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삼은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한국, 일본 등지에서도 발견된다. 줄기는 곧게 서고 잎은 깃꼴겹잎이며, 6~8월에 연한 노란색 꽃이 핀다. 뿌리를 비롯한 식물 전체에 독성이 있으며, 마트린 등의 알칼로이드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약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뿌리를 말린 것은 생약 '고삼'으로 불리며, 한방에서 이뇨, 소염 등의 효능으로 사용되고, 농작물 해충 구제나 가축 피부 기생충 구제에도 활용된다. 일본에서는 일부 지역에서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삼족 - 회화나무
    회화나무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수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관상수, 약재, 목재 등으로 사용되고 길상목으로 여겨진다.
  • 고삼족 - 개느삼
    개느삼은 대한민국 중부 및 북부 지방에서 자생하는 50~150cm의 반관목으로, 3개의 잎으로 된 겹잎과 붉은 자색 꽃이 피며,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 절개지 사면 녹화에 활용되고 조선자괴, 염주나무 등으로도 불린다.
  • 초본식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초본식물 - 앵초
    앵초는 얕은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4~5월에 홍자색 꽃을 피우며 긴암술대꽃과 짧은암술대꽃의 이형화주성을 가지고, 동아시아 지역의 습지와 숲에서 자생하며 다양한 원예품종이 개발되었다.
  • 약용식물 - 인삼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동아시아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뿌리가 사람의 모습을 닮아 이름 붙여졌고, 강장, 강심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약용식물 - 아스파라거스
    아스파라거스는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등지에서 자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여러해살이풀로, 어린 순은 채소로, 고대부터는 식재료와 약재로 사용되었고, 아스파라긴산, 루틴,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화이트, 그린, 보라색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볶음, 구이, 샐러드 등 여러 요리에 쓰인다.
고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클라라
학명Sophora flavescens
학명 명명자Aiton
영명shrubby sophora
분류
식물계
문 (계급 없음)피자식물
강 (계급 없음)진정쌍떡잎식물군
콩목
콩과
아과콩아과
클라라연
클라라속
클라라
이명
이명Sophora flavescens var. angustifolia (Siebold et Zucc.) Kitag.
기타
한국어 이름클라라
일본어 이름메구사(眩草), 쿠사엔주(草槐)

2. 생태

고삼은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키는 1미터 남짓이다. 줄기는 곧게 서다가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어린 가지에는 털이 나며 검은 빛이 돌다가, 자라면서 털은 없어지고 녹색을 띤다. 잎은 어긋나고 15~41개의 작은 잎이 달린 홀수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긴 타원 모양이거나 달걀 모양이고, 길이는 2~4 센티미터, 너비는 7~15 밀리미터 정도로 앞뒤에 털이 난다. 꽃은 6~8월에 피고 가지 끝 총상꽃차례에 연한 노란색 꽃이 줄줄이 달린다.[3]

고삼은 최대 2m까지 자랄 수 있으며, 줄기에는 줄무늬가 있고 어릴 때는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잎은 대개 20~25cm 길이며, 턱잎과 13~25개의 타원형, 난형 또는 피침형의 작은 잎이 있다. 15~25cm 크기의 정단 총상꽃차례를 생성하며, 꽃은 넓게 퍼져 있다. 꽃은 가늘고 긴 꽃자루와 선형의 포를 가지며, 흰색, 옅은 노란색, 자색-적색 또는 붉은 숟가락 모양의 꽃잎을 가지고 있다. 개화기는 6월부터 8월까지이며 결실기는 7월부터 10월까지이다.[3]

콩과의 다른 많은 종과 마찬가지로 고삼은 질소를 고정할 수 있다. 가볍고(모래), 중간 정도(양토), 무거운(점토) 토양을 선호하며,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을 필요로 한다. 산성, 중성, 염기성(알칼리성) 토양을 선호한다. 그늘에서는 자랄 수 없고 습한 토양을 필요로 한다. 내한성은 -10°C이며, 미국 6 구역에 해당한다.

