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광주교육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광주교육대학교는 1929년 전라남도 공립사범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1993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국립 4년제 교육대학교이다. 초등교원 양성을 목표로 초등교육학과 단일 학부 체제로 운영되며, 심화과정을 통해 전문성을 강화한다. 대학원과 부설 기구, 부속 시설, 부설 학교 등을 운영하며, 1995년 일본 나루토 교육대학과의 자매결연을 시작으로 국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학생 활동으로는 총학생회와 다양한 동아리가 운영되고 있으며, 총동문회가 조직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교육대학교 - 광주교육대학교 광주부설초등학교
    광주교육대학교 광주부설초등학교는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광주교육대학교 부설 초등학교로, 1938년 개교하여 오랜 역사를 가지며 국제 교류 활동과 교육 시설 확충 및 친환경 생태 환경 조성에 힘쓰고 있다.
  • 광주교육대학교 -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은 1986년 광주교육대학교 부설 기관으로 개관하여 1998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광주 북구의 학교 - 전남대학교
    전남대학교는 1952년 광주에 설립되어 광주농업학교 등을 통합하고 2006년 여수대학교와 통합한 거점국립대학교로서,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시발점이며 현재 5·18 연구소를 운영하고 광주, 여수, 화순에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국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 광주 북구의 학교 - 광신대학교
  • 광주 학생 항일 운동 - 광주제일고등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는 일제강점기 민족 교육과 독립운동의 중심지였으며 광주학생독립운동을 주도한 대한민국의 고등학교로, 자율형 공립고 2.0으로 전환되었다.
  • 광주 학생 항일 운동 - 광주고등학교 (광주)
    광주고등학교는 1951년 개교한 광주광역시 소재의 공립 남자 고등학교로, 6·3·3 학제 개편에 따라 광주 지역 중학교 학생들이 편입되었으며, 꾸준한 시설 확충과 자율형 공립고 재지정을 거쳐 2022년 1월 기준 33,708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광주교육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광주교육대학교 본관
한국어 표기광주교육대학교
한자 표기光州敎育大學校
로마자 표기Gwangju Gyoyuk Daehakgyo
영어 표기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표어우리는 진리를 탐구하고, 정의롭게 행동하며 자랑스런 스승의 길을 간다
설립1923년 (전남 공립 사범학교로 개교), 1993년 (광주교육대학교로 개편)
개교1963년 3월 1일
종류국립 교육대학
총장최도성
위치광주광역시 북구 필문대로 55
웹사이트광주교육대학교 영문 웹사이트
상징향나무, 철쭉, 소, 까치
통계
학부생1,337명 (2022년)
대학원생546명 (2022년)
교원전임교원: 77명 (2022년)
기타교원: 175명 (2022년)

2. 연혁


  • 1938년
  • * 3월 - '''광주사범학교'''로 개교.
  • * 5월 - 부속국민학교 개교.
  • 1955년 4월 - 중등 교원 양성 기관으로 개편, '''광주사범대학'''이 됨.
  • 1961년
  • * 4월 - 국민학교 교원 양성 기관으로 개편.
  • * 9월 - 전남대학교 부속 교육대학이 됨.[4]
  • 1963년 3월 - '''광주교육대학'''으로 개칭.
  • 1981년 3월 - 4년제 대학이 됨.
  • 1993년 3월 - '''광주교육대학교'''로 개칭.
  • 1996년 3월 - 교육대학원 설치.

