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관 (동양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官)은 동양에서 관료를 의미하며, 특히 중국, 베트남, 한국 등에서 과거제를 통해 선발된 문관을 지칭한다. 중국 주나라부터 관료제가 존재했으며, 수당 시대에 과거제를 통한 사대부 중심의 관료 체제가 완성되었다. 베트남은 중국의 관료제를 모방하여 리 왕조 시기부터 과거제를 도입했고, 한국은 고려 시대에 과거제를 받아들여 조선 시대에 교육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 'Mandarin'이라는 영어 단어는 포르투갈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중국 관료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청나라 시대에는 관료 체계가 9개의 품계로 나뉘어 운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 왕조별 정치 - 예부
    예부는 고려 시대에 궁중 의례와 제사를 관장하며, 불교 및 도교 승려 관리, 과거 시험, 외교 등의 업무를 수행한 관청이다.
  • 중국의 고대 정치 - 칠묘
    칠묘는 왕조의 정통성 확립을 위해 황제가 7대 조상을 모시는 사당을 의미하며, 제후와 대부의 사당 수는 각각 오묘와 삼묘로 제한되었다.
  • 중국의 고대 정치 - 태학 (중국)
    태학은 중국 고대 교육기관으로, 유교 경전 교육을 통해 인재를 양성하고 사회 질서 유지에 기여했으며, 한반도와 베트남에도 영향을 미친 역사적 유산이다.
  • 행정학 - 거버넌스
    거버넌스는 사회적 통치 시스템을 의미하며, 정부, 시민사회, 시장의 파트너십을 통해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경제 성장, 부패 감소, 정치적 안정 강화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행정학 - 실적주의
    실적주의는 객관적인 실적을 기준으로 공무원을 임용하는 제도로, 공정한 기회 제공, 전문성 및 정치적 중립성 확보 등의 장점이 있지만, 경직된 조직 문화, 실질적 형평성 문제, 능력 평가의 한계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관 (동양사)
기본 정보
명칭관 (官)
한자
병음guān
웨이드-자일스kuan¹
주음 부호ㄍㄨㄢ
광둥어 병음gun1
예일 음역gūn
민난어koaⁿ / koan
대만어 로마자 병음kuann / kuan
한국어 (한글)
한국어 (한자)
로마자 표기gwan
매큔-라이샤워 표기kwan
베트남어quan; quan lại
쭈한官; 官吏
명나라 관리
다양한 계급의 명나라 관리들

2. 역사

중국은 주나라 때부터 관료제가 형성되어 관직의 개념이 존재했지만, 고급 관료는 대개 왕족의 친지 가운데 발탁되었다. 과거제를 통해 임용되는 사대부로 이루어진 중근세 동양의 전형적인 관부는 수당시대(605년)에야 완성되었고, 이후 1905년까지 1300년간 중국의 지배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베트남은 938년 박당강 전투대월이 중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중국식 관료제를 모방했고, 베트남국(1949년-1955년) 시절까지 전근대적 관의 지배가 유지되었다. 베트남의 과거제는 리 왕조 인종이 1075년 도입했으며, 응우옌 왕조 계정제 연간(1919년)까지 지속되었다.

한반도고려 시대에 중국식 과거제를 받아들였고, 조선 시대에는 교육 전반이 과거 합격이라는 목적에 지배되었으며, 향교, 서원, 성균관 같은 과거시험 준비기관들이 마련되었다.[15]

영어의 "Mandarin"은 원래 포르투갈어의 "명령자"나 "대신"을 의미하는 단어 "mandarin"(현대에는 mandarim으로 표기)이며, 더 거슬러 올라가면 산스크리트어의 "Mantri|지도자sa"에서 유래했다. 이는 원래 말라카 왕국 건국의 공신 자손인 귀족 계층을 부르던 것이 포르투갈어에 받아들여진 것이다. 후쿠자와 유키치 번역의 영어, 광둥어, 일본어 단어장인 『증정화영통어』도 "Mandarin"의 단어에 "부관(야쿠닌)"이라는 번역어를 붙이고 있다[17].

