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양역은 1967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경전선과 광양제철선, 광양항선이 지나는 전라남도 광양시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경전선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2011년 복선화 완공과 함께 역사가 이전되었으며, 화물 취급도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양시의 건축물 - 진상역
진상역은 경상남도 하동군 진상면에 위치한 경전선의 철도역으로, 1968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운영 방식에 변화를 겪었으며, 2016년 경전선 이설로 위치가 변경된 후 현재는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2면 2선의 지상역이다. - 광양시의 건축물 - 광양제철남초등학교
광양제철남초등학교는 1989년 개교하여 교실 증축, 각종 수상, 국제 교류 등을 통해 발전해 온 초등학교이다. - 광양시의 교통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 광양시의 교통 - 진상역
진상역은 경상남도 하동군 진상면에 위치한 경전선의 철도역으로, 1968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운영 방식에 변화를 겪었으며, 2016년 경전선 이설로 위치가 변경된 후 현재는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2면 2선의 지상역이다. - 전라남도의 철도역 - 백양사역
백양사역은 전라남도 장성군에 위치한 호남선 지상역으로, 1914년 사거리역으로 개업하여 1967년 현재 역명으로 변경되었고,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ITX-새마을과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 전라남도의 철도역 - 나주역
나주역은 1913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KTX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광양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광양역 |
한자 표기 | 光陽驛 |
로마자 표기 | Gwangyang |
위치 |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해광로 800 |
역 종류 | 보통역 |
역 등급 | 2급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시설 정보 | |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섬식 2면 4선 |
연혁 | |
개업일 | 1967년 2월 9일 |
노선 정보 | |
노선 | 경전선 |
삼랑진 기점 거리 | 148.5 km |
이전 역 | 진상 |
다음 역 | 평화 |
광양제철선 기점 거리 | 0.0 km |
다음 역 (광양제철선) | 초남 |
기타 정보 |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비치역 |
![]() | |
![]() | |
![]() |
2. 역사
1967년 2월 8일 역사 신축 준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했다.[4] 1987년 9월 10일 구내 확장 및 상옥을 준공했고, 9월 16일 광양제철선 광양-태금 구간이 완공되었다. 1998년 12월 30일 광양항선이 개통되었다.[6]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을 중지했고, 2010년 9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5] 2011년 5월 25일 복선화 완공과 함께 비전철로 개통 및 역사를 현재 위치로 이전했으며, 6월 1일 화물 취급을 재개했다.[6] 2012년 6월 21일 복선전철화가 완공되었다. 2013년 11월 1일 남도해양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2015년 4월 1일 한국철도공사 물류본부 책임사업부제 시행으로 물류본부 호남권물류사업단 아래의 2급역으로 편제되었다.[7] 2016년 4월 29일 경전선 진주~광양 구간 이설로 삼랑진 기점 148.5km로 이전되었고,[8][9] 7월 14일 진주역 - 광양역 간의 복선 신선 51.5km가 완공되었다.[1] 2017년 12월 18일 화물 취급이 재개되었다.[10]
2. 1. 개요
2. 2. 연혁
1967년 2월 8일 : 역사 신축 준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4] 2월 9일 개업하였다.1987년 9월 10일 : 구내 확장 및 상옥 준공.
1987년 9월 16일 : 광양제철선 광양-태금 구간 완공.
1998년 12월 30일 : 광양항선 개통.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2010년 9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5]
2011년 5월 25일 : 복선화 완공과 함께 비전철로 개통 및 역사를 현 위치로 이전.
2011년 6월 1일 : 화물 취급 재개.[6]
2012년 6월 21일 : 복선전철화 완공.
2013년 11월 1일 : 남도해양열차 정차.
2015년 4월 1일 : 한국철도공사 물류본부 책임사업부제 시행으로 물류본부 호남권물류사업단 아래의 2급역으로 편제.[7]
2016년 4월 29일 : 경전선 진주~광양 구간 이설로 삼랑진 기점 148.5km로 이전.[8][9] 7월 14일 진주역 - 광양역 간의 복선 신선 51.5km 완공.[1]
2017년 12월 18일 : 화물 취급 재개.[10]
3. 역 구조
광양역은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된다.
3. 1. 개요
3. 2. 승강장
광양역은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