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유 시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유 시간은 입자가 시공간을 이동하면서 경험하는 시간으로, 특수 및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고유 시간은 빛의 속도와 로렌츠 인자를 사용하여 계산되며, 관성계의 외부 관찰자가 측정한 시간보다 짧다.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는 민코프스키 메트릭을 사용하여 정의되며, 시간 지연 효과를 설명한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유사 리만 다양체에서 선 적분을 통해 계산하며, 중력의 영향을 고려한다. 고유 시간은 쌍둥이 역설, 회전하는 원반, 지구에서의 시간 등 다양한 예시를 통해 이해할 수 있으며, 상대론적 역학 법칙 기술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코프스키 시공간 - 세계선
    세계선은 시공간에서 물체의 경로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물체의 역사와 궤적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다양한 물리 이론과 철학적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민코프스키 시공간 - 전자기장 텐서
    전자기장 텐서는 전자기 퍼텐셜의 도함수로 이루어진 2계 텐서로, 전자기장을 상대론적으로 기술하고 맥스웰 방정식을 간결하게 표현하며 로런츠 힘을 기술하는 데 사용된다.
  • 상대성이론 - 시공간
    시공간은 시간과 공간을 4차원 연속체로 통합한 개념으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따라 상대적이며, 일반 상대성이론에서는 중력을 시공간의 곡률로 설명하고, 현대 물리학과 우주론 연구에 필수적이다.
  • 상대성이론 - 대응원리
    대응 원리는 플랑크 상수가 0에 가까워지는 극한에서 양자역학이 고전역학으로 근사적으로 환원됨을 보이는 원리로서, 초기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현대에는 유추적인 역할로 중요성이 감소하였지만, 고전역학과 양자역학의 수학적 대응 관계 연구를 통해 계승되고 있다.
  • 시간 - 오전
  • 시간 - 과거
    과거는 이전에 일어난 일, 개인의 경험, 특정 시점 등을 의미하며, 찰스 디킨스의 소설에 등장하고, 철학, 학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며, 교훈을 담고 있는 주제이다.
고유 시간

2. 정의

경로 \mathbf x(t)를 따라 움직이는 입자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입자가 t_0\le t\le t_1에서 느끼는 '''고유 시간''' \tau는 다음과 같다.

:\tau=\int_{t_0}^{t_1}\left(1-c^{-2}\lVert d\mathbf x(t)/dt\rVert^2\right)\;dt=\int_{t_0}^{t_1}\frac{dt}\gamma.

여기서 c는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이고, \gamma로런츠 인자다.

양의 정지 질량을 지닌 입자는 항상 \gamma\ge1이므로,

:\tau\le t_1-t_0.

즉 고유 시간은 항상 관성계의 외부 관찰자가 측정한 시간보다 짧다. 정지 질량이 0인 (광자 등) 입자의 경우엔 \gamma=\infty이므로 고유 시간은 항상 0이다.

어떤 관측 대상에 대해 (cτ)² = x² + y² + z² – (ct)² (c: 광속, t: 관측자의 시간, (x, y, z): 관측자의 좌표계에서 본 물체의 좌표)는 로렌츠 변환에 대해 불변량이며, 어떤 좌표계에서 관측하더라도 동일한 값을 가진다. 따라서, 이 값을 기반으로 d(cτ)² = d(ct)² - dx² - dy² - dz² 로 하여 τ 및 Τ=∫dτ를 시간과 시간의 불변량으로 정의한다. 이 τ가 고유 시간이다.

3. 성질

항등적으로 (x, y, z) = 0일 때, 당연히 τ = t이다. 항상 (x, y, z) = 0이 성립한다는 것은 관측 대상의 물체와 함께 이동하는 좌표계에서 대상을 관측하고 있다는 것과 다름없다. 이것이 τ가 고유시(固有時)라고 불리는 이유이다. 즉, 고유시란 물체 고유의 시간이라는 의미이다.

