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통근열차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근열차는 1996년 부산-해운대 구간 운행을 시작으로, 2004년 통일호 폐지 이후 명칭이 변경되어 운영되었다. 2006년부터 2019년까지 여러 노선에서 통근열차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2020년 광주선에서 무궁화호 셔틀 열차를 대체하여 운행이 재개되었으나, 2023년 12월 17일 다시 폐지되었다. 현재는 광주선에서만 운행되었으며, 과거에는 경부선, 호남선, 경전선 등 다양한 노선에서 운행되었다. 통근열차는 주로 CDC(Commuter Diesel Car)라고 불리는 9501계 디젤 동차로 운행되었으며, 육성 안내방송을 시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열차 - 무궁화호
    무궁화호는 대한민국의 여객열차로, 1983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와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장거리, 지방 노선의 역할을 해 왔으며, 2004년 이후 지방 노선의 주력 열차가 되었으나, 현재는 노후화된 차량과 ITX-마음의 등장으로 운행 구간과 정차역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열차 - 새마을호
    새마을호는 1969년 관광호로 시작하여 새마을운동과 함께 명칭이 변경된 대한민국의 특급 여객열차였으나, KTX 개통 후 ITX-새마을에 자리를 내주며 운행 구간이 축소되었고 2029년 KTX-이음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 한국철도공사의 열차 - 무궁화호
    무궁화호는 대한민국의 여객열차로, 1983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와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장거리, 지방 노선의 역할을 해 왔으며, 2004년 이후 지방 노선의 주력 열차가 되었으나, 현재는 노후화된 차량과 ITX-마음의 등장으로 운행 구간과 정차역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 한국철도공사의 열차 - 새마을호
    새마을호는 1969년 관광호로 시작하여 새마을운동과 함께 명칭이 변경된 대한민국의 특급 여객열차였으나, KTX 개통 후 ITX-새마을에 자리를 내주며 운행 구간이 축소되었고 2029년 KTX-이음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 열차 등급 - 무궁화호
    무궁화호는 대한민국의 여객열차로, 1983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와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장거리, 지방 노선의 역할을 해 왔으며, 2004년 이후 지방 노선의 주력 열차가 되었으나, 현재는 노후화된 차량과 ITX-마음의 등장으로 운행 구간과 정차역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 열차 등급 - ITX-새마을
    ITX-새마을은 2014년 5월 1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로,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중앙선 등 다양한 노선에서 운행되며, 2013년에 총 23편성이 도입되었다.
통근열차 (대한민국)
기본 정보
통근 열차
통근 열차가 백마고지 역에 접근하는 모습
유형통근 철도
상태폐지
위치광주
이전통일호
처음1996년 4월 1일
마지막2023년 12월 17일
이후무궁화호, 수도권 전철 1호선 및 셔틀 버스 ( 경원선 운행)
운영자코레일
기점광주역
정차역 수3
종점광주송정역
사용 노선광주선
차량 종류통근형 디젤 동차 (CDC)
운행 정보
한국어 명칭
한자}}
로마자 표기Tonggeun yeolcha
매큔-라이샤워 표기T'onggŭn yŏlch'a

2. 역사

1996년 4월 1일 부산에서 운행을 시작한 "'''도시 통근 열차'''"가 통근열차의 전신이다.[1] 2004년 4월 1일 한국고속철도(KTX) 개통에 따른 시간표 개정으로 통일호가 폐지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통근열차가 신설되었다.[1]

초창기에는 러시 아워 등에 객차로 운행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2004년 시간표 개정에 따른 차량 정리를 거쳐, 정선선을 제외한 거의 모든 열차가 "CDC"라고 불리는 9501계 동차로 운행하게 되었다. 비전철 노선이 지나는 지방 도시와 그 주변의 중소 도시 사이에서 주로 운행되었으며, 일부 노선 및 구간에서는 주요 역만 정차하는 급행적인 성격의 열차도 존재했다.

이용객 감소와 전철화 진전 등 철도 환경 변화에 따라, 2006년부터 다른 열차 종류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폐지되기 시작했다. 2019년 4월 1일 운행 구간이 사실상 소멸되었다가, 2020년 1월부터 광주선에서 통근열차 운행이 재개되었지만, 2023년 12월을 기점으로 운행이 종료되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2. 1. 통근열차 이전

1996년 4월 1일 부산에서 운행을 시작한 "'''도시 통근 열차'''"가 전신이다.[1] 2004년 4월 1일 한국고속철도 (KTX) 개통에 따른 시간표 개정으로 통일호가 폐지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신설되었다.[1]

2. 2. 통근열차 신설 및 운행

과거에는 통일호의 일부로 운행되던 열차로, 부산광역시에서 1996년 4월 1일부터 운행된 "'''도시 통근 열차'''"가 전신이다. 한국고속철도(KTX) 개통에 맞춘 시간표 개정으로 통일호가 폐지되면서, 이를 대체할 목적으로 2004년 4월 1일에 신설되었다. 따라서 "통근"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지만, 통근객이 집중되는 아침, 저녁뿐만 아니라, 종일 운행했다.

초창기에는 러시 아워 등에 객차로 운행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2004년 시간표 개정에 따른 차량 정리를 거쳐, 정선선을 제외한 거의 모든 열차가 "CDC"라고 불리는 9501계 동차로 운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비전철 노선이 지나는 지방 도시와 그 주변의 중소 도시 사이에서 주로 운행되었으며, 이 때 각 역 정차 외에도, 일부 노선 및 구간에서는 주요 역만 정차하는 급행적인 성격의 열차도 존재했다. 또한, 한국철도공사(KORAIL)의 일반 열차 (전철을 제외한 여객 열차)는 원칙적으로 열차, 좌석 지정제이지만, 통근 열차는 열차 지정만 가능하며, 모든 열차의 모든 차량이 자유석으로 운영되었다.

