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능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룡능선은 설악산 중앙 능선으로, 마등령에서 신선암까지 뻗어 있으며 속초시와 인제군의 경계를 이룬다. 웅장하고 역동적인 모습으로 인해 이름 붙여졌으며, 내설악과 외설악의 경치를 모두 조망할 수 있다. 한국에서 가장 어려운 산행 코스 중 하나로 꼽히며, 나한봉(1298m)을 비롯한 여러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중생대 백악기에 생성된 화강암 지질을 기반으로 하며, 침식 작용으로 뾰족한 암석 형상을 보인다. 등산로는 험난하며, 사고 발생 위험이 높다. 2013년 명승 제103호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50곳, 국립공원 100경 중 제1경으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능선 - 용아장성
제공된 정보가 없어 용아장성에 대한 개요를 요약할 수 없습니다. - 설악산 - 백담사
백담사는 647년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로, 이름 변경과 소실 및 재건을 거쳐 1783년 현재 이름으로 개칭되었으며, 내설악의 대표 사찰이자 만해 한용운의 저술 활동 장소,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은둔 생활 장소로 알려져 있고,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기본선원이자 목조아미타불좌상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 설악산 - 오세암
오세암은 시각 장애인 누이와 어린 동생이 절에서 겪는 신비로운 이야기인 설화를 바탕으로 한 암자의 이름이자, 동화 및 영화 작품의 제목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명승 - 영월 선돌
영월 선돌은 강원도 영월군 서강가 절벽에 위치한 높이 약 70m의 입석으로, 칼로 절벽을 쪼갠 듯한 형상을 하고 푸른 강물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며, 단종 유배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는 영월 지역의 주요 관광 명소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명승 - 검룡소
검룡소는 강원도 태백시 금대봉 기슭에 위치한 한강의 발원지이며, 하루 2천 톤 이상의 지하수가 용출되고 9°C의 수온을 유지하며, 이무기 전설을 간직하고 2010년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공룡능선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
면적 | 1,313,080m² |
관리 주체 | 국립공원공단 |
명승 정보 | |
명칭 | 설악산 공룡능선 (雪嶽山 恐龍稜線) |
지정 번호 | 명승 제103호 |
지정일 | 2013년 3월 11일 |
2. 지리
공룡능선은 마등령에서 신선암까지 뻗어 있으며, 설악산의 중앙 능선으로서 속초시와 인제군의 경계를 형성한다.[10] 동해의 수증기가 찬 공기와 만나 안개와 구름을 자주 생성하여 시야 확보가 어려울 때도 있다.[10] 그러나 내설악과 외설악, 그리고 동해 바다까지 아우르는 절경을 제공한다.[12]
설악산은 중생대 백악기에 생성된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시기에 일어난 지각 변동으로 동해가 확장되면서 설악산 주변의 기반암이 융기했다. 이러한 변동은 암석에 압력을 가하여 화강암에 균열과 파쇄를 발생시켰다. 균열 주변의 암석은 물의 침투가 용이해져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침식되었고, 이는 공룡능선 형성에 기여했다.[9] 공룡능선에서는 대부분의 암석이 침식되거나 깎여나가고 단단한 암심만 남아 뾰족한 암석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뾰족한 암석 형상 때문에 능선 구간의 등산로는 평탄한 지형 없이 매우 가파르다.[10]
공룡능선은 마등령에서 신선암까지 뻗어 있는 능선으로, 여러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각 봉우리는 독특한 지형과 경관을 자랑한다. 문화재청은 능선의 산봉우리가 "땅에서 솟아오르는 공룡처럼 웅장하고 역동적"으로 보인다고 하여 공룡능선이라는 이름을 붙였다.[2][3] 능선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나한봉이다.