특수상대성이론에서는 역학 법칙이 로렌츠 변환에 대해 불변인 것이 요구되므로, 역학 법칙의 기술은 상대론 이전의 절대시간에 고유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뉴턴 역학에서 \boldsymbol{F}=\frac{d\boldsymbol{p}}{dt}로 기술된 운동방정식은 특수상대성이론에서는 \boldsymbol{F}=\frac{d\boldsymbol{p}}{d\tau}로 기술된다 (F: 물체에 가해진 합력, p: 운동량, t: 절대시간, τ: 고유시).

4. 수학적 형식

고유 시간의 공식적인 정의는 시계, 관측자 또는 시험 입자를 나타내는 시공간을 통과하는 경로와 그 시공간의 계량 구조를 설명하는 것을 포함한다. 고유 시간은 4차원 시공간에서 세계선의 유사 리만 아크 길이다. 수학적 관점에서 좌표 시간은 미리 정의된 것으로 가정되며 좌표 시간의 함수로서 고유 시간에 대한 표현이 필요하다. 반면에 고유 시간은 실험적으로 측정되고 좌표 시간은 관성 시계의 고유 시간으로부터 계산된다.

고유 시간은 물리적 자와 시계의 동반 집합을 구성할 수 있는 시공간을 통과하는 시간적 경로에 대해서만 정의될 수 있다. 공간적 경로에 대한 동일한 형식은 고유 시간이 아니라 고유 거리의 측정으로 이어진다. 빛과 같은 경로의 경우, 시공간 간격이 0이므로 고유 시간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으며 정의되지 않는다. 대신 시간과 무관한 임의적이고 물리적으로 무관한 어파인 매개변수를 도입해야 한다.[4][5][6][7][8][9]

==== 특수 상대성 이론 ====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고유 시간은 민코프스키 메트릭을 사용하여 정의된다.[10] 시간적 기준에 따른 메트릭 시그니처를 사용하면, 민코프스키 메트릭은 다음과 같다.

\eta_{\mu\nu} = \begin{pmatrix}

1 & 0 & 0 & 0 \\

0 & -1 & 0 & 0 \\

0 & 0 & -1 & 0 \\

0 & 0 & 0 & -1

\end{pmatrix} ,

좌표는 임의의 로렌츠 좌표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x^0, x^1, x^2, x^3) = (ct, x, y, z)

이러한 좌표계에서 두 사건 사이의 미소 시간 간격(시간적 간격으로 가정)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10]

ds^2 = c^2 dt^2 - dx^2 - dy^2 - dz^2 = \eta_{\mu\nu} dx^\mu dx^\nu,

이는 입자(예: 시계)의 궤적 상의 점들을 구분한다. 같은 간격은 각 순간에 입자가 정지해 있는 좌표계(순간 정지 좌표계)로 표현될 수 있으며, 각 순간에 대해 (c\tau,x_\tau,y_\tau,z_\tau) 좌표로 나타낸다. 간격의 불변성으로 인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ds^2 = c^2 d\tau^2 - dx_\tau^2 - dy_\tau^2 - dz_\tau^2 = c^2 d\tau^2,

순간 정지 좌표계에서 입자는 정지해 있기 때문에, dx_\tau = dy_\tau = dz_\tau = 0이다. ds^2 > 0 (시간적 간격)이라고 가정하면, 위 식의 제곱근을 취하여

ds = cd\tau,

또는

d\tau = \frac{ds}{c}.

를 얻는다. 에 대한 이 미분 표현을 고려하면, 고유 시간 간격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Delta\tau = \int_P d\tau = \int_P \frac{ds}{c}.

여기서 는 초기 사건에서 최종 사건까지의 세계선이며, 사건의 순서는 시계에 따라 최종 사건이 초기 사건보다 나중에 발생한다는 요구 사항에 의해 고정된다.