3. 역대 학장과 총장

역대성명임기
제1대 학장(2년제)이창업1962.3.1~1963.11.24
제2대 학장(2년제)박재각1963.11.25~1964.2.29
제3ㆍ4대 학장(2년제)임종대1966.1.1~1969.7.2, 1969.7.3~1973.7.2
제5ㆍ6대 학장(2년제)박정규1973.7.3~1977.7.2, 1977.7.3~1981.3.17
제7대 학장(4년제)김태규1981.3.18~1985.3.17
제8대 학장(4년제)최성호1985.3.20~1989.3.19
제9대 학장(4년제)강문주1989.3.22~1993.3.21
제1대 총장남한식1993.3.31~1997.2.28
제2대 총장이정재1997.3.1~2001.2.28
제3대 총장김창현2001.3.1~2005.2.28
제4대 총장임현모2005.3.1~2008.6.17
제5대 총장박남기2008.10.23~2012.10.22
제6대 총장이정선2012.10.23~2016.10.22
제7대 총장최도성2019.07.08~2023.02.28
제8대 총장허승준2023.03.06~


4. 학부

광주교육대학교의 모든 학부생은 초등교육학과에 속하며, 초등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심화과정을 이수한다. 2014년 특수·통합교육과가 신설되어 총 13개의 심화과정이 있다.[1]

4. 1. 심화과정 목록

광주교육대학교의 모든 학부생은 초등교육학과에 속하지만, 초등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심화과정을 이수한다. 2014년 특수·통합교육과가 신설되어 총 13개의 심화과정이 있다.

심화과정
윤리교육과
국어교육과
사회교육과
수학교육과
과학교육과
체육교육과
음악교육과
미술교육과
실과교육과
교육학과
영어교육과
컴퓨터교육과
특수·통합교육과


5. 대학원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은 1996년 3월 1일에 설치되었으며, 1999년 11월 19일에 16개 전공과정이 승인되었다. 이후 2010년 11월 11일에 3개의 야간제 전공과정이 추가되어, 2011년 기준으로 총 20개의 석사 교육과정이 개설되었다.[1]

5. 1. 개설 전공과정 (일부)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은 1996년 3월 1일에 설치되었으며, 1999년 11월 19일에 16개 전공과정이 승인되었다.[1] 2010년 11월 11일에는 3개의 야간제 전공과정이 추가되어,[1] 2011년을 기준으로 총 20개의 석사 교육과정들이 개설되어 있다.[1]

2011년 기준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개설 전공[1]
전공
초등국어교육
초등사회과교육
초등수학교육
초등과학교육
초등도덕교육
초등영어교육
초등컴퓨터교육
초등체육교육
초등음악교육
초등미술교육
초등특수교육
초등상담교육
초등교육행정·정책
유아교육
다문화교육과정
문화예술교육·기획
생활환경기술교육
발명영재·로봇교육
아동문학교육


6. 부설기구

광주교육대학교에는 총장 아래 다양한 부설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부속시설은 크게 지원시설과 연구시설로 나뉜다. 지원시설에는 도서관, 교육박물관, 정보전산원, 학생생활관, 신문사·방송국, 교수·학습지원센터가 있다. 연구시설에는 초등교육연구원, 학생생활연구원, 다문화교육연구원, 자율연구소가 있다.[1]

과거에는 아동상담센터, 멀티미디어연구소, 초등학교문화연구소, 어학연구소 등이 있었으나 현재는 연구시설에서 제외되었다.

6. 1. 대학본부

총장 아래에 6개의 큰 부서가 있고 그 아래에 26개의 작은 기구가 있다.[1]

6. 1. 1. 기획처

광주교육대학교에는 총장 아래에 6개의 큰 부서가 있고, 그 아래에 26개의 작은 기구가 있다. 기획처는 대학의 발전, 학술 연구 활동 진흥 및 대학 위상 제고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1년 4월 1일 박남기 교수가 초대 기획연구실장으로 임명되면서 기획연구단이 발족되었다. 이후 기획연구실, 대학발전기획단, 산학협력기획단, 대학발전연구원, 기획연구처를 거쳐 2012년 10월 23일 기획처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5년 1월 2일부터 주대창 교수가 제10대 기획처장을 맡고 있다. 한편, 기존 국제문화예술교육센터는 2014년 풍향문화관 준공과 함께 교육문화원 산하 문화예술교육센터로 이관되었다.

6. 2. 부속시설

광주교육대학교의 부속시설은 크게 지원시설과 연구시설로 나뉜다.[1]

6. 2. 1. 지원시설

광주교육대학교의 지원시설에는 도서관, 교육박물관, 정보전산원, 학생생활관, 신문사·방송국, 교수·학습지원센터가 있다.

