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회화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화나무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수로, 키가 25m까지 자란다. 중국이 원산지이며, 늦여름에 흰색 꽃이 피어 관상수로 널리 심어진다. 열매, 껍질, 꽃, 가지 등 모든 부분을 약재로 사용하며, 목재는 건축, 조각 등에 쓰인다. 회화나무는 예로부터 길상목으로 여겨져 학교의 교목으로 지정되거나, 문화적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삼족 - 개느삼
    개느삼은 대한민국 중부 및 북부 지방에서 자생하는 50~150cm의 반관목으로, 3개의 잎으로 된 겹잎과 붉은 자색 꽃이 피며,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 절개지 사면 녹화에 활용되고 조선자괴, 염주나무 등으로도 불린다.
  • 고삼족 - 다릅나무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다릅나무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조경수로 활용되며 목재는 가구 및 조선에, 잎과 뿌리는 약재로 사용된다.
  • 관상수 - 나한송
    나한송은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는 상록 교목으로, 껍질이 벗겨지는 특징이 있고 건축재나 약재로 쓰이며 정원수로도 심는데, 종자는 독성이 있지만 붉은 종탁은 먹을 수 있다.
  • 관상수 -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현존하는 유일한 은행나무목 식물이며, 잎 모양 때문에 압각수, 열매 때문에 은행나무라 불리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가로수 등으로 널리 심어지나 은행은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에 주의해야 한다.
  • 중국의 나무 - 나한송
    나한송은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는 상록 교목으로, 껍질이 벗겨지는 특징이 있고 건축재나 약재로 쓰이며 정원수로도 심는데, 종자는 독성이 있지만 붉은 종탁은 먹을 수 있다.
  • 중국의 나무 - 호두나무
    호두나무는 낙엽 교목으로 식용 견과인 호두를 생산하며, 은회색 수피와 깃꼴겹잎을 가지고, 가을에 녹색 껍질에 싸인 열매를 맺으며, 주글론을 함유하여 다른 식물에 영향을 미치고 목재, 염료 등으로 이용된다.
회화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엔주 나무
엔주 나무
학명Styphnolobium japonicum
이명Sophora japonica L.
영명Japanese Pagoda Tree
생물 분류
식물계
문 (미분류)속씨식물군
강 (미분류)진정쌍떡잎식물군
콩목
콩과
아과콩아과
엔주속

2. 생태

키는 25m에 이르고 나무껍질은 진한 회갈색이며 녹색의 어린가지는 흰 가루로 덮여 있어 자르면 냄새가 난다.[15] 잎은 타원형으로 어긋나 있으며 작은 잎은 7∼17장으로, 길이는 약 2∼6cm, 너비는 약 1.5∼2.5cm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잎 뒷면은 회백색으로 짧고 누운 털이 있다. 꽃은 8월부터 연한 노란색으로 피며, 새 가지 끝에서 길이 20∼30cm의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열매는 9월10월에 노란색으로 익으며, 꼬투리는 길이 5∼8mm로 잘룩잘룩하게 아래로 달리고 약간 육질이다. 씨는 1∼4개이고 갈색이다. 아카시나무와 잎 모양이 유사하나 꽃과 열매로 구분하기 쉽다.

회화나무(''Styphnolobium japonicum'')는 중국이 원산지이다. 학명과는 달리, 이 종은 일본에 도입되었으며 원래 일본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흰색 꽃으로 인해 유럽, 북아메리카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인기 있는 관상수이며, 대부분의 다른 개화 나무가 오랫동안 개화를 마친 늦여름에 핀다. 높이 10~20m까지 자라며 폭도 비슷하고, 짙은 갈색의 훌륭한 목재를 생산한다.

콩과의 낙엽 활엽수로, 수고는 5 - 15미터(m)이다. 다 자란 나무의 수피는 흑회색이며, 가늘고 세로로 뚜렷하게 갈라진다. 어린 나무의 수피는 짙은 녹색이며 피목이 있다. 한 해살이 가지는 짙은 녹색이며, 털이 없거나 짧은 털이 있다.

