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이조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이조쿄는 710년 일본의 겐메이 천황에 의해 건설되어 784년 간무 천황의 나가오카쿄 천도까지 존재했던 고대 일본의 수도이다. 잦은 천도와 환도를 거쳤으며, 810년 헤이제이 상황의 환도 시도가 구스코의 변으로 무산되기도 했다. 헤이조쿄는 장안을 모델로 한 조방제 도시 계획으로 건설되었으며, 대극전, 주작문 등 주요 건축물과 사찰들이 위치했다. 1300주년 기념 행사가 열리기도 했으며, 긴테쓰 나라선이 헤이조 궁터를 관통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시 - 가스가산 원시림
    나라현에 위치한 가스가야마 원시림은 벌목 금지 후 신성한 지역으로 지정되어 특별천연기념물로 보호받고 있으며, 도심 근교 원시림의 희소성과 생태적 가치, 가스가타이샤 신사와의 연관성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겐메이 천황 - 후지와라노 후히토
    후지와라노 후히토는 나라 시대 초기 귀족이자 정치가로서, 후지와라 씨 번영에 기여하고 율령 제정 역할 수행, 딸들을 황실에 시집보내 외척 지위를 공고히 하는 등 업적을 남겼으나, 권력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하는 인물이다.
  • 겐메이 천황 - 구사카베노 황자
    덴무 천황과 지토 천황 사이에서 태어난 구사카베노 황자는 황태자에 책봉되었으나 요절하여 즉위하지 못했고, 사후 그의 아들인 가루 황자가 몬무 천황으로 즉위하며 황통을 이었다.
  • 헤이조쿄 - 고후쿠지
    고후쿠지는 669년 후지와라 가마타리가 창건한 나라의 불교 사찰로, 후지와라 씨의 후원을 받아 번성했으나 화재와 전란으로 피해를 입고 재건을 거듭했으며, 현재는 여러 문화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헤이조쿄 - 헤이조궁
    헤이조궁은 710년부터 784년까지 일본의 수도였던 헤이조쿄의 천황 거처로, 내정과 외조, 주작문 등의 시설을 갖추었으며,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어 국영 역사공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헤이조쿄
지도
기본 정보
이름헤이조쿄
로마자 표기Heijō-kyō
별칭나라노미야코
위치일본 나라
역사
수도710년 ~ 784년 (74년 간)
이전 수도후지와라쿄
다음 수도나가오카쿄
시대나라 시대
구조
모델중국 장안성
크기남북: 약 4.3 km
동서: 약 4.7 km
궁궐헤이조 궁
주요 도로스자쿠 대로
관련 문화유산
유네스코 세계유산고도 나라의 문화재의 일부
특별 사적헤이조 궁 터

2. 역사

후지와라쿄(藤原京)에서 헤이조쿄(平城京)로의 천도는 몬무 천황 재위 중이던 게이운(慶雲) 4년(707년)에 처음 논의가 시작되어, 이듬해인 와도(和銅) 원년(708년)에 겐메이 천황이 공식적으로 천도 조(詔)를 내렸다. 그러나 실제 천도는 710년 3월 10일에 이루어졌는데, 당시에는 궁전인 다이리(内裏)와 정전인 대극전(大極殿), 그 밖의 다른 관사 정도만 정비되었을 뿐이었다.[2] 사찰이나 귀족 관료들의 저택은 간무 천황야마시로국(山城国)의 나가오카쿄(長岡京)로 천도하기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덴표(天平) 12년(740년)에는 구니쿄(恭仁京)나 나니와쿄(難波京)로 잠시 천도했다가, 덴표 17년(745년)에 헤이조쿄로 다시 환도했다. 이후 엔랴쿠(延暦) 3년(784년)에 간무 천황나가오카쿄(長岡京)로 천도할 때까지 일본의 정치적 중심지 역할을 했다. 야마시로 국으로 천도한 뒤에는 난토(南都)라고 불렸다.

