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니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니쿄는 740년 후지와라노 히로쓰구의 난 이후 쇼무 천황의 칙명에 의해 헤이조쿄에서 천도된 일본의 옛 수도이다. 다치바나노 모로에의 세력 기반을 고려하여 사가라 지역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743년 조영이 중단되고 오미 시가라쿠 궁으로 천도되었다. 이후 나니와쿄를 거쳐 745년 헤이조쿄로 다시 환도되었으며, 궁궐은 헤이조 궁을 간략화한 형태로 건설되었다. 2006년까지의 발굴 조사를 통해 중국식 배치를 따른 주요 건물과 궁궐의 규모가 확인되었으며, 1957년 국가지정문화재(사적)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쇼무 천황 - 고쿠분지
    고쿠분지는 8세기 쇼무 천황의 칙령으로 각 구니에 세워진 사찰로, 승려를 위한 고쿠분사와 수녀를 위한 고쿠분니사로 나뉘어 운영되었으며 도다이지와 홋케지가 총본산 역할을 수행했고 현재 일본 각지에 관련 지명과 사적, 사원이 남아 있다.
  • 쇼무 천황 - 만간지 (가와니시시)
    만간지는 일본 효고현 가와니시시에 위치한 사찰로, 쇼무 천황의 칙원으로 창건되어 겐지 일문, 고다이고 천황, 아시카가 쇼군가의 기원소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금당, 관음당, 석조 구중탑 등을 보유하고 있다.
  • 일본의 옛 수도 - 나가오카쿄
    나가오카쿄는 784년 간무 천황이 건설한 수도로, 수운에 유리하고 후지와라노 다네쓰구 가문의 지지 기반이었으나, 사건과 재앙으로 인해 794년 헤이안쿄로 천도되었으며, 현재는 나가오카쿄시로 그 이름을 이어가고 있다.
  • 일본의 옛 수도 - 헤이안쿄
    794년부터 1869년까지 일본의 수도였던 헤이안쿄는 간무 천황이 당나라 장안성을 본떠 건설한 도시로, 직사각형 형태와 조방제 도시 계획, 주작대로를 중심으로 한 우경과 좌경의 구분, 그리고 도시 북쪽에 위치한 황궁 다이다이리로 특징지어진다.
  • 기즈가와시의 역사 - 소라쿠군
    소라쿠군은 교토부 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1879년 공식 발족하여 과거 기즈가와시를 포함했으나 현재는 가사기정, 미나미야마시로촌, 세이카정, 와즈카정 4개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 제조업, 관광업을 중심으로 지역 경제가 운영되고 국도 163호선과 307호선을 중심으로 교통망이 형성되어 있다.
  • 기즈가와시의 역사 - 야마시로정 (교토부)
    야마시로정은 교토부 남부에 위치했던 지역으로, 2007년 기즈정, 가모정과 합병하여 기즈가와시가 되었으며, 기즈가와 강을 끼고 서쪽은 평지, 동쪽은 산악 지형을 보이고, JR 나라선과 국도 24호선 등을 통해 접근할 수 있었다.
구니쿄
개요
위치일본 기나이 야마시로국 소라쿠군 가사정 (현 교토부 기즈가와시)
수도 기간740년 ~ 744년
시대나라 시대
역사
배경후지와라노 히로쓰구의 난
천도쇼무 천황이 740년에 수도를 옮김
환도744년에 난바쿄로 환도
중요 사건구니쿄에 도다이지 대불전 건설 시도
유적
주요 유적구니쿄 대극전 터 (야마시로 국분사 금당 터)
발굴 조사궁궐, 관청, 사찰 등 확인
관련 문화재
지정 문화재중요 문화재: 목조 십일면관음 입상 (간신지 소장)
사적: 구니쿄 터
참고 자료
관련 서적교토부 가사 정사 편찬 위원회 편 『가사 정사』
(주) 평범사 지방 자료 센터 편 『일본 역사 지명 대계 26 교토부의 지명』
다케우치 리조 저 『기즈가와 시의 역사』

2. 역사적 배경

740년 후지와라노 히로쓰구의 난 이후 쇼무 천황헤이조쿄에서 구니쿄로 천도할 것을 명하였다. 새 수도로 다치바나노 모로에의 본거지였던 사가라가 선택되었다.[1]

