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전방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방송은 대전·세종·충남 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민영 방송사이다. 1994년 설립되어 1995년 5월 14일 개국했으며, TV 방송, FM 라디오 방송(TJB POWER FM), 지상파 DMB 방송(TJB u)을 운영한다.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천안시, 서산시에 지사를 운영하고 있다. TJB문화재단을 통해 문화 사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다양한 연중 캠페인과 로고송을 통해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방송 - TJB POWER FM
    TJB POWER FM은 1998년 개국하여 대전, 세종, 충남, 충북 일부 지역에 FM 라디오 방송을 송출하는 TJB 대전방송의 라디오 채널로, IMF 외환 위기 이후 SBS 라디오 네트워크에 편입되었다.
  • 대전방송 - TJB u
    죄송합니다. 제공된 정보가 부족하여 TJB u에 대한 개요를 요약할 수 없습니다.
  • 대한민국의 대전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대전문화방송
    대전문화방송은 대전광역시를 가시청권으로 하는 MBC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4년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여 1971년 대전텔레비전방송을 통합했으며, 현재 TV, 라디오, 지상파 DMB 방송을 송출한다.
  • 대한민국의 대전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MBC충북
    MBC충북은 충청북도 지역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MBC의 지역 방송국으로, 청주시와 충주시에 방송국을 두고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 및 방송하며, 대전문화방송과 함께 충청권 지상파 DMB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지상파 방송국 - 대전문화방송
    대전문화방송은 대전광역시를 가시청권으로 하는 MBC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4년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여 1971년 대전텔레비전방송을 통합했으며, 현재 TV, 라디오, 지상파 DMB 방송을 송출한다.
  •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지상파 방송국 - MBC충북
    MBC충북은 충청북도 지역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MBC의 지역 방송국으로, 청주시와 충주시에 방송국을 두고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 및 방송하며, 대전문화방송과 함께 충청권 지상파 DMB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대전방송
기본 정보
TJB 로고 (2010 ~ 현재)
한국어 명칭주식회사 대전방송
한자 명칭株式会社大田放送
영문 명칭Taejon Broadcasting Corporation
약칭TJB
슬로건새롭고 즐거운 방송
웹사이트TJB 대전방송
google_map대전방송
방송 정보
구분민영방송
방송 영역지상파 방송
서비스지상파 방송업
텔레비전 방송업
라디오 방송업
연혁
창립일1994년 9월 8일
개국일 (TV)1995년 5월 14일
개국일 (라디오)1998년 3월 2일 (파워FM)
본사
본사 위치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131 (도룡동 4-18)
재무 정보 (2014년 기준)
자본금30,000,000,000원
매출액25,404,840,691원
영업 이익-1,187,791,203원
순이익-2,029,362,315원
자산 총액79,002,874,307원
소유 및 경영
주요 주주(주)우성사료 39.8%
(주)대웅 10.0%
부원공업(주) 7.0%
대전교통(주) 5.7%
사장이광축 (CEO)
대표자정인범
직원 수123
관계사
모기업우성사료
자회사(재)TJB문화재단
계열사SBS M&C (3대 공동주주)
디지털 TV 방송 정보
호출 부호HLDF-DTV
가상 채널6
디지털 채널15
약칭 의미HL
Daejeon
Free-to-Air Media
제휴SBS
허가 기관KCC
라디오 방송 정보
호출 부호 (라디오)HLDF-FM
주파수 (대전)FM 95.7 MHz
주파수 (서산)FM 96.5 MHz
형식Top 40 Mainstream/K-Pop
출력 (대전)5kW
출력 (서산)500W
제휴 (라디오)SBS Power FM
UHD TV 방송 정보
호출 부호 (UHD)HLDF-UHDTV
디지털 채널 (UHD)53 (UHF)
가상 채널 (UHD)6
브랜딩 (UHD)TJB UHD
방송 시작일 (UHD)2017년 12월 29일
종류ATSC 3.0 실험 방송
출력 (UHD)5 kW
허가 기관 (UHD)KCC

2. 본사·지사 소재지

2. 1. 본사

대전방송 본사는 대한민국 우34125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131 (도룡동 4-18)에 위치해 있다.