베이징 관화도 서양어권에서는 "만다린"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언어가 다양한 중국에서 지방 출신자를 포함한 관리들이 관청에서 사용하는 공통어였기 때문이다.

2. 1. 중국

주나라 때부터 관료제가 형성되어 관직의 개념이 존재했다. 하지만 고급 관료는 대개 왕족의 친지 가운데 발탁되었다. 과거제를 통해 임용되는 사대부로 이루어진 중근세 동양의 전형적인 관부는 수당시대(605년)에야 완성되었고, 이후 1905년까지 1300년간 중국의 지배 구조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문관들은 매우 엄격한 과거를 통해 능력에 따라 선발되었다. 중국은 적어도 주나라부터 문관을 두었지만, 대부분의 고위직은 군주의 친척과 귀족에 의해 채워졌다. 당나라에 이르러서야 과거가 구품관인법에 따라 문관을 배치하는 데 사용되었고 문관의 최종 형태가 나타났다. 문관은 중국의 향신의 창시자이자 핵심이었다. 문관이 이끄는 정부 관청 (예: 중앙 정부 부처 또는 지방 행정부)을 ''야문''이라고 불렀다. 문관은 청나라가 멸망한 후 근대적인 문관 제도로 대체되었다. 청나라 시대에는 중국 성의 지사는 루비로 만든 문관 모자 핀을 착용하여 표시했다. 하위 계급은 산호, 사파이어, 청금석, 백옥, , 으로 만든 모자 핀으로 표시했다.[15]

2. 2. 베트남

중국의 지배로부터 벗어나 자체적인 독립 왕조를 세운 후, 베트남은 문관 제도에서 중국의 문관 제도를 모방했다.[15] 역사상 마지막 문관들은 베트남국 (1949–1955)에 복무했다. 베트남의 유교 과거 제도리 왕조 황제 인종 치세인 1075년에 설립되어 응우옌 왕조 황제 카이딘 (1919)까지 지속되었다. 1843년 황제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말할 때까지 코끼리가 시험장을 경비하는 데 사용되었다.

2. 3. 한국

고려시대에 중국식 과거제를 받아들여, 조선시대에는 교육 전반이 과거 합격이라는 목적에 지배되었다. 향교, 서원, 성균관 같은 과거시험 준비기관들이 마련되었다.[15] 통일 신라 시대에 처음 등장한 과저는 고려 시대에 중요성을 얻었으며, 조선 시대의 교육의 핵심이었다. 향교, 서원, 성균관에서 제공되는 교육은 주로 과거 시험과 그 후 정부 봉사를 위한 학생들을 준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조선 법에 따르면, 후보자가 과거에 합격하지 않는 한, 고위직은 2품 이상의 관료의 자녀 (양반)가 아닌 사람에게는 닫혀 있었다. 상위 문과 시험에 합격한 사람들은 왕조의 모든 고위직을 독점하게 되었다.

3. 용어의 기원

영어 단어 'mandarin'은 포르투갈어의 'mandarim'에서 유래했다.(mandarim|ˌmɐ̃dɐˈɾĩ|pronpt) 이 포르투갈어 단어는 중국에 대한 초기 포르투갈 보고서인 Tomé Pires 사절단의 갇힌 생존자들의 편지(1524년경)와[1] Castanheda의 ''História do descobrimento e conquista da Índia pelos portugueses''(c. 1559)에서 사용되었다.[2] 1583년 포르투갈령 마카오에서 중국 본토로 들어간 마테오 리치도 포르투갈인들이 이 단어를 사용했다고 말했다.[3]