6. 2. 2. 연구시설

광주교육대학교의 연구시설로는 초등교육연구원, 학생생활연구원, 다문화교육연구원, 자율연구소가 있다. 이외에도 아동상담센터, 멀티미디어연구소, 초등학교문화연구소, 어학연구소 등이 있었다.

6. 3. 부설기관

광주교육대학교의 부설기관에는 교육연수원, 시민교육대학(평생교육원), 언어교육원, 영재교육원이 있다.[1]

6. 3. 1. 교육연수원

1963년 4월 1일, 광주교육대학 부설 초등교육연수원이 이창업 학장을 원장으로 하여 최초로 설치되었다.[1] 1984년 3월 1일, 1, 2정 자격 통신연수를 병행하는 실험운영연수원으로 지정되었다.[1] 2000년 2월 28일, 교원연수에 관한 규정개정령에 따라 초등교육연수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1] 이듬해 12월 1일에는 교원 등의 연수에 관한 규정 제2조에 의거하여 원격교육연수원으로 지정되었다.[1] 2008년 3월 1일, 교원 등의 연수에 관한 규정 개정령에 따라 교육연수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2011년 기준으로 교육연수원장은 김재봉 교수이다.[1]

6. 3. 2. 시민교육대학(구 평생교육원)

광주교육대학교 시민교육대학(구 평생교육원)은 1996년 8월 31일 광주교육대학교 부설 사회교육원으로 교육부 인가를 받아 설립되었다. 2005년 4월 1일 광주교육대학교 평생교육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평생교육원은 대학교의 사회봉사 기능을 증진시켜 사회교육과 평생교육 이념을 실현함으로써, 지역사회의 교육 문화 수준을 높이고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1]

6. 3. 3. 언어교육원

광주교육대학교 언어교육원은 재학생들과 지역사회 구성원의 외국어 및 언어 교육을 담당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2008년 10월에 설립되었고, 현재 총 7명의 외국인 강사들이 영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언어교육원장은 선규수 교수이다.[10]

6. 3. 4. 영재교육원

광주교육대학교 영재교육원은 광주·전라남도 지역 유일의 초등교육 전문기관으로서, 초등학생들 중 특정 분야에 영재성을 지닌 학생들을 조기에 발굴하여 탁월한 재능이 지속적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전문교육을 제공하고, 미래에 역량 있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11]

2008년 11월 17일에 설립되었으며, 2009년 8월 5일에 전라남도 교육청 영재교육원, 2009년 10월 7일에는 광주광역시 교육청 영재교육원으로 지정되었다.[11] 2011년 기준으로 수학, 과학, 발명, 정보 영재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11]

6. 4. 부설학교

광주교육대학교 산하 부설학교로는 광주부설초등학교목포부설초등학교가 있다.

6. 5. 법인 및 기타

광주교육대학교에는 발전기금재단, 학술진흥장학재단, 산학협력단, 179 학생군사교육단이 있다.

6. 5. 1. 산학협력단

광주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은 2024년 현재 통합교육지원센터, 로봇창의교육센터, 아동·청소년상담센터, 창의진로진학컨설팅센터, 독서교육센터를 학교기업으로 운영하고 있다.[1]

6. 5. 2. 학군단

광주교육대학교 학군단은 교사교육센터에 있으며 1992년 9월 1일 179 학생군사교육단(ROTC)이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다.[1] 단장 예하에 소령이 훈육관 및 교관을 맡고 있으며 군사학교육, 군사교육 및 인성교육을 담당하고 있다.[1] 2008년에는 동, 하계 입영훈련기간에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종합 우수 학군단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1]

7. 장학 제도

광주교육대학교는 신입생과 재학생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장학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12] 2010년부터 재학 중에 장학금을 지급받고 교원에 임용된 후에는 받은 금액만큼 모교에 반환하여 후배들에게 다시 지급하게 하는 릴레이 장학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13] 장학 제도는 교내 장학금, 국가 장학금, 외부 장학금으로 구분된다.

