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허는 1849년 전라북도 전주에서 태어나 9세에 청계사에서 출가한 승려이다. 1879년 깨달음을 얻은 후, 천장암에서 수행하며 혜월, 수월, 만공을 제자로 두었다. 1886년 무애행을 시작했고, 이후 환속하여 박난주라는 이름으로 훈장이 되었다. 1912년 갑산에서 입적했으며, 《경허집》을 저술했다. 최인호의 소설 《길 없는 길》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제자들은 근현대 한국 불교계를 대표하는 선승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승려 - 배정자
배정자는 일제강점기에 첩보원, 관료로 활동하며 고종에게 접근하여 정보를 빼내고, 러일전쟁 직전 친러파의 평양 천도 계획을 좌절시키는 등 밀정으로 활동하다가 광복 후 반민족행위 혐의로 체포되었다. - 조선의 승려 - 이지란
이지란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으로, 건주여진 출신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이성계와 의형제를 맺고 왜구 토벌과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고 청해군에 봉해졌으며 태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승려 - 허영호 (정치인)
허영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신간회 활동을 했으나, 중일전쟁 이후 친일로 전향하여 해방 후 혜화전문학교 교장과 동국대학교 학장을 역임했으며, 제헌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지만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후 친일 행적이 드러나 건국훈장이 취소되고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승려 - 한용운
한용운은 충청남도 홍성 출신의 승려이자 시인, 독립운동가로, 3.1 운동에 참여하여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불교 혁신과 민족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시집 《님의 침묵》을 통해 저항 문학을 대표했다. - 여산 송씨 - 송지영
송지영은 남경중앙대학 출신으로 조선일보 논설위원을 거쳐 한국번역가협회 회장,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고문 등을 역임하며 언론 및 문화계에서 활동했고,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원장, 국토통일원 고문,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제11대 국회의원, 한국방송공사 이사장 등을 지냈다. - 여산 송씨 - 송요찬
송요찬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부사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4·3 사건 진압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구속된 인물이다.
경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송동욱 |
호 | 성우 |
국적 | 한국 |
종교 | 불교 |
종파 | 선종 |
스승 | 만화 보선 |
제자 | 수월–선사 (1855–1928) 혜월–선사 (1861–1937) 만공–선사 (1871–1946) 한암–선사 (1876–1951) |
생애 | |
출생 | 1846년 |
출생지 | 전북 전주 자동리 |
사망 | 1912년 |
2. 생애와 사상
2. 1. 출가와 깨달음
1879년 11월 15일, 동학사 밑에 살던 진사 이처사(李處士)가 '소가 되더라도 콧구멍 없는 소가 되어야지'라는 말을 전했다. 이 말은 중국 법안종의 종주 법안(法眼) 선사의 어록에 실려 있는 선어(禪語)로, 경허는 이 말을 듣고 바로 깨달음을 얻었다. 당시 경허의 시봉을 받들던 사미승 원규는 경허의 사제인 학명의 제자였고, 이처사는 사미승 원규의 속가 아버지였다.2. 2. 수행과 교화 활동
1880년 어머니와 속가 형님인 스님이 주지로 있던 연암산 천장암(천장사)으로 거처를 옮긴다. 천장암은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 연암산에 있는 도량으로 백제 무왕 34년인 633년 백제의 담화선사가 창건한 천년고찰이다.경허는 연암산 천장암의 작은 방에서 1년 반동안 치열한 참선을 한 끝에 확철대오하게 되고 "사방을 둘러 보아도 사람이 없구나"라고 시작하는 오도송을 짓는다. 천장암에서 경허의 '삼월(三月)'로 불리는 수월스님과 혜월스님과 만공(만공월면)스님이 출가하여 함께 수행하게 된다. 제자들과 함께 천장암에서 지내다가 개심사 부석사 간월암등지를 다녀오기도 하였는데 이 때 경허스님과 제자들간의 많은 일화가 전한다.
1886년 6년 동안의 보임(保任)을 마치고 옷과 탈바가지, 주장자 등을 모두 불태운 뒤 무애행(無碍行)에 나섰다.
한동안 제자들을 가르치다가, 돌연 환속하여 박난주(朴蘭州)라고 개명하였고, 서당의 훈장이 되어 아이들을 가르치다가, 함경도 갑산 웅이방(熊耳坊) 도하동(道下洞)에서 1912년 4월 25일 새벽에 임종게를 남긴 뒤 입적하였다. 나이 64세, 법랍 56세이다. 저서에는 《경허집》이 있다.
2. 3. 만년과 입적
3. 경허의 세 달
경허의 수제자로는 흔히 '삼월(三月)'로 불리는 혜월(慧月, 1861년 - 1937년), 수월(水月, 1855년 - 1928년), 만공(滿空, 1871년 - 1946년) 선사가 있다. 경허는 '만공은 복이 많아 대중을 많이 거느릴 테고, 정진력은 수월을 능가할 자가 없고, 지혜는 혜월을 당할 자가 없다'고 했다. 삼월인 제자들도 모두 깨달아 부처가 되었으며, 이들은 근현대 한국 불교계를 대표하는 선승들이다.
경허는 1904년 7월 15일, 만공에게 전법게를 주고 천장암을 떠났다.
:법자 만공에게 주다
:수산 월면에게 글자 없는 도장을 부쳐 주고 주장자를 잡아 한 번 치고 이르기를 "다만 이 말소리가 이것이다. 라고 하였으니 또 말해 봐라. 이 무슨 도리인가?"
:또 한 번 치고 이르기를 "한 번 웃고는 아지 못커라, 낙처가 어디인가. 안면도의 봄물이 푸르기를 쪽과 같도다." 하고 주장자를 던지고 흐음하고 내려오다.
현재, '북송담 남진제'의 두 큰스님의 경우에, 송담은 경허(75대)-만공(76대)-전강(77대)-송담(78대)의 계보이고, 진제스님은 경허(75대)-혜월(76대)-운봉(77대)-향곡(78대)-진제(79대)의 계보이다.
4. 법맥
5. 평가 및 영향
5. 1. 대중문화
최인호의 소설 《길없는 길》은 1980년대에 발표된 최인호의 대표작으로, 발간 10년 만에 100만 부가 팔린 불교 소설이다. 주인공은 경허이다.6. 연표
7. 관련 문화재
- 구미 금강사 금란가사는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33호이다.
참조
[1]
서적
The Feeling Buddha: A Buddhist Psychology of Character, Adversity and Passion
Palgrave Macmillan
[2]
서적
Dropping Ashes on the Buddha
Grove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