전초는 유독하며, 뿌리 부분이 특히 독성이 강하다. 루피난알칼로이드의 마트린이 약효의 근원이지만, 약리 작용이 격렬하여 양을 잘못 조절하면 대뇌마비를 일으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호흡 곤란으로 죽음에 이를 수 있다.

3. 분포

고삼은 중국이 원산지이며 중국의 모든 지역에서 발견된다. 또한 인도, 일본, 한국 및 러시아 극동에서도 발견된다.[3][4] 주로 해발 1500m 이하의 산비탈, 모래 풀밭 경사지, 관목 숲 또는 밭 주변에서 자란다.[3][4]

혼슈, 시코쿠, 큐슈, 중국 대륙에서 찾아볼 수 있다.

햇볕이 잘 드는 초원, 산과 들의 길가나 둑 등에서 큰 군락을 이루며 자생한다. 일본에서는 초원 환경이 농업 형태의 변화로 쇠퇴하고 있어, 자생지가 상당히 감소하고 있으며, 이것만을 식초로 하는 나비의 일종인 오오루리시지미는 매우 희귀해졌다.[17]

4. 명칭

뿌리를 씹으면 어지러울 정도로 쓰기 때문에, 현초(眩草, 쿠라라구사)라고 불렸고, 이것이 변하여 쿠라라(クララ)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16] 지역에 따라, 여우의 꼬투리(キツネノササゲ, 키츠네노사사게)라는 방언으로도 불린다.

5. 화학 성분

좌측의 마트린과 그 산화물


고삼에서 추출되는 화학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 마트린과 마트린 산화물: 뿌리에서 발견되는 퀴놀리진 알칼로이드이다.[5]
  • 쿠셰닌, 프테로카르판 및 이소플라보노이드[5]
  • 소포라플라바논 G[6]
  • 7,9,2',4'-테트라히드록시-8-이소펜테닐-5-메톡시칼콘[7]
  • 소포리딘[9]
  • 쿠라리논[8]
  • 트리폴리리진: 뿌리에서 분리된 프테로카르판 플라보노이드이다.
  • 8-프레닐캠페롤: 프레닐플라보노이드이다.
  • 옥시소포카르핀 및 소포카르핀: 알칼로이드이다.[9]

5. 1. 독성

고삼 뿌리를 사용하면 메스꺼움, 현기증, 구토, 변비, 경련, 언어 장애, 불규칙한 호흡, 호흡 부전, 사망과 같은 독성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10] 고삼은 뿌리 부분이 특히 독성이 강한 유독성 식물이다. 루피난알칼로이드의 마트린 성분이 약효를 나타내지만, 약리 작용이 강하여 복용량을 잘못 조절하면 대뇌 마비를 일으키고, 심하면 호흡 곤란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일반인이 함부로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6. 이용

뿌리 또는 겉껍질을 제거하고 건조시킨 것은 '''고삼'''(苦参, 쿠진)이라고 불리는 생약이며, 일본 약국방에 수록되어 있다. 한방에서도 사용되며, 이뇨, 소염, 진양 작용, 쓴맛 건위 작용이 있어 고삼탕(苦参湯, 쿠진토), 당귀패모고삼환료(当帰貝母苦参丸料, 토우키바이모쿠진간료) 등의 한방 처방에 배합된다.

엔기시키에는 고삼을 종이의 원료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고삼지'''라고 불리는 화지가 발견된 예가 없어 실태는 불명이다. 2010년 10월 궁내청쇼소인 사무소의 조사에서 "속속수정창원고문서 제5질 제4권"의 1매째는 화지이고, 촉감과 색깔이 엔기시키에서의 공정이나 섬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2매째는 고삼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19]

6. 1. 민간 요법

민간에서는 1일 1-3g의 고삼을 물 200ml로 반량이 될 때까지 달여서 1-2회로 나누어 복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19]. 또한, 전초의 달인 물은 농작물의 해충 구제약이나, 외용약으로 사면발이 등 소나 말 등 가축의 피부 기생충 구제약에 사용된다[19]. 습진에는 입욕제로서 천 주머니에 넣어 목욕물에 넣는다.

