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이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성 이씨는 한나라 무제 때 이반이 고조선에 정착하면서 시작되었다고 전해지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 이황을 시조로 하며, 안정공파 등 여러 분파로 나뉜다. 본관은 경상남도 고성이다. 고려 시대에는 이인충, 이엄충, 이존비, 이암 등이 활약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이원, 이상룡 등 독립운동가와 여러 인물을 배출했다. 고성 이씨는 고려 시대 왕비와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안동 임청각과 안동 소호헌 등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2015년에는 고성 이씨와 철성 이씨를 합하여 104,768명이 존재하며, 경상북도 청도군에 집성촌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성 이씨 - 이기백 (1931년)
대한민국의 육군 대장 출신 군인이자 국방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인 이기백은 아웅산 묘역 폭탄 테러 당시 합동참모본부 의장으로 생존, 평화의 댐 건설을 주도했으나, 금강산댐 과장 보도 논란과 5·18 민주화운동 관련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활동으로 비판받았으며, 군 주요 직책과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거쳐 예편 후 보수 정당에서 정치 활동을 했다. - 고성 이씨 - 이희성 (1924년)
이희성(1924년~2022년)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무직공무원으로,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군수사령부 정보참모, 사단장, 국방부 기획국장, 군단장, 육군참모차장, 중앙정보부 부장서리,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 등을 지냈으며, 12·12 군사반란 당시 신군부 세력에 협조하여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는 등 신군부 집권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고성 이씨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고성 이씨 |
한자 표기 | 固城 李氏 |
다른 이름 | 철성 이씨(鐵城李氏) |
관향 | 경상남도 고성군 |
시조 | 이황 |
원시조 | 이반(李槃) |
웹사이트 | 고성이씨 대종회 |
연결된 인물 | 이필모 이서진 이상룡 이괄 고성 이씨 근비 |
국가 및 지역 | |
국가 | 북 및 남한 |
지역 | 고성군, 경상남도 |
기원 | 한반도 |
역사적 정보 | |
창시자 | 이황 |
주요 인물 | |
고려 시대 | 이존비 이암 이교 이림 |
조선 시대 | 근비 이씨 이원 혜순궁주 이씨 이근 이육 이맥 이로 이괄 |
근현대 | 이상룡 이기백 이한동 이기준 이상희 이동흡 이군현 이필모 이서진 |
통계 정보 | |
2015년 인구 | 104,768명 |
2. 기원
『이씨추원록(李氏追遠錄)』에 따르면 한 무제 때 이반(李槃)이 중서사인(中書舍人)으로서 군사를 이끌고 고조선에 온 뒤 정착하였다고 한다.
이황을 시조로 한다. 이황은 고려 덕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밀직부사를 지내고 거란의 침입을 막은 공으로[8] 철령군에 봉해졌으며, 1063년(문종 17년) 호부상서에 이르렀다.[9] 조선 중기 성리학자인 퇴계 이황과는 동명이인이다.
8대에서 11대에 걸쳐 안정공파(安靖公派), 둔재공파(鈍齋公派), 호군공파(護軍公派), 좌윤공파(左尹公派), 동추공파(同樞公派), 병사공파(兵使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사암공파(思菴公派), 도촌공파(桃村公派), 은암공파(隱菴公派) 등으로 분파되었다.
고성(固城)은 경상남도 중남부에 위치한 지명이다. 소가야국(小伽倻國)이었는데, 신라에 흡수되어 고자군(古自郡)이 설치되었고, 757년(경덕왕 16)에 고성군(固城郡)으로 바뀌었다. 1018년(현종 9년) 고성현으로 강등되었다. 별호(別號)는 철성(鐵城)이다.[10]
고성 이씨(固城 李氏) 시조는 고려 덕종 때 밀직부사를 지내고 거란의 침입을 막은 공으로 철령군에 봉해진 이황이다.[8][9]
고성 이씨의 구전(口傳)에 따르면 이반은 춘추전국시대 노자(老子)의 후손이라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노자는 어머니 뱃속에서 70년을 있다가 나이 70에 오얏나무 밑에서 태어났고 태어나면서부터 세상 만물의 이치를 모두 깨우치고 있었다고 하며, 오얏나무 밑에서 태어나 성을 이(李)씨로 정했다고 한다. 노자의 실제 이름은 이이(李耳)이다.