은 기수우상복엽으로 어긋나기하며, 작은 잎은 5 - 10쌍이고, 길이 3 - 5센티미터(cm)의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표면은 녹색, 뒷면은 녹백색으로 짧은 털이 있어 펠트처럼 보인다. 작은 잎은 마주나거나 어긋나게 붙는 것에 변이가 있어 개체에 따라 차이가 있다. 개회나무와 비슷하지만, 개회나무보다 잎이 가늘고 작은 잎의 수가 많다.

개화 시기는 7 - 8월이며, 가지 끝의 원추화서에 작은 흰색의 나비모양꽃을 많이 피우며, 벌 등의 중요한 밀원식물이 된다. 꽃이 피는 모습은 다소 성기게 핀다.

결실 시기는 10 - 11월이다. 꼬투리는 길이 5 - 8 cm이며, 씨앗과 씨앗 사이가 현저하게 좁아져 굵은 염주처럼 된다. 가지에는 꼬투리가 남아 있으며, 삭과하지 않고 겨울에도 붙어 있다. 씨앗은 어치 등의 열매를 먹는 조류에 의해 흩뿌려지기 때문에, 갑자기 잡목으로 생겨나기도 한다.[18]

겨울눈은 엽병 내부에 있고, 부풀어 오른 잎자루 기부에 숨겨져 일부만 노출되어 있으며, 짙은 갈색 털로 덮여 있다. 가짜 정아는 그다지 발달하지 않고, 측아는 어긋나게 난다.

또한, 가지가 늘어진 변종인 '''수양회화나무'''( ''Styphnolobium japonicum'' var. ''pendulum'', 동의어 ''Sophora japonica'' var. ''pendula'')가 있으며, 공원 등에 심어진다.

3. 분포

중국어중국이 원산지이다. 학명과는 달리, 이 종은 일본에 도입되었으며 원래 일본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중국 원산이며, 예로부터 대만, 일본, 한국 등에서 재배되고 있다. 일본에는 8세기경에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1] 흰색 꽃으로 인해 유럽, 북아메리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인기 있는 관상수로 재배되며, 대부분의 다른 개화 나무가 오랫동안 개화를 마친 늦여름에 핀다.

4. 이용

회화나무 열매


회화나무 열매 단면


회화나무는 꽃, 열매, 껍질, 가지 등 각 부위를 모두 약재로 쓴다. 꽃은 동맥경화와 고혈압 등에 쓰이고, 열매와 가지 및 나무껍질은 치질 치료에 이용된다.[20] 꽃봉오리는 천연 염료 및 약재로 많이 이용된다.[21] 그 밖에 조경수, 가로수, 기념수 등으로 이용된다.

중국 원산이며, 예로부터 대만, 일본, 한국 등에서 재배되고 있다. 가로수로 많이 사용되며, 공원이나 학교 등의 정원수로도 심어진다. 대한민국의 세계유산 중 하나인 창덕궁에는 큰 회화나무가 심어져 있다.

4. 1. 약용

꽃을 건조시킨 것을 '''괴화'''(槐花), 봉오리를 건조시킨 것을 '''괴화미'''(槐花米) 또는 '''괴미'''(槐米)라고 하며, 생약으로 지혈 작용이 있다.[15] 꼬투리를 건조하여 생약으로 만든 것을 '''괴각'''(槐角)이라고 하며,[15] 지혈제나 고혈압에 사용된다.[6] 꽃, 봉오리는 6~8월, 열매는 8~9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조제한다.[15]

회화나무에 포함된 루틴은 보충제로 이용되고 있다. 추출된 트로제로틴은 정맥류 등의 정맥 질환용 의약품으로 해외에서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꽃·봉오리에는 루틴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그 외에 게니스테인과 그 배당체인 게니스테인, 캠페롤, 소포리코시드 등이 검출되었다. 알칼로이드인 시티신을 포함한다.

