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주방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방송은 광주광역시를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민영 방송사이다. 1994년 설립되어, 1995년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으며, 1998년 FM 라디오 방송을 개국했다. 본사는 광주광역시 서구에 위치하며, 서울, 전남 무안, 여수에 지사를 두고 있다.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좋은 생각 밝은 방송'을 슬로건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방송 - Kbc My FM
    Kbc My FM은 KBC 광주방송에서 운영하는 FM 라디오 방송으로, 광주와 전남 일부 지역에 다양한 프로그램과 시보 멘트를 송출하며 1998년부터 KBC 광주방송 사가를 사용하고 있다.
  • 광주방송 - Kbc (DMB)
    Kbc DMB는 광주방송이 운영하는 지상파DMB 방송국으로, 2008년 6월 30일 개국하여 여러 채널을 운영하며 HLDH-TDMB의 호출 부호를 사용한다.
  • 광주 서구 - 서구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서구는 1973년 설치된 자치구로 광주광역시청 소재지이며, 기아자동차 광주공장, 유스퀘어, 상무지구, 금당산, 개금산, 송학산, 상무지구, 풍암지구, 금호지구 등을 포함하고 1980년과 1995년 분구를 거쳐 2011년 동천동이 신설되었다.
  • 광주 서구 - 광주극동방송
    광주극동방송은 광주광역시를 가청권역으로 하는 극동방송 지사로, 2010년 개설되어 FM 93.1MHz 주파수로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 방송한다.
  • 1998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원음방송
    원음방송은 원불교 재단에서 설립한 대한민국의 라디오 및 TV 방송국이며, 1998년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여 전국으로 권역을 확대하고 2015년 TV 방송을 개국하여 24시간 방송을 진행한다.
  • 1998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전북원음방송
    전북원음방송은 원불교 재단에서 설립한 라디오 방송국으로, 1998년 익산에서 개국하여 FM 97.9MHz 주파수로 전북 지역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광주방송
기본 정보
회사명주식회사 광주방송
영어 회사명Kwangju Broadcasting Co., Ltd.
로고
약칭KBC
종류주식회사
국적대한민국
우편 번호61915
본사 위치광주광역시 서구 무진대로 919 (광천동 896)
설립일1994년 9월 30일
개국일 (TV)1995년 5월 14일
개국일 (My FM)1998년 2월 2일
업종방송업
대표자대표이사 사장 박흥석 (Park Heung-seok, 박흥석)
결산기12월 말일
웹사이트광주방송 공식 웹사이트
슬로건Beyond The Local with KBC
재무 정보 (2014년 기준)
자본금40,000,000,000원
매출액29,889,988,829원
영업 이익1,110,355,860원
순이익3,033,588,327원
자산 총액105,508,519,899원
조직
직원 수110명
모기업제이디투자(유)
자회사SBS M&C (3대 공동주주)

2. 본사·지사 소재지

광주방송 본사는 광주광역시 서구 무진대로 919 (광천동)에 위치해 있다. 서부방송본부는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후광대로 242 (남악리)에, 동부방송본부는 전라남도 여수시 도원로 128 (안산동)에, 서울방송본부(광역방송센터)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6층 (파크원, 여의도동)에 각각 위치한다.

3. 조직

광주방송의 조직은 회장과 대표이사 사장 아래 전무이사가 있고, 정책/심의실을 두고 있다. 경영국은 경영부, 광고사업국은 광고사업부를 두고 있다. 제작국은 제작1부, 제작2부, 제작3부, 영상제작부, 미술부로 구성되고, 보도국은 취재1부, 취재1부, 디지털뉴스팀, 보도영상부를 두고 있다. 기술국은 운용부, 제작부, 송출부로 나뉜다. 이외에 서울광역방송센터, 동부방송본부, 서부방송본부 등의 조직이 있다.

4. 연혁

1994년 9월 30일: 주식회사 광주방송 설립.

1995년 4월 1일: 텔레비전 방송 시험 전파 발사. 〈무등산 송신소, 37ch, 30kW〉

1995년 5월 14일: 개국.

