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젤라시오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젤라시오 1세는 492년부터 496년까지 재위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이다. 그는 아프리카 또는 로마 출생으로 추정되며, 동로마 제국 황제 및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와의 갈등 속에서 교황 수위권을 강조했다. 젤라시오 1세는 이교 풍습 금지 및 교회 개혁을 추진했으며, '두 권력' 이론을 통해 교회의 권위를 주장했다. 그는 많은 저술을 남겼으며, 특히 《젤라시오 교령》과 《젤라시오 성무집전서》는 그의 대표적인 저술로 꼽힌다. 젤라시오 1세는 496년에 사망했으며, 11월 21일에 축일을 기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 출신 교황 - 교황 멜키아데
멜키아데는 309년 또는 310년에 교황으로 선출되어 도나투스파를 이단으로 단죄하고 라테라노 궁전을 기증받았으며, 314년에 사망했다. - 아프리카 출신 교황 - 교황 빅토르 1세
교황 빅토르 1세는 2세기 후반 코모두스 황제 시대에 재임하며 부활절 날짜 논쟁에서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테오도투스를 파문하는 등 기독교 문제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며 로마 교회의 권위를 강화하려 했던 교황이다. - 496년 사망 - 장맹명
- 496년 사망 - 고조용
고조용은 고구려 출신으로 북위에 이주하여 북제 문명태후의 후궁이 되었고, 선무제를 낳아 문소황후로 추존되었으나, 낙양으로 이동 중 급사하며 풍소의와의 연관성 등 의혹이 제기된 인물로, 그의 기록은 《위서》와 《북사》에 남아있으며, 위문소황태후 산릉지명은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묘지명으로 평가받는다. - 알제리의 로마 가톨릭 성인 - 교황 멜키아데
멜키아데는 309년 또는 310년에 교황으로 선출되어 도나투스파를 이단으로 단죄하고 라테라노 궁전을 기증받았으며, 314년에 사망했다. - 알제리의 로마 가톨릭 성인 - 교황 빅토르 1세
교황 빅토르 1세는 2세기 후반 코모두스 황제 시대에 재임하며 부활절 날짜 논쟁에서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테오도투스를 파문하는 등 기독교 문제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며 로마 교회의 권위를 강화하려 했던 교황이다.
교황 젤라시오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함 | 로마의 주교 |
교회 | 가톨릭 교회 |
재임 시작 | 492년 3월 1일 |
재임 종료 | 496년 11월 19일 |
이전 교황 | 펠릭스 3세 |
다음 교황 | 아나스타시오 2세 |
출생지 | 로마 아프리카 또는 로마 |
사망일 | 496년 11월 19일 |
사망 장소 | 로마, 동고트 왕국 |
축일 | 11월 21일 |
기타 | 젤라시오 |
이름 | |
일본어 | ゲラシウス1世 |
한국어 | 젤라시오 1세 |
생애 | |
국적 | 로마 |
사망 장소 | 로마 |
2. 출생과 초기 생애
젤라시오 1세는 발레시우스의 아들로, 그의 출생지에 대해서는 몇 가지 다른 의견이 있다. 《교황 연대표》는 젤라시오 1세를 '아프리카 태생(natione Afer)'으로 기록하였다. 반면 젤라시오 1세는 동로마 제국의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에게 보낸 서신에서 자신을 '로마 태생(Romanus natus)'이라고 언급하였다.[19] 어떤 이들은 이 문구가 반달족의 침입 이전 서로마 제국의 영역이었던 아프리카 속주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그렇게 쓴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20]
젤라시오 1세는 전임 교황 펠릭스 3세와 마찬가지로 동로마 제국 및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와의 갈등을 이어갔다.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였던 아카키우스의 이름을 디프티카에서 제거할 것을 요구하는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10] 에페미우스가 관계 회복을 시도했지만, 젤라시오 1세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아 교섭은 결렬되었다.
J. 코난트는 《교황 연대표》의 기록과 젤라시오 1세 자신의 주장이 다른 이유에 대해, 젤라시오 1세가 반달족 침략 이전 로마 아프리카에서 태어났음을 의미할 뿐이라고 주장했다.[7][8][9]
3. 아카키우스 분열과 교황 수위권
로마 교회의 관점에서 이러한 분열은 예수 그리스도에게는 오직 신성(神性)만이 있었을 뿐, 인성(人性)은 없었다는 단성설을 이단으로 규정했기 때문에 불가피했다. 젤라시오 1세는 자신의 저서 《그리스도 안의 두 가지 본성》(De duabus in Christo naturis)에서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을 옹호하며 단성론을 비판했다.