2. 2. 서울방송센터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800에 위치해 있다.

2. 3. 세종천안방송센터

대전방송 세종천안방송센터는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불당23로 73-30 831호 불당아리스타팰리스에 있다. 본사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131 (도룡동 4-18)에, 천안지사는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동서대로 129-12 (성정2동 1519)에, 서산지사는 충청남도 서산시 서해로 3437 (석림동 764-2)에 위치해 있다.

2. 4. 내포방송센터

내포방송센터는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의향로 263 502호에 위치해있다. 우편번호는 32263이다.

3. 역사

1994년9월 7일: 회사 설립.

1995년4월 1일: 텔레비전 방송 시험 전파 발사. (식장산 송신소, 22ch, 10kW)

1995년5월 14일: 개국.

1998년3월 2일: FM 방송 (애칭 PowerFM) 개국. (식장산 송신소, FM 95.7MHz, 5kW)

2002년1월 1일: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 최초로 디지털 텔레비전 시험 방송 시작 (식장산 송신소, 물리 채널 15ch, 2.5kW)

2003년12월 1일: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개국.

2007년9월 28일: 지상파 DMB 개국. (식장산 송신소, 202.736MHz, 2kW)

2008년5월 14일: 새 사옥 착공.

2010년5월 14일: HD 방송 시작.

2012년10월 11일: 개국 이후 사용해 온 동구의 사옥에서 유성구의 새 사옥으로 이전. 구 사옥의 일부는 대전국악방송이 사용하고 있다.

2012년10월 16일: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종료.

3. 1. 개국 준비 과정

1994년 4월 9일, 공보처는 각 지역별 민방 설립 정책을 발표하고 사업자를 모집하였다. 대전 지역에서는 우성유통, 삼정종합건설, 경남기업 등 6개 회사가 참가하였으나[1] 8월 10일 우성유통이 신청한 대전방송(주)(당시 가칭)가 선정되어 같은 해 9월 7일 회사가 창립되었다.

9월 8일 '''(주)대전텔레비전'''이라는 이름으로 법인등기를 완료하였고, 10월 1일 중구 유천동 벽산빌딩 8층 임시사옥으로 회사를 이전함과 동시에 효동사옥(당시 우성유통의 사옥) 증·개축 작업을 시작하였다. 10월 24일 '''주식회사 대전방송'''으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1995년 3월 16일 효동사옥으로 입주를 시작하였다.

같은 해 4월 1일 식장산송신소에서 TV방송 시험전파(UHF CH 22, 영상출력 10kW)를 발사하였다.[1] 4월 4일 (주)서울방송(현 SBS)과 네트워크협약을 체결하였고, 5월 4일 시청자위원회를 창립하고 5월 10일 (주)서울방송(現 SBS)과 네트워크 세부협약을 체결하였다. (네트워크 시간대, 보도, 광고, TV회선 및 장비사용)

5월 12일 중구 유천동 사옥이 준공되었고, 1995년 5월 14일 오전 8시 PSB 부산방송(현 KNN), TBC, kbc(광주방송)과 동시에 일제히 개국하면서 대전방송의 방송 역사가 시작되었다.[1]

3. 2. 개국 초기

1994년 9월 7일 회사를 설립하고, 1995년 4월 1일 식장산 송신소(22ch, 10kW)에서 텔레비전 방송 시험 전파를 발사했다. 1995년 5월 14일 개국하였다. 1995년 8월 10일 공주TV중계소 시험 전파 발사를 시작으로 방송 권역 내 난시청 지역에 중계소를 설치하기 시작했다. 1996년 4월 3일에는 일본 (주)TV미야자키(テレビ宮崎일본어)와 상호우호조약을 체결했다.

1997년 7월 1일 중구 유천동 구 사옥에서 FM방송 개국 준비위원회 및 실무기획단을 구성하여 FM 라디오 방송 개국 준비에 돌입했다. 1998년 2월 19일 서울방송과 라디오 방송 협력에 관한 네트워크 협정을 체결하였고, 3월 2일 파워FM이라는 이름으로 FM방송국(식장산 송신소, FM 95.7MHz, 5kW)을 개국하였다. 같은 해 10월 1일부터 FM 라디오 24시간 방송을 시행했다.

