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야구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직야구장은 1986년부터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야구장이다. 1985년 일본 요코하마 스타디움을 모델로 건설되었으며, 2002년 아시안 게임 야구 경기장으로도 사용되었다. 개장 당시 한국 최초의 인조잔디 구장이었으나, 2006년부터 천연잔디로 교체되었다. 2012년에는 최동원의 영구결번을 기념하는 메모리얼 프린트가 설치되었고, 2022년에는 대대적인 개보수 공사가 진행되었다. KBO 리그 주요 경기 및 국제 경기가 개최되었으며, 여러 차례 장외 홈런이 기록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스포츠 시설 - 사직실내체육관
사직실내체육관은 농구 경기장으로 사용되며, 과거에는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가, 현재는 부산 BNK 썸과 부산 KCC 이지스가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다양한 스포츠, 문화 행사 및 e스포츠 경기가 개최되었다. - 부산광역시의 스포츠 시설 - 구덕야구장
과거 부산에 위치했던 구덕야구장은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으로 사용되다가 아마추어 야구 경기장으로 활용되었으며, 시설 노후화로 인해 철거 후 시민체육공원으로 조성되었다. - KBO 리그 경기장 - 수원케이티위즈파크
수원케이티위즈파크는 1989년에 개장하여 KT 위즈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2013년 리모델링을 거쳐 2015년 한국 프로야구 올스타전을 개최한 대한민국 수원시에 위치한 야구장이다. - KBO 리그 경기장 - 창원NC파크
창원NC파크는 2019년 개장한 NC 다이노스의 야구장으로, 파퓰러스가 설계에 참여하여 124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었으며, 다양한 편의시설과 편리한 접근성을 갖춘 창원시에 위치한 야구장이다. - 부산 동래구의 건축물 - 더샵 동래
- 부산 동래구의 건축물 - 사직실내체육관
사직실내체육관은 농구 경기장으로 사용되며, 과거에는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가, 현재는 부산 BNK 썸과 부산 KCC 이지스가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다양한 스포츠, 문화 행사 및 e스포츠 경기가 개최되었다.
사직야구장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경기장 이름 | 사직 야구장 |
로마자 표기 | Sajik Yagujang |
한자 표기 | 社稷野球場 |
위치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로 45 (사직동 930) |
기공 | 1980년 7월 |
개장 | 1985년 10월 |
소유주 | 부산광역시 |
표면 | 천연잔디 (2006년~2024년), 파울 존 부근 워닝트랙 인조잔디 (2012년~2024년) |
더그아웃 | 홈 - 1루측, 비지터 - 3루측 |
설계자 | 류춘수 |
사용팀 | 롯데 자이언츠 (1986년~현재) |
주요 대회 | 아시아 시리즈 (2012년) KBO 올스타전 (1987년, 1989년, 1991년, 1993년, 1995년, 2004년, 2007년) 2002년 아시안 게임 야구 |
수용 인원 | |
1986년 ~ 2008년 | 30,154석 |
2009년 ~ 2011년 | 28,500석 |
2012년 ~ 2013년 | 28,000석 |
2014년 ~ 2015년 | 27,500석 |
2016년 ~ 2017년 | 26,800석 |
2017년 | 26,600석 |
2018년 | 25,000석 |
2019년 ~ 2021년 | 24,500석 |
2022년 ~ 현재 | 22,990석 |
경기장 크기 | |
좌익 | 95.8 m |
좌중간 | 113 m |
중앙 | 121 m |
우중간 | 113 m |
우익 | 95.8 m |
외야 펜스 높이 | 6 m |
이미지 | |
![]() |
2. 역사
1985년 10월에 완공된 사직야구장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초창기에는 야구뿐만 아니라 축구, 럭비 등 다양한 종목의 경기가 열리는 다목적 경기장이었으나, 현재는 야구 전용 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2002년에는 아시안 게임 야구 경기가 이곳에서 개최되었다.