3. 역사
4. 분파
5. 본관
세종실록지리지에 고성현의 토성(土姓)으로 이(李)·채(蔡)·박(朴)·김(金)·남(南) 5성이 기록되어 있다.[10]
1896년 경상남도 고성군이 되었다.
6. 인물
고려시대, 조선시대, 독립운동가, 근현대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시대 이름 주요 경력 고려 이황 덕종 때 문과 급제, 밀직부사, 거란 침입 방어,[8] 1063년(문종 17년) 호부상서,[9] 철령군. 퇴계 이황과 동명이인. 이인충(麟冲) 판문하시중 이엄충(嚴冲) 검교문하시중 이존비(1233년 ~ 1287년) 1260년(원종 1) 과거 급제, 비서교서랑·권지합문지후·전중내급사·판밀직사사, 좌승지, 필도치, 세자원빈, 지공거, 감찰대부 이우(瑀) 문하좌시중, 익조공신, 철성부원군 이암(1297년 ~ 1364년) 문신, 단군세기 저자, 동국의 조자앙으로 불림, 예서와 초서에 능함, 문수원장경비에 글씨가 남아 있음. 이교 한림학사, 시호 문열, 갈천서원에 배향 이숭(崇) 검교문하시중, 정원공신 각진국사(覺眞國師) 10세에 출가, 21세에 승과 합격, 조계산 수선사 제13세 사주, 장성 백양사 중축, 1350년(충정왕 2)과 1352년(공민왕 1)에 왕사, 공민왕에게 각엄존자라는 호를 받음. 이강(岡) 진현관대제학, 보조공신, 증 의정부좌의정 조선 이임(琳) 문하시중, 좌명공신, 철성부원군 이원(1368년 ~ 1430년) 문신, 호는 용헌, 세종 때 청백리로 좌의정, 우의정을 지냄. 이육(1438년 ~ 1498년) 4조참판, 시호 문광, 저서 청파극담, 철성연방집 발간 이괄(1587년 ~ 1624년) 무신, 1623년 인조반정 공헌, 이괄의 난을 일으켜 흥안군을 왕으로 세웠으나 실패. 혜순궁주 태종의 후궁 이응태(1555–1586) 미망인이 쓴 유명한 편지와 최근 연구된 미라의 주인공[3] 이상룡(1858년 ~ 1932년) 신흥무관학교 설립, 독립운동 간부 양성, 대한민국 임시정부 지지, 서로군정서 독판, 1924년 정의부 간부, 1925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1] 현대 이한동(1934년 ~ 2021년) 제33대 국무총리, 전 국회의원 이석제 전 감사원장, 전 총무처 장관 이진희 전 문화방송 사장, 전 문공부 장관 이영창 전 치안본부장, 전 국회의원 이기백 전 국방부 장관 이기준(1938년 ~ ) 서울대학교 총장, 경제부총리 이상희 전 과기처 장관, 전 국회의원 이수정 前 문화부 장관 이동흡(1951년 ~ ) 前 헌법재판소 재판관 이군현 제17·18·19·20대 국회의원 이용득 제20대 국회의원 이종명 제20대 국회의원 이종주 전 대구시장 이현동 국세청장 이유근(李裕根)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제2대 총장 이효수 전 영남대학교 총장 이서진(1971년 ~ ) 서울은행장 손자 이인용 삼성전자 CR사장, MBC, 서울대학교, 중앙고등학교 이영탁 중앙선거관리위원 의빈 이씨 고려 시대 14세기의 왕비
6. 1. 고려
이황은 고려 덕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내고 거란의 침입을 막은 공으로[8] 철령군(鐵嶺君)에 봉해졌으며, 1063년(문종 17년) 호부상서(戶部尙書)에 이르렀다.[9] 조선 중기 성리학자인 퇴계 이황(李滉)과는 동명이인이다.6. 2. 조선
이황은 고려 덕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밀직부사를 지내고 거란의 침입을 막은 공으로[8] 철령군에 봉해졌으며, 1063년(문종 17년) 호부상서에 이르렀다.[9] 퇴계 이황과는 동명이인이다.