1999년 7월 18일 효동 사옥으로 이전했으며, 12월 21일 중국 허베이전시대( 河北电视台중국어)와 상호우호조약을 체결했다.

3. 3. 발전기

1994년 9월 7일 회사를 설립하여, 1995년 4월 1일 텔레비전 방송 시험 전파를 발사했다.(식장산 송신소, 22ch, 10kW) 그리고 같은 해 5월 14일 개국하였다. 1998년 3월 2일에는 FM 방송(애칭 PowerFM)을 개국하였다.(식장산 송신소, FM 95.7MHz, 5kW)

2002년 1월 1일에는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 최초로 디지털 텔레비전 시험 방송을 시작하였고(식장산 송신소, 물리 채널 15ch, 2.5kW), 1년 11개월 후인 2003년 12월 1일에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였다.

개국 13주년인 2008년 5월 14일에 도룡동 신사옥 TJB 크리스탈타워를 착공하였고, 같은 해 6월 30일에는 지상파DMB를 개국하였다. 2007년 9월 28일 지상파 DMB 개국.(식장산 송신소, 202.736MHz, 2kW)

한편 HD방송을 위해 HD부조정실 등을 갖추고, 개국 15주년인 2010년 5월 14일 HD방송을 시작하였다. 2012년 8월 21일 도룡동 신사옥 'TJB 크리스탈타워'가 완공되었고, 9월 21일부터 TJB 크리스탈타워로 완전 이전하였다.[2] 10월 11일에는 정식으로 완공기념식을 개최하였다.[3] 2012년10월 11일 개국 이후 사용해 온 동구의 사옥에서 유성구의 새 사옥으로 이전하였으며, 구 사옥의 일부는 대전국악방송이 사용하고 있다.

2012년 10월 16일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 종료 정책에 따라 17년동안 방송해왔던 아날로그TV방송의 송출을 종료하고 본격적인 디지털TV방송 시대를 열었으며, 2013년 10월 16일에는 지상파 디지털TV방송 채널의 재배치를 실시하였다.

3. 4. UHD 시대

2017년 12월 29일에 TJB UHD 방송을 개국하였다.

4. TV 방송

1995년 4월 1일 식장산송신소에서 출력 10kW로 시험 방송을 시작하였고, 그 해 5월 14일 PSB 부산방송(현 KNN), 대구방송(현 TBC), 광주방송과 함께 동시에 TV 방송 개국을 하면서 대전방송의 본격적인 방송 역사가 시작되었다.

1995년 8월 10일 공주 TV 중계소의 시험 전파 발사를 시작으로, 방송 권역 확장을 위하여 상당히 빠르게 중계소를 설립하였다. 향적산, 북대전, 만악산, 옥마산, 서천군, 흑성산, 원효봉, 그리고 2000년 4월 24일 부여 TV 중계소의 준공을 끝으로 개국한 지 5년 만에 대전·세종·충남 내의 대부분 지역과 전북 북부 권역으로 확보하면서 같은 방송권역 내의 대전문화방송 못지 않은 가시청률을 달성하였다.

이어 2003년에는 수도권 외 지역 방송사들 중 최초로 디지털 TV 방송을 개국하였고, 개국 15주년인 2010년 5월 14일에는 HD 방송을 시작하여 고화질의 TV 방송을 서비스 하고 있다. 디지털 TV 방송망을 꾸준히 확장해 나가 2012년 6월 23일 공주 DTV 중계소의 준공을 끝으로 기존 중계시설의 디지털 전환을 끝마쳤고, 2012년 10월 16일 대전/충남지역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작업도 끝마쳤다.

2017년 12월 29일에는 UHD TV 방송을 개국했다. 아직까지는 자체 UHD 컨텐츠 없이 SBS의 UHD 프로그램을 받고 있다.