2005년 6월 28일에는 일본 프로야구팀 지바 롯데 마린스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경기가 열릴 예정이었으나, 사업적 조정 문제로 취소되었다.
사직야구장은 여러 차례 개선 공사를 거쳤다.
2. 1. 건설 배경 및 초기 역사 (1985년 ~ 2000년대 초)
1985년 10월에 완공된 사직야구장은 본래 야구뿐만 아니라 축구, 럭비 등 다양한 종목의 경기를 개최할 수 있는 다목적 종합경기장으로 건설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내야 관중석은 가변식이었으나, 현재는 야구 경기만 치러지고 있어 내야석을 이동할 일은 없다. 실제로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까지 고교 축구, 대학 미식축구 등 아마추어 경기가 자주 열렸다.[15][16] 1988년에는 대우 로얄즈가 현대 호랑이와의 K리그 정규리그 2경기를 사직구장에서 개최하기도 했다.[17][18]사직야구장은 일본의 요코하마 스타디움을 모델로 하여 건설되었으며,[3] 개장 당시 한국 최초의 인조잔디 구장이었다. 그러나 선수들의 부상 위험 때문에 2006년부터 천연잔디로 교체되었다.[5]
2002년 한·일 월드컵과 부산 아시안 게임을 개최하기 위해 인근에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이 신축되면서, 2000년대부터는 사직야구장은 야구 전용 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2. 2. 2000년대 이후 주요 변화
2006년 인조잔디를 천연잔디로 교체하고 덕아웃을 반지하 형태로 개조하였다.[5] 2008년에는 인천SSG랜더스필드에 이어 국내에서 두 번째로 띠전광판을 신설하였다.2009년 9월 18일에는 시즌 최다 관중인 1,380,018명을 기록하여 1995년 이래 13년간 이어져 온 단일 구장의 최다 관중 기록을 2시즌 연속 경신하였다. 같은 해 시즌부터 외야석을 제외한 전 좌석이 지정석으로 바뀌면서 신문지나 테이프 등으로 관람석을 선점하는 문제는 많이 사라졌다.
2014년 시즌 전에는 대대적인 보수공사를 했다. 전광판을 가로 35m, 세로 15m의 FHD 전광판으로 교체하고, 불펜을 이전했으며, 펜스를 KBO가 개발한 안전 펜스로 교체하여 좌석은 27,500석으로 줄어들었다.
2018년에는 구장 내 클럽하우스 보수 공사를 실시, 기존의 라커룸을 메이저리그식 원형 라커룸으로 재단장하였으며 실내 웨이트 트레이닝장 또한 보다 최신식 시설로 바꾸었다. 선수단 식당과 코치실, 감독실 등 내부 구조도 변경되었다. 그 외에 외야 좌석의 전면적인 교체를 실시하였다.
2019년 7월 1루 및 3루 덕아웃 난간을 높이는 공사를 실시했다.
2021년 원정팀 클럽하우스 개보수 및 샤워시설, 실내연습장, 투수 대기실 신설 등의 전반적인 구장 내부 개선 작업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장 백스톱 거리를 기존의 21.68m에서 본래 규정인 18m까지 약 3m가량 당기는 공사를 진행하였다. 외야 펜스도 담장 상부에 설치되어있는 기존의 철제 기둥을 철거하고 바둑판 형태의 철제 그물로 새롭게 교체하였다.
2020 도쿄 올림픽으로 인해 리그가 중단되는 올림픽 브레이크 기간 동안 롯데 자이언츠 구단과 부산체육시설관리사업소측이 합심하여 구장 내 중계부스를 전면적으로 개보수하기로 결정했다. 기존의 중계부스 6개와 복도, 중계스태프 대기실을 전면 철거한 후 해당 위치에 가건물을 새롭게 세워 중계부스를 새롭게 구성하였다.