간격의 불변성을 다시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11]

\begin{align}

\Delta\tau

&= \int_P \frac{1}{c} \sqrt{\eta_{\mu\nu}dx^\mu dx^\nu}

\\

&= \int_P \sqrt {dt^2 - {dx^2 \over c^2} - {dy^2 \over c^2} - {dz^2 \over c^2}}

\\

&= \int_a^b \sqrt {1 - \frac{1}{c^2} \left [ \left (\frac{dx}{dt}\right)^2 + \left (\frac{dy}{dt}\right)^2 + \left ( \frac{dz}{dt}\right)^2 \right] }dt

\\

&= \int_a^b \sqrt {1 - \frac{v(t)^2}{c^2}} dt

\\

&= \int_a^b \frac{dt}{\gamma(t)},\end{align}

여기서

(x^0, x^1, x^2, x^3 ) : [ a , b ] \rightarrow P

는 세계선 의 임의의 전단사 매개변수화이며,

(x^0(a), x^1(a), x^2(a), x^3(a))\quad\text{and}\quad (x^0(b), x^1(b), x^2(b), x^3(b))

는 의 끝점을 나타내고 a < b이다; 는 좌표 시간 에서의 좌표 속도이며; , , 그리고 는 공간 좌표이다.

가 매개변수 에 의해 매개변수화되면, 이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Delta\tau

= \int \sqrt {\left (\frac{dt}{d\lambda}\right)^2 - \frac{1}{c^2} \left [ \left (\frac{dx}{d\lambda}\right)^2 + \left (\frac{dy}{d\lambda}\right)^2 + \left ( \frac{dz}{d\lambda}\right)^2 \right] } \,d\lambda.

입자의 운동이 일정하면, 표현은 다음과 같이 단순화된다.

\Delta \tau = \sqrt{\left(\Delta t\right)^2 - \frac{\left(\Delta x\right)^2}{c^2} - \frac{\left(\Delta y\right)^2}{c^2} - \frac{\left(\Delta z\right)^2}{c^2}},

여기서 Δ는 초기 사건과 최종 사건 사이의 좌표 변화를 의미한다.

(x, y, z) = 0일 때, τ = t이다. 이는 관측 대상과 함께 이동하는 좌표계에서 대상을 관측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즉, 고유시는 물체 고유의 시간이다.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는 역학 법칙이 로렌츠 변환에 대해 불변해야 하므로, 뉴턴 역학에서 \boldsymbol{F}=\frac{d\boldsymbol{p}}{dt}로 기술된 운동 방정식\boldsymbol{F}=\frac{d\boldsymbol{p}}{d\tau}로 기술된다 (F: 물체에 가해진 합력, p: 운동량, t: 절대 시간, τ: 고유 시간).

==== 일반 상대성 이론 ====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고유 시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국소 좌표 x/x영어''μ''를 가지고 메트릭 텐서 g/g영어''μν''가 장착된 유사 리만 다양체가 주어지면, 시간적 경로 P/P영어를 따라 두 사건 사이의 고유 시간 간격 Δ''τ''는 선 적분으로 주어진다.[12]

:Δ''τ'' = ∫P d''τ'' = ∫P 1/c√(gμν dxμ dxν).

이 표현은 좌표 변환에 대해 불변이다. 이는 (적절한 좌표계에서) 평평한 시공간의 특수 상대성 이론 표현으로 축소된다.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1=''x''/1=''x''영어1, ''x''2, ''x''3 = const가 되도록 좌표를 선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도 이것을 수행할 수 있다.[13]

:Δτ = ∫P dτ = ∫P 1/c√(g00 dx0).

4. 1. 특수 상대성 이론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고유 시간은 민코프스키 메트릭을 사용하여 정의된다.[10] 시간적 기준에 따른 메트릭 시그니처를 사용하면, 민코프스키 메트릭은 다음과 같다.

\eta_{\mu\nu} = \begin{pmatrix}

1 & 0 & 0 & 0 \\

0 & -1 & 0 & 0 \\

0 & 0 & -1 & 0 \\

0 & 0 & 0 & -1

\end{pmatrix} ,

좌표는 임의의 로렌츠 좌표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x^0, x^1, x^2, x^3) = (ct, x, y, z)

이러한 좌표계에서 두 사건 사이의 미소 시간 간격(시간적 간격으로 가정)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10]

ds^2 = c^2 dt^2 - dx^2 - dy^2 - dz^2 = \eta_{\mu\nu} dx^\mu dx^\nu,

이는 입자(예: 시계)의 궤적 상의 점들을 구분한다. 같은 간격은 각 순간에 입자가 정지해 있는 좌표계(순간 정지 좌표계)로 표현될 수 있으며, 각 순간에 대해 (c\tau,x_\tau,y_\tau,z_\tau) 좌표로 나타낸다. 간격의 불변성으로 인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ds^2 = c^2 d\tau^2 - dx_\tau^2 - dy_\tau^2 - dz_\tau^2 = c^2 d\tau^2,

순간 정지 좌표계에서 입자는 정지해 있기 때문에, dx_\tau = dy_\tau = dz_\tau = 0이다. ds^2 > 0 (시간적 간격)이라고 가정하면, 위 식의 제곱근을 취하여

ds = cd\tau,

또는

d\tau = \frac{ds}{c}.