741년에는 좌경과 우경이 정해졌고, 11월에는 '''다이요토쿠 구니노오미야'''라는 공식 명칭이 결정되었다. 헤이조쿄에서 다이코쿠덴을 옮겨왔고, 다이큐울타리가 축조되어 궁궐이 지어졌다. 조보지할당이 이루어졌고, 기즈 강에 큰 다리가 가설되었다.[1]

그러나 743년 말, 구니쿄 건설은 중단되었고, 쇼무 천황은 오미 시가라쿠 궁으로 거처를 옮겼다. 742년 가을부터는 이미 오미국에서 궁궐 건설이 시작되고 있었다. 744년 2월, 호즈미노 오이를 류스칸으로 임명하여 나니와쿄로 천도하였고, 745년 5월에는 다시 헤이조쿄로 수도를 되돌렸다.[1][2]

2. 1. 천도 이전의 상황

구니 지역은 당시 다조칸(대(大)의회)을 실질적으로 장악한 대신이었던 다치바나노 모로에의 세력 기반이었다.[1] 이후 시가라키를 수도로 선호한 것은, 후지와라 씨가 오미국의 시가라키 지역 주변으로 세력을 뻗치면서 재기를 노렸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1]

2. 2. 천도 과정 (740년 ~ 744년)

740년 후지와라노 히로쓰구의 난 이후 쇼무 천황헤이조쿄에서 구니쿄로 천도할 것을 명하였다.[1] 새 수도로 다치바나노 모로에의 본거지였던 사가라가 선택된 이유로 꼽힌다.[1]

741년 9월에는 좌경과 우경이 정해졌고, 11월에는 '''다이요토쿠 구니노오미야'''라는 공식 명칭이 결정되었다.[1] 헤이조쿄에서 다이코쿠덴을 옮겨왔고, 다이큐울타리가 축조되어 궁궐이 지어졌다.[1] 조보지할당이 이루어졌고, 기즈 강에 큰 다리가 가설되었다.[1]

그러나 743년 말, 구니쿄 건설은 중단되었고, 쇼무 천황은 오미 시가라쿠 궁으로 거처를 옮겼다.[1] 742년 가을부터는 이미 오미국에서 궁궐 건설이 시작되고 있었다.[1] 744년 2월, 호즈미노 오이를 류스칸으로 임명하여 나니와쿄로 천도하였고,[1] 745년 5월에는 다시 헤이조쿄로 수도를 되돌렸다.[2]

구니쿄는 결국 완공되지 못하고, 744년에 수도는 시가현 고카의 시가라키 궁으로 다시 옮겨졌다.[1] 이는 다치바나노 모로에의 세력 기반이었던 구니 지역과 후지와라 씨가 세력을 확장하던 시가라키 지역 사이의 권력 다툼의 결과였을 가능성이 있다.[1] 이후 나니와쿄로의 천도는 두 세력 간의 타협점이었을 수 있지만,[1] 결국 745년에 수도는 헤이조쿄로 돌아갔다.[2]

2. 3. 천도 이후

745년 쇼무 천황은 수도를 나니와쿄(오사카)로 옮겼고,[1] 그 해가 끝나기 전에 다시 나라현 나라헤이조쿄로 되돌렸다.[2]

748년(덴표 18년) 구니노미야 다이코쿠덴은 야마시로 국분사로 옮겨졌다.

궁은 헤이조 궁을 간략화한 정도였으며, 남북 750m, 동서 560m의 남북으로 긴 직사각형이었다. 조정원도 헤이조 궁보다 동서로 폭이 좁았고, 널빤지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었다. 서쪽은 좁은 계곡, 동쪽은 기즈 강의 범람원으로 인해 궁과 경의 조영이 제약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소규모였던 것으로 보이며, 조보제를 나타내는 유구도 확인되지 않았다.

