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계승 소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승 소수는 다중 계승을 이용하여 정의되는 소수의 일종으로, n!_k ± 1 형태를 가진다. 특히 n! ± 1 형태의 계승 소수, n!! ± 1 형태의 이중 계승 소수, p# ± 1 형태의 소수 계승 소수로 구분된다. n! + 1 형태의 계승 소수는 0, 1, 2, 3, 11, 27, 37, 41, 73, 77, 116, 154, 320, 340, 399, 427, 872, 1477, 6380, 26951, 110059, 150209, 288465, …가 있으며, n! - 1 형태의 계승 소수는 3, 4, 6, 7, 12, 14, 30, 32, 33, 38, 94, 166, 324, 379, 469, 546, 974, 1963, 3507, 3610, 6917, 21480, 34790, 94550, 103040, 147855, 208003, ...가 있다. 또한, 이중 계승 소수는 n!! - 1과 n!! + 1 형태로 나뉘며, 소수 계승 소수는 p# + 1과 p# - 1 형태로 구분된다. n! ± 1이 모두 소수인 자연수는 3 뿐이며, 이러한 소수나 합성수의 무한 존재 여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승과 이항식 주제 - 이항 정리
    이항 정리는 이변수 다항식 (x + y)ⁿ을 전개하는 공식으로, 이항 계수를 사용하며, 조합론적 증명과 수학적 귀납법을 통해 증명할 수 있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이항 급수, 다항 정리 등 일반화된 형태가 존재한다.
  • 계승과 이항식 주제 - 감마 분포
    감마 분포는 형상 모수와 척도 모수로 정의되는 연속 확률 분포로, 확률 밀도 함수가 감마 함수로 표현되며, 베이즈 통계학에서 켤레 사전 분포로 활용되고, 형상 모수가 양의 정수일 때는 얼랑 분포를 나타낸다.
  • 소수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소수 - 디리클레 L-함수
    디리클레 L-함수는 디리클레 지표로 정의되는 복소함수로, 등차수열에 대한 디리클레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리만 제타 함수의 일반화이자 오일러 곱, 함수 방정식 등의 성질을 가지며, 모듈러 형식, 타원 곡선과 관련되어 수론적 L-함수 연구의 핵심이고 암호론, 컴퓨터 과학 등에 응용된다.
  • 정수열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 정수열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계승 소수
정의
형태n! ± 1 형태의 소수
추가 정보
관련 수열A088054
A002982
A002981
항의 수53
성질무한
부모 수열n! ± 1
처음 몇 개의 항2, 3, 5, 7, 23, 719, 5039, 39916801, 479001599, 87178291199
가장 큰 알려진 항632760! − 1

2. 정의

다중 계승 소수는 n!_k\pm 1 꼴의 소수이다. 특히, '''계승 소수'''는 n!\pm 1 꼴의 소수이며, '''이중 계승 소수'''(double factorial prime영어)는 n!!\pm 1 꼴의 소수이다.

비슷하게, '''소수 계승 소수'''(primorial prime영어)는 p\#\pm 1 꼴의 소수이다. 여기서 p는 소수이다. 특히, p\#+1 꼴의 소수를 유클리드 소수라고 한다.

3. 계승 소수

계승 소수(Factorial prime)는 n! ± 1 (n은 자연수) 형태의 소수를 말한다.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 '''n! + 1 형태''': n!에 1을 더한 형태 (n은 0 이상의 정수)
  • '''n! - 1 형태''': n!에서 1을 뺀 형태 (n은 자연수)


n!+1과 n!-1은 n의 값이 커질수록 급격하게 커지는 경향이 있다.

3. 1. n! + 1 형태의 계승 소수

n! + 1이 소수가 되는 n은 다음과 같다.

n0, 1, 2, 3, 11, 27, 37, 41, 73, 77, 116, 154, 320, 340, 399, 427, 872, 1477, 6380, 26951, 110059, 150209, ...



n = 3일 때, 3! + 1 = 7은 소수이다. n ≥ 11 이후로는 급격하게 커진다.

3. 2. n! - 1 형태의 계승 소수

n! - 1이 소수가 되는 n은 다음과 같다.

nn! - 1
35
423
6719
75039
12479001599
1487178291199
30265252859812191058636308479999999
32263130836933693530167218012159999999
338683317618811886495518194401279999999
38523022617466601111760007224100074291199999999
94105995489697593577771246768858599208945791868960334093771854098759622176919977592279229743577599999999999999999
16649468956370705400242773894886658373832916922044887978996888859893875531287843901388551680755778623319999918922592507744618817593919936985870296854899967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
32421778549246924289899992188475675914918080094589836685933727577633078376867584659906676999659799857928911907779899589979998699925899759996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
......



n = 7일 때, 7! - 1 = 5039는 소수이다. n ≥ 12 이후로는 급격하게 커진다.

4. 이중 계승 소수

이중 계승 소수는 n!! + 1 형태와 n!! - 1 형태로 나뉜다. 여기서 n!!은 n의 이중 계승을 의미한다.

형태소수가 되는 n
n+ 10, 1, 2, 518, 33416, 37310, 52608, 123998, ...
n- 13, 4, 6, 8, 16, 26, 64, 82, 90, 118, 194, 214, 728, ...


4. 1. n!! + 1 형태의 이중 계승 소수

n!! + 1이 소수가 되는 n은 다음과 같다.

: 0, 1, 2, 518, 33416, 37310, 52608, 123998, ...

4. 2. n!! - 1 형태의 이중 계승 소수

n!! - 1이 소수가 되는 n은 다음과 같다.

: 3, 4, 6, 8, 16, 26, 64, 82, 90, 118, 194, 214, 728, ...

5. 소수 계승 소수

소수 계승 소수(Prime Primorial Prime)는 소수 ''p''에 대해 ''p''# ± 1 (''p''#은 ''p''의 소수 계승) 형태로 표현되는 소수를 말한다. 여기서 소수 계승 ''p''#은 ''p''보다 작거나 같은 모든 소수의 곱을 의미한다.

소수 계승 소수는 ''p''# + 1 형태와 ''p''# - 1 형태로 나뉜다. 전자는 유클리드 소수라고도 불린다.

5. 1. p# + 1 형태의 소수 계승 소수 (유클리드 소수)

p영어# + 1이 소수가 되는 n과 p는 다음과 같다.

np
12
23
35
47
511
1131
75379
1711019
1721021
3842657
4573229
6164547
6434787
139111549
161313649
212218523
264723801
267324029
441342209
13494145823
31260366439
33237392113


5. 2. p# - 1 형태의 소수 계승 소수

''p''# - 1이 소수가 되는 ''n''과 ''p''는 다음과 같다.

np
23
35
511
613
1341
2489
66317
68337
167991
2871873
3102053
3522377
5644093
5904297
6204583
8496569
155213033
184915877
67132843301
855861098133


6. 기타

이 모두 소수인 자연수 ''n''은 3 뿐이며, 다른 그러한 자연수 ''n''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또는 의 소수합성수가 무수히 존재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에 관해서는 윌슨의 정리에서 합성수가 무수히 존재한다는 것을 소수의 무한성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