아카키우스 분열 기간 동안 젤라시오 1세는 교황 수위권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그는 교황이 사도 베드로의 계승자로서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를 통틀어 교회 전체를 통치할 권한을 가진다고 주장했다.[2] 이는 이후 중세 시대 교황권 강화의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3. 1. '두 권력' 이론
494년, 교황 젤라시오 1세는 동로마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에게 《두 권력(Duo sunt)》이라는 서한을 보내 교회와 국가 간의 관계를 정립했다.[21] 그는 세상이 황제의 세속 권력(속권)과 교황의 신성한 권위(교권)라는 두 가지 구별되는 권력에 의해 통치된다고 주장했다.[22] 젤라시오 1세는 두 권력이 모두 하느님으로부터 기인하며, 각자의 영역에서 독립적이라고 보았다. 그는 “영적 권력은 세상의 권력으로부터 완벽하게 독립적”이라고 선언했다.
그러나 그는 영적인 문제에 있어서는 교권이 속권보다 우위에 있다고 강조했다. 즉, 세속 통치자들도 영적인 문제에 있어서는 교회의 가르침에 순종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인간의 영적 생활은 모두 교권의 지도를 받아야 하고, 따라서 교권은 속권보다 상위의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국가 권력이 영적 생활까지 간섭하는 행위를 중지하라는 묵시적 시사였다. 이러한 '두 권력' 이론은 중세 시대 교황권과 황제권 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4. 이교 풍습 금지와 교회 개혁
젤라시오 1세는 로마에 남아있던 이교 사상의 잔재를 없애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고대 로마 시대부터 오랫동안 이어져 온 루페르칼리아 축제를 금지했다.[9] 젤라시오 1세는 루페르칼리아 축제를 계속 지내려고 한 원로원 의원 안드로마쿠스에게 이를 비판하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이 편지에는 루페르칼리아 축제의 일부 내용이 자세히 담겨 있어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자료이다. 젤라시오 1세에 의해 루페르칼리아 축제가 사라졌지만, 그가 남긴 편지를 통해 당시 축제가 다산과 정결 의식을 포함한 성격을 지녔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정화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페브루아레(februare)'에서 축제의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여기에서 2월을 뜻하는 영어 단어 '페브러리(February)'가 나왔다. 루페르칼리아 축제가 금지된 대신, 예수 성탄 대축일로부터 40일 후인 2월 2일에 성모 마리아가 아기 예수를 성전에 봉헌한 것을 기념하는 주님 봉헌 축일을 지내게 되었다. 이 축일은 '촛불 축제'로도 불린다.
또한 젤라시오 1세는 마니교의 책들을 모두 찾아내어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입구에서 불태워 버렸다.
5. 저술 활동과 유산
젤라시오 1세는 초기 교황들 중에서 많은 글을 쓴 인물 중 한 명이다. 그의 서한과 논문들은 오랫동안 중요한 자료로 남아 바티칸에 엄중히 보존되어 있다. 특히 교황의 수위권을 동방 주교들에게 설명하는 것을 포함하여 서방 교회들의 규정들을 묶은 서한집과 칙령집이 유명하여 이 시대를 ‘젤라시오 르네상스’라고도 부른다. 젤라시오 1세의 보수적인 라틴어 문체는 고대 후기와 중세 초기의 문체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받는다.[18]
100통이 넘는 젤라시오의 서신이 남아 있는데, 이 중 49통은 단편적이며, 몇 줄에 불과한 것도 있다.[12] 또한, 젤라시오의 이름으로 된 6편의 논문이 현존한다. 카시도루스에 따르면, 젤라시오의 명성은 그에게 그의 작품이 아닌 다른 작품들까지 끌어들였다. 아카키우스 분열과 관련된 그의 교리적 서신은 고대 후기에 널리 유포되었고 (그리고 많은 학문적 관심을 받았다), 젤라시오의 서신 대부분은 사실상 수르비카리아 교구의 교회 행정을 다루고 있었다.[13]
5. 1. 젤라시오 교령
《젤라시오 교령》(Decretum Gelasianum)은 젤라시오 1세의 대표적인 저술로서 ‘공인받은 책과 공인받지 못한 책’(de libris recipiendis et non recipiendis)의 목록, 즉 정통 기독교 신앙에 대한 위협 속에서 젤라시오 1세가 성경의 정경과 위경을 구분한 교령이다. 따라서 성경의 정경 목록은 통상적으로 젤라시오 1세에 의해 고정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23]5. 2. 젤라시오 성무집전서