2022년 홈플레이트와 백스톱 간의 간격을 관중석 쪽으로 2.884m 당기고, 덕아웃도 홈플레이트 쪽으로 1.5m 당기는 공사를 실시했다. 기존의 낡고 비좁은 덕아웃의 공간을 넓히는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덕아웃 옆에 위치해 있었던 익사이팅 존을 없애고 불펜 투수들이 몸을 푸는 불펜을 그 자리에 새롭게 신설했다. 또한 외야 펜스 역시 4.8m에서 6m로 대폭 높아졌다. 펜스 거리도 좌,우측 펜스는 기존 95m에서 95.8m로, 중앙 펜스는 기존 118m에서 121m로 늘어났다.
2. 2. 1. 2016년 구장명 변경 시도 무산
2016년, 롯데 자이언츠 구단 측은 조명탑 교체 비용을 부담하는 대신 구장 명칭에 구단명을 사용하는 것을 부산광역시에 제안하여 협의했으나, 최종적으로 무산되었다.[3] 국내 구장 최초로 LED 조명을 설치했고, 좌익수 쪽 외야석에 글램핑 존을 신설하여 좌석 수가 26,800석으로 줄었다.3. 주요 시설
사직야구장은 1985년 개장 당시부터 야구뿐만 아니라 축구, 럭비 등 다양한 종목의 경기를 개최할 수 있는 다목적 경기장으로 건설되었다.[15][16] 실제로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까지 고교 축구, 대학 미식축구 등 아마추어 경기가 자주 열렸다.[15][16] 1988년에는 대우 로얄즈가 현대 호랑이와의 K리그 정규리그 2경기를 사직구장에서 개최하기도 했다.[17][18] 그러나 2002년 한·일 월드컵과 부산 아시안 게임을 위해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이 신축된 이후, 2000년대부터는 야구 전용 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2006년에는 선수 보호를 위해 인조잔디에서 천연잔디로 교체하고, 덕아웃을 반지하 형태로 개조했다.[5] 2009년에는 외야석을 제외한 전 좌석을 지정석으로 운영하기 시작했다.
2014년에는 펜스를 KBO가 개발한 안전 펜스로 교체하고, 2016년에는 국내 최초로 LED 조명을 설치했다.
2018년에는 선수 시설을 대폭 개선하여 메이저리그 수준의 클럽하우스를 조성했다. 2021년에는 원정팀 클럽하우스와 부대시설을 개선하고, 2020 도쿄 올림픽 기간 중에는 중계부스를 전면 개보수했다.
3. 1. 관람석
1985년 10월에 완공되었으며 27,500석의 관람석을 갖추고 있다.[5] 구장 크기는 좌·우 펜스까지 95m, 중앙 펜스까지 118m이고, 펜스 높이는 펜스 상단 철망을 포함해서 4.8m이다. 2009년 시즌부터는 외야석을 제외한 전 좌석이 지정석으로 바뀌면서 그간 논란이 많았던 신문지나 테이프 등으로 관람석을 선점하는 문제는 많이 사라졌다.[5]2014년 시즌 전에는 대대적인 보수공사를 통해 좌석은 27,500석으로 줄어들었다.[5] 2016년에는 외야 좌측에 글램핑존을 신설, 좌석이 26,800석으로 줄어들었다.[5] 2018년에는 외야 좌석을 전면적으로 교체하였다.
2021년 구장 백스톱 거리를 기존의 21.68m에서 본래 규정인 18m까지 약 3m가량 당기는 공사를 진행하였다. 외야 펜스도 담장 상부에 설치되어 있던 기존의 철제 기둥을 철거하고 바둑판 형태의 철제 그물로 새롭게 교체하였다.