구분종류
교내 장학금기성회 장학금, 본교 학술진흥재단 장학금, 릴레이 장학금
국가 장학금입학금 및 수업료 면제 장학금, 국가장학생(이공계) 장학금, 국가장학생(이공계) 수시입학 성적 우수 장학금, 국가장학생(인문사회계) 장학금, 국가장학생(인문사회계) 수시입학 성적 우수 장학금, 국가 미래드림 장학금, 국가 우수드림(저소득층 우수) 장학금, 국가 희망드림 장학생 장학금, 국가 근로 장학생 장학금
외부 장학금광주은행 장학금,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장학금, 디딤돌장학회 장학금, 삼성 꿈고른기회 장학금, KRA 농촌희망재단 장학금, 빛고을장학회 장학금, 5·18 장학회 장학금, 성옥장학재단 장학금, 목정장학회 장학금, 하림 장학재단 장학금


7. 1. 교내 장학금

광주교육대학교는 신입생과 재학생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장학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12] 2010년부터는 재학 중 장학금을 받고 교원 임용 후 받은 금액만큼 모교에 반환하여 후배들에게 다시 지급하는 릴레이 장학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13]

  • '''교내 장학금'''

기성회 장학금
본교 학술진흥재단 장학금
릴레이 장학금


7. 2. 국가 장학금

광주교육대학교에서 지급하는 국가 장학금 종류는 다음과 같다.[12]

장학금 종류
입학금 및 수업료 면제 장학금
국가장학생(이공계) 장학금
국가장학생(이공계) 수시입학 성적 우수 장학금
국가장학생(인문사회계) 장학금
국가장학생(인문사회계) 수시입학 성적 우수 장학금
국가 미래드림 장학금
국가 우수드림(저소득층 우수) 장학금
국가 희망드림 장학생 장학금
국가 근로 장학생 장학금


7. 3. 외부 장학금

광주교육대학교는 여러 외부 장학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12]

장학금명
광주은행 장학금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장학금
디딤돌장학회 장학금
삼성 꿈고른기회 장학금
KRA 농촌희망재단 장학금
빛고을장학회 장학금
5·18 장학회 장학금
성옥장학재단 장학금
목정장학회 장학금
하림 장학재단 장학금


8. 국제 교류

1995년 4월 27일 일본나루토 교육대학과 최초로 자매결연을 맺었다.[14] 1997년에는 국제 교류 전담 부서가 구성되어 국제학술대회 개최, 교직원의 해외 연수, 외국 대학과의 자매결연을 통한 공동 연구 및 학생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본격적인 교류가 이루어졌다. 이후 1997년 5월 1일 미국 피츠버그 대학교, 1998년 3월 23일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1998년 7월 20일 아프리카 남아프리카대학교 등과 자매결연을 체결하였다.[14][3]

자매결연 학교에는 유능한 초등교원으로서 언어 능력 향상과 국제적 감각 배양, 다문화적 감수성 향상을 목적으로 학생을 파견해 왔다.[14] 현재 자매결연 국가는 14개, 자매결연 학교는 22개에 이르며, 2000년대 후반부터 매년 100여 명의 학생들이 파견되고 있다. 이외에도 교수 파견, 직원의 단기 교육 시찰, 자매결연 학교생의 본교 방문 등의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14]

9. 학생 활동

광주교육대학교에서는 스포츠, 학술, 예능, 자원봉사, 종교 5개 분과에서 약 40개의 다양한 동아리가 활동하고 있다.