고닌(弘仁) 원년(810년) 9월 6일, 헤이제이 상황이 총비 후지와라노 구스코(藤原藥子)의 꼬임에 넘어가 헤이안쿄를 버리고 헤이조쿄로 환도한다는 조를 내렸다. 이에 맞서 사가 천황이 신속하게 군사를 일으켜 상황 세력을 제압했고, 9월 12일에 헤이제이 상황이 머리를 깎고 불문에 들면서(구스코의 변) 헤이조 환도는 실현되지 않았다.[3][4]

2. 1. 건설 배경

707년 몬무 천황 때 헤이조쿄 천도 논의가 시작되었다.[2] 708년 겐메이 천황이 공식적으로 천도를 명했다.[2] 710년 3월 10일, 다이리(内裏)와 정전인 대극전(大極殿) 등 기본적인 궁궐 시설을 갖추고 헤이조쿄로 천도하였다.[2] 사찰, 귀족 관료 저택 등은 간무 천황나가오카쿄로 천도할 때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건설되었다.[2]

2. 2. 잦은 천도와 환도

707년 몬무 천황 재위 중에 헤이조쿄 천도 논의가 시작되었고, 708년 겐메이 천황이 천도 조(詔)를 내렸다. 그러나 710년 3월 10일에 궁전인 다이리(内裏)와 정전인 대극전(大極殿), 그 밖의 다른 관사를 정비하는 정도에 그쳤고, 사찰이나 귀족 관료들의 저택은 간무 천황나가오카쿄로 천도할 때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조성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덴표 12년(740년) 구니쿄, 나니와쿄 등으로 잠시 천도했다가, 덴표 17년(745년) 헤이조쿄로 다시 환도했다. 엔랴쿠 3년(784년) 간무 천황이 나가오카쿄로 천도하면서 헤이조쿄 시대는 막을 내렸다.[2]

2. 3. 구스코의 변

고닌(弘仁) 원년(810년) 9월 6일, 헤이제이 상황이 총비 후지와라노 구스코(藤原藥子)의 꼬임에 넘어가 헤이안쿄를 버리고 헤이조쿄로 환도한다는 조를 내렸다. 이에 맞서 사가 천황이 신속하게 군사를 일으켜 상황 세력을 제압했고, 9월 12일에 헤이제이 상황이 머리를 깎고 불문에 들면서( 구스코의 변) 헤이조 환도는 실현되지 않았다.

3. 명칭 논란

平城의 일본어 독법은 "헤이조"(へいじょう)이며, "헤이제이"(へいぜい)로 읽는 것에 대해서는 여러 논의가 있다.[5]

패전 후 일본의 교과서에서는 "헤이조쿄"(へいじょうきょう)로만 표기되었는데, 1980년대부터는 "헤이제이쿄"(へいぜいきょう)를 병기하는 출판사도 등장했다.[5] 이는 헤이조 천황을 "헤이제이"라고 읽는 것과, 한자 음으로 "平"이 한음(漢音)의 "헤이"와 오음(吳音)의 "효", "城"이 한음의 "세이"와 오음의 "죠"가 있으며, 이 음을 한음으로 통일하면 "헤이제이"가 되기 때문으로 보인다.[5] 그러나 "京"을 "쿄"라고 읽는 것은 오음이다.[5]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헤이제이"라는 읽기가 보이며, 『국사대사전』의 제목도 "헤이제이쿄"이지만,[7] 일반적으로는 "헤이조"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나라현에서 추진하는 헤이조 천도 1300주년 기념사업도 "헤이조"라고 발음되고 있다.