많은 사람들은 포르투갈어 단어가 라틴어의 'mandare'에서 유래된 'mandador'("명령하는 자") 및 'mandar'("명령하다")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다.[4] 그러나 현대 사전에서는 실제로 말레이어의 'menteri'(자위: منتري|ˈməntəri|ms)에서 차용된 것이라고 본다. 이는 궁극적으로 산스크리트어 'mantri'(데바나가리: मंत्रीsa, 의미는 고문 또는 장관 – 어원적으로 ''mantra''와 관련됨)에서 유래되었다.[5][6][7] 말레이시아 학자 웅쿠 압둘 아지즈에 따르면, 이 용어는 말라카 술탄국 시대에 크리스탕인이 중국의 고위 관리를 만나기 위해 여행하여 말레이어의 친숙한 용어인 'menteri'를 사용한 데서 유래되었지만, 포르투갈인에 의해 갈리시아-포르투갈어의 음운론에 따라 로 발음되었고, 여기서 모음 끝이 비음화되었고 나중에는 "n"으로 끝난 것으로 잘못 해석되어 처음에는 'mandarin'으로, 이후 현대 포르투갈어에서는 'mandarim'으로 표기되었다.[8]

16세기에는 'mandarin'이라는 용어가 유럽 언어에 널리 퍼지기 전에, 유럽인들의 여행 보고서에서는 중국의 학자 관료를 지칭하기 위해 'Loutea'(다양한 철자 변형 포함)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했다. 예를 들어, 1565년 유럽에서 출판된 Galeote Pereira의 1548-1553년 중국에서의 경험담이나, Gaspar da Cruz의 ''Treatise of China''(1569)에서는(''Louthia''로) 자주 사용되었다. C. R. Boxer는 이 단어가 호키엔어 에서 유래되었다고 말한다.[9] IPA: 이는 호키엔 중국어의 장저우 방언에서 정부 관리를 지칭하는 흔한 호칭이었다.[10] 이는 또한 Juan González de Mendoza의 ''History of the Great and Mighty Kingdom of China and the Situation Thereof''(1585)에서 학자 관료를 지칭하는 주요 용어인데, 이는 Pereira의 보고서와 Gaspar da Cruz의 책에서(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많이 차용했으며, 16세기 말 유럽에서 중국에 대한 표준 참고 자료였다.[11]

서양에서 'mandarin'이라는 용어는 문학, , 유교 학습에 몰두하는 학자 관료의 개념과 관련이 있으며, 공무 수행 외에도 관련이 있다. 현대 영어에서 'mandarin'은 또한 (보통 고위) 공무원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며, 종종 풍자적인 맥락에서 사용된다.[12] 특히 영국영연방 국가에서 사용된다.

명나라와 청나라 제국의 공용어는 유럽 선교사들에 의해 "만다린어"라고 불렸으며, 이미 명나라 시대에 통용되었던 관화 를 번역한 것이다.[13] "만다린"이라는 용어는 또한 초기 표준에서 진화한 현대 표준 중국어표준 중국어와 중국 북부 및 서남부에서 사용되는 더 광범위한 관화 방언 집단을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된다.[14]

영어의 "Mandarin"은, 원래 포르투갈어의 "명령자"나 "대신"을 의미하는 단어 "mandarin"(현대에는 mandarim으로 표기)이며, 더 거슬러 올라가면 산스크리트어의 "Mantri"(지도자)에서 유래했으며, 원래는 말라카 왕국의 건국의 공신 자손인 귀족 계층을 이렇게 불렀던 것이 포르투갈어에 받아들여진 것이다. 후쿠자와 유키치 번역의 영어, 광둥어, 일본어 단어장인 『증정화영통어』도 "Mandarin"의 단어에 "부관(야쿠닌)"이라는 번역어를 붙이고 있다[17].

베이징 관화도 서양어권에서는 "만다린"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언어가 다양한 중국에서 지방 출신자를 포함한 관리들이 관청에서 사용하는 공통어였기 때문이다.

4. 청나라 시대의 품계

청나라(1644~1912년)는 관료 체제를 문관직과 무관직으로 나누었으며, 둘 다 9개의 품계 또는 등급을 가지고 있었고, 각 품계는 정(正)과 종(從)으로 세분화되었다.[16] 문관직은 대학사(최고위직)에서 현령, 부세 징수관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무관직은 원수 또는 황실 근위대 챔벌린에서 3등 사관, 상사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16]

아래 표에서 ''n''a는 "''n''품, 정"(正''n''品)의 약자이며, 이는 "''n''품, 종"(從''n''品)보다 높은 하위 등급이다. ''n''b는 표에서 "''n''품, 종"을 나타낸다.