1998년 2월 2일: FM 방송 〈애칭 MyFM〉 개국. 〈무등산 송신소, FM 101.1MHz, 5kW〉

2002년 11월 3일: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개국. 〈무등산 송신소, 물리 채널 15ch, 2.5kW〉

2008년 6월 30일: 지상파 DMB 개국. 〈무등산 송신소, 184.736MHz, 2kW〉

2012년 10월 30일: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종료.

2019년 7월 8일: 개국 이래 사용해 온 남구 서동의 구 사옥에서, 서구 광천동에 신축된 신사옥으로 이전.

KBC는 1995년에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1] 2012년 5월에 처음으로 로고가 변경되었다.[1] 2021년 9월, 호반건설은 KBC의 자산을 매각했다.[2][3]

4. 1. 1990년대

1994년 8월 10일 광주지역 민방 사업자로 선정되었고, 9월 7일 (재)광주방송문화재단이 설립되었다.[1] 9월 30일에는 주식회사 광주방송이 설립되었다.[1] 1995년 4월 1일 텔레비전 방송 시험 전파를 발사했으며, 5월 14일 광주방송 TV가 개국하면서 초대 사장으로 서상만이 취임하였다.[1]

1998년 2월 2일에는 FM 라디오 방송(애칭 MyFM)이 개국하였다.(광주 무등산 송신소: FM 101.1㎒, 여수 구봉산 중계소: FM 96.7㎒)[1] 7월 2일 전남서부방송본부(목포시)가 개소하였고,[1] 1999년 12월 15일 전남동부방송본부(여수시)가 개소하였다.[1]

4. 2. 2000년대

2000년 6월, 중국 연변방송국과 자매결연협정을 체결하고, 2001년 9월에는 서상만 사장이 퇴임하고 박흥석 사장이 취임하였다.[1] 2002년 4월에는 중국 광저우TV와 우호교류협정을 체결하였으며, 2002년 5월 14일에는 한일월드컵 DTV 중계를 위한 DTV 실험국을 운영하였다.[1] 2002년 11월 13일 DTV 방송국을 개국하였으며, 2005년 6월 23일에는 해남 대둔산DTV중계소를, 2006년 5월 24일에는 남해 망운산DTV중계소를 각각 개소하였다.[1]

2006년 6월에는 독일월드컵 DMB 중계를 위한 DMB 실험국을 운영하였으며, 2008년 6월 30일에는 지상파 DMB 방송국을 개국하고, 2008년 8월 27일에는 모악산 지상파 DMB 중계소를 개국하였다. 2008년 9월, 광주영어방송(GFN)과 협력방송사 협약을 맺었으며, 2008년 12월 18일 여수 구봉산DTV중계소, 2008년 12월 19일 목포 양을산DTV중계소를 각각 개소하였다.[1]

4. 3. 2010년대

2010년 8월, 일본 미야기TV와 우호교류협정을 체결하였고,[1] 같은 해 9월에는 HDTV 송출센터 디지털 시설을 완료하였다.[1] 2010년 10월 6일 강진군에서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이 종료되었고,[1] 2011년 8월 1일부터 모든 뉴스를 HD로 제작·방영하고, 모든 프로그램의 HD 자체 제작을 시작하였다.[1] 2011년 12월에는 정일윤 사장이 취임하였고, 해남 대둔산DMB중계소와 남해 망운산DMB중계소가 개소되었다.[1]

2012년 5월, kbc 광주방송은 CI를 변경하고(대문자 KBC에서 소문자 kbc로) 프로그램 개편을 단행하였다.[1] 같은 해 방송체험센터가 개소하였고, 6월에는 FM(My FM) RADIO센터 이전, 진도DTV중계소 개소, 일본 TVQ 큐슈방송과 우호교류협정이 체결되었다.[1] 7월에는 여수 구봉산DMB중계소와 목포 양을산DMB중계소가 개소되었다.[1] 2012년 10월 30일에는 광주·전남지역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이 종료되었다.[1]

2013년 6월 12일 광주·전남지역 디지털 주파수 재배치가 완료되었고, 같은 해 12월 정일윤 사장이 퇴임하고 양철훈 사장이 취임하였다.[1] 2015년 5월 14일 kbc-TV 방송 20주년을 맞이하였으며, 같은 해 7월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주관방송을 맡았다.[1] 2016년 6월 영광 FM·DMB 방송보조국이 신설되었고, MyFM 라디오 영광(영광 중계소: FM 104.3MHz)이 개소되었다.[1]