이용객 감소와 전철화의 진전 등 철도 환경 변화에 따라, 2006년부터 다른 열차 종류로의 전환을 통한 폐지 조치가 시작되었고, CDC 투입에서 약 10년, 통근 열차 설정에서 5년이 채 안 되어 노선망이 대폭 축소되었으며, 2019년 4월 1일에 운행 구간이 사실상 소멸되었다. 이후 2020년 1월부터 광주선 내에서 통근 열차 운행이 재개되었지만, 2023년 12월을 기점으로 운행이 종료되었다.

2. 3. 운행 노선 축소 및 폐지

경부선한국어, 호남선한국어, 경전선한국어, 진해선한국어, 대구선한국어, 중앙선한국어, 동해선한국어, 전라선한국어, 경원선한국어, 경의선한국어, 군산화물선한국어, 정선선한국어 등에서 운행하던 통근열차는 이용객 감소와 철도의 전철화 진전 등 철도 환경 변화에 따라 2006년부터 다른 열차 종류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폐지되기 시작했다.

각 노선별 폐지 및 대체 현황은 다음과 같다.

노선대체 현황
경부선무궁화호로 대체
호남선무궁화호로 대체
경전선무궁화호로 대체
진해선새마을호로 대체
대구선무궁화호로 대체
중앙선무궁화호로 대체
동해선무궁화호동해선 광역전철로 대체, 부산 도시철도의 일부
전라선무궁화호로 대체
경원선의정부역부터 연천역까지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대체, 나머지 구간은 셔틀 버스 운행
경의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및 DMZ 트레인으로 대체
군산화물선새마을호무궁화호로 대체됨. (군산화물선은 현재 폐쇄되었으며, 군산항선으로 대체됨. 군산~익산 구간은 장항선과 통합됨)
정선선무궁화호로 대체


3. 운행

현재 통근열차는 운행되지 않고 있으며, 과거 운행 구간은 무궁화호, 새마을호,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동해선 광역전철 등으로 대체되었다.

3. 1. 과거 운행 구간

노선명구간대체 현황
경부선모든 구간무궁화호로 대체
호남선모든 구간무궁화호로 대체
경전선모든 구간무궁화호로 대체
진해선모든 구간새마을호로 대체
대구선모든 구간무궁화호로 대체
중앙선모든 구간무궁화호로 대체
동해선모든 구간동해선 광역전철, 무궁화호로 대체
전라선모든 구간무궁화호로 대체
경원선의정부역~연천역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대체
경의선서울~문산~임진강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대체
군산선모든 구간새마을호, 무궁화호로 대체
정선선모든 구간무궁화호로 대체
광주선광주~광주송정무궁화호로 대체


3. 2. 운임

2011년에 조정된 운임이 2019년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거리비례제로, 킬로미터당 31.69원을 적용(10의 자리에서 반올림)하되, 최소 운임을 1,600원으로 책정했다. 이 임률에 따르면 기본 50km 구간 이내에서는 최소 운임이 적용된다. 단, 2009년 7월 1일부터 특정운임 1,000원 (성인 기준)이 적용되었다.

운임은 국토교통부가 정한 상한 범위 내에서 한국철도공사(KORAIL)가 책정하며, 열차 등급별 킬로미터 계산으로 산출된다. 다른 열차 종류와 달리, 통근열차에는 영업 개시 초기부터 특실이라고 불리는 일등석이 존재하지 않아 단일 좌석 등급으로 계산된다.

4. 차량

2004년 통일호 폐지 및 통근열차 등급 신설 당시, 구간에 비해 운행 투입 차량이 부족하여 문제가 발생했으나, 운행 노선 축소로 잉여 차량이 발생하였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총 131량 중 3량을 바다열차로, 4량을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로, 96량을 무궁화호로 각각 개조하였다.

통근열차는 '''CDC'''(Commuter Diesel Car)라고 불리는 9501계 디젤 동차로 운행된다. 다만, 정선선에서는 무궁화호객차발전차, 디젤 기관차의 3량 편성으로 자유석 통근 열차로 운행했다.

5. 안내방송

통근열차는 대부분 승무원이 직접 안내방송을 한다. 아주 드물게 경원선 통근열차에서 자동 안내방송을 사용하기도 했는데, 수도권 전철과 거의 비슷하지만 내리는 문 안내가 없었다. 경의선 복선 전철화 이전에는 대곡역에서 일산선 환승 안내 방송도 있었다.[1]

1990년대 중반 녹음된 안내방송을 변경 없이 계속 사용했다. 그래서 새로 개통된 역이나 역명이 변경된 역은 승무원이 직접 안내방송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2009년 7월까지 운행한 경의선 통근열차는 운행 종료 시까지 '통일호'로 방송했다.[1]

5. 1. 성우

김수희

참조

[1] 웹사이트 광주선 셔틀열차 역사 속으로…시민들 "막막하고 걱정" http://m.jndn.com/ar[...] Jeonnam Maeil 2023-12-17
[2] 웹사이트 광주역~광주송정역 통근열차, 마지막 운행 "아쉬워요" http://www.ikbc.co.k[...]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2023-12-15
[3] 서적 한국의 철도의 여행을 토토히 즐기는 본 秀和システム 2008
[4] 웹사이트 통근열차(한국의 열차등급) - 나무위키 https://namu.wiki/w/[...] 2020-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