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선은 호남선 열차가 경전선을 경유하여 운행하는 철도 노선으로, 광주광역시 광주역과 극락강역을 지난다. 1922년 전남선으로 시작하여, 1928년 광주선으로 개칭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광주와 담양을 잇는 노선도 존재했다. 2000년 경전선 이설로 인해 현재의 노선이 되었으며, KTX, 무궁화호, ITX-새마을 등이 운행한다. 2015년 호남고속철도 개통으로 KTX 운행이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선 - 극락강역
극락강역은 1922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1938년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며, 호남선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 광주선 - 북송정역
북송정정역은 호남선과 경전선을 연결하는 1.0km 길이의 삼각선으로, 호남선 북송정역과 경전선 북송정분기를 잇는 호남선 지선이며 1973년 신호소로 개시, 경전선 쪽 역이 분기로 격하되며 현재 형태를 갖추고 호남선 전철화 공사로 전철화되었다. - 200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200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시흥시 오이도역을 잇는 노선으로,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으로 구성되어 남양주도시공사,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가 구간별로 운영하며, 완행과 급행이 운행되고 통행 방식 및 전철화 방식이 구간별로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광주선 | |
---|---|
지도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광주선 |
한자 표기 | 光州線 |
로마자 표기 | Gwangju Line |
노선 종류 | 지선 철도 |
기점 | 동송정신호장 |
종점 | 광주역 |
역 수 | 2 |
개업일 | 2000년 8월 10일 (광주선으로) |
소유자 | 국가철도공단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노선 길이 | 11.9 km |
궤간 | 1,435 mm |
선로 수 | 단선 |
전철화 방식 | 전철화 |
노선 번호 | 30704 |
신호 | ATS |
노선도 | |
![]() |
2. 역사
광주선은 역사적으로 두 노선이 존재한다. 하나는 현재 폐지된 노선으로 일제강점기 남조선철도주식회사가 경전선 등의 구간 일부를 건설하며 만든 광주~담양 간 노선이고, 다른 하나는 원래 경전선의 일부 구간이 경전선 도심구간 이설 사업으로 분리된 것이다.
1918년 7월 13일, 남조선철도주식회사는 송정리(현 광주송정역)-마산 구간 철도부설 허가를 받았다. 1921년 4월 13일에는 전남선 송정리-담양 구간 착공에 들어갔으며, 1922년 7월 1일 전남선 송정리-광주 구간이 개통되었다. 같은 해 12월 1일에는 전남선 광주-담양 구간이 개통되었다.[3] 1928년 1월 1일, 조선철도는 전남선 송정리-담양간 노선을 국철에 매수하고 광주선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1929년 2월 26일, 남조선철도는 광려선 광주-보성-여수항 간 철도 착공에 들어갔고, 1930년 12월 20일 광려선 전 구간을 개통했다. 1936년 3월 1일, 광려선은 국철에 매수되었고, 송정리-여수항 구간은 송려선으로 개칭되었다. 같은 해 12월 16일, 경전북부선 전 구간 개통으로 순천-송정리 구간이 경전서부선으로 개칭되었다.
1939년 12월 29일에는 광주선 담양-금지 간 철도 착공에 들어갔으나, 1944년 10월 31일 광주-담양 구간이 전쟁 물자 공출로 인해 폐선되었다. 이에 앞선 1944년 6월 15일에는 망월역과 마항역이 폐지되었다.[4]
1955년 9월 1일 경전서부선은 광주선으로 개칭되었고,[5] 1965년 7월 3일 광주-금지 구간 지선 착공에 들어갔으나,[6] 광주-담양 간 운영 적자로 인해 담양-금지 구간 공사는 중단되었다. 1969년 7월 25일, 광주역이 대인동에서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7]
1974년부터 경전선 이설[2]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으나, 예산 등의 문제로 지연되었다. 1976년 11월 12일 경전선 도심철도구간 이설 관련 철도이설 관계관 회의가 개최되었고, 1979년 1월 12일 광주시에서 광주선 이설을 요청했다. 1990년 12월 이설공사의 실시설계, 교통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가 완료되었고, 1995년 12월 27일 도심철도구간 이설 공사가 시작되었다.[8]
2000년 8월 10일, 경전선 도심구간 이설로 송정리-서광주-효천 간 11.8km 구간이 신설되고, 광주-효천 간 10.8km 구간이 폐지되면서[9] 구 노선은 광주선으로 분리되었다. 이후 KTX의 호남선 투입이 결정되자, 2001년 9월 6일 호남선 익산-광주 간 전철화 공사로 광주선 전철화가 착공되어 2004년 3월 24일 호남선 복선 전철화가 준공되었다.
2004년 4월 1일 KTX 영업이 시작되었으나, 호남고속선 완공 후 2015년 4월 1일 광주역 착발 KTX 운행이 종료되었다. 2016년 12월 9일 누리로 영업이 시작되었으나, 2020년 3월 1일 상행열차를 끝으로 운행이 종료되었다.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광주선은 '''30704'''로 변경되었다.[10] 2023년 12월 17일에는 통근열차 운행이 종료되었다.
2. 1. 일제강점기 광주선 (광주-담양)
1922년 12월 1일 조선총독부철도는 광주역과 담양을 잇는 철도 노선인 광주선을 개통하였다.[3] 이 노선은 원래 송정리역(현 광주송정역)에서 담양까지 이어지는 노선이었으나, 1944년 10월 31일 전쟁 물자 공출로 인해 광주-담양 구간이 폐선되었다.1944년 6월 15일에는 망월역과 마항역이 폐지되었다.[4]
다음은 1944년 11월 1일 폐지 당시 광주선의 역 목록이다. 연결 노선 및 소재지는 당시의 것을 기준으로 한다.
