 마린국, 발살라국, 대식국, 대진국, 파사국, 석국, 쇄엽국, 말록국, 점국 등 13개국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책은 당나라가 서역과 이슬람 세계에 대한 정보를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동서 문화 교류 연구의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세기 역사책 - 고사기
《고사기》는 712년 오노 야스마로가 편찬한 일본 최초의 역사서이자 문학작품으로, 신화 시대부터 스이코 천황까지의 역사를 다루며 일본 황실의 기원과 정통성을 강조하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역사적 사실의 신빙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8세기 역사책 - 일본서기
《일본서기》는 720년에 사인 친왕이 편찬한 신대부터 지토 천황까지의 일본 역사를 기록한 편년체 역사서로, `帝紀`와 `旧辞` 등의 사료를 활용하여 30권으로 구성되었으나 일부 내용의 신뢰성에 대한 논란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당나라의 문학 - 전기소설
전기소설은 당나라 시대 중국에서 발생한 소설 유형으로, 괴이하고 초자연적인 이야기부터 현실적인 이야기까지 다루며, 당나라 초기에 지괴소설에서 발전하여 중당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고 송대 이후 쇠퇴했으나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당나라의 문학 - 전당시
《전당시》는 강희제의 칙령으로 편찬된 당나라 시대 시가집으로, 다양한 계층의 시 4만 8천여 수를 수록하여 당시 사회상과 문학적 경향을 보여주지만, 편찬상의 한계와 비판적 검토 필요성이 존재하며, 에도 시대 일본과 조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역사책 - 자치통감
사마광이 편찬한 《자치통감》은 기원전 403년부터 959년까지 1362년간의 중국 역사를 연대순으로 기록한 294권의 방대한 편년체 역사서로, 통치자들의 흥망성쇠를 통해 정치적 교훈을 제시하고 다양한 시각과 사마광의 역사관을 담아 송대 이후 역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역사책 - 춘추좌씨전
《춘추좌씨전》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춘추 시대의 사건들을 노나라의 관점에서 서술하며, 문학적 가치 또한 높이 평가받는다.
경행기 |
---|
2. 경행기의 내용과 구성
왕궈웨이(王國維)에 의해 교정된 명가정본(明嘉靖本) 《통전》에는 책 속에 인용된 《경행기》의 원문들을 모아 엮은 《고행기교록》(古行記校錄)이 실려 있다.
《경행기》에는 발한라국, 강국, 사자국, 불름국, 마린국, 발살라국, 대식국, 대진국, 파사국, 석국, 쇄엽국, 말록국, 점국 등 13개국에 대한 두환의 상세한 기록이 담겨있다. 당나라는 두환이 기록한 서역의 정보(국토, 문화, 의식주, 종교, 관습, 법, 자원, 지도, 정치, 환경, 경제력, 내부 사정 등)를 통해 유럽과 이슬람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2. 1. 주요 국가 및 지역
《경행기》에는 발한라국(페르가나 분지), 강국(사마르칸트), 사자국(스리랑카), 불름국(비잔티움 제국), 마린국(마그레브), 발살라국(바스라), 대식국(아라비아), 대진국(로마 제국), 파사국(페르시아 제국), 석국(타슈켄트), 쇄엽국(키르기즈스탄), 말록국(투르크메니스탄), 점국(시리아) 등 모두 13개국에 대한 기록이 전해진다.[1]국가명 | 위치 |
---|---|
발한라국 | 페르가나 분지 |
강국 | 사마르칸트 |
사자국 | 스리랑카 |
불름국 | 비잔티움 제국 |
마린국 | 마그레브 |
발살라국 | 바스라 |
대식국 | 아라비아 |
대진국 | 로마 제국 |
파사국 | 페르시아 제국 |
석국 | 타슈켄트 |
쇄엽국 | 키르기즈스탄 |
말록국 | 투르크메니스탄 |
점국 | 시리아 |
《경행기》는 당나라 시대에 서역과 서방 세계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크게 기여했다.[1]
3. 경행기의 가치와 의의
3. 1. 동서 문화 교류 연구의 중요 사료
왕궈웨이(王國維)에 의해 교정된 명가정본(明嘉靖本) 《통전》에는 책 속에 인용된 경행기의 원문들을 모아 엮은 《고행기교록》(古行記校錄)이 실려 있다.
《경행기》는 페르가나 분지(발한라국(拔汗那國)), 사마르칸트(강국(康國)), 스리랑카(사자국(獅子國)), 비잔티움 제국(불름국(拂菻國)), 마그레브(마린국(摩鄰國)), 바스라(발살라국(勃薩羅國)), 아라비아(대식국(大食國)), 로마 제국(대진국(大秦國)), 페르시아 제국(파사국(波斯國)), 타슈켄트(석국(石國)), 키르기즈스탄(쇄엽국(碎葉國)), 투르크메니스탄(말록국(末祿國)), 시리아(점국(苫國)) 등 모두 13개국을 서술하여, 당시 동아시아에서는 매우 희귀한 8세기 동서 문화 교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중요한 1차 사료이다. 특히 이슬람 세계와 동로마 제국에 대한 정보는 당시 동아시아에서는 매우 희귀한 기록이었다. 당나라는 두환이 '최초로 서역의 정보와 국토, 문화, 의식주, 종교, 관습, 법, 자원, 지도, 정치, 환경, 경제력, 그리고 내부 사정을 기록한 책'을 얻음으로서 유럽과 이슬람에 대한 정보들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3. 2. 당나라의 서역 정책에 미친 영향
왕궈웨이(王國維)에 의해 교정된 명가정본(明嘉靖本) 《통전》에는 책 속에 인용된 《경행기》의 원문들을 모아 엮은 《고행기교록》(古行記校錄)이 실려 있다.
《경행기》에는 발한라국(拔汗那國, 페르가나 분지), 강국(康國, 사마르칸트), 사자국(獅子國, 스리랑카), 불름국(拂菻國, 비잔티움 제국), 마린국(摩鄰國, 마그레브), 발살라국(勃薩羅國, 바스라), 대식국(大食國, 아라비아), 대진국(大秦國, 로마 제국), 파사국(波斯國, 페르시아 제국), 석국(石國, 타슈켄트), 쇄엽국(碎葉國, 키르기즈스탄), 말록국(末祿國, 투르크메니스탄), 점국(苫國, 시리아) 등 모두 13개국이 서술되어 있다. 당나라는 두환이 최초로 서역의 정보와 국토, 문화, 의식주, 종교, 관습, 법, 자원, 지도, 정치, 환경, 경제력, 그리고 내부 사정을 기록한 책을 얻음으로서 유럽과 이슬람에 대한 정보들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4. 명가정본 《통전》과 《고행기교록》
왕궈웨이는 명가정본(明嘉靖本) 《통전》에 인용된 《경행기》의 원문들을 모아 《고행기교록》(古行記校錄)을 편찬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