민간요법에서는 치질이나 눈의 충혈에 1일 5g의 꽃, 봉오리, 열매를 건조시킨 것을 600ml의 물로 달여 3회로 나누어 복용하는 용법이 알려져 있다.[15] 열을 내리고 지혈하는 약초로 알려져 있으며, 출혈이 주된 증상일 때는 꽃이나 봉오리가 좋고, 부기가 주된 증상일 때는 열매가 좋다고 한다.[15]

4. 2. 목재

목재는 견고하여 중국에서는 마차나 수레, 조선에 사용되는 중요한 목재였다.[19] 결이 아름답고 견실하여 목조각 재료로 많이 쓰였다.[20]

일본에서는 전통 목공 도구인 초우나(chouna) 손잡이 재료로 사용되었다.[7][8] 회화나무는 건조 후 매우 단단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높여준다. 회화나무 줄기는 일반적으로 밝은 갈색 외부 층과 회갈색 내부 층이 번갈아 나타나는데, 이는 홋카이도 원주민인 아이누족의 블리스턴 물고기부엉이 조각과 같은 목각 제품을 매우 장식적으로 만든다.

하지만 현재 '회화나무'라는 이름으로 기둥재 등 미관재로 유통되는 것은 개회화나무이며, 원래 회화나무는 이 면에서 거의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4. 3. 기타

새싹은 차 대용으로 쓰이고, 꽃봉오리와 종자는 염료로 사용된다.[21] 꽃은 벌꿀 생산의 밀원식물로도 중요하다.[18]槐|괴중국어는 한자 표기이다.

5. 화학 성분

말린 꽃봉오리에는 최대 20%의 루틴과 약간의 퀘르세틴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9] 건조 과실에는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인 소포리코사이드, 제니스틴 및 루틴플라보노이드 아글리콘인 제니스테인, 퀘르세틴 및 캠페롤이 함유되어 있다.[10] 또 다른 분석에서는 소포라비오사이드, 소포리코사이드, 제니스테인-7-디글루코사이드, 제니스테인-7-디글루코람노사이드를 포함한 제니스테인과 제니스테인 배당체와 캠페롤 및 캠페롤 배당체인 캠페롤-3-소포로사이드 및 캠페롤-3-람노디글루코사이드가 발견되었다.[9] 열매에는 시티신, N-메틸시티신, 소포카르핀, 마트린 및 스티졸라민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다.[11] 나무 껍질에는 알로마트린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다.[12]

꽃과 봉오리에는 루틴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그 외에 게니스테인과 그 배당체인 게니스테인, 캠페롤, 소포리코시드(Sophoricoside) 등이 검출되었다. 알칼로이드인 시티신을 포함한다.

6. 상징 및 문화

예로부터 회화나무를 집에 심으면 가문에 큰 인물이나 학자가 나온다고 하여 길상목(吉祥木)으로 여겨졌다. 조선 시대에는 임금이 관리에게 회화나무를 하사하기도 하였으며, 가지 모양과 열매의 쓰임새 때문에 학자를 상징하기도 한다.[1]

중국에서는 주나라 때 조정 정원에 회화나무를 심었던 것에서 유래하여 품격 높은 나무, "출세의 나무"로 소중히 여겼다. 부모들은 자식이 삼공의 지위에 오르기를 바라며 회화나무를 심었다.[15] 일본에서는 가마쿠라 시대 미나모토노 사네토모의 『금괴화가집』 제목에 회화나무를 의미하는 "괴" 자가 사용되기도 하였다.[4]

6. 1. 한국

예부터 회화나무를 집에 심으면 가문에 큰 인물이나 큰 학자가 나온다고 하여 길상목으로 불렸다. 그로 인해 임금이 관리에게 회화나무를 하사하기도 하였다. 또한 가지 모양이 자기 멋대로 쭉 뻗어 있고 열매는 초를 켤 때 사용하는 기름으로 이용되어 학자를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학교에서 회화나무를 교목으로 지정하고 있다.

