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산 한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곡산 한씨는 중국 송나라 8학사 중 한 명인 한예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한예는 1206년 고려에 들어와 곡산군에 봉해졌다. 주요 인물로는 고려 시대 밀직부사를 지낸 한희, 조선 시대 관찰사를 역임한 한옹 등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했다. 본관인 곡산은 황해도 북동단에 위치하며, 《세종실록지리지》에 곡산의 토성으로 기록되어 있다. 2015년에는 6,266명이 곡산 한씨 성을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곡산 한씨 - 한근조
한근조는 평안남도 강서군 출신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일본 메이지 대학교 법학부를 졸업하고 변호사로 활동하며 제헌국회의원, 대한민국 제4, 5, 6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저서로 《위대한 한국인-조만식》을 펴냈다. - 곡산 한씨 - 한혜진 (가수)
한혜진은 1987년 MBC 강변가요제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가수로, 1985년 KBS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여 배우 활동을 병행했으며, 대표곡으로는 《갈색추억》과 《너는 내 남자》 등이 있다. - 황해북도 출신 - 고이허
고이허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학생 운동을 시작해 만주에서 항일 운동에 투신, 국민부 결성에 참여하고 조선혁명당과 조선혁명군을 조직하여 이끌었으나 일본군에 체포되어 순국,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을 추서받았다.
곡산 한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가명 | 곡산 한씨 |
한자 표기 | 谷山 韓氏 |
국가 | 조선 |
영지 | 곡산군 |
시조 | 한예 |
각주 | 곡산한씨중앙종친회 |
성씨 정보 | |
성씨 | 곡산 한씨 |
한자 | 谷山 韓氏 |
나라 | 대한민국 |
관향 | 황해도 곡산군 |
시조 | 한예 |
인물 | 한옹, 한권, 한여유, 한이원, 한덕전, 한영석 |
년도 | 2015 |
인구 | 6,266명 |
2. 역사
곡산 한씨의 시조 한예(韓銳)는 송(宋)나라 8학사 중 한 명으로, 1206년(고려 희종 2년) 고려에 들어와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로 '''곡산군'''에 봉해졌다.
2세손 한희(韓禧)는 밀직부사, 3세손 한익(韓翊)은 판도판서, 4세손 한진(韓瑨)은 정당문학, 5세손 한방좌(韓邦佐)와 6세손 한옹(韓雍)은 관찰사를 역임하였다.
2. 1. 시조 및 초기 역사
시조 '''한예'''(韓銳)는 송(宋)나라 시대의 8학사(八學士) 중 한 명으로, 1206년(고려 희종 2년) 고려에 들어와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로 '''곡산군'''(谷山郡)에 봉해졌다.2세손 한희(韓禧)는 고려 시대에 밀직부사를 지냈고, 3세손 한익(韓翊)은 판도판서를 지냈으며, 4세손 한진(韓瑨)은 정당문학에 올랐다. 5세손 한방좌(韓邦佐)와 6세손 한옹(韓雍)은 관찰사를 역임하였다.
2. 2. 조선시대
2세손 한희(韓禧)는 고려 시대에 밀직부사를 지냈고, 3세손 한익(韓翊)은 판도판서를 지냈으며, 4세손 한진(韓瑨)은 정당문학에 올랐다.[1] 5세손 한방좌(韓邦佐)와 6세손 한옹(韓雍)은 관찰사를 역임하였다.[1]3. 본관
곡산(谷山)은 황해도 북동단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의 십곡성(十谷城)인데 통일신라 경덕왕이 진서(鎭瑞)로 고쳤고 고려 초에 곡주(谷州)로 개칭하였다. 1393년(조선 태조 2)에는 곡산으로 개칭하고 부(府)로 승격하였다. 1895년에 곡산군이 되었으며, 별칭은 덕둔홀, 고곡, 진서, 상산 등이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곡산군의 토성(土姓)으로 우(禹)·노(盧)·강(康)·한(韓)·용(龍)·연(延) 6성이 기록되어 있다.[2]
4. 인물
- 한여유(韓汝愈, 1642년 ~ 1709년): 조선 후기의 문신. 저서로 『둔옹집(遁翁集)』이 있고, 1741년(영조 25)에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으로 추증되었다.
- 한이원(韓以原, 1651년 ~ 1720년): 조선 후기의 문신. 1687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감찰, 결성현감, 전적, 평안도도사, 충청도도사, 병조정랑, 고산찰방, 장령, 해미현감, 장악원정, 사복시정 등을 역임하였다.
- 한덕전(韓德全, 1685년 ~ ?): 조선 후기의 문신. 한이원의 아들. 1717년(숙종 43)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정언, 장령 등을 거쳐 1733년 승지가 되었다.
- 한시유(韓是愈)
- 한문건(韓文健)
- 한영석(韓永錫, 1938년 ~ ): 제29대 법무부 차관
4. 1. 고려
시조 '''한예'''(韓銳)는 중국 송(宋)나라 8학사(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1206년(고려 희종 2년) 고려에 들어와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로 '''곡산군'''(谷山郡)에 봉해졌다.2세손 한희(韓禧)는 고려 시대 밀직부사를, 3세손 한익(韓翊)은 판도판서를, 4세손 한진(韓瑨)은 정당문학을 역임하였다. 5세손 한방좌(韓邦佐)와 6세손 한옹(韓雍)은 관찰사를 역임하였다.
- 한옹(韓雍, 1352년 ~ 1425년): 고려조에 장하(張夏)의 천거로 사천감무가 되었고, 조선 개국 후 병조참의 등을 거쳐 1410년 충청도관찰사, 1411년 한성부윤, 1414년 경상도관찰사·풍해평안도도안무사(豊海平安道都安撫使), 1415년 판충주목사(判忠州牧事) 등을 거쳐 1419년(세종 1) 개성유후사유후를 역임하였다. 시호는 평절(平節)이다.
4. 2. 조선
- 한옹(1352년 ~ 1425년): 고려 때 장하의 천거로 사천감무가 되었고, 조선 개국 후 병조참의 등을 거쳐 1410년 충청도관찰사, 1411년 한성부윤, 1414년 경상도관찰사·풍해평안도도안무사, 1415년 판충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1419년(세종 1) 개성유후사유후를 역임하였다. 시호는 평절이다.[1]
- 한여유(1642년 ~ 1709년): 저서로 『둔옹집』이 있고, 1741년(영조 25)에 사헌부지평으로 추증되었다.[2]
- 한이원(1651년 ~ 1720년): 1687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감찰이 되었다. 1692년 결성현감을 거쳐, 1694년 전적을 역임하고 평안도도사로 나갔다. 1701년 충청도도사를 거쳐 병조정랑이 되었다. 고산찰방, 장령, 해미현감을 거쳐 1716년 장악원정이 되었고, 1718년 사복시정에 이르렀다.[3]
- 한덕전(1685년 ~ ?): 한이원의 아들. 1717년(숙종 43)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정언, 장령 등을 거쳐 1733년 승지가 되었다.
- 한시유
- 한문건
4. 3. 현대
한영석(1938년 ~ ): 제29대 법무부 차관을 역임하였다.5. 과거 급제자
곡산 한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3]
6. 집성촌
곡산 한씨의 집성촌은 다음과 같다.
7. 인구
연도 | 인구 | 가구 |
---|---|---|
1985년 | 21,195명 | 4,722가구 |
2000년 | 4,917명 | 1,562가구 |
2015년 | 6,266명 |
참조
[1]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7
[2]
웹인용
세종실록 152권, 지리지 황해도 황주목 곡산군
http://sillok.histor[...]
2024-06-14
[3]
인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