이와 같이 헤이조쿄는 현대에는 음독으로 "헤이죠쿄" 또는 "헤이제이쿄"라고 읽지만, 과거에는 나라쿄(네이라쿠쿄, 나라의 궁궐)라고 불렸다. 762년의 정창원 문서의 기록 외에도, 헤이조쿄 천도 당시의 조성토에서 "나라쿄"라고 적힌 목간이 발굴되었다.[8]

4. 도시 구조

헤이조쿄는 남북으로 긴 장방형 모양으로, 중앙의 주작대로를 축으로 좌경과 우경으로 나뉜다. 좌경의 경사진 면에는 게쿄(外京)가 설치되어 있었다. 동서에는 이치조(一条)에서 구조(九条)까지, 남북에는 주작대로와 좌우경 1방(坊)에서 4방의 큰길이 설치된 조방제(条坊制) 도시 계획이었다. 각 길의 너비는 약 532m, 길로 둘러싸인 부분(방)은 도랑과 쓰이지(築地)로 구획되었다. 전체 규모는 동서 약 4.3km(게쿄 포함 6.3km), 남북 약 4.7km(북변방 제외)이다. 우경 북쪽에는 북변방(北辺坊)이 있었다.[9]

헤이조쿄의 시가지 지역은 야마토 분지 중앙부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야마토 고도(大和の古道)의 아랫길과 중간길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아랫길이 주작대로에 해당하고, 중간길이 좌경 동쪽을 경계하는 동사방대로(약간 차이가 있음)에 해당한다. 이조 대로에서 오조 대로에 걸쳐서는 3방 분의 조방 구획이 동사방대로보다 동쪽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이것을 외경이라고 한다.

시가지의 주택지는 계급에 따라 크기가 정해졌으며, 귀족이 차지하는 12정을 필두로 하여 작은 단위의 주택지가 주어졌다.[10] 토지는 공유제이므로 원칙적으로는 천황으로부터 받은 것이었다.

당나라의 수도 장안(長安)을 모방하여 만들어졌다는 것이 일반적인 정설이다. 그러나, 헤이조쿄는 북위(北魏)의 낙양성(洛陽城) 등을 모델로 한 일본 독자적인 발전형이라는 견해도 있다.

4. 1. 건축물

헤이조쿄(내리)는 주작대로 북쪽 끝에 위치하며, 주작문이 설치되었다. 중심 건물인 대극전은 740년 구니쿄 천도 때 헐렸다가, 745년 헤이조쿄 환도 후 원래 위치 동쪽(임생문 북쪽)에 재건되었다. 주작대로 남쪽 끝에는 라조몬이 있었고, 구조대로 남쪽 변에는 경을 둘러싼 라성(도성 주위에 만들어진 성벽[11])이 있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라성은 라조몬에 연결되는 극히 일부만 축조되었을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경내 주요 사찰로는 다이안지, 약사지, 흥복사, 원흥사(이상 사대사)가 있으며, 이들은 후지와라쿄에서 천도할 때 이전된 것이다. 동대사는 동경극대로에 접한 경역 동쪽 바깥에 있으며, 덴표쇼호 4년(752년)에 성무 천황에 의해 창건되었고, 서대사는 우경 북쪽에 위치하며, 쇼토쿠 천황에 의해 덴표진고 원년(765년)에 창건되었다. 이들에 법륭사를 더하여 칠대사(남도칠대사)라 칭한다. 이 외에도 해룡왕사, 법화사, 당장사, 스가와라데라(기코지), 신약사지, 기지(자원이 남아있다), 사이류지(폐사) 등이 있었다.

5. 주요 사찰

헤이조쿄의 주요 사찰은 다음과 같다.


  • 다이안지(大安寺)
  • 간고지(元興寺)
  • 코후쿠지(興福寺)
  • 사이다이지(西大寺)
  • 도다이지(東大寺)
  • 야쿠시지(薬師寺)

6. 발굴 및 조사

1852년(가에이 5년) 북포 정정(北浦定政)이 헤이조쿄 추정지를 조사하여 의 둑과 도로에서 도시의 흔적을 발견하고, 『평성궁대내리적평할지도(平城宮大內裏跡坪割之図)』[12]를 작성하였다.

1897년(메이지 30년) 지리학자 가와다 히구마(河田羆)가 중심이 되어 편집한 『연혁고증일본독사지도(沿革考証日本読史地図)』에 관련 그림이 게재되었다.