를 얻는다. 에 대한 이 미분 표현을 고려하면, 고유 시간 간격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Delta\tau = \int_P d\tau = \int_P \frac{ds}{c}.

여기서 는 초기 사건에서 최종 사건까지의 세계선이며, 사건의 순서는 시계에 따라 최종 사건이 초기 사건보다 나중에 발생한다는 요구 사항에 의해 고정된다.

간격의 불변성을 다시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11]

\begin{align}

\Delta\tau

&= \int_P \frac{1}{c} \sqrt{\eta_{\mu\nu}dx^\mu dx^\nu}

\\

&= \int_P \sqrt {dt^2 - {dx^2 \over c^2} - {dy^2 \over c^2} - {dz^2 \over c^2}}

\\

&= \int_a^b \sqrt {1 - \frac{1}{c^2} \left [ \left (\frac{dx}{dt}\right)^2 + \left (\frac{dy}{dt}\right)^2 + \left ( \frac{dz}{dt}\right)^2 \right] }dt

\\

&= \int_a^b \sqrt {1 - \frac{v(t)^2}{c^2}} dt

\\

&= \int_a^b \frac{dt}{\gamma(t)},\end{align}

여기서

(x^0, x^1, x^2, x^3 ) : [ a , b ] \rightarrow P

는 세계선 의 임의의 전단사 매개변수화이며,

(x^0(a), x^1(a), x^2(a), x^3(a))\quad\text{and}\quad (x^0(b), x^1(b), x^2(b), x^3(b))

는 의 끝점을 나타내고 a < b이다; 는 좌표 시간 에서의 좌표 속도이며; , , 그리고 는 공간 좌표이다.

가 매개변수 에 의해 매개변수화되면, 이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Delta\tau

= \int \sqrt {\left (\frac{dt}{d\lambda}\right)^2 - \frac{1}{c^2} \left [ \left (\frac{dx}{d\lambda}\right)^2 + \left (\frac{dy}{d\lambda}\right)^2 + \left ( \frac{dz}{d\lambda}\right)^2 \right] } \,d\lambda.

입자의 운동이 일정하면, 표현은 다음과 같이 단순화된다.

\Delta \tau = \sqrt{\left(\Delta t\right)^2 - \frac{\left(\Delta x\right)^2}{c^2} - \frac{\left(\Delta y\right)^2}{c^2} - \frac{\left(\Delta z\right)^2}{c^2}},

여기서 Δ는 초기 사건과 최종 사건 사이의 좌표 변화를 의미한다.

(x, y, z) = 0일 때, τ = t이다. 이는 관측 대상과 함께 이동하는 좌표계에서 대상을 관측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즉, 고유시는 물체 고유의 시간이다.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는 역학 법칙이 로렌츠 변환에 대해 불변해야 하므로, 뉴턴 역학에서 \boldsymbol{F}=\frac{d\boldsymbol{p}}{dt}로 기술된 운동 방정식\boldsymbol{F}=\frac{d\boldsymbol{p}}{d\tau}로 기술된다 (F: 물체에 가해진 합력, p: 운동량, t: 절대 시간, τ: 고유 시간).

4. 2. 일반 상대성 이론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고유 시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국소 좌표 x/x영어''μ''를 가지고 메트릭 텐서 g/g영어''μν''가 장착된 유사 리만 다양체가 주어지면, 시간적 경로 P/P영어를 따라 두 사건 사이의 고유 시간 간격 Δ''τ''는 선 적분으로 주어진다.[12]

:Δ''τ'' = ∫P d''τ'' = ∫P 1/c√(gμν dxμ dxν).