송신소물리 채널출력
식장산K-15ch2.5kW
적오산K-15ch0.05W
성당리K-15ch0.05W
만락산K-40ch90W
향적산K-43ch90W
내판K-15ch0.05W
공주K-46ch90W
부여K-37ch90W
옥마산K-48ch90W
서천K-34ch90W
흑성산K-45ch1kW
원효봉K-20ch1kW
안면K-20ch0.05W


4. 1. 개요

4. 2. 현재 방송 프로그램

생방송 투데이 (월-수 저녁 5:50) - 진행 최승희, 유지수 아나운서

뉴스 큐레이터 시선(일 아침 08:35) - 진행 김석민 기자

[http://www.tjb.co.kr/sub0104 메디컬 플러스] (목 저녁 06:50) - 진행 유지수 아나운서

[http://www.tjb.co.kr/sub0108 화첩기행] (토 오전 09:00~10:00)

[http://www.tjb.co.kr/sub0111 테마스페셜](토 밤 12:20)

[http://www.tjb.co.kr/sub0112 고향이 보인다] (목-금 오전 11:30~12:00) - 진행 박세종, 김수영 아나운서

[http://www.tjb.co.kr/sub0109 특집프로그램]

4. 2. 1. 뉴스

대전방송의 뉴스 프로그램 문서를 참고.

TJB 8 뉴스는 평일 밤 8시 30분, 주말 밤 8시 20분에 방송된다.

TJB 뉴스 (1020)는 평일 오전 10시 20분에 방송된다.

TJB 뉴스 (1730)는 평일 오후 5시 30분에 방송된다.

뉴스 큐레이터 시선은 평일 저녁 7시에 방송된다.

4. 2. 2. 자체 제작

대전방송은 약 31% 가량을 자체 편성하고 있다.

4. 2. 3. 타 지역 민방 제작


  • CJB 제작, 전국 톱 10 가요 쇼
  • ubc 제작, 열린예술무대 뒤란, 네모세모
  • G1방송 제작, 핸드메이드 In Asia
  • TBC 제작, 싱싱! 고향별곡
  • KNN 제작, 최강 1교시

4. 2. 4. 지역 민방 공동 제작

테마스페셜

4. 3. 방송 송출 시설망

대전방송은 식장산 송신소를 주송신소로 하여 대전, 세종, 충남, 충북 청주권과 남부 3군 지역, 경기 남서부 일부, 전북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방송하고 있다. 호출부호는 HLDF-DTV이며, 가상채널은 6-1이다.

송신소UHDHD송신소 위치
물리채널출력물리채널출력
식장산 송신소CH 535㎾CH 152.5㎾대전 동구 낭월동 300
적오산 소출력colspan=2 rowspan=20|CH 150.05W대전 유성구 화암동 산11
설화산 소출력CH 170.05W충남 아산시 좌부동
만악산 중계소CH 4090W충남 금산군 진산면 만악리 산1
향적산 중계소CH 4390W충남 계룡시 엄사면 향한리 산50-1
내판 소출력CH 150.05W세종 연동면 송용리 지사 수신
공주 중계소CH 4690W충남 공주시 반죽동 산2-1 봉황산
청양 중계소CH 4320W충남 청양군 청양읍 장승리 산62-4
부여 중계소CH 3790W충남 부여군 장암면 석동리 산271-1 장암산
옥마산 중계소CH 4890W충남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
서천 중계소CH 3490W충남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 산34 남산
흑성산 중계소CH 451㎾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촌리 산32-4
원효봉 중계소CH 201㎾충남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1
안면 소출력CH 200.05W충남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아날로그 TV 방송은 2012년 10월 16일 오후 2시에 종료되었다.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고)

아날로그 TV 방송 당시 호출부호는 HLDF-TV였다.

송신소채널출력송신소 위치
식장산 송신소CH 2210㎾대전 동구 낭월동 300
만악산 중계소CH 27500W충남 금산군 진산면 만악리 산1
향적산 중계소CH 35500W충남 계룡시 엄사면 향한리 산50-1
공주 중계소CH 25100W충남 공주시 반죽동 산2-1 봉황산
부여 중계소CH 19100W충남 부여군 장암면 석동리 산271-1 장암산
옥마산 중계소CH 60500W충남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
서천 중계소CH 25100W충남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 산34 남산
흑성산 중계소CH 1910㎾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촌리 산32-4
원효봉 중계소CH 525㎾충남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1