세키노 사다(関野貞)는 대극전(大極殿) 기단을 발견하고, 평성궁(平城宮) 복원 연구를 심화시켜, 1907년(메이지 40년) 『평성궁 및 대내리고(平城宮及大内裏考)』를 발표하였다.[13] 다나다 카주타로(棚田嘉十郎)는 "나라 대극전 보존회(奈良大極殿保存会)"를 설립, 1924년부터 평성궁(平城宮) 발굴 조사를 시작하였다. 1959년부터 나라 국립문화재연구소(奈良国立文化財研究所)가 발굴을 계속하여, 2004년 기준 약 30%가 발굴되었다.

대내리(大内裏) 부근은 현재 긴테쓰 나라 선 야마토사이다이지 역(大和西大寺駅)과 신다이묘 역(新大宮駅) 사이에 있으며, 1922년 사적, 1952년 특별사적(평성궁터(平城宮跡))으로 지정되었다.

1961년 처음으로 목간이 출토되었고[14], 1967년 평성궁 동쪽 돌출 부분에서 나라 시대 정원이 발견되었다. 동서 70m, 남북 100m 크기로, 연못, 다리, 건물이 있었다. 「속일본기(続日本紀)」의 "동원(東院)의 옥전(玉殿), 덮는 데 瑠璃의 기와를 써서"라는 기사처럼 유약을 바른 기와가 출토되었다. 이 정원은 평성궁 동원정원(平城宮東院庭園)으로 불리며 국의 특별명승으로 지정되었다.[15]

1978년 궁역 밖 평성경 좌경 삼조 이방궁터 정원이 국의 특별사적, 1992년 특별명승[15][16]이 되었고, 주작대로(朱雀大路) 일부(이조-삼조 부근)는 1984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15]

평성궁 남동쪽, 궁터 정원 북쪽에 인접한 좌경 삼조 이방에 나가야왕(長屋王) 저택(면적 4정(町))이 있었다. 나라 소고(奈良そごう) 건설 중 1988년 출토된 3만여 점의 목간[17][18][19] 해독 결과, 나가야왕가의 생활상이 밝혀졌다. 쌀을 관리하는 대취사(大炊司), 얼음 저장용 빙실(氷室)을 관리하는 수취사(水取司) 등 가정기관, 사용인 거주구, 창고 등이 있었다. 창고에는 쌀, 보리, 전복 등 다양한 물자가 운반되었고, 황족과 귀족이 먹던 유제품 소(蘇)도 나가야왕가 식탁에 올랐다는 사실이 목간에서 확인되었다.

7. 1300주년 기념 행사

2010년은 나라 헤이조쿄(平城京) 건설 1300주년이 되는 해였다. 나라현 일대에서 2010년 4월 24일부터 11월 7일까지 "헤이조 천도 1300년제"平城遷都1300年祭|헤이죠센토센산뱌쿠넨사이일본어가 개최되었다. 이 행사에는 국보 및 기타 문화재 특별 전시, 나라의 명소를 탐방하는 도보 행사, 나라 전역의 다양한 장소에서 열리는 전통 행사 등이 포함되었다.[1]

주요 행사장은 헤이조 궁터였으며, 그 외에 이카루가, 아스카, 가쓰라기, 요시노 등지에서도 행사가 개최되었다.[1]

주 행사장기타 행사장


8. 긴테쓰 나라선 문제

1914년 오사카 전기궤도가 현재의 킨테쓰 나라 선을 개통했을 당시, 헤이조쿄의 정확한 범위는 밝혀져 있었지만[1] 세간의 관심 부족과 신문지법 등의 언론 검열로 인해 헤이조궁을 관통하는 노선이 되었다.

