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덕야구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덕야구장은 1971년 부산에 건설된 최초의 야구 전용 구장이다. 1982년부터 1985년까지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삼미 슈퍼스타즈도 일부 홈 경기를 치렀다. 사직야구장 개장 이후 아마추어 야구 경기장으로 활용되었고, 롯데 자이언츠 2군 구장으로도 사용되었다. 2007년 인조 잔디 구장으로 재개장했지만, 시설 노후화로 2017년 철거되었고, 현재는 시민체육공원으로 조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서구 - 서구 (부산광역시)
서구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해방 이후 서부출장소에서 구제로 개편되어 현재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남해 바다와 접하고 온대계절풍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송도해수욕장, 임시수도기념관, 송도해상케이블카 등의 시설이 있다. - 부산 서구 - 암남공원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암남공원은 1억 년 전 형성된 퇴적암 지층과 다양한 식물상, 해안 산책로, 전망대 등의 시설을 갖춘 도심 속 자연 공원으로, 대중교통 접근성 및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이 필요하다. - 부산광역시의 스포츠 시설 - 사직실내체육관
사직실내체육관은 농구 경기장으로 사용되며, 과거에는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가, 현재는 부산 BNK 썸과 부산 KCC 이지스가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다양한 스포츠, 문화 행사 및 e스포츠 경기가 개최되었다. - 부산광역시의 스포츠 시설 - 사직야구장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위치한 사직야구장은 1985년 완공되어 1986년부터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 차례 개보수를 거쳐 주요 경기가 개최되었고 롯데 자이언츠 투수 최동원의 등번호 11번이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어 있다. - 1971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포항종합운동장
포항종합운동장은 축구와 육상 경기가 가능한 20,000명 수용 규모의 다목적 경기장이며, 과거 K리그 포항 스틸러스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다. - 1971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대구실내체육관
대구실내체육관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다목적 실내 경기장으로, 다양한 스포츠 경기와 문화 행사를 개최하며 과거 경북체육관으로 건립되어 대구 오리온스, 대구 KOGAS 페가수스 등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의 홈 경기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구덕야구장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
소유주 | 부산광역시 |
개장 | 1971년 3월 |
폐장 | 2017년 9월 19일 |
규격 정보 | |
표면 | 인조잔디 |
좌우 펜스 | 88m |
중앙 펜스 | 110m |
펜스 높이 | 2.2m |
수용 인원 | 11,724명 |
사용 정보 | |
사용 팀 | 롯데 자이언츠 (1982년~1985년) |
주요 대회 | KBO 올스타전 (1982년, 1985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 (1957년) 화랑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1949년~2010년)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2014년~2017년) 아시안 게임 소프트볼 (2002년) |
2. 역사
1971년 부산 최초의 야구 전용 구장으로 건립된 구덕야구장은 1982년 프로야구 출범과 함께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다. 1985년 사직야구장이 완공되면서 롯데는 홈구장을 이전했고, 이후 구덕야구장은 아마추어 경기 및 2군 경기장으로 활용되었다. 삼성 라이온즈의 김시진은 1985년 9월 17일 이 곳에서 4실점 완투승으로 역대 3호 선발 20승 투수가 되었고,[13] 1987년 9월 27일 대구 청보 더블헤더 1차전에서는 연장 11회 1실점 완투승으로 역대 4호 선발 20승 투수가 되기도 했다.[14]
2000년대 들어 시설 노후화와 안전 문제로 인조 잔디 구장으로 재개장했으나, 결국 2017년 철거되고 그 자리에는 시민체육공원이 조성되었다.
2. 1. 건립과 프로야구 초창기 (1971년 ~ 1985년)
1971년에 부산광역시 최초의 야구 전용 구장으로 건설되었다. 1982년부터 한국 프로 야구 롯데 자이언츠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같은 해 삼미 슈퍼스타즈가 해태 타이거즈와의 홈경기(4월 8일, 6월 23~24일)를 포함하여 6번의 홈 경기를 이곳에서 치렀다.[6][7][8]삼성 라이온즈의 김시진은 1985년 9월 17일 이 곳에서 4실점 완투승을 거두며 역대 3호 선발 20승 투수가 되었다.[13]
2. 2. 아마추어 야구 시대와 2군 홈구장 (1986년 ~ 2006년)
1986년부터 롯데 자이언츠가 사직야구장으로 홈 구장을 이전하면서, 구덕야구장에서는 주로 아마추어 야구 경기가 열렸다. 1988년 4월 30일부터 5월 1일까지 열린 빙그레 이글스와 롯데 자이언츠의 2연전이 구덕야구장에서 열린 마지막 프로야구 경기였다.[9] 이후 2002년 아시안 게임 소프트볼 종목[9]과 2005년 전국체전 야구 경기[9]가 이곳에서 개최되었다.1990년 2군 리그(현재의 퓨처스리그)가 시작된 후[11] 2006년까지 롯데 자이언츠 2군이 구덕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11] 1991년에는 태평양 돌핀스 타자들이 이곳에서 전지훈련을 하기도 했다.[12]
2. 3. 재개장과 철거 (2007년 ~ 2017년)