5. 라디오 방송

1997년, 대전방송은 FM 라디오 방송 개국을 추진하기 위해 준비위원회를 구성하였다.[4] 1998년 3월 2일, FM 라디오 방송인 TJB POWER FM을 개국하였다.[4] 개국 전 3개월간 시험 방송을 하였으며, 시험 방송 기간에는 음악만을 송출하였다.[4] 개국 후 한동안 자체 편성만으로 운영되었으나,[4] 외환 위기로 인해 1998년 12월 11일 SBS와 라디오 방송에 관한 업무 제휴 협정을 맺고 라디오 네트워크에 편입되었다.[4]

2002년 1월 1일에는 서산 원효봉에 중계 시설을 설치하여 충남 서해안 지역에서 더욱 깨끗한 수신이 가능하게 되었다.[4] 2021년 6월 24일에는 천안 흑성산, 보령 옥마산에 중계 시설을 설치, 2021년 7월 18일 완공하여 방송 권역 내 대부분 지역에서 TJB의 FM 라디오를 더욱 깨끗하게 수신 및 청취할 수 있게 되었다.[4]

TJB POWER FM의 송신소와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송신소주파수공중선 전력호출 부호
식장산FM 95.7MHz5kWHLDF-FM
원효봉FM 96.5MHz500W


5. 1. TJB POWER FM

1997년, 대전방송은 FM 라디오 방송 개국을 추진하기 위해 준비위원회를 구성하였다.[4] 1998년 3월 2일, FM 라디오 방송인 TJB POWER FM을 개국하였다.[4] 개국 전 3개월간 시험 방송을 하였으며, 시험 방송 기간에는 음악만을 송출하였다.[4] 개국 후 한동안 자체 편성만으로 운영되었으나,[4] 외환 위기로 인해 1998년 12월 11일 SBS와 라디오 방송에 관한 업무 제휴 협정을 맺고 라디오 네트워크에 편입되었다.[4]

2002년 1월 1일에는 서산 원효봉에 중계 시설을 설치하여 충남 서해안 지역에서 더욱 깨끗한 수신이 가능하게 되었다.[4] 2021년 6월 24일에는 천안 흑성산, 보령 옥마산에 중계 시설을 설치, 2021년 7월 18일 완공하여 방송 권역 내 대부분 지역에서 TJB의 FM 라디오를 더욱 깨끗하게 수신 및 청취할 수 있게 되었다.[4]

TJB POWER FM의 송신소와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송신소주파수공중선 전력호출 부호
식장산FM 95.7MHz5kWHLDF-FM
원효봉FM 96.5MHz500W


5. 2. 방송 송출 시설망

wikitable

TJB Power FM
송신소주파수출력송신소 위치
식장산 송신소FM 95.7㎒5㎾대전광역시 동구 낭월동 300
원효봉 중계소FM 96.5㎒500W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1
흑성산 중계소FM 95.5㎒100W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촌리 산32-4
옥마산 중계소FM 96.1㎒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



TJB 파워 FM
송신소주파수공중선 전력호출 부호
식장산FM 95.7MHz5kWHLDF-FM
원효봉FM 96.5MHz500W


5. 2. 1. 방영 프로그램

뮤직에세이

좋은날 좋은아침

가요캠프

해피투게더

뮤우직포차

심야영화관

6. 지상파 DMB

청주방송과 함께 투자하여 충청권 전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DMB 사업자로서 운영 중이다.

; TJB u

호출 부호는 HLDF-TDMB이며, 청주방송(CJB)과 공동 운영한다.

송신소물리 채널 (주파수)공중선 전력
식장산K-11Cch (202.736MHz)2kW
우암산2kW
향적산90W
옥마산90W
흑성산1kW
원효봉1kW
가엽산2kW
용두산90W


6. 1. TJB u

호출 부호는 HLDF-TDMB이며, 청주방송(CJB)과 공동 운영한다.