광주교육대학교 동아리 목록
분과동아리
학술 분과달리만듦, 멘토, 밝은방
예능 분과과풍물패연합(약칭: 과풍연), 극예술연구회, 더 시크릿, 무아지경, 묵향, 미소, 솟터, 수라간, 아리랑 한사위, 아이 싱 유 싱, 안티, 어울림, 에루얼싸, 오즈, 파라다이스, 한우리, 합창단, 피아니스티
스포츠 분과구회말투아웃, 리베로, 산악회, 슬램덩크, 오리발, 하이클리어, FC교대
종교 분과가톨릭학생회, C.C.C, E.S.F, I.V.F
자원봉사 분과희망야학, RCY


9. 1. 총학생회

1962년 5월 15일에 제정된 재건학생회칙에 의해 처음으로 발족된 본 대학 학생회는 ‘전남대학교 병설교육대학 재건학생회’라는 긴 이름으로 출발했다. 그 뒤에 교명이 바뀌고 학생회가 운영되어 오던 중 1975년 6월 26일자로 학생회가 없어지면서 학도호국단이 생기게 되었다. 1979년부터 1980년 4월까지 많은 진통을 겪으면서 6년만인 1980년 4월 24일에 학생회가 부활되었다. 이렇듯 여러 차례의 변모를 거듭해온 총학생회는 학교 축제 및 각종 학교 문제에 대한 대학 본부와의 협의를 주관한다. 총학생회는 총학생회, 대의원회, 과학생회 등으로 구분하여 구성하며, 학생회의 조직과 운영에 관한 사항은 학생 회칙에 따라 정해져 있다. 또한 총학생회의 자치기구로 개별 동아리의 자주적 활동을 보장하는 동아리 연합회와 서광 교지편집위원회, 이경동·한상용 열사의 추모사업위원회가 있다.[1]

9. 2. 동아리

광주교육대학교에서는 스포츠, 학술, 예능, 자원봉사, 종교 5개 분과에서 약 40개의 다양한 동아리가 활동하고 있다.

9. 2. 1. 동아리 예시

광주교육대학교에는 스포츠, 학술, 예능, 자원봉사, 종교 5개 분과에서 약 40개의 다양한 동아리가 활동하고 있다.

광주교육대학교 동아리 목록
분과동아리
학술 분과달리만듦, 멘토, 밝은방
예능 분과과풍물패연합(약칭: 과풍연), 극예술연구회, 더 시크릿, 무아지경, 묵향, 미소, 솟터, 수라간, 아리랑 한사위, 아이 싱 유 싱, 안티, 어울림, 에루얼싸, 오즈, 파라다이스, 한우리, 합창단, 피아니스티
스포츠 분과구회말투아웃, 리베로, 산악회, 슬램덩크, 오리발, 하이클리어, FC교대
종교 분과가톨릭학생회, C.C.C, E.S.F, I.V.F
자원봉사 분과희망야학, RCY


10. 총동문회

광주교육대학교 출신 교우들의 모임인 광주교육대학교 총동문회는 1949년 5월 10일 처음으로 광주사범학교 동창회 총회가 개최되었다. 1965년 광주사범동창회, 광주사대동창회, 광주교대동창회를 통합하여 '광주교육대학동문회'로 개칭하고, 2005년 '광주교육대학교 총동문회' 명칭을 '광주사범·광주사대·교육대학교 총동문회'로 변경하였다.[1]

참조

[1] 웹사이트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istory http://eng.gnue.ac.k[...] 2015-05-01
[2] 웹사이트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Accredited Institutions http://english.kcue.[...] 2015-05-01
[3] 웹사이트 History of Gwangju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 2008 https://ko.wikipedia[...]
[4] 웹사이트 연혁보기 http://homeapp.jnu.a[...] 전남대학교 2023-07-04
[5] 웹인용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정보공시 https://academyinfo.[...] 2022-01-01
[6] 뉴스 (제목 없음) https://news.naver.c[...]
[7] 뉴스 http://www.newsway.k[...]
[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202.31.152.15[...] 2011-11-05
[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eerik.gnue.ac[...] 2019-09-13
[1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language.gnue[...] 2011-11-06
[1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gifted.gnue.a[...] 2011-10-31
[12] 웹인용 장학제도 http://www.gnue.ac.k[...] 2011-11-06
[13] 뉴스 릴레이 장학제도 http://news.nate.com[...]
[14] 서적 광주교육대학교 70년사 2008-01-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