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아나스타시오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아나스타시오 2세는 496년부터 498년까지 재위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이다. 그는 동방 교회와의 분열을 해결하기 위해 유화적인 정책을 펼쳤으나, 로마 내에서 반발을 샀다. 콘스탄티노폴리스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지만, 미사 중 포티누스 주교에게 성찬을 집전한 일로 인해 로마 내에서 단성설 지지자들과 반대자들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유화 정책은 로마 교회를 분열시켰고, 아나스타시오 2세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로마는 두 명의 교황을 선출하며 혼란에 빠졌다. 중세 시대에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현대에는 재평가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98년 사망 - 닌켄 천황
    닌켄 천황은 일본의 제24대 천황으로, 겐조 천황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라 고구려로부터 수공업자를 초청하여 국가 기반을 다지는 데 힘썼다는 기록이 전해지며, 일부 학자들은 그의 실존 여부에 대해 논쟁하기도 한다.
  • 498년 사망 - 남제 명제
    남제 명제는 본래 소란이며, 소소업을 폐위하고 스스로 황위에 올라 전제 군주로 아들을 위해 숙청을 자행했으며 북위와 전쟁을 벌였고, 총명하고 검소했지만 의심 많은 성격으로 많은 사람을 죽인 인물이다.
  • 5세기 교황 - 교황 레오 1세
    레오 1세는 440년부터 461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훈족과 반달족의 침공을 막고 칼케돈 공의회에서 교황의 권위를 확립하며 교황 무류성의 사례를 제시하여 로마의 수호자이자 교황 수위권을 강화한 인물이다.
  • 5세기 교황 - 교황 젤라시오 1세
    교황 젤라시오 1세는 교황 수위권을 강조하고 '두 권력' 사상을 제시하며 교황권 강화와 교회 재산 관리 체계 확립에 힘쓴 5세기 로마 교황이다.
  • 5세기 대주교 - 교황 레오 1세
    레오 1세는 440년부터 461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훈족과 반달족의 침공을 막고 칼케돈 공의회에서 교황의 권위를 확립하며 교황 무류성의 사례를 제시하여 로마의 수호자이자 교황 수위권을 강화한 인물이다.
  • 5세기 대주교 -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는 412년부터 444년까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를 지낸 기독교 신학자이자 교부로, 네스토리우스와의 논쟁에서 테오토코스 칭호를 옹호하며 에페소스 공의회를 주도했으나 이교도와 유대인 탄압, 히파티아 피살 사건 연루 의혹 등 논란이 있었다.
교황 아나스타시오 2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아나스타시오 2세
직함로마 주교
교회가톨릭 교회
교황 아나스타시오 2세
재임 시작496년 11월 24일
재임 종료498년 11월 19일
선임자젤라시오 1세
후임자심마코
출생지로마, 이탈리아
사망 날짜498년 11월 19일
사망 장소로마, 동고트 왕국
다른 이름아나스타시오
정보
본명아나스타시오
생애
사망지동고트 왕국, 로마

2. 콘스탄티노폴리스와의 관계 회복 노력

교황 젤라시오 1세가 선종하자, 아나스타시오 2세는 아카키우스 분열로 갈라선 동서 교회와의 관계 회복을 바라는 이들의 지지를 받아 교황으로 선출되었다.[15][16]

2. 1. 아카키우스 분열

484년 아카키우스 분열로 알려진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 사이의 심각한 교리 논쟁으로 기독교계는 오랫동안 분열되었다. 교황 펠릭스 3세(483년-492년)와 교황 젤라시오 1세(492년-496년)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아카키우스를 비롯한 동방 교회의 주요 인사들을 파문하는 등 동방 교회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였다.[15][16] 제논 황제는 《헤노티콘》을 발표하여 분열을 막으려 했으나, 펠릭스 3세와 젤라시오 1세가 이를 거부하면서 로마 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가 갈라지는 분열이 일어났다.[15][16]

아나스타시오 2세는 즉위 직후 주교 두 명을 교황 사절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파견하여 동로마 제국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에게 자신의 교황 선출을 알리고 아카키우스 분열의 종식을 함께 논의하도록 하였다.[16] 아나스타시오 2세는 아카키우스 총대주교가 생전에 집전했던 세례와 사제 서품의 정당성을 인정하며 양보하는 자세를 취했고,[16] 아나스타시우스 1세는 《헤노티콘》을 교황이 수락해줄 것을 요청하였다.[15] 아나스타시오 2세가 미사를 집전하던 중에 포티누스 주교에게 영성체를 해주었다는 소문이 있었는데, 포티누스는 전임 교황 젤라시오 1세로부터 아카키우스의 추종자라는 이유로 비판받은 적이 있었다.[15]