2010년 12월, 옛 헤이조쿄 궁터를 가로지르는 킨테쓰 나라 선

9. 기타

헤이조쿄는 실크로드의 종착점으로, 당나라, 신라, 멀리는 인도 주변 사람들까지 거주했던 국제도시였다. 동대사 정창원의 보물 등에서 그 시대를 짐작할 수 있다.[2]

간무 천황이 헤이조쿄에서 나가오카쿄로 천도한 이유 중 하나는 헤이조쿄의 지리적 조건과 용수 인프라의 불편함이었다. 헤이조쿄는 큰 강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대량 수송이 가능한 큰 배를 사용할 수 없었고, 식량 등을 효율적으로 운반하기 어려웠다. 비교적 작은 강은 흘렀지만, 인구 10만 명을 품고 있던 당시에는 항상 물이 부족했다. 생활하수와 배설물은 도로 옆 도랑에 버려져 강물로 흘려보내는 구조였지만, 물이 거의 흐르지 않아 오물이 쌓여 위생 상태는 한계에 달했다.[2]

최근 연구에 따르면, 헤이조쿄의 외항이었던 난바쓰의 토사 퇴적과 산국천(현재의 신사키가와) 공사에 의한 요도가와와의 연결이 수도의 위치를 야마토국(아스카쿄, 후지와라쿄, 헤이조쿄)에서 야마시로국(나가오카쿄, 헤이안쿄)으로 바꾸었다는 설이 제기되었다.[20]

헤이조쿄 건설에는 다나카미야마(田上山, 현재의 오쓰시)의 히노키가 대량으로 벌채되어 사용되었다.[21][22] 이로 인해 다나카미야마는 벌거숭이 산이 되었고, 에도 시대부터 현재까지 녹화가 계속되고 있지만 아직 식생은 회복되지 않고 있다.[23]

참조

[1] 웹사이트 (48)平城京の人口と役人たち https://www.nabunken[...] 2022-08-16
[2] 서적 平安遷都直前の元旦朝賀と賜宴 塙書房
[3] 서적 平城京の時代 岩波書店
[4]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 平城京 https://kotobank.jp/[...] 2019-09-06
[5] 뉴스 「平城京の読み方って「へいぜいきょう」だったっけ?」 https://www.excite.c[...] Excite Bit コネタ 2010-01-22
[6] 서적 史書を読む 中公文庫
[7] 서적 国史大辞典 吉川弘文館
[8] 뉴스 遷都当初から「奈良」でした 平城京跡で記載木簡 https://web.archive.[...] 共同通信社 2015-04-30
[9] 문서 外京は現在の奈良県庁周辺に相当する。
[10] 웹사이트 奈良・平城京跡の邸宅 有力貴族の屋敷か 敷地6万1000平方メートル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9-07-20
[11] 웹사이트 羅城(らじょう)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09-22
[12] 서적 平城宮大内裏跡坪割之図 (写) https://www.wul.wase[...] 2017-10-13
[13] 논문 平城宮及大内裏考 https://dl.ndl.go.jp[...] 東京帝国大学 2017-10-13
[14] 서적 木簡 古代からの便り 岩波書店
[15] 웹사이트 国指定 史跡・名勝・天然記念物一覧 http://www.city.nara[...] 奈良市 2017-10-13
[16] 웹사이트 平城京左京三条二坊宮跡庭園 http://www.city.nara[...] 奈良市 2017-10-13
[17] 논문 平城京左京二条二坊・三条二坊発掘調査報告―長屋王邸・藤原麻呂邸の調査(本文編)(図版編)
[18] 논문 平城京木簡一―長屋王家木簡一
[19] 웹사이트 木簡ひろば・遺構 http://hiroba.nabunk[...] 奈良文化財研究所 2017-10-13
[20] 서적 長岡平城遷都の史的背景 吉川弘文館
[21] 웹사이트 砂防のれきし |水のめぐみ館「アクア琵琶」 https://www.kkr.mlit[...] 2017-04-13
[22] 웹사이트 大戸川ダム工事事務所【大戸川の歴史】 https://www.kkr.mlit[...] 2017-04-13
[23] 논문 田上山における山腹工の施工による植生の復元と土砂流出抑制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