3. 지질
4. 봉우리
4. 1. 나한봉
높이 1298m의 봉우리로, 공룡능선의 북쪽 부분(마등령 근처)에 있는 봉우리이다.[10] 나한봉은 설악산의 중앙 능선에 위치하며, 공원을 동서로 나누고 속초시와 인제군의 경계를 형성한다.[10]
4. 2. 큰새봉
나한봉과 1275봉 사이에 위치한 봉우리이다. 공룡능선은 마등령에서 신선암까지 뻗어 있으며, 설악산의 중앙 능선으로 공원을 동서로 나누고 속초시와 인제군의 경계를 형성한다.[10] 동해의 물이 증발하여 능선의 뾰족한 부분 근처의 찬 공기와 만나 봉우리 근처에 많은 양의 안개와 구름을 생성하기 때문에 능선의 시야 확보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10] 내설악과 외설악 모두의 경치를 제공한다.[12]
4. 3. 1275봉
1275m 높이의 봉우리로, 공룡능선의 중심 부분에 있다. 공룡능선은 마등령에서 신선암까지 뻗어 있다. 이곳은 설악산의 중앙 능선으로, 공원을 동서로 나누며, 속초시와 인제군의 경계를 형성한다.[10] 이 때문에 동해의 물이 증발하여 능선의 뾰족한 부분 근처의 찬 공기와 만나 봉우리 근처에 많은 양의 안개와 구름을 생성한다. 이로 인해 능선의 시야 확보가 어려워지거나, 많은 경우 불가능하게 된다.[10] 공원의 중앙 능선이기에 내설악과 외설악 모두의 경치를 제공한다.[12]
4. 4. 신선봉
공룡능선의 남쪽(무너미고개 근처)에 있는 봉우리이다. 공룡능선은 설악산의 중앙 능선으로, 공원을 동서로 나누며, 속초시와 인제군의 경계를 형성한다.[10] 동해의 물이 증발하여 능선의 뾰족한 부분 근처의 찬 공기와 만나 봉우리 근처에 많은 양의 안개와 구름을 생성하여, 능선의 시야 확보가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된다.[10]
5. 등산
공룡능선 등산로는 매우 험하며, 가파른 봉우리들로 인해 한국에서 가장 어려운 산행 코스 중 하나로 꼽힌다.[5][6][7] 완주에는 약 13시간이 소요된다. 능선 자체를 통과하는 등산로는 5.1km이며, 설악동에서 비선대를 지나 능선을 통과하여 천불동계곡을 거쳐 다시 비선대로 나온다.[4]
6. 보호
공룡능선은 2013년 3월 다른 설악산 지역과 함께 대한민국의 명승 제103호로 지정되었으며,[11] 2019년에는 CNN이 선정한 한국의 아름다운 50곳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2] 또한 국립공원 100경 중 제1경으로 선정되었다.[13]
7. 사건 사고
공룡능선에서는 피로, 추락, 조난 등으로 인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1969년 2월에는 능선 기슭에서 발생한 눈사태로 등산객 10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쉼터 설치를 제안한 사람의 이름을 따서 휴응악이라는 쉼터가 능선 기슭에 세워졌다. 1993년 12월에는 대학교 학생 4명 중 2명이 밤에 길을 잃어 저체온증으로 사망했다.[14] 학생들은 신선암 바위 절벽 근처에서 어두워지면서 길을 잃었고, 일행은 우회하는 경로를 택하여 공원의 다른 지점에 있는 다른 쉼터에 도착했다. 공원에서는 해 질 무렵 능선으로 출발하는 것을 경고하며, 겨울에는 오전 10시, 여름에는 오후 12시에 능선으로 출발할 것을 권장한다.
2010년에는 3건의 추락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15]
발생일 | 내용 |
---|---|
2010년 7월 26일 | 60세 남성이 신선암 바위에서 5m 아래로 떨어져 사망 |
2010년 8월 1일 | 52세 남성이 신선암 바위에서 100m 아래로 떨어져 사망 |
2010년 8월 4일 | 40세 남성이 휴식을 취하기 위해 경로를 벗어나 능선 중간 지점인 1275봉 근처에서 50m 아래로 떨어져 사망 |
참조
[1]
웹사이트
명승 제103호 설악산 공룡능선 (雪嶽山 恐龍稜線)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http://www.heritage.[...]
2020-04-11
[2]
웹사이트
명승 제103호 설악산 공룡능선 (Scenic Location no.103, the gongnyong ridge in Seoraksan)
http://www.heritage.[...]
2019-08-09
[3]
웹사이트
설악산 공룡능선 (the gongnyong ridge at Seoroksan)
http://www.kormt.co.[...]
[4]
웹사이트
설악산 공룡능선 - 한국의 산하
http://www.koreasanh[...]
2020-04-09
[5]
웹사이트
설악산 공룡 능선을 넘다
http://www.ohmynews.[...]
2019-08-09
[6]
웹사이트
MT. SEORAKSAN – SEOUL Magazine
http://magazine.seou[...]
2019-10-17
[7]
웹사이트
사방이 장관인 설악 중의 진짜 설악…설악산 공룡능선
https://www.mk.co.kr[...]
2019-08-09
[8]
웹사이트
설악산국립공원 < 국립공원탐방 < 국립공원공단
http://seorak.knps.o[...]
2019-10-31
[9]
웹사이트
다양한 화강암들의 경연장: 설악산(1,708m)
https://mgeo.kigam.r[...]
2019-10-30
[10]
웹사이트
설악산 공룡능선(雪嶽山恐龍稜線)
http://encykorea.aks[...]
2019-10-17
[11]
간행물
Notice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3-26, Designation of Nationally Cultural Scenic Treasure (Myeongseung) and Topographical Map (10 scenic spots including Seoraksan Biryong Waterfall Valle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3-03-11
[12]
웹사이트
50 beautiful places to visit in South Korea
https://www.cnn.com/[...]
2019-10-24
[13]
웹사이트
공공데이터포털
https://www.data.go.[...]
2019-10-24
[14]
뉴스
설악산등반 대학생 1명 사망 1명 실종
1993-12-19
[15]
웹사이트
설악산서 추락사망사고 잇따라… "암벽 위험"
https://www.seoul.co[...]
2019-10-24
[16]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명승) 지정 및 지형도면 고시(설악산 비룡폭포 계곡 일원 등 명승지 10경)
문화재청장
2013-03-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