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순황귀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순황귀비는 청나라 가경제의 후궁으로, 도광제와 함풍제 시대를 거치며 황실의 원로로 예우받은 인물이다. 1804년 가경제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귀인, 빈, 비의 작위를 받았으며, 도광제 즉위 후 수의황귀비로 책봉되었다. 함풍제 시대에는 황귀비로 존경받았으며, 1860년 사망하여 공순황귀비의 시호를 받았다. 그녀는 면유를 낳았으며, 드라마에 등장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7년 출생 -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는 나폴레옹에 반대하며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와 결혼하여 반(反) 나폴레옹 세력의 중심 인물로 활약했으며, 헝가리 왕비 즉위식에서 지원 약속을 받아내고 빈 회의를 주최했으나, 고향으로 돌아가 결핵으로 사망했다.
  • 1787년 출생 - 쇼코왕
    쇼코왕은 류큐 왕국의 제16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의사 증원과 형법전 편찬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말년의 정신 질환과 대기근으로 인해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 1860년 사망 - 이이 나오스케
    이이 나오스케는 1815년에 태어나 1850년 히코네 번의 번주가 되었으며, 다이로로서 미국과의 통상 조약을 체결하고 막부 정치를 주도했으나 안세이 대옥을 일으켜 비판받았고, 1860년 사쿠라다 문 밖의 변에서 암살당했다.
  • 1860년 사망 - 프리드리히 질허
    프리드리히 질허는 독일의 작곡가이자 음악 교육자로, 튀빙겐 대학교 음악 감독을 역임하며 합창 운동에 기여했고 독일 및 국제 민요 편곡을 통해 합창 음악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와인 품종과 소행성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 청나라의 불교 신자 - 화유황귀비
    화유황귀비는 청나라 가경제의 후궁으로, 가경제의 첩 시절 두 자녀를 두었으며 함비, 함귀비를 거쳐 현희황귀태비로 봉해졌고 사후 화유황귀비로 추증되었으며 73세에 사망하여 창릉에 안장되었다.
  • 청나라의 불교 신자 - 고륜순희공주
    고륜순희공주는 순치제의 서손녀이자 화석공친왕의 서녀로 강희제의 총애를 받았으며 몽골 귀족 반디의 두 번째 부인이었으나 자녀는 없었고 70세에 사망하였다.
공순황귀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恭順皇貴妃 鈕祜禄氏
공순황귀비 뉴호록씨
휘호공순황귀비 (恭順皇貴妃)
성씨뉴호록 (鈕祜祿)
출생1787년 5월 28일 (건륭 52년 4월 12일)
사망1860년 4월 23일 (함풍 10년 윤3월 3일)
사망 장소자금성
매장지창릉
배우자가경제
자녀8녀 (요절), 혜민고륜공주, 혜단친왕 면유
아버지선경 (善慶)
어머니푸차씨 (富察氏, 적모), 양씨 (楊氏, 생모)
생애
입궁1801년
책봉여귀인(如貴人) → 여빈(如嬪) → 여비(如妃) → 황고여귀비(皇考如貴妃) → 황고여황귀비(皇考如皇貴妃) → 황조여황귀태비(皇祖如皇貴太妃) → 공순황귀비(恭順皇貴妃, 사후)
가계
가문뉴호록씨 (鈕祜祿氏, 출생) → 아이신 교로 (愛新覺羅, 혼인)

2. 생애

1804년 가경제후궁으로 간택되었다. 가경제 사후 그의 적자(嫡子) 도광제가 즉위하였고, 도광제 사후에는 그의 서자(庶子) 함풍제가 즉위하였다. 1860년 4월 23일 향년 73세로 훙서할 때까지 청나라 황실 여인의 원로로서 예우되었다.

2. 1. 가경제 시대

1801년, 니오후루씨는 자금성에 들어가 가경제로부터 "귀인 루"라는 작위를 받았다.[1] 1805년 5월이나 6월에 "빈 루"로 승격되었고,[1] 1810년 10월 18일에는 "비 루"로 승격되었다.[1]

그녀는 가경제와의 사이에서 여러 자녀를 두었으나, 대부분 요절하였다. 1805년 3월 8일, 가경제의 여덟째 딸을 낳았으나 1805년 12월이나 1806년 1월에 요절했다.[1] 1811년 2월 18일 가경제의 아홉째 딸인 회민공주를 낳았으나, 이 아이 역시 1815년 6월이나 7월에 요절했다.[1] 1814년 3월 8일에는 다섯째 아들인 면유를 낳았다.[1]

2. 2. 도광제 시대

1804년 가경제후궁으로 간택되었고, 가경제 사후에 그의 적자(嫡子) 도광제가 즉위한 것을 목도하였다. 가경제는 1820년 9월 2일에 사망했고, 그의 둘째 아들인 민녕이 도광제로 즉위했다. 1821년 1월이나 2월에 도광제는 니오후루씨(鈕祜祿氏)를 "수의황귀비(壽懿皇貴妃)"로 책봉하고 수안궁(壽安宮)에 거주하게 했다. 1846년에는 "수의황귀태비(壽懿皇貴太妃)"로 추봉되었다.

2. 3. 함풍제 시대

1850년 도광제가 사망하자, 그의 넷째 아들인 이주가 함풍제로 즉위하였다. 니오후루씨(鈕祜祿氏)는 황귀비(皇貴妃)로 봉해졌으며, 1860년 4월 23일에 사망한 후 "공순황귀비(恭順皇貴妃)"라는 시호를 받았다.[1] 그녀는 청서릉의 창릉(昌陵)에 안장되었다.[1]

3. 작위


  • 건륭제 (재위 1735년-1796년) 시대:
  • * 뇨후루씨 (1787년 5월 28일부터)
  • 가경제 (재위 1796년-1820년) 시대:
  • * 여귀인 (如貴人|여귀인중국어; 1801년부터), 6위 후궁
  • * 여빈 (如嬪|여빈중국어; 1805년 5월/6월부터[1]), 5위 후궁
  • * 여비 (如妃|여비중국어; 1810년 10월 18일부터[2]), 4위 후궁
  • 도광제 (재위 1820년-1850년) 시대:
  • * 여귀태비 (如貴太妃|여귀태비중국어; 1821년 1월/2월부터[3]), 3위 후궁
  • * 여황귀태비 (如皇貴太妃|여황귀태비중국어; 1846년부터), 2위 후궁
  • 함풍제 (재위 1850년-1861년) 시대:
  • * 공순황귀비 (恭順皇貴妃|공순황귀비중국어; 1860년 7월 10일부터[4])

4. 자녀

유형이름출생사망비고
황녀가경제의 여덟째 딸1805년 3월 8일1805년 12월 ~ 1806년 1월요절
황녀혜민고륜공주1811년 2월 18일1815년 6월 ~ 7월요절
황자면유(綿愉)1814년 3월 8일1865년 1월 9일1820년 제2품 회왕에 봉해졌고, 1839년에 제1품 회왕으로 격상되었으며, 사후 제1품 회단왕으로 추존.


5. 대중문화


  • 2004년 드라마 《금색의 연화》와 2013년 드라마 《beauty at war》에서 당시종이 연기하였다.
  • 2018년 드라마 《궁심이》에서 하가이가 연기하였다.

참조

[1] 문서 嘉慶十年 五月 null
[2] 문서 嘉慶十五年 九月 二十日 null
[3] 문서 嘉慶二十五年 十二月 null
[4] 문서 咸豐十年 五月 二十二日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