3. 구조 및 특징

2006년까지의 발굴을 통해 헤이조쿄를 본뜬 중국식 배치를 따르는 주요 건물인 대극전과 내리가 드러났다. 궁궐의 면적은 동서 560m, 남북 750m로 추정된다.[3]

3. 1. 도시 배치

2006년까지의 발굴을 통해 헤이조쿄를 본뜬 중국식 배치를 따르는 주요 건물, 즉 대극전과 내리가 드러났다. 궁궐의 면적은 동서 560m, 남북 750m로 추정된다.[3]

4. 발굴 조사

2015년 10월 8일, 교토부 교육위원회는 구니쿄 유적에서 "원일조하"에 사용할 깃발이나 깃대를 세웠을 것으로 보이는 기둥 구멍 자국이 발견되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헤이조쿄, 나가오카쿄 유적에 이은 3번째 사례이며, "정월을 축하하는 습속의 흔적으로는 국내 최고(最古)"라고 한다.[3]

4. 1. 주요 발굴 내용

2006년까지의 발굴 조사를 통해 중국식 배치를 따른 주요 건물인 대극전과 내리 터가 확인되었다. 궁궐터의 면적은 동서 560m, 남북 750m로 추정된다.[3]

2015년 10월 8일, 교토부 교육위원회는 구니쿄 유적에서 새해를 축하하는 의식인 "원일조하"에 사용할 깃발이나 깃대를 세웠을 것으로 보이는 기둥 구멍 자국이 발견되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환도 후의 헤이조쿄, 나가오카쿄 유적에 이은 3번째 사례이며, "정월을 축하하는 습속의 흔적으로는 국내 최고(最古)"라고 한다. 교토부 교육위원회는 741년(덴표 13년)과 742년(덴표 14년) 정월에 의식을 치른 흔적으로 보고 있다.

4. 2. 문화재 지정

1957년(쇼와 32년) 7월 1일, 국가지정문화재(사적)로 "야마시로 국분사 유적"이 지정되었다.[6] 2007년(헤이세이 19년) 2월 6일, 사적 범위가 추가 지정되고 명칭이 "구니쿄 유적(야마시로 국분사 유적)"으로 변경되었다.[6]

이후 사적 범위는 여러 차례 추가 지정되었다. 추가 지정은 2008년(헤이세이 20년) 7월 28일, 2010년(헤이세이 22년) 2월 22일, 2015년(헤이세이 27년) 3월 10일, 2017년(헤이세이 29년) 2월 9일, 2018년(헤이세이 30년) 2월 13일에 이루어졌다.[6][7]

5. 만엽집 속의 구니쿄


  • 이제 알려주오, 구니쿄(久邇の京)에서 누이와 만나지 못한 지 오래되었으니, 가서 곧 보리라 (『만엽집』768)[1]
  • 지금 건설하는 구니쿄(久邇の京)는 산과 강의 맑음을 보니, 과연 알 만하구나 (『만엽집』1037)[1]
  • 미카(三香)의 들판, 구니쿄(久邇の京)는 황폐해졌네, 대궐 사람들이 옮겨가니 (『만엽집』1060)[2]
  • 지금 건설하는 구니쿄(久邇の京)에서 가을밤 긴 밤에 혼자 잠드는 것이 괴롭구나 (『만엽집』1631)[1]

6. 현대의 구니쿄

현재 구니쿄 유적은 서일본 여객철도(JR) 간사이 본선(야마토지선) 가모역에서 도보로 30분 거리에 있다.

6. 1. 주변 정보


  • 기즈가와시립 구니 초등학교 (인접)
  • 가이주센지
  • 조넨지
  • 구니쿄 도호쿠 길

참조

[1] 서적 Ancient Jap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Harvnb
[3] 웹사이트 恭仁宮跡の発掘調査 (Excavations on the Kuni Palace site, Kyoto Prefectural Board of Education) http://www.kyoto-be.[...] 2007-03-14
[4] 뉴스 「幻の都」で新年祝った? 京都・恭仁京の宮跡に遺構 -佐藤剛志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5-10-09
[5] 뉴스 国内最古、正月祝う遺構か 京都・恭仁宮跡で旗の柱穴確認 http://www.kyoto-np.[...] 京都新聞社 2015-10-08
[6] 문서 恭仁宮跡(山城国分寺跡)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
[7] 문서 平成30年2月13日文部科学省告示第18号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