2022년 홈플레이트와 백스톱 간의 간격을 관중석 쪽으로 2.884m 당기고, 덕아웃도 홈플레이트 쪽으로 1.5m 당기는 공사를 실시했다. 기존의 낡고 비좁은 덕아웃의 공간을 넓히는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덕아웃 옆에 있던 익사이팅 존을 없애고 불펜 투수들이 몸을 푸는 불펜을 그 자리에 새롭게 신설했다. 또한 외야 펜스 역시 4.8m에서 6m로 대폭 높아졌으며, 펜스 거리도 좌,우측 펜스는 기존 95m에서 95.8m로, 중앙 펜스는 기존 118m에서 121m로 늘어났다.[3]
3. 2. 그라운드
1985년 10월에 완공된 사직야구장은 좌·우 펜스까지 95m, 중앙 펜스까지 118m, 펜스 높이는 펜스 상단 철망을 포함해서 4.8m이다. 일본의 요코하마 스타디움을 모델로 하였다. 2006년 인조잔디를 천연잔디로 교체하였다.[5]2014년에는 KBO가 개발한 안전 펜스로 교체되었다. 2016년에는 흙을 모두 교체하였다.
2021년 구장 백스톱 거리를 기존의 21.68m에서 본래 규정인 18m까지 약 3m가량 당겼으며, 외야 펜스는 담장 상부에 설치되어 있던 기존의 철제 기둥을 철거하고 바둑판 형태의 철제 그물로 교체하였다.
2022년 홈플레이트와 백스톱 간 간격을 관중석 쪽으로 2.884m 당겼다. 외야 펜스 높이도 4.8m에서 6m로 높아졌고, 펜스 거리도 좌·우측은 95m에서 95.8m, 중앙은 118m에서 121m로 늘어났다.
3. 3. 전광판
2014년 시즌 전에 대대적인 보수공사를 통해 전광판을 가로 35m, 세로 15m의 메이저 리그 28개 구장이 쓰는 FHD 전광판으로 교체하였다.[5] 그 이전에는 외야 중앙 쪽에 가로 33m, 세로 11m의 2개의 분리형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었다. 2008년 인천SSG랜더스필드에 이어 국내에서는 두번째로 띠전광판을 신설하였다. 2014년 시즌 전에 스코어보드를 전면 표시 방식으로 교체했다.3. 4. 기타 시설
사직야구장에는 2008년 인천SSG랜더스필드에 이어 국내에서 두 번째로 띠전광판이 신설되었다.[5] 2014년 시즌 전에는 대대적인 보수공사를 통해 전광판을 가로 35m, 세로 15m의 FHD 전광판으로 교체하였다. 2016년에는 국내 야구단 최초로 LED 조명을 설치하고, 외야 좌측에 글램핑존을 신설했다.2018년에는 구장 내 클럽하우스 보수 공사를 실시하여 라커룸을 메이저리그식 원형 라커룸으로 바꾸고, 실내 웨이트 트레이닝장도 최신식 시설로 교체했다. 선수단 식당과 코치실, 감독실 등 내부 구조도 변경되었다. 2021년에는 원정팀 클럽하우스 개보수 및 샤워시설, 실내연습장, 투수 대기실 신설 등 구장 내부 개선 작업이 이루어졌다. 2020년 2020 도쿄 올림픽으로 인해 리그가 중단되는 기간 동안에는 중계부스를 전면 개보수하여 가건물을 세우고 중계부스를 새롭게 구성했다.
4. 주요 경기 및 사건
사직야구장은 다양한 주요 경기 및 사건들이 நடைபெற்ற 장소이다.
2002년 아시안 게임 야구 종목[3]과 2012년 아시아 시리즈가 이곳에서 개최되었다.
2006년에는 선수 부상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인조잔디에서 천연잔디로 교체되었다.[5]
2008년에는 인천SSG랜더스필드에 이어 국내에서 두 번째로 띠전광판이 설치되었다.
2009년에는 외야석을 제외한 전 좌석이 지정석으로 바뀌면서 관람석 선점 문제가 개선되었고, 같은 해 9월 18일에는 시즌 최다 관중인 1,380,018명을 기록하여 단일 구장 최다 관중 기록을 경신했다.
2014년에는 FHD 전광판 교체, 불펜 이전, 안전 펜스 설치 등 대대적인 보수공사가 이루어졌다.