《젤라시오 성무집전서》라고도 불리는 《로마 교회 성무집전서》(Liber sacramentorum Romanae ecclesiae)는 메로빙거 왕조 시대에 작성된 가톨릭 전례서이다. 가톨릭 전승에 따르면, 젤라시오 1세가 직접 집필한 전례서에 담긴 로마 관습을 훗날 메로빙거 교회가 갈리아 관습까지 포함시켜 새로이 펴낸 것이라고 전해진다.가짜 ''젤라시안 성사집''은 8세기 중반 파리 근처에서 로마 자료를 바탕으로 갈리아 전례 요소를 포함하여 필사된 전례서이다. 젤라시오 1세가 작성한 몇몇 기도문이 포함되어 있지만, 그는 이 책의 주요 저자나 편집자는 아니었다. 이 필사본(바티칸, 바티칸 도서관, Reg. lat. 316 + 파리, 국립 도서관, ms. lat. 7193, fol. 41–56)의 실제 제목은 ''Liber sacramentorum Romanae ecclesiae'' (''로마 교회의 성사집'')이다. 젤라시오 1세에게 귀속된 것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Liber Pontificalis''라고 불리는 교황 연대기에 근거하는데, 여기에는 젤라시오 1세에 대해 "''fecit etiam et sacramentorum praefationes et orationes cauto sermone et epistulas fidei delimato sermone multas''" ("그는 또한 성사에 대한 서문과 주의 깊은 언어로 된 기도문, 그리고 믿음에 관해 세련된 언어로 된 많은 서신을 만들었다.")라고 언급되어 있다.[15] 낡은 전통은 이 책을 젤라시오 1세와 연결하는데, 이는 분명히 이 책을 그에게 귀속시킨 발라프리트 스트라보의 탓으로 보인다.
6. 사망과 시성
젤라시오 1세는 짧지만 역동적인 사역을 펼친 후 496년 11월 19일에 사망했다. 그의 축일은 그의 사망일이 아닌 매장 기념일인 11월 21일이다.
참조
[1]
논문
The Three African Popes.
[2]
간행물
Pope St. Gelasius I
[3]
문서
The title of his biography by Walter Ullmann expresses this:''Gelasius I. (492–496): Das Papsttum an der Wende der Spätantike zum Mittelalter'' (Stuttgart) 1981.
[4]
서적
Gelasius I. (492-496) : das Papsttum an der Wende der Spätantike zum Mittelalter
http://worldcat.org/[...]
Hiersemann
1981
[5]
논문
Lay Aristocrats and Ecclesiastical Politics: A New View of the Papacy of Felix III (483–492 C.E.) and the Acacian Schism
https://muse.jhu.edu[...]
2019
[6]
서적
Heirs of Roman persecution: studies on a Christian and para-Christian discourse in late antiquity
http://worldcat.org/[...]
Routledge
[7]
문서
Gelasius I, Pope, St.
Gale
[8]
서적
Staying Roman: Conquest and Identity in Africa and the Mediterranean, 439–700
CUP
[9]
웹사이트
Book of Saints – Pope Gelasius
https://catholicsain[...]
2020-08-20
[10]
간행물
Gelasius
[11]
웹사이트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Project
https://sourcebooks.[...]
2020-08-20
[12]
서적
The letters of Gelasius I (492-496): pastor and micro-manager of the Church of Rome
Brepols
2014
[13]
논문
Gelasius and the Ostrogoths: jurisdiction and religious community in late fifth-century Italy
https://onlinelibrar[...]
2022
[14]
웹사이트
Tertullian : F.C.Burkitt, Review of The decretum Gelasianum,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14 (1913) pp. 469-471
https://www.tertulli[...]
2022-01-20
[15]
문서
Translation is based on Louise Ropes Loomis, ''The Book of the Popes (''Liber pontificalis'') I'', New York, New York, USA, Columbia University Press, 1916, pp. 110-4
[16]
문서
Quo Graviora, Leo XII, 1826
[17]
논문
The Three African Popes.
http://www.questia.c[...]
2008-04-10
[18]
문서
The title of his biography by Walter Ullmann expresses this:''Gelasius I. (492–496): Das Papsttum an der Wende der Spätantike zum Mittelalter'' (Stuttgart) 1981.
[19]
문서
Gelasius I, Pope, St.
Gale
[20]
서적
Staying Roman: Conquest and Identity in Africa and the Mediterranean, 439–700
CUP
[21]
웹인용
Medieval Sourcebook: Gelasius I on Spiritual and Temporal Power
http://www.fordham.e[...]
2013-11-11
[22]
저널
8세기 중엽 교황의 리더십
호서사학회
2009
[23]
문서
F.C.Burkitt, Review of The decretum Gelasianum",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http://www.tertullia[...]
1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