이 표현은 좌표 변환에 대해 불변이다. 이는 (적절한 좌표계에서) 평평한 시공간의 특수 상대성 이론 표현으로 축소된다.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1=''x''/1=''x''영어1, ''x''2, ''x''3 = const가 되도록 좌표를 선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도 이것을 수행할 수 있다.[13]

:Δτ = ∫P dτ = ∫P 1/c√(g00 dx0).

5.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의 예시

5. 1. 예시 1: 쌍둥이 역설

관측자 A가 A 좌표계 (0,0,0,0)와 (10년, 0, 0, 0) 사이를 관성적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하면, A는 A 좌표계 시간으로 10년 동안 x = y = z = 0에 머무르게 된다. 이 두 사건 사이 A의 고유 시간 간격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Delta \tau_A = \sqrt{(10\text{ 년})^2} = 10\text{ 년}.

이는 특수 상대성 이론 좌표계에서 "정지해 있는" 것은 고유 시간과 좌표 시간이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A 좌표계 시간으로 5년 동안 0.866c의 속도로 x 방향으로 (0,0,0,0)에서 (5년, 4.33광년, 0, 0)까지 이동하는 또 다른 관측자 B를 가정한다. 그곳에 도착하면 B는 가속하여 다른 공간 방향으로 A 좌표계 시간으로 5년 더 이동하여 (10년, 0, 0, 0)에 도착한다. 여정의 각 구간에 대해 A 좌표계를 사용하여 고유 시간 간격을 계산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Delta \tau_{구간} = \sqrt{(\text{5 년})^2 - (\text{4.33 년})^2}

= \sqrt{6.25\;\mathrm{년}^2}

= \text{2.5 년}.

따라서 관측자 B가 (0,0,0,0)에서 (5년, 4.33광년, 0, 0)으로, 그리고 (10년, 0, 0, 0)으로 이동하는 데 걸리는 총 고유 시간은 다음과 같다.

\Delta \tau_B = 2 \Delta \tau_{구간} = \text{5 년}.

이처럼 고유 시간 방정식은 시간 지연 효과를 포함하고 있다. 사실, 특수 상대성 이론(SR) 시공간에서 속도 v로 시간 ΔT 동안 이동하는 물체의 경우 경험하는 고유 시간 간격은 다음과 같다.

\Delta \tau

= \sqrt{\Delta T^2 - \left(\frac{v_x \Delta T}{c}\right)^2 - \left(\frac{v_y \Delta T}{c}\right)^2 - \left(\frac{v_z \Delta T}{c}\right)^2 }

= \Delta T \sqrt{1 - \frac{v^2}{c^2}},

이는 SR 시간 지연 공식이다.

5. 2. 예시 2: 회전하는 원판

관측자 C가 xy 평면에서 각속도 ω로 회전하는 원반 위에 있으며, 원반 중심으로부터 거리 r만큼 떨어져 있다고 가정한다. 원반 중심은 x = y = z = 0이다. 관측자 C의 경로는 (T, rcos(ωT), rsin(ωT), 0)으로 주어지는데, 여기서 T는 현재 좌표 시간이다. r과 ω가 일정할 때, dx = -rωsin(ωT)dT이고 dy = rωcos(ωT)dT이다. 따라서 미소 고유 시간 공식은 다음과 같다.[14]

:d\tau

= \sqrt{dT^2 - \left(\frac{r \omega}{c}\right)^2 \sin^2(\omega T)\; dT^2 - \left(\frac{r \omega}{c}\right)^2 \cos^2(\omega T) \; dT^2}

= dT\sqrt{1 - \left ( \frac{r\omega}{c} \right )^2}.

따라서 주어진 시공간의 한 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r에서 일정한 각속도 ω로 좌표 시간 T₁과 T₂ 사이에 회전하는 관측자의 경우, 경험하는 고유 시간은 다음과 같다.[14]

:\int_{T_1}^{T_2} d\tau

= (T_2 - T_1) \sqrt{ 1 - \left ( \frac{r\omega}{c} \right )^2}

= \Delta T \sqrt{1 - v^2/c^2},

여기서 v = rω는 회전하는 관측자에 대한 속도이다. 이 결과는 선형 운동 예시와 동일하며, 고유 시간 공식의 적분 형태의 일반적인 적용을 보여준다.[14]

좌표 변환을 민코프스키 메트릭에 적용하면 회전하는 원판 위의 물체가 동일한 공간 좌표 위치에 머무르는 좌표를 만들 수 있다. 새로운 좌표는 다음과 같다.[14]

:r= \sqrt{x^2 + y^2}

그리고

:\theta = \arctan\left(\frac{y}{x}\right) - \omega t.