고려시대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주요 경력 |
---|---|
이인충(麟冲) | 판문하시중 |
이엄충(嚴冲) | 검교문하시중 |
이존비(1233년 ~ 1287년) | 1260년(원종 1) 과거 급제, 비서교서랑·권지합문지후·전중내급사·판밀직사사, 좌승지, 필도치, 세자원빈, 지공거, 감찰대부 |
이우(瑀) | 문하좌시중, 익조공신, 철성부원군 |
이암(1297년 ~ 1364년) | 문신, 단군세기 저자, 동국의 조자앙으로 불림, 예서와 초서에 능함, 문수원장경비에 글씨가 남아 있음. |
이교 | 한림학사, 시호 문열, 갈천서원에 배향 |
이숭(崇) | 검교문하시중, 정원공신 |
각진국사(覺眞國師) | 10세에 출가, 21세에 승과 합격, 조계산 수선사 제13세 사주, 장성 백양사 중축, 1350년(충정왕 2)과 1352년(공민왕 1)에 왕사, 공민왕에게 각엄존자라는 호를 받음. |
이강(岡) | 진현관대제학, 보조공신, 증 의정부좌의정 |
이임(琳) | 문하시중, 좌명공신, 철성부원군 |
의빈 이씨 | 고려 시대 14세기의 왕비 |
조선시대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주요 경력 |
---|---|
이원(1368년 ~ 1430년) | 문신, 호는 용헌, 세종 때 청백리로 좌의정, 우의정을 지냄. |
이육(1438년 ~ 1498년) | 4조참판, 시호 문광, 저서 청파극담, 철성연방집 발간 |
이괄(1587년 ~ 1624년) | 무신, 1623년 인조반정 공헌, 이괄의 난을 일으켜 흥안군을 왕으로 세웠으나 실패. |
혜순궁주 | 태종의 후궁 |
이응태(1555–1586) | 미망인이 쓴 유명한 편지와 최근 연구된 미라의 주인공[3] |
6. 3. 독립운동가
이상룡(1858년 ~ 1932년) :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하여 독립운동 간부를 양성하였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지하며, 서로군정서 독판을 역임하였다. 1924년 정의부 간부로 활약하였다. 1925년 9월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에 취임하였다.[1]6. 4. 현대
- 이상룡(李相龍, 1858년 ~ 1932년) :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하여 독립운동 간부를 양성하였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지하며,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독판(督辦)을 역임하였다. 1924년 정의부 간부로 활약하였다. 1925년 9월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령(國務領)에 취임하였다.[1]
- 이한동(李漢東, 1934년 ~ 2021년 ) : 대한민국 제33대 국무총리, 전 국회의원[1]
- 이석제 : 대한민국 전 감사원장, 전 총무처 장관[1]
- 이진희 : 전 문화방송 사장, 전 문공부 장관[1]
- 이영창 : 전 치안본부장, 전 국회의원[1]
- 이기백 : 전 국방부 장관[1]
- 이기준(李基俊, 1938년 ~ ) : 서울대학교 총장, 경제부총리[1]
- 이상희 : 전 과기처 장관, 전 국회의원[1]
- 이수정(李秀正, 1940년 ~) : 前 문화부 장관[1]
- 이동흡(李東洽, 1951년 ~ ) : 前 헌법재판소 재판관[1]
- 이군현 : 제17·18·19·20대 국회의원[1]
- 이용득 : 제20대 국회의원[1]
- 이종명 : 제20대 국회의원[1]
- 이종주 : 전 대구시장[1]
- 이현동 : 국세청장[1]
- 이유근(李裕根)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제2대 총장[1]
- 이효수 : 전 영남대학교 총장[1]
- 이서진(李瑞鎭, 1971년 ~ ) : 서울은행장 손자[1]
- 이인용 : 삼성전자 CR사장, MBC, 서울대학교, 중앙고등학교[1]
- 이영탁 : 중앙선거관리위원[1]
7. 왕실과의 인척 관계
8. 항렬자
고성 이씨는 각 파별로 항렬자를 달리 쓴다. 항렬자는 이름의 한 글자를 공통된 글자로 하여 같은 세대를 나타내는 글자이다.[7]
파 | 내용 |
---|---|
도촌공파 | 각 세대별 항렬자 |