아나스타시오 2세의 이러한 유화적 태도에 많은 주교와 사제들이 격분하였으며, 로마는 단성설을 지지하는 사람들과 반대하는 사람들로 양분되어 양측간에 적대감이 조성되었다.[16] 많은 로마 시민이 포티누스에게 영성체를 허락해주었다는 이유를 내세워 아나스타시오 2세가 집전하는 미사에 참례하되 그가 주는 영성체는 거부하는 집단 시위까지 벌였다.[15]

2. 2. 아나스타시오 2세의 유화 정책

아나스타시오 2세는 교황 펠릭스 3세, 교황 젤라시오 1세의 강경한 입장과는 달리, 아카키우스 분열로 갈라선 동방 교회와의 관계 개선을 원했다.[15][16] 그는 교황으로 선출되자마자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두 명의 주교를 사절로 파견하여 아나스타시우스 1세 황제에게 자신의 선출을 알리고 분열 종식을 논의하도록 했다.[16]

아나스타시오 2세는 아카키우스 총대주교가 집전한 세례와 서품을 하느님의 이름으로 한 것이기에 인정한다며 양보하는 자세를 취했다.[16] 또한 아나스타시우스 1세 황제에게 헤노티콘을 수락해 줄 것을 요청했다.[15]

관계 회복의 신호탄으로, 아나스타시오 2세는 미사 중에 포티누스 주교에게 영성체를 허용했다.[15] 포티누스는 전임 교황 젤라시오 1세에게 아카키우스의 추종자라고 비판받았던 인물이었다.[15]

하지만 이러한 유화적인 태도는 로마의 많은 주교와 사제들을 격분시켰다. 로마는 단성설 지지자와 반대자로 나뉘어 갈등이 심해졌다.[16] 많은 로마 시민들은 포티누스에게 영성체를 허용했다는 이유로 아나스타시오 2세가 주는 영성체를 거부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15]

3. 로마 교회 내 분열

484년 아카키우스 분열로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 사이에 심각한 교리 논쟁이 벌어져 기독교계는 오랫동안 분열되었다. 교황 펠릭스 3세교황 젤라시오 1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아카키우스를 비롯한 동방 교회의 주요 인사들을 파문하는 등 동방 교회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제논 황제는 《헤노티콘》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아카키우스와 함께 발표하여 교회 분열을 막으려 했으나, 펠릭스 3세와 젤라시오 1세가 이를 거부하여 로마 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는 분열되었다.[15][16]

젤라시오 1세 선종 후, 아나스타시오 2세는 양 교회 관계 개선을 원했던 이들의 지지를 받아 교황으로 선출되었다.[15][16] 즉위 직후, 아나스타시오 2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주교 두 명을 교황 사절로 파견하여 동로마 제국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에게 자신의 교황 선출을 알리고 아카키우스 분열 종식을 논의하게 했다.[16] 아나스타시오 2세는 아카키우스 총대주교가 생전에 집전한 세례와 사제 서품은 교회가 아닌 하느님의 이름과 권위로 한 것이기에 인정한다는 양보의 자세를 취했으며,[16] 아나스타시우스 1세는 《헤노티콘》에 대한 교황의 수락을 요청하였다.[15]

3. 1. 강경파의 반발

아나스타시오 2세의 유화 정책에 많은 주교와 사제들이 격분하였다.[15][16][3][4] 이들은 테살로니카의 포티누스에게 영성체를 허용한 것을 문제 삼아,[15][3] 아나스타시오 2세가 집전하는 미사에는 참례하되 그가 주는 영성체는 거부하는 집단 시위를 벌였다.[15][3] 이로 인해 로마는 단성설 지지파와 반대파로 양분되어 적대감이 조성되었다.[16][4]

3. 2. 두 명의 교황

아나스타시오 2세는 498년에 갑작스럽게 선종하였다.[16] 동방 교회와의 화해를 추구했던 그의 정책에 반대하던 이들은 그의 죽음을 하느님의 벌로 여겼다.[15] 아나스타시오 2세의 재위 기간 동안 로마는 두 파벌로 나뉘었고, 그의 선종 이후 각 파벌은 자신들의 교황을 내세웠다.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대한 강경파는 심마코를 지지했고, 유화파는 라우렌시오를 지지했다.[15] 이로써 로마 교회는 동방 교회와의 분열에 더해 자체적인 분열까지 겪게 되었다.[17]

4. 죽음과 평가

아나스타시오 2세496년 11월 24일부터 498년 11월 19일까지 재위하였다. 동방 교회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으나, 이는 오히려 로마 내 분위기를 뒤숭숭하게 만들었고, 결국 498년에 갑작스럽게 선종하였다.[16] 동방 교회와의 분열을 치유하려던 그의 노력을 반대했던 이들은 그의 죽음을 하느님이 내린 천벌로 보았다.[15]

아나스타시오 2세가 선종하자 로마는 두 파벌로 나뉘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대한 유화 정책에 반대한 파벌은 심마코를 후임 교황으로 내세웠고, 아나스타시오 2세에게 유화 정책을 권장한 로마 원로원 의원 루피누스 포스투미우스 페스투스는 라우렌시오를 교황으로 내세웠다.[15] 이로 인해 로마 교회는 자체적으로 분열되었고, 로마 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의 분열을 줄이려는 노력은 불가능해졌다.[17]