''t''와 ''z'' 좌표는 변경되지 않는다. 이 새로운 좌표계에서 증분 고유 시간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14]

:d\tau = \sqrt{\left [1 - \left (\frac{r \omega}{c} \right )^2 \right] dt^2 - \frac{dr^2}{c^2} - \frac{r^2\, d\theta^2}{c^2} - \frac{dz^2}{c^2} - 2 \frac{r^2 \omega \, dt \, d\theta}{c^2}}.

시간에 따라 ''r'', ''θ'', ''z''가 일정하면 이것은 다음과 같이 간소화된다.[14]

:d\tau = dt \sqrt{ 1 - \left (\frac{r \omega}{c} \right )^2 },

이는 위에 계산된 결과와 같다.

이제 회전하는 원판에서 벗어나 원판의 중심에 대해 관성적으로 정지해 있고 그것으로부터 ''R''만큼 떨어져 있는 물체가 있다고 가정한다. 이 물체는 로 설명되는 '''좌표''' 운동을 가지는데, 이는 회전 관찰자의 관점에서 관성적으로 정지해 있는 물체가 역회전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제 고유 시간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14]

:d\tau = \sqrt{\left [1 - \left (\frac{R \omega}{c} \right )^2 \right] dt^2 - \left (\frac{R\omega}{c} \right ) ^2 \,dt^2 + 2 \left ( \frac{R \omega}{c} \right ) ^2 \,dt^2} = dt.

따라서 관성적으로 정지해 있는 관찰자에게는 좌표 시간과 고유 시간이 다시 같은 비율로 흐르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상대성 이론의 내부적 자체 일관성에 대해 예상되고 요구되는 바이다.[14]

6.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의 예시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슈바르츠실트 해는 다음과 같은 미소 고유 시간 방정식을 갖는다.

:d\tau = \sqrt{

\left( 1 - \frac{2m}{r} \right) dt^2


  • \frac{1}{c^2} \left( 1 - \frac{2m}{r} \right)^{-1} dr^2
  • \frac{r^2}{c^2} d\phi^2
  • \frac{r^2}{c^2} \sin^2(\phi ) \, d\theta^2

},

여기서 각 변수는 다음과 같다.

  • ''t''는 지구에 대해 관성적으로 정지해 있고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시계로 측정한 시간이다.
  • ''r''은 좌표 거리이며, 실질적으로 지구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이다.
  • ''ɸ''는 공동위도 좌표로, 북극으로부터의 각도(라디안 단위)이다.
  • ''θ''는 경도 좌표로, 지구 표면의 경도와 유사하지만 지구의 자전과는 무관하다. 이 또한 라디안으로 주어진다.
  • ''m''은 지구의 기하학화된 질량이며, ''m'' = ''GM''/''c''2이다.
  • ''M''은 지구의 질량이다.
  • ''G''는 중력 상수이다.


지구의 경우, ''M'' = 5.9742e24 kg 이고, ''m'' = 4.4354e-3 m 이다. 북극에 서 있는 경우, dr = d\theta = d\phi = 0 (즉, 위아래 또는 지구 표면을 따라 움직이지 않는 경우)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슈바르츠실트 해의 고유 시간 방정식은 d\tau = dt \, \sqrt{1 - 2m/r}이 된다. 그런 다음 지구의 극반지름을 좌표 거리로 사용하면 (즉, r = \text{6,356,752 미터}), 다음을 얻는다.

:d\tau = \sqrt{\left ( 1 - 1.3908 \times 10^{-9} \right ) \;dt^2} = \left (1 - 6.9540 \times 10^{-10} \right ) \,dt.