회화나무가 교목으로 지정된 학교는 다음과 같다:

창덕궁 회화나무 군은 천연기념물 제47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안동시에는 11그루의 회화나무가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다음은 천연기념물 또는 시도 기념물로 지정된 회화나무 목록이다:

6. 2. 중국

이름과는 달리, 회화나무는 주나라 시대 고위 관료들의 공식적인 기념 나무였다. 학자들의 무덤은 대신 모감주나무로 장식되었다.[4]

죄를 지은 회화나무(Guilty Chinese Scholartree)는 경산공원에 있는 역사적인 탑 나무로, 명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숭정제가 1644년에 이곳에서 목을 매달아 자살했다.[5]

중국에서는 과거 조정의 정원에 회화나무가 심어졌던 것에서[15] 회화나무를 품격 높은 나무, "출세의 나무"로 소중히 여겼다. "결국은 대신이 되기를" 바라며 부모는 자식에게 기대하며 삼공의 지위를 "괴위"라고 칭했다.[15]

6. 3. 일본

일본에는 8세기 경에 전래된 것으로 보이며[1], 일본 이름은 옛 이름인 '''에니스'''가 변형된 것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니가키라고 불리기도 한다[2]. 가로수로 많이 사용되며, 공원이나 학교 등의 정원수로도 심어진다[3].

가마쿠라 시대 전기의 가마쿠라 막부 제3대 정이대장군인 미나모토노 사네토모의 『금괴화가집』 제목은, 사네토모가 우대신의 지위에 있었기에 "괴" 자를 사용했으며, 더 나아가 가마쿠라의 "금(金)" 변을 따서 "금괴"라고 했다[4].

7. 병충해

회화나무의 줄기는 곰팡이 종류인 녹병균에 기생당하면 혹 모양으로 부풀어 오른다[1]

참조

[1] GRIN 2008-02-19
[2] 웹사이트 Styphnolobium japonicum – ILDIS LegumeWeb http://www.ildis.org[...] 2008-02-19
[3] PLANTS 2015-12-04
[4] 서적 The Origin and Cultivation of Shade and Ornamental Tre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74
[5] 서적 The Forbidden Cit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6] 논문 Styphnolobium japonicum (L.) Schott Fruits Increase Stress Resistance and Exert Antioxidant Properties in Caenorhabditis elegans and Mouse Models 2019-07-19
[7] 웹사이트 Japanese axes and adzes http://greenwood-car[...] Robin Wood 2012-02-24
[8] 웹사이트 Beautiful axes, Japanese carpentry tools http://greenwood-car[...]
[9] 서적 Chinese Drugs of Plant Origin Springer 1992
[10] 논문 Simultaneous Quantification of Six Major Flavonoids From Fructus sophorae by LC-ESI-MS/MS and Statistical Analysis 2013
[11] 서적 Chinese Herbal Medicine: Materia Medica Eastland Press 2015
[12] 웹사이트 Allomatrine https://pubchem.ncbi[...]
[13] 웹사이트 Styphnolobium japonicum information from NPGS/GRIN http://www.ars-grin.[...] USDA 2008-02-19
[14] 웹사이트 Styphnolobium japonicum - ILDIS LegumeWeb http://www.ildis.org[...] 2008-02-19
[15] YList 2023-03-31
[16] YList 2023-03-31
[17] 웹사이트 Styphnolobium japonicum https://www.ncbi.nlm[...]
[18] 논문 果実食鳥によって街路植栽より林内に散布されたエンジュの分布特性について https://doi.org/10.5[...] 日本造園学会
[19] 웹사이트 大工道具の紹介 斧・鉞 https://www.dougukan[...] 竹内大工道具館 2021-04-16
[20] 웹인용 중요무형문화재 제108호 목조각장(木彫刻匠) http://www.cha.go.kr[...] 문화재청 2013-05-10
[21] 서적 궁금할 때 바로 찾는 우리나무 도감 중앙생활사 2008-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