호군공파 | 각 세대별 항렬자 |
사암공파 | 각 세대별 항렬자 |
참판공파 | 각 세대별 항렬자 |
8. 1. 도촌공파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
선(宣) |
8. 2. 호군공파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
혁(爀) 시(時) | 재(載) 언(彦) | 현(鉉) | 원(源) | 동(東) | 렬(烈) | 기(基) | 흠(欽) 호(鎬) | 영(泳) 영(永) | 환(桓) 근(根) | 형(炯) 경(炅) | 균(均) 규(圭) | 강(綱) 종(鍾) | 수(洙) 구(求) | 영(榮) 계(桂) | 희(熙) 휴(烋) |
○세손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
행렬자[7] | 혁(爀) 시(時) | 재(載) 언(彦) | 현(鉉) | 원(源) | 동(東) | 렬(烈) | 기(基) | 흠(欽) 호(鎬) | 영(泳) 영(永) | 환(桓) 근(根) | 형(炯) 경(炅) | 균(均) 규(圭) | 강(綱) 종(鍾) | 수(洙) 구(求) | 영(榮) 계(桂) | 희(熙) 휴(烋) |
8. 3. 사암공파
8. 4. 참판공파
9. 문화재
- 안동 임청각(臨淸閣) : 보물 제182호. 석주 이상룡의 생가이다. 사대부 반가로서는 가장 크게 지을 수 있는 99칸짜리 집으로 유명하며 현존하는 민가로는 가장 크다. 임청각은 1519년 이명(李洺)이 지어 500년 가까이 고성 이씨 종가로 보존되어온 고택이지만, 일제강점기에는 일제가 이 집의 맥을 끊기 위해 집 안을 지나도록 철로를 부설하면서 일부 철거를 당하기도 했으며, 2002년 후손들이 국가에 헌납했다.
- 안동 소호헌(蘇湖軒) : 조선 중기의 별당 건축이다. 본래 안동 법흥동 임청각의 이명이 다섯째 아들 이고를 분가시킬 때 지어준 것으로, 이고의 외동딸과 혼인한 중종 때의 학자 서해에게로 물려내려졌다.
10. 인구
高城 李氏중국어와 鐵城 李氏중국어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04,768명으로 조사되었다.[6]
연도 | 고성 이씨(명) | 철성 이씨(명) | 합계(명) |
---|---|---|---|
1985년 | 71,910 | 3,994 | 75,904 |
2000년 | 84,383 | 4,871 | 89,254 |
2015년 | 88,587 | 16,181 | 104,768 |
2015년 통계[6]를 기준으로 집성촌이 있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11. 집성촌
12. 환단고기와의 관계
고성 이씨 이암은 1363년에 단군세기(檀君世記)를 저술하였다.[1] 이맥은 1500년 전후에 태백일사(太白一史)를 저술하였다.[2] 1909년 이기는 단학회(檀學會)를 설립하였다.[3] 이상룡은 1920년 이전까지 계연수(환단고기의 원저자라 함)가 이상룡의 막하에 있었다고 하였다.[4] 이유립은 1966년 단단학회(檀檀學會)를 조직하고, 1979년 환단고기를 발간하였다.[5]
참조
[1]
서적
Doosan Encyclopedia 고성이씨 固城李氏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뉴스
420년 만에 환생한 애절한 ‘사랑과 영혼’ 생생
https://www.hani.co.[...]
2023-12-27
[4]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9
[5]
웹사이트
스카이데일리, 고대성인 노자(老子) 혈통, 빌딩 3채 수백억 재력
https://www.skyedail[...]
2017-06-19
[6]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7]
웹사이트
이씨(李氏) 본관(本貫) 고성(固城)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8]
웹사이트
고려사 卷五 世家 卷第五 德宗 2年 1월
http://db.history.go[...]
[9]
웹사이트
고려사 卷八 世家 卷第八 文宗 17年 4월
http://db.history.go[...]
[10]
웹사이트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진주목 고성현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