역명 | 역간거리 (km) | 누계거리 (km) | 연결 노선 | 소재지 | |
---|---|---|---|---|---|
일본어 | 한국어 | ||||
광주역 | 광주역 | 0.0 | 0.0 | 조선총독부철도 광주선(광주송정역 방면) | 광주부 |
망월역 | 망월역 | 5.6 | 5.6 | ||
장산역 | 장산역 | 2.4 | 8.0 | 전라남도 담양군 | |
마항역 | 마항역 | 2.6 | 10.6 | ||
담양역 | 담양역 | 2.8 | 13.4 |
2. 2. 경전선 시절 (1955-2000)
1955년 9월 1일, 경전서부선을 '''광주선'''으로 개칭했다.[5] 1965년 7월 3일, 광주선 지선 광주-금지 구간 착공,[6] 이후 광주 - 담양간 운영 적자로 인해 담양 - 금지 구간 공사는 중단되었다. 1969년 7월 25일에는 광주역이 대인동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7]1974년부터 경전선 이설[2]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지만, 예산 등의 이유로 계속해서 미루어져 왔다. 1976년 11월 12일, 경전선 도심철도구간 이설 관련 철도이설 관계관 회의가 개최되었고, 1979년 1월 12일 광주시에서 광주선 이설을 요청했다. 1990년 12월에는 이설공사의 실시설계, 교통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가 완료되었고, 1995년 12월 27일 도심철도구간 이설 공사가 시작되었다.[8] 2000년 8월 10일에는 송정리 ~ 서광주 ~ 효천 간 11.8km 구간이 신설되었으며, 동시에 구 광주 ~ 남광주 ~ 효천 간의 10.8km 구간 철로가 철거되고, 구 노선은 광주선으로 분리됐다.[9]
원래는 경전선의 일부였지만, 2000년8월 10일에 경전선이 광주시 시가지 남쪽을 지나는 단축 노선으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구선 중 시 중심부에 가까운 광주역에 호남선 방면에서 진입하는 노선에 대해 독립적인 노선명을 부여하여 남겨둔 것이다.
2. 3. 경전선 분리 이후 (2000-현재)
1974년부터 경전선 이설[2]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지만, 예산 등의 이유로 계속 미루어지다가 1995년 12월에 착공, 2000년 8월 10일에 완공되었다. 이에 따라 구 광주 ~ 남광주 ~ 효천 간의 10.8km 구간 철로가 철거되고, 새로 송정리 ~ 서광주 ~ 효천 간 11.8km 구간이 신설되었으며, 동시에 구 노선은 광주선으로 분리되었다.이후 KTX의 호남선 투입이 결정되자, 호남선과 함께 전철화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원래 이설이 논의될 당시에는 송정리역과 통합하려 하였으나, 광주송정역이 기존 광주역의 역세권인 북구, 동구에서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어서 접근성이 좋지 않은 데다가 역 주변 상권의 유지 등을 이유로 노선 역시 잔존하게 되었다.
그러나 호남고속선의 완공 후 평면교차와 선로 배선 등의 문제로 광주의 고속철도역이 광주송정역으로 단일화됨에 따라, 2015년 4월 1일을 마지막으로 광주선에는 KTX가 더 이상 들어오지 않는다. 그리고 광주송정역 착발 KTX 및 SRT가 생겼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주선 셔틀열차가 생겼지만, KTX와 달리 운영 주체가 다른 SRT와는 환승할인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2023년 12월 17일 통근열차 노후화로 셔틀열차 운행이 종료되었다.
연도 | 날짜 | 내용 |
---|---|---|
2000년 | 8월 10일 | 도심철도구간 이설 공사 송정리(現 광주송정)~효천 간 11.0km 완공 및 구 선로 광주~효천 간 10.8km 폐지[9] |
2001년 | 9월 6일 | 호남선 익산~광주간 전철화 공사로 인한 광주선 전철화 착공 |
2004년 | 3월 24일 | 호남선 복선 전철화 준공 |
2004년 | 4월 1일 | KTX 영업 개시 |
2006년 | 10월 31일 | 통근열차 운행 종료, 경전선 열차 운행 종료 |
2015년 | 4월 1일 | 호남고속철도 1단계 구간 개통으로 광주역 착발 KTX 운행 종료 |
2016년 | 12월 9일 | 누리로 영업 개시 |
2019년 | 4월 17일 |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0704로 변경[10] |
2020년 | 3월 1일 | 상행열차를 끝으로 누리로 열차 운행 종료 |
2023년 | 12월 17일 | 통근열차 운행 종료 |
(목포행)
3. 역 목록
무궁화
(용산행)역간거리
(km)영업거리
(km)접속 노선 소재지 ↑ 호남선 노안역 방면 광주송정 Gwangjusongjeong 光州松汀 ● 경전선
호남선
호남고속선
1호선 (광주송정역)광주광역시 광산구 (북송정삼각선 분기) | | | 북송정삼각선
(호남선 장성 방면)(동송정 분기) | | | 0.0 0.0 극락강 Geungnakgang 極樂江 | ● ▲ 4.5 4.5 광주 Gwangju 光州 ● ● ● 7.4 11.9 광주광역시 북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