2017년 2월 양철훈 사장이 퇴임하고 조억헌 사장이 취임하였으며, 같은 해 12월 29일 kbc UHD 방송이 개국되었다.[1] 2018년 9월 1일 광양 MyFM 라디오(광양 중계소: FM 90.7MHz)가 개소되었다.[1] 2019년 7월 8일, 1995년 개국 당시 위치해있던 남구 서동 시대를 마감하고, 서구 광천동 신사옥으로 이전하였다.[1]

4. 4. 2020년대

2021년 10월 25일 서울방송본부를 이전하고 광역방송센터를 신설했으며 (파크원 6층), 2022년 1월 11일에는 지역 정보 전문 채널인 JJC 지방자치TV를 인수했다.[2][3]

5. CI 변천 과정



KBC는 1995년에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2012년 5월에 처음으로 로고가 변경되었다.[1]

6. TV 방송

1993년 1월 1일 무등산 송신소에서 출력 30kW로 시험방송을 시작하여 1995년 5월 14일 PSB 부산방송(현 KNN 부산경남방송), TBC 대구방송, TJB 대전방송과 함께 TV 방송을 개국하였다. 2002년 5월 한일 월드컵 중계와 함께 디지털TV 시험국을 운영하였고 같은해 11월 디지털TV 방송국을 개국하였으며, 2011년 8월 HDTV 제작센터 디지털 시설화를 완료함에 따라 모든 프로그램을 HD로 제작하여 방영하고 있다. 광주, 전남, 전북 일부, 서부 경남 일부 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한다.

채널내용
DTVch. 6-1 (가상채널)
UHDch. 53
아날로그 채널각 지역 케이블 SO 문의
디지털 채널5 (KT/SK B IPTV/LG U+)
위성 채널5 (KT OTS)


6. 1. 개요

6. 2. 프로그램

1993년 1월 1일 무등산 송신소에서 출력 30kW로 시험방송을 시작하여 5월 14일 PSB 부산방송, TBC 대구방송, TJB 대전방송과 함께 TV 방송을 개국하면서 광주방송의 방송 역사가 시작되었다. 2002년 5월 한일 월드컵 중계와 함께 디지털TV 시험국을 운영하였고 같은해 11월 디지털TV 방송국을 개국하였으며, 2011년 8월 HDTV 제작센터 디지털 시설화를 완료함에 따라 모든 프로그램을 HD로 제작하여 방영하고 있다. 광주, 전남, 전북 일부, 서부 경남 일부 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서 방송중이며 방송 시설망을 꾸준히 늘려나가고 있다.

6. 3. 방송 송출 시설망

광주방송의 디지털TV 호출 부호는 HLDH-DTV이다. 가상 채널은 6-1이다.

송신소물리 채널공중선 전력
무등산K-15ch2.5kW
각화K-15ch0.05W
풍암K-15ch0.05W
소태K-15ch0.05W
화순K-15ch0.05W
대둔산K-40ch2kW
양을산K-16ch90W
지島K-40ch0.05W
도림K-16ch0.05W
득천K-16ch0.05W
진도K-36ch20W
군동K-27ch20W
성전K-40ch0.05W
청산도K-40ch0.05W
망운산K-38ch2kW
구봉산K-20ch90W
남산K-42ch90W
순천 서면K-42ch0.05W
옥룡K-42ch0.05W



1993년 1월 1일 무등산 송신소에서 출력 30kW로 시험방송을 송출,2002년 11월 디지털TV 방송국을 개국하였다.

7. 라디오 방송

7. 1. 개요

7. 2. 프로그램

7. 3. 주파수

wikitable

송신소주파수공중선 전력호출 부호
무등산FM 101.1MHz5kWHLDH-FM
구봉산FM 96.7MHz1kW
영광FM 104.3MHz10W
구봉화산FM 90.7MHz100W


8. 지상파 DMB 방송

'''kbc (DMB)'''는 광주방송이 주사업자로, JTV 전주방송과 공동 투자하여 운영하는 지상파 DMB 방송이다. 전북, 광주, 전남 전역을 가시청권역으로 한다.

호출 부호는 HLDH-TDMB이며, 전주방송과 공동 운영한다.