2016년에는 구단 측의 조명탑 교체 비용 부담과 구장명 변경 협의가 있었으나 무산되었고, 국내 야구단 최초로 LED 조명이 설치되었으며, 외야 좌측에 글램핑존이 신설되었다.
2018년에는 클럽하우스 보수 공사를 통해 라커룸, 웨이트 트레이닝장, 선수단 식당, 코치실, 감독실 등이 개선되었다.
2019년에는 1루 및 3루 덕아웃 난간을 높이는 공사가 실시되었다.
2021년에는 원정팀 클럽하우스 개보수, 샤워시설, 실내연습장, 투수 대기실 신설 등의 개선 작업이 이루어졌고, 백스톱 거리가 18m로 조정되었다.
2020 도쿄 올림픽 기간 동안 중계부스 전면 개보수가 이루어졌다.
2022년에는 홈플레이트와 백스톱 간 간격 조정, 덕아웃 확장, 불펜 신설, 외야 펜스 높이 및 거리 조정 등의 공사가 진행되었다.
2011년 9월 30일, 롯데 자이언츠는 최동원을 추모하기 위해 그의 등번호 11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다.[12]
2016년 9월 12일에는 경주시에서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하여 경기 중 흔들림이 발생하기도 했다.
4. 1. KBO 리그 주요 경기
- 2010년 5월 11일 SK 와이번스와 롯데 자이언츠의 경기에서 SK 와이번스가 21:10으로 크게 이겼다. 롯데는 처음으로 큰 점수 차로 지는 수모를 겪었다.
- 2011년 10월 4일 한화 이글스와 롯데 자이언츠의 경기에서는 반대로 롯데 자이언츠가 홈구장 사상 처음으로 20점을 내면서 크게 이겼다.
- 2012년 4월 27일 LG 트윈스와 롯데 자이언츠의 경기에서는 LG 트윈스가 20:8로 원정 부산야구장에서 크게 이겼고, 롯데 자이언츠는 크게 졌다.
- 2014년 5월 6일 두산 베어스와 롯데 자이언츠의 경기에서 롯데 자이언츠가 두산 베어스에게 10점을 내주고도 홈구장에서 19점을 냈다.
- 2015년 5월 22일 LG 트윈스와 롯데 자이언츠의 경기에서 LG 트윈스가 20:12로 큰 점수로 이겼다. 반면 롯데 자이언츠는 20점을 내주는 두 번의 큰 패배를 경험했다.
- 2022년 7월 24일 KIA 타이거즈와 롯데 자이언츠의 경기에서 KIA 타이거즈가 23:0으로 크게 이겼다. 심지어 롯데 자이언츠 팬들은 KIA 타이거즈를 응원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14] 롯데 자이언츠는 KIA 타이거즈가 23점을 득점하는 동안 득점을 하지 못했다. 23점 차는 역대 KBO 리그 최다 점수 차로 갱신되었다.
4. 2. 국제 경기
2002년 아시안 게임 야구 종목과 2012년 아시아 시리즈가 이 곳에서 개최되었다.[3]4. 3. 장외 홈런
2007년 4월 21일, 롯데의 이대호가 현대 유니콘스 정민태를 상대로 경기장 좌측 외벽을 넘기는 비거리 150m의 대형 홈런을 쳐 사직야구장 개장 이래 첫 장외 홈런의 주인공이 되었다.[5]2010년 8월 20일에는 이대호가 두산 베어스 투수 홍상삼을 상대로 경기장 좌측 외벽을 넘기는 비거리 145m의 사직야구장 2번째 장외 홈런을 쳤다. 이 홈런은 이대호의 시즌 40호 홈런이었다.
2011년 6월 4일, LG 트윈스 포수 조인성이 원정팀 첫 장외 홈런이자 세 번째 장외 홈런을 쳤다.
2014년 8월 6일, 롯데 자이언츠 3루수 황재균이 NC 다이노스 투수 노성호를 상대로 비거리 140m의 장외홈런을 치면서 역대 4번째 사직구장 장외홈런을 기록하였다.