품계문관직무관직
1a황제 측근, 대학사원수, 황실 근위대 챔벌린
1b황태자 측근, 각 원, 부, 감찰원의 총재기 부도통, 만주제독(또는 주둔 제독, 만주 도시의 최고 관리), 중국군 총독
2a황태자 측근, 각 원, 부의 부총재, 황실원 장관, 총독기 영군, 사령관
2b황실원 및 한림원 학사원, 재무감독, 지방 또는 부총독소장, 대령
3a감찰원 부총재, 지방 판사, 원 및 활동 감독포병 및 머스킷 연대장, 정찰대장, 기 사단 대령
3b황실 연회 감독, 황실 종마 감독, 소금 통제관북경 외부 기 여단장
4a황실원, 각 원, 감찰원, 외교 및 순찰원 감독 및 부감독포병, 머스킷 연대 및 정찰대 중령, 북경 경찰 소령
4b대학사 및 한림원 강사, 지사대위, 왕궁 부참모
5a한림원 지도 부감독, 부지사경찰 대위, 중위 또는 소위
5b황실 및 한림원 부강사 및 사서, 각 원 및 법원의 부감독, 순찰 감찰문지기 중위, 2대위
6a황실 및 한림원 비서 및 가정교사, 황실 사무실 비서 및 등기 담당자, 경찰 치안 판사보디가드, 포병, 머스킷 연대 및 정찰대 중위, 소위
6b황실 사무실 부비서 및 법률 비서, 지방 부지사, 불교 및 도교 사제부경위
7a부경위, 연구 등기 담당자, 북경 연구 감독, 현령성문 관리, 부소위
7b부총독 사무실 비서, 소금 통제관 및 운송소귀족 궁궐 부참모
8a부현령, 부윤 비서, 현 교육감소위
8b연구 부감독, 소금 통제관 사무실의 기록 보관인1등 상사
9a교도소장, 현 등기 담당자, 부윤 기록 보관인2등 상사
9b부세 징수관, 부교도소장, 부경무관, 세무 조사관3등 상사, 병장, 1등 및 2등 사병


참조

[1] 서적 Letters from Portuguese captives in Canton, written in 1534 & 1536: with an introduction on Portuguese intercourse with China in the first half of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Educ. Steam Press, Byculla
[2] 문서 História do descobrimento e conquista da Índia pelos portugueses Fernão Lopes de Castanheda
[3] 서적 De Christiana expeditione apud Sinas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New York
[4] 서적 Diction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books.google[...] Longman
[5] 웹사이트 Mandarin http://www.etymonlin[...]
[6] 웹사이트 Mandarin http://www.merriam-w[...]
[7] 서적 Shorter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8] 뉴스 PPSMI satu kesilapan Utusan Melayu (M) Berhad 2009-07-19
[9] 웹사이트 臺日大辭典 https://thak.taigi.i[...] Government-General of Taiwan
[10] 간행물 South China in the sixteenth century: being the narratives of Galeote Pereira, Fr. Gaspar da Cruz, O.P. [and] Fr. Martín de Rada, O.E.S.A. (1550–1575) https://books.google[...] Printed for the Hakluyt Society
[11] 간행물 Hobson-Jobson: a glossary of colloquial Anglo-Indian words and phrases, and of kindred terms, etymological, historical, geographical and discursive https://books.google[...] J. Murray
[12] 문서 The Mandarins
[13] 서적 De Christiana expeditione apud Sinas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New York
[14] 서적 Chine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서적 Peking Time-Life Books
[16] 서적 Ladder to the Clouds: Intrigue and Tradition in Chinese Rank Ten Speed Press
[17] 웹사이트 京都外国語大学付属図書館貴重書デジタルアーカイブ『増訂華英通語』 http://opac.kufs.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