2002년 아시안 게임 소프트볼 종목과 2005년 전국체전 야구 경기가[9] 이곳에서 개최되었다. 운동장 안팎이 모두 흙으로 되어 있어 안전 문제가 심각하여, 시민들과 아마추어 구단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부산광역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는 2007년 1월부터 인조 잔디 설치 공사를 시작하여 2007년 7월 20일 재개장하였다. 그러나 시설 노후화로 인해 47년간 운영되었던 구덕야구장은 2017년 9월 19일 철거되었고[10], 이후 2019년 3월에 테니스, 농구 코트 등을 갖춘 시민체육공원이 완공되었다.[4]2. 4. 시민체육공원 조성 (2019년 ~ 현재)
2017년 7월부터 구덕야구장 노후화로 인해 철거 공사가 시작되었고, 2019년 3월에 테니스, 농구 코트 등을 갖춘 시민체육공원이 완공되었다.[4]3. 시설
1982년부터 1985년까지 한국 프로 야구 롯데 자이언츠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1985년 동래구 사직동에 사직야구장이 개장하면서 1986년부터는 아마추어 경기 위주로 운영되었다. 내야와 외야 모두 흙으로 되어 있어 안전 문제가 컸기 때문에, 시민들과 아마추어 구단들의 항의가 많았다. 이에 부산광역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는 2007년 1월부터 인조 잔디 설치 공사를 시작하여 2007년 7월 20일에 재개장하였다.[10] 그러나 시설 노후화로 인해 2017년 9월 19일에 철거되었다.[10]
3. 1. 과거 시설
1982년부터 1985년까지 한국 프로 야구 롯데 자이언츠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1985년 동래구 사직동에 사직야구장이 개장하면서 1986년부터는 아마추어 경기 위주로 운영되었다. 내야와 외야 모두 흙으로 되어 있어 안전 문제가 컸기 때문에, 시민들과 아마추어 구단들의 항의가 많았다. 이에 부산광역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는 2007년 1월부터 인조 잔디 설치 공사를 시작하여 2007년 7월 20일에 재개장하였다.[10] 그러나 시설 노후화로 인해 2017년 9월 19일에 철거되었다.[10]3. 2. 인조 잔디 구장 (2007년 재개장)
부산광역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는 운동장 내야 및 외야 전체가 흙으로 되어 있어 안전상 매우 위험하다는 시민들과 아마추어 구단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2007년 1월부터 인조 잔디 설치를 시작하여 2007년 7월 20일에 재개장하였다.[10]4. 의의 및 영향
1982년부터 1985년까지 한국 프로 야구 롯데 자이언츠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면서, 부산 야구의 초창기 역사를 함께했다.[6][7][8] 1982년에는 삼미 슈퍼스타즈가 해태 타이거즈와의 홈경기를 포함하여 6번의 홈 경기를 치렀다.[6][7][8] 1985년 사직야구장 개장으로 1986년부터는 아마추어 경기가 주로 열렸으며, 1988년 4월 30일부터 5월 1일까지 열린 빙그레 이글스와 롯데 자이언츠의 2연전이 마지막 프로야구 경기였다.
1990년 2군 리그(현재 퓨처스리그) 시작 후[11] 2006년까지 롯데 자이언츠 2군이 홈구장으로 사용했으며, 1991년에는 태평양 돌핀스 타자들이 이 곳에서 전지훈련을 했다.[12]
삼성 라이온즈의 김시진은 1985년 9월 17일 이 곳에서 4실점 완투승을 거두며 역대 3호 선발 20승 투수가 되었다.[13]
2002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소프트볼 경기[4]가 열렸고, 2005년에는 전국체전 야구 경기[9]가 개최되는 등 주요 스포츠 행사의 장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2007년 1월부터 2007년 7월 20일까지 인조 잔디 설치 공사가 진행되었으나, 시설 노후화로 인해 2017년 9월 19일에 철거되었다.[10]
참조
[1]
뉴스
'부산 야구의 요람' 구덕야구장 '아듀'
http://sports.news.n[...]
Busan Ilbo
2017-09-20
[2]
웹사이트
Busan Municipal Sports Facility Administration Office website
http://stadium.busan[...]
2011-12-09
[3]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체육시설관리사무소 웹사이트
http://stadium.busan[...]
釜山広域市
2011-12-09
[4]
웹사이트
https://www.cnbnews.[...]
[5]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체육시설관리사무소 웹사이트
http://stadium.busan[...]
2011-12-09
[6]
뉴스인용
프로야구 前期(전기)리그 靑龍(청룡)의 「여의주」白仁天(백인천) 게임마다 打線(타선)에 「造化(조화)」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8-03-07
[7]
뉴스인용
프로야구 흔쾌하게 비운 「마지막 잔」OB 우승 확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8-03-07
[8]
뉴스인용
프로야구, 三美(삼미)는 해태잡아 李洪範(이홍범) 결승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2018-03-07
[9]
뉴스인용
[사설] 울산 전국체전에 관심과 성원을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19-04-25
[10]
뉴스인용
'부산 야구의 요람' 구덕야구장 '아듀'
http://sports.news.n[...]
2017-10-03
[11]
뉴스인용
2軍(군)경기 내달11일 개막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1-11-01
[12]
뉴스인용
태평양 방망이 다듬기 "비지땀"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1-11-01
[13]
뉴스인용
"작년의 痛恨(통한)씻었다"…롯데홈球場(구장)서 헹가래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2-04-12
[14]
뉴스인용
靑龍(청룡)·해태 오늘「運命(운명)의 血戰(혈전)」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2-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