2015년 5월 14일, 롯데 자이언츠 지명타자 최준석이 키움 히어로즈 투수 앤디 밴 헤켄를 상대로 비거리 140m의 역대 5번째 사직구장 장외홈런을 기록하였다. 최준석의 이 홈런은 전날 경기 끝내기 홈런에 이은 연타석 홈런이었으며, 전날 경기 끝내기 홈런도 장외 홈런이 될 뻔 했었다.
2015년 6월 10일, KT 위즈 1루수 댄 블랙이 롯데 자이언츠 투수 이성민을 상대로 경기장 우측 외벽을 넘기는 비거리 140m의 역대 6번째 사직구장 장외홈런을 기록하였다. 댄 블랙의 장외 홈런은 2011년 6월 LG 포수 조인성 이후 4년 만의 원정팀 2번째 장외 홈런이자 외국인 타자 최초, 좌타자 최초, 스위치 타자 최초의 장외홈런이다.
2015년 6월 23일, 삼성 라이온즈 지명타자 이승엽이 롯데 자이언츠 투수 조현우를 상대로 경기장 우측 외벽을 넘기는 비거리 140m의 역대 7번째 사직구장 장외홈런을 기록하였다. 이승엽은 좌타자로서 2번째, 원정팀 3번째 장외홈런이자 자신의 시즌 14호 홈런을 쳤다.
2016년 5월 20일, 두산 베어스 좌익수 김재환이 롯데 자이언츠 투수 차재용을 상대로[9] 경기장 우측 외벽을 넘기는 비거리 140m의 역대 8번째 사직구장 장외홈런을 기록하였다. 김재환은 좌타자로서 3번째, 원정팀 3번째 장외홈런이자 자신의 시즌 14호 홈런을 쳤다.
2022년 6월 1일, 롯데 자이언츠 중견수 DJ 피터스가 LG 트윈스 투수 아담 플럿코를 상대로[10] 경기장 좌측 외벽을 넘기는 비거리 130m의 역대 9번째 사직구장 장외홈런을 기록하였다.
2024년 5월 23일, 롯데 자이언츠 포수 유강남이 KIA 타이거즈 투수 전상현을 상대로[11] 경기장 좌측 외벽을 넘기는 비거리 135km의 역대 10번째 사직구장 장외홈런을 기록하였다.
4. 4. 영구 결번
2011년 9월 30일 롯데 자이언츠는 최동원을 추모하기 위해 1984년 한국시리즈 1차전 경기일이었던 9월 30일을 최동원한국어의 날로 정하고, 그의 등번호 11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다. 이 영구 결번은 사직야구장 좌측 외야 펜스에 새겨져 있다.[12]4. 5. 기타
사직야구장에서 있었던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2010년 4월 9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12회말까지 가는 접전 끝에 15대 14로 한화가 승리하며 밤 24시를 가리키는 일이 벌어졌다. 그러나 이는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과 목동야구장의 최장시간 기록은 아니었으며, 이후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에서 LG 트윈스와 KIA 타이거즈의 경기가 12회말까지 13대 13으로 비기면서 밤 24시 30분에 종료되어 최장시간 기록이 경신되었다.
- 2010년 5월 11일,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 SK 와이번스가 21:10으로 대승을 거두며 롯데는 큰 패배를 겪었다.
- 2011년 10월 4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롯데 자이언츠가 홈구장 사상 최초로 20점을 득점하며 크게 승리했다.
- 2012년 4월 27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LG 트윈스가 20:8로 크게 승리하며 롯데는 큰 패배를 당했다.
- 2014년 4월 11일, 원정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에서 KIA 타이거즈를 상대로 롯데 자이언츠가 20점을 득점했다.
- 2014년 5월 6일,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 롯데 자이언츠가 10점을 내주고도 19점을 득점하며 홈에서 승리했다.