적도에서는 지구의 반지름이 ''r'' = 6378137 미터이다. 또한 지구의 자전을 고려해야 한다. 이것은 관찰자에게 지구 자전의 항성주기인 86162.4초로 나눈 2''π''의 각속도를 부여한다. 따라서 d\theta = 7.2923 \times 10^{-5} \, dt이다. 그러면 고유 시간 방정식은 다음을 생성한다.

:d\tau = \sqrt{\left ( 1 - 1.3908 \times 10^{-9} \right ) dt^2 - 2.4069 \times 10^{-12}\, dt^2} = \left( 1 - 6.9660 \times 10^{-10}\right ) \, dt.

비상대론적 관점에서 보면 이것은 이전 결과와 같아야 한다. 이 예는 지구가 자전하므로 슈바르츠실트 해에서 가정한 것처럼 구면 대칭이 아니더라도 고유 시간 방정식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보여준다. 자전의 영향을 더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커 메트릭을 사용할 수 있다.

6. 1. 예시 3: 지구에서의 시간

슈바르츠실트 해는 다음과 같은 미소 고유 시간 방정식을 갖는다.

: d\tau = \sqrt{

\left( 1 - \frac{2m}{r} \right) dt^2

  • \frac{1}{c^2} \left( 1 - \frac{2m}{r} \right)^{-1} dr^2
  • \frac{r^2}{c^2} d\phi^2
  • \frac{r^2}{c^2} \sin^2(\phi ) \, d\theta^2

},

여기서

  • ''t''는 지구에 대해 관성적으로 정지해 있고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시계로 측정한 시간이다.
  • ''r''은 좌표 거리이며 (실질적으로 지구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이다.)
  • ''ɸ''는 공동위도 좌표로, 북극으로부터의 각도(단위: 라디안)이다.
  • ''θ''는 경도 좌표로, 지구 표면의 경도와 유사하지만 지구의 자전과는 무관하다. 이 또한 라디안으로 주어진다.
  • ''m''은 지구의 기하학화된 질량이며, ''m'' = ''GM''/''c''2이다.
  • ''M''은 지구의 질량이다.
  • ''G''는 중력 상수이다.


지구의 경우, ''M'' = 5.9742e24 kg 이고, ''m'' = 4.4354e-3 m 이다. 북극에 서 있는 경우, dr = d\theta = d\phi = 0 (즉, 위아래 또는 지구 표면을 따라 움직이지 않는 경우)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슈바르츠실트 해의 고유 시간 방정식은 d\tau = dt \, \sqrt{1 - 2m/r}이 된다. 그런 다음 지구의 극반지름을 좌표 거리로 사용하면 (즉, r = \text{6,356,752 미터}), 다음을 얻는다.

:d\tau = \sqrt{\left ( 1 - 1.3908 \times 10^{-9} \right ) \;dt^2} = \left (1 - 6.9540 \times 10^{-10} \right ) \,dt.

적도에서는 지구의 반지름이 ''r'' = 6378137 미터이다. 또한 지구의 자전을 고려해야 한다. 이것은 관찰자에게 지구 자전의 항성주기인 86162.4초로 나눈 2''π''의 각속도를 부여한다. 따라서 d\theta = 7.2923 \times 10^{-5} \, dt이다. 그러면 고유 시간 방정식은 다음을 생성한다.

:d\tau = \sqrt{\left ( 1 - 1.3908 \times 10^{-9} \right ) dt^2 - 2.4069 \times 10^{-12}\, dt^2} = \left( 1 - 6.9660 \times 10^{-10}\right ) \, dt.

비상대론적 관점에서 보면 이것은 이전 결과와 같아야 한다. 이 예는 지구가 자전하므로 슈바르츠실트 해에서 가정한 것처럼 구면 대칭이 아니더라도 고유 시간 방정식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보여준다. 자전의 영향을 더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커 메트릭을 사용할 수 있다.

7. 활용

참조

[1] harvnb
[2] 서적 Foundations of Modern Cosm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 harvnb
[4] harvnb
[5] harvnb
[6] harvnb
[7] harvnb
[8] harvnb
[9] harvnb
[10] harvnb
[11] harvnb
[12] harvnb
[13] harvnb
[14] harvn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