송신소물리 채널 (주파수)공중선 전력
식장산K-11Cch (202.736MHz)2kW
우암산2kW
향적산90W
옥마산90W
흑성산1kW
원효봉1kW
가엽산2kW
용두산90W


7. TJB문화재단

대전방송에서 운영하고 있는 문화재단으로, 1994년 (재)대전방송백제문화재단으로 출범하여 2005년 (재)TJB문화재단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백제사 연구사업 및 장학사업[8], 학술, 문화, 예술단체의 지원사업, 국내외 학자 및 각계 전문가에 대한 연구자금 지원[9], 국내외 학술·예술 및 지역사회 발전 유공자 시상사업[10], 불우이웃돕기 지원사업[11] 등의 사업을 실시하면서 1995년 설립 이후 지역의 문화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대전방송에서 출연금 30억원을 전액 출자하여, 그에 대한 이자수입으로 각종 사업을 추진하고 재단을 운영하고 있다.[12]

8. 연중 캠페인

대전방송은 1999년 '내고장 경제 우리가 키웁시다' 캠페인을 시작으로, 2000년에는 '자랑스러운 새 충청인: 질서•친절•청결', 2001년에는 '자랑스러운 새 충청인: 질서•친절•청결•준법' 캠페인을 진행했다. 2006년에는 '새로운 충청 희망과 미래로', 2007년에는 '한국의 중심 충청', 2008년에는 '한국의 중심 희망의 충청' 캠페인을 이어갔다.

2010년에는 '사람이 중심인 세상, TJB가 만듭니다', 2011년에는 '다정한 이웃, 따뜻한 세상 TJB가 함께합니다' 캠페인을 펼쳤으며, 2012년부터 2017년까지는 '희망을 만들어 갑니다' 캠페인을 진행했다. 2018년에는 '아이는 마을이 키웁니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는 '지역이 대한민국입니다' 캠페인을 진행했다. 현재는 2023년부터 '지역이 대한민국, 충청이 앞장섭니다!'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이 외에도 세계 천문의 해 기획 캠페인, 환경 캠페인, 새 충청인 캠페인 등을 진행했다.

9. 로고송

1995년 5월 14일부터 사용한 로고송은 "새로운 선택 신선한 느낌 TJB 대전방송", "우리 고장 우리 방송 TJB", "우리 고장 우리 방송 대전방송"이다. "우리 고장 우리 방송 TJB"와 "우리 고장 우리 방송 대전방송"은 MR 버전으로도 제작되어 2010년 5월 7일까지 사용되었으며, 1995년부터 2008년까지는 로고송과 병행 송출되었다.

2010년 5월 10일부터 2013년 5월 5일까지는 "언제나 다정한 방송 TJB"가 사용되었다. 2013년 5월 6일부터는 "새롭고 즐거운 방송 TJB"가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 차례 MR 버전과 함께 사용되기도 했다.

10. 해외 제휴 방송사

대전방송은 다음과 같은 해외 방송사들과 교류하여 프로그램과 방송 소재 등을 교환하고 우호를 다지고 있다.

11. 같이 보기

참조

[1] 뉴스 지역民放 23社 신청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4-06-01
[2] 뉴스 TJB 대전방송 도룡동 신사옥 https://news.naver.c[...] 2012-09-21
[3] 뉴스 TJB 신사옥 준공 '도룡동 시대' http://www.joongdo.c[...] 중도일보 2012-08-22
[4] 문서 어느 정도였냐면 서울에 지사를 둘 때 라디오 스튜디오까지 준공했었다.
[5] 문서 가사: (~ 2012년 : 우리 고장, 우리 방송~ T~J~B~~/ 2013년 ~ : 두두두 두두 랄랄랄랄라 ~ TJB 파워FM~/)
[6] 뉴스 TJB 대전방송 신사옥 유성구서 '첫삽'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5-14
[7] 뉴스 TJB, 본격적인 HD방송 http://www.tjb.co.kr[...] 대전방송 2010-05-10
[8] 뉴스 TJB문화재단, 꿈나무 장학금 지급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9-20
[9] 뉴스 TJB 재단, 충남대병원에 발전기금 전달 http://www.doctorsne[...] 의협신문 2011-12-07
[10] 뉴스 제12회 TJB 교육대상에 김흥수 교사 - 참된 공무원 박은섭 경사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2010-12-22
[11] 뉴스 TJB문화재단, 불우이웃돕기 성금 기탁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12-16
[12] 웹인용 TJB문화재단 소개 http://www.tjb.co.kr[...] 2012-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