송신소물리 채널(주파수)공중선 전력
무등산K-8Cch (184.736MHz)2kW
모악산K-12Cch (208.736MHz)2kW
노고단2kW
대둔산K-8Cch (184.736MHz)2kW
양을산90W
망운산K-7Cch (178.736MHz)2kW
구봉산90W


9. 슬로건

## TV

광주방송은 '좋은 생각 밝은 방송'을 현재의 슬로건으로 사용하고 있다. 과거에는 '좋은 생각 좋은 방송', '시청자와 함께 만들어가는 밝은 세상', '함께해요 우리', '마음을 나누는 희망의 방송', '다정한 벗 즐거운 만남', '새 시대의 젊은 방송', '함께 만들어요 새로운 세상' 등의 슬로건을 사용했다.

또한, 'Beyond The Local with KBC'와 'PLAY THE LOCAL'이라는 슬로건도 사용하고 있다.

## 라디오 (My FM)

좋은 생각 밝은 방송(현), 좋은 생각 좋은 방송(구), 시청자와 함께 만들어가는 밝은 세상, 함께해요 우리, 마음을 나누는 희망의 방송, 다정한 벗 즐거운 만남, 새 시대의 젊은 방송, 함께 만들어요 새로운 세상 등의 슬로건과 함께, Beyond The Local with KBC, PLAY THE LOCAL 등의 영문 슬로건도 사용한다.

9. 1. TV

광주방송은 '좋은 생각 밝은 방송'을 현재의 슬로건으로 사용하고 있다. 과거에는 '좋은 생각 좋은 방송', '시청자와 함께 만들어가는 밝은 세상', '함께해요 우리', '마음을 나누는 희망의 방송', '다정한 벗 즐거운 만남', '새 시대의 젊은 방송', '함께 만들어요 새로운 세상' 등의 슬로건을 사용했다.

또한, 'Beyond The Local with KBC'와 'PLAY THE LOCAL'이라는 슬로건도 사용하고 있다.

9. 2. 라디오 (My FM)

좋은 생각 밝은 방송(현), 좋은 생각 좋은 방송(구), 시청자와 함께 만들어가는 밝은 세상, 함께해요 우리, 마음을 나누는 희망의 방송, 다정한 벗 즐거운 만남, 새 시대의 젊은 방송, 함께 만들어요 새로운 세상 등의 슬로건과 함께, Beyond The Local with KBC, PLAY THE LOCAL 등의 영문 슬로건도 사용한다.

10. 사가

1998년 2월 2일부터 kbc 광주방송의 사가로 사용되고 있다. 이 사가는 kbc MyFM 방송시작멘트에서 들을 수 있다.

장엄한 저 무등 천년 만년 변함없듯 우리모두 길이 길이 다함께 잘 살도록 오늘도 밤과 낮을 가림이 없이 밝은 앞날 내다 보며 일하는 보람 사랑하고 섬기며 함께 하는 기쁨으로 앞서가는 우리 방송 kbc 광주방송한국어

널따란 저 하늘 철 맞추어 푸르르듯 빛난 고을 광주 전남 알뜰하게 가꾸고자 비바람 거센 파도 아랑곳 없이 값진 소식 늦을 세라 띄우는 정성 사랑하고 섬기며 함께 하는 기쁨으로 앞서가는 우리 방송 kbc 광주방송!한국어

11. 해외 제휴국

미야기 TV 방송미야기 TV 방송/宮城テレビ放送일본어, TVQ 규슈 방송TVQ 규슈 방송/TVQ九州放送일본어, 연변 방송국, 광저우 방송광저우전시대/广州电视台중국어과 제휴 관계를 맺고 있다.

12. 직원 현황

12. 1. 현직 아나운서

참조

[1] 뉴스 kbc 광주방송 새 CI 선포 https://news.ikbc.co[...] 2012-05-02
[2] 뉴스 호반건설, 광주방송 팔고 전자신문 사들인다 https://www.journali[...] 2021-05-11
[3] 뉴스 정서진 kbc광주방송 신임 대표이사 회장 선임 https://www.mediatod[...] 2021-09-15
[4] 문서 열린세상 좋은친구는 생략할 수 있다
[5] 문서 개국 초창기에 사용되었지만, 언제까지 사용되었는지는 미상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