그는 리베리오와 더불어 초기 50인의 교황 가운데 성인으로 시성되지 못한 교황이다.[15]

4. 1. 중세 시대의 부정적 평가

중세 시대 아나스타시오 2세는 가톨릭 교회에 대한 배교자 또는 반역자로 여겨졌다. 《교황 연대표》는 아나스타시오 2세가 생전에 적들에게 이로운 일만 하여 결과적으로 교회를 파멸로 몰고 갔다고 혹평했으며,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천벌이라고 주장했다.[18] 《그라시아노 교령집》도 "아나스타시오는 하느님께로부터 꾸지람을 듣고, 결국 그분께 벌을 받아 쓰러졌다."라고 평가했다.[19] 오늘날 이러한 중세 시대의 주장은 '전설',[18] '오해',[20] '혼돈 상태의 전승',[21] '지나치게 과격한 주장'[15] 등으로 평가받고 있다.

단테의 《신곡》에서 아나스타시오 2세를 지옥의 여섯 번째 고리에 묘사했다고 알려졌으나, 오늘날 단테 연구가들은 해당 구절에 나오는 인물은 교황 아나스타시오 2세가 아니라 동시대 동로마 제국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라고 본다.[22][23][24]

단테의 《신곡》 지옥편에 묘사된 아나스타시오 2세의 무덤.

4. 2. 현대의 재평가

중세 시대에 아나스타시오 2세는 가톨릭 교회에 대한 배교자 또는 반역자로 여겨졌다. 《교황 연대표》의 저자는 아나스타시오 2세가 생전에 적들에게 이로운 일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교회를 파멸로 몰고 갔다고 혹독하게 평가했으며,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천벌이라고 주장했다.[18] 《그라시아노 교령집》도 “아나스타시오는 하느님께로부터 꾸지람을 듣고, 결국 그분께 벌을 받아 쓰러졌다.”라고 평가했다.[19]

오늘날 이러한 중세 시대의 주장은 ‘전설’,[18] ‘오해’,[20] ‘혼돈 상태의 전승’,[21] ‘지나치게 과격한 주장’[15] 등으로 평가받는다.

단테가 《신곡》에서 아나스타시오 2세를 제6지옥에 떨어진 것으로 묘사했다고 알려졌지만, 오늘날 단테 연구가들은 해당 구절에 나오는 인물이 아나스타시오 2세 교황이 아니라 동시대 동로마 제국의 황제였던 아나스타시우스 1세로 본다.[22][23][24]

아나스타시오 2세는 리베리오와 더불어[25] 초기 50인의 교황 가운데 성인으로 시성되지 못한 교황이다.[15]

참조

[1] 간행물 Pope Anastasius II
[2] 서적 Papal Genealogy: 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3-03-08
[3] 서적 Lives of the Popes: The Pontiffs from St. Peter to John Paul II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2013-03-08
[4] 논문 The Laurentian Schism: East and West in the Roman Church
[5] 서적 Justinian and the Later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Univ of Wisconsin Press 2013-03-08
[6] 서적 The Treatise on Laws (Decretum DD. 1–20) with the Ordinary Gloss https://books.google[...] CUA Press 2013-03-08
[7] 서적 Warriors of the Cloisters: The Central Asian Origins of Science in the Medieval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Foreign Media Group 2013-03-08
[9] 서적 Dante's Inferno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3-03-08
[10] 논문 Dante and the Classics
[11] 서적 The Inferno of Dante Alighieri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13-03-08
[12] 문서
[13] 웹사이트 St. Liberius the Pope of Rome http://oca.org/saint[...] Orthodox Church in America 2015-04-14
[14] 서적 Papal Genealogy: 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http://books.google.[...] McFarland 2013-03-08
[15] 서적 Lives of the Popes: The Pontiffs from St. Peter to John Paul II http://books.google.[...] HarperCollins 2013-03-08
[16] 저널 The Laurentian Schism: East and West in the Roman Church https://archive.org/[...]
[17] 서적 Justinian and the Later Roman Empire http://books.google.[...] Univ of Wisconsin Press 2013-03-08
[18] 서적 The Treatise on Laws (Decretum DD. 1-20) with the Ordinary Gloss http://books.google.[...] CUA Press 2013-03-08
[19] 서적 Warriors of the Cloisters: The Central Asian Origins of Science in the Medieval World http://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books.google.[...] Foreign Media Group 2013-03-08
[21]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books.google.[...] Foreign Media Group 2013-03-08
[22] 서적 Dante's Inferno http://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3-03-08
[23] 저널 Dante and the Classics https://archive.org/[...]
[24] 서적 The Inferno of Dante Alighieri http://books.google.[...] iUniverse 2013-03-08
[2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