- 2014년 5월 31일, 원정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롯데 자이언츠가 23점을 득점했다.
- 2015년 5월 22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LG 트윈스가 20:12로 승리하며 롯데 자이언츠는 20점을 내주는 두 번째 큰 패배를 경험했다.
- 2016년 9월 12일, 경주시에서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했고, 일주일 후인 9월 19일에도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넥센 히어로즈와 롯데 자이언츠의 경기 중 지진으로 인한 흔들림이 발생했다. 이는 9·15 대한민국 대규모 정전 사건과 함께 사직야구장이 한반도 지진의 영향을 받은 사례로 꼽힌다.
- 2022년 7월 24일,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KIA 타이거즈가 23: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롯데 자이언츠 팬들이 KIA 타이거즈를 응원하는 상황까지 벌어졌으며,[14] 롯데는 한 점도 득점하지 못했다. 23점 차는 역대 KBO 리그 최다 점수 차 기록이다.
- 2022년 8월 4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롯데 자이언츠는 3루와 홈 사이의 실책과 2루 주자의 3루 진루 시도 실패, 송구 실책 등이 겹치며 실점했다.[13]
5. 교통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종합운동장역에서 내려 걸어서 약 10분이면 갈 수 있다. 사직역에서도 걸어서 10분 이내에 갈 수 있다.
참조
[1]
뉴스
사직구장 대대적 보수로 지정석만 2만1천석
http://sports.khan.c[...]
Kyunghyang Shinmun|Sports Khan
2011-11-27
[2]
웹사이트
https://sportsseoulw[...]
[3]
뉴스
村田、古巣ハマスタモデルの球場で先制V打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2-11-11
[4]
일반
[5]
뉴스
사직야구장 덕아웃 개조 外
http://sports.news.n[...]
부산일보
[6]
뉴스인용
프로야구 올해 版圖(판도) 어떻게 될까 (6) "靑寶(청보)는 이제 弱(약)팀 아니다 엉뚱한 생각은 하지마라"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6-02-03
[7]
뉴스인용
"음주·도박땐 옷벗긴다"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1991-02-06
[8]
뉴스인용
‘남해권·수도권·홈구장’ 10개 구단 1군 스프링캠프 각양각색
https://sports.news.[...]
스포츠동아
2021-01-07
[9]
뉴스인용
'장외홈런·연타석포' 두산 김재환, 사직에서도 괴력 과시
https://sports.news.[...]
마이데일리
2016-05-20
[10]
뉴스인용
집이 편안해진 롯데 피터스, 사직서 2G 연속 홈런포 작렬
https://sports.news.[...]
엑스포츠뉴스
2022-06-01
[11]
뉴스인용
괴력의 유강남 사직구장 10호 장외홈런 '쾅'! 비거리 135m-타구속도 179.6㎞ [부산 현장]
https://m.sports.nav[...]
스타뉴스
2024-05-23
[12]
뉴스
최동원의 11번 영구 결번, 사직구장에 영원히 남다.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11-09-30
[13]
웹사이트
'초유의 양보 실책!' 롯데, 우왕좌왕 수비로 자멸하다!
https://sports.news.[...]
2022-08-04
[14]
웹사이트
' KIA를 응원하는 롯데 팬들? '
https://m.sports.nav[...]
2022-07-24
[15]
뉴스인용
스코어 보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7-06-01
[16]
뉴스인용
경성대 미식축구 우승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4-01-12
[17]
뉴스인용
스타군단 대우, 현대 유린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8-08-02
[18]
뉴스인용
대우 단독 2위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신문
1988-06-06
[19]
뉴스인용
대우 전용 연습장에서 안 싸워 럭키금성 반발로 장소 옮겨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신문
1988-08-1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부산 ‘아시아드 라인’ 따라 확장되는 고급 주거 벨트…쌍용건설, ‘쌍용 더 플래티넘 동래 아시아드’ 4월 분양
컴투스, 2년 연속 ‘KBO 올스타전’ 공식 스폰서 체결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