6. 2. 기타 이용

뿌리 또는 겉껍질을 제거하고 건조시킨 것은 '''고삼'''(苦参, 쿠진)이라고 불리는 생약이며, 일본 약국방에 수록되어 있다. 한방에서도 사용되며, 이뇨, 소염, 진양 작용, 쓴맛 건위 작용이 있다. 고삼탕(苦参湯, 쿠진토), 당귀패모고삼환료(当帰貝母苦参丸料, 토우키바이모쿠진간료) 등의 한방 처방에 배합된다.

민간에서는 1일 1-3그램의 고삼을 물 200ml로 반량이 될 때까지 달여서 1-2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또한, 전초를 달인 물은 농작물의 해충 구제약이나, 사면발이 등 소나 말 등 가축의 피부 기생충 구제약(외용약)으로 사용된다. 습진에는 목욕재로 천 주머니에 넣어 목욕물에 넣는다.

엔기시키에는 고삼을 종이의 원료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고삼지'''라고 불리는 화지가 발견된 예가 없어 실태는 불명이다. 2010년 10월 궁내청쇼소인 사무소의 조사에서 "속속수정창원고문서 제5질 제4권"의 1매째는 화지이고, 촉감과 색깔이 엔기시키에서의 공정이나 섬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2매째는 고삼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19]

7. 보존 상태

다음은 일본의 도도부현에서 다음의 레드 리스트 지정을 받고 있다.[20]

지정
사가현절멸 위기 또는 절멸 위기종 (절멸 위기 I류, CR 또는 EN)
에히메현위기종 (VU)
고치현, 가고시마현준 절멸 위기 (NT)


8. 사진

참조

[1] PLANTS 2015-11-21
[2] 학술지 A review on phytochemical, ethnomedical and pharmacological studies on genus Sophora, Fabaceae
[3] 웹사이트 Sophora flavescens in Flora of China http://www.efloras.o[...] 2024-05-06
[4] 서적 中国植物志 https://www.iplant.c[...]
[5] 웹사이트 Phytochemische und pharmakologische Untersuchungen der Wurzeln von ''Sophora flavescens'',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ihrer Wirkung auf die Leukotrien- und Prostaglandinbiosynthese http://deposit.ddb.d[...]
[6] 학술지 Antibacterial activity of sophoraflavanone G isolated from the roots of Sophora flavescens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7] 학술지 Prenylated chalcone from Sophora flavescens suppresses Th2 chemokine expression induced by cytokines via heme oxygenase-1 in human keratinocytes
[8] 학술지 Kurarinone Attenuates Collagen-Induced Arthritis in Mice by Inhibiting Th1/Th17 Cell Responses and Oxidative Stress.
[9] 학술지 Characterization of alkaloids in Sophora flavescens Ait.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10] 서적 Chinese Herbal Medicine: Materia Medica Eastland Press 2015
[11] 웹사이트 Sophora flavescens Aiton http://www.itis.gov/[...] ITIS 2012-04-11
[12] YList 2021-08-18
[13] YList 2021-08-18
[14] kotobank 2021-08-18
[15] kotobank 2021-08-18
[16] 서적 植物の世界 朝日新聞社 1995-08-27
[17] 웹사이트 阿蘇大草原の四季 http://www.nhk.or.jp[...] NHK 2010-03-07
[18]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2008-01-11
[19] 뉴스 幻の古代和紙、正倉院に http://www.yomiuri.c[...] 2010-10-25
[20]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クララ) http://jpnrdb.com/se[...] 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2012-0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