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메 구니타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메 구니타케는 일본의 사가 번 출신으로, 메이지 시대의 관료이자 역사학자이다. 사가 번의 번교에서 오쿠마 시게노부와 교류하며 존왕양이 운동에 참여했다. 메이지 유신 후 이와쿠라 사절단의 일원으로 구미 각국을 시찰하고 보고서를 작성했으며, 도쿄 제국대학 교수와 와세다 대학 교수를 역임하며 역사학 연구에 기여했다. '신도와 제천의 옛 풍속' 논문으로 필화 사건을 겪기도 했다. 1931년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와쿠라 사절단 관련자 - 이와쿠라 도모미
메이지 유신을 주도한 일본의 궁정 귀족이자 정치가인 이와쿠라 도모미는 궁정 개혁, 신정부 수립, 이와쿠라 사절단 활동 등 메이지 정부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며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다. - 이와쿠라 사절단 관련자 - 이노우에 고와시
이노우에 고와시는 메이지 시대의 관료이자 교육자로,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근대화와 메이지 헌법 제정에 기여하고 문부대신으로서 교육 개혁을 추진하며 법치주의와 입헌주의를 옹호했다. - 막말 사가번 사람 - 오쿠마 시게노부
오쿠마 시게노부는 메이지 시대의 정치가이자 교육자로, 두 차례 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재정 개혁, 철도 건설, 헌법 제정, 와세다 대학 설립 등에 기여했으나, 제국주의적 정책으로 비판받기도 하는 등 격변의 시대를 살았다. - 막말 사가번 사람 - 나베시마 나오마사
나베시마 나오마사는 막말에서 메이지 유신기에 사가 번의 번정 개혁과 근대화를 주도하며 재정 개혁, 서양 기술 도입, 천연두 예방 접종 도입, 정치적 중립, 신정부 수립 참여 등의 업적을 남긴 사가 번 제10대 번주이다. - 일본 제국의 학자 - 메가타 다네타로
메가타 다네타로는 일본 제국의 관료이자 법률가, 교육자로, 귀족원 의원과 남작 작위를 받았으며, 하버드 대학교 졸업 후 일본 법률 및 재정 제도 정비에 기여했고, 대한제국 재정 고문으로 화폐정리사업을 실시하여 한국에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일본 근대 교육 발전에도 공헌했으며 국제연맹 총회에 일본 대표로 참석했다. - 일본 제국의 학자 - 하야미 히로시
하야미 히로시는 일본의 심리학자이자 철학자이며,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심리학과 철학 분야의 연구 및 저술 활동을 했다.
구메 구니타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39년 8월 19일 |
출생지 | 사가현, 일본 |
사망일 | 1931년 2월 24일 |
직업 | 법학자, 정치인 |
이름 | |
본명 | 태지로(泰次郎), 조이치로(丈一郎), 조이치(丈一) |
다른 이름 | 구메 에키도(久米 易堂) |
출신 | |
지역 | 히젠국사가번 |
학문 | |
주요 관심사 | 역사학, 일본사 |
주요 활동 장소 | 고도칸(弘道館), 쇼헤이자카 학문소(昌平坂学問所), 수사관(修史館), 제국대학, 릿쿄 대학, 도쿄 전문학교 |
주요 사상 | 일선동조론, 야마타이국 야마토군 설 |
주요 저서 | 특명전권대사 미구회람실기(1878년) 고문서학 강의(1904년) 상궁태자실록(1905년) 남북조시대사(1905년) 뒷일본(1915년) 국사팔면관(1915년) |
가족 | |
자녀 | 게이이치로(서양 화가) |
2. 생애
히젠국 사가성 아래 야와타 소로에서 사가 번사 구메 구니사토의 삼남으로 태어났다. 1854년 (안세이 원년) 16세 때 사가 번교 고도관(홍도관)에 입학하여 한 살 많은 오쿠마 시게노부와 만났다. 유학서나 역사서, 미쓰쿠리 쇼고의 ‘곤여도식’(坤與図識, 1845년 간행) 등 일본과 중국의 세계 지리서를 읽었다. 5년 후 졸업하고, 에다요시 신요오가 결사한 존왕양이파 '기사이 동맹'(義祭同盟)에 오쿠마 시게노부와 함께 참가했다. 고도관에서 수석을 차지했고, 번주 나베시마 나오히로에게 어전강의를 맡았다.
1862년(분큐 2년) 25세 때 번주의 명으로 에도의 쇼헤이자카 학문소에서 고가 긴이치로에게 배웠다. 이듬해 귀향하여 고도관에서 교편을 잡고, 선대 번주 나베시마 나오마사의 근시를 맡았다. 30세에 고도관 교수가 되었다. 1868년 31세 때부터 메이지 유신 확립 후 부번현 삼치제에 따른 번정 개혁안 수립에 힘썼다. 폐번치현 이후 나베시마 후작가에서 일했고, 이어 메이지 정부에 출사했다.
1871년(메이지 4년) 권소외사 직을 맡아 이와쿠라 사절단의 일원으로 구미를 시찰했다. 1871년 11월 12일 요코하마를 출항하여 샌프란시스코에 도착, 추밀기록 조사와 각국 종교 시찰 임무를 받았다. 미국에 반년, 영국에 4개월, 프랑스에 3개월 체류했고, 벨기에, 네덜란드, 프로이센,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을 방문했다. 1873년(메이지 6년) 9월,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출발해 수에즈 운하를 거쳐, 아시아의 여러 항구를 통해 요코하마에 귀국했다. 1년 9개월의 장기 시찰 동안 관찰에 전념했고, 하타케야마 요시나리의 통역으로 탐문 조사를 실시하여 각지에서 통계서, 개론서, 지리 역사서 등을 수집했다.[4]
귀국 후 태정관 공무원이 되어 시찰 보고서 집필에 전념했다. 1878년(메이지 11년) 40세 때 총 100권에 달하는 『특명전권대사 미구회람실기』[5]를 편찬하여 정부로부터 500엔의 포상금을 받았다. 이 자금으로 메구로에 토지를 구입하고, 아들 구메 게이치로를 프랑스에 유학시켰다. 태정관 수사관으로 임명되어 시게노 야스쓰구와 함께 『대일본편년사』 등 국사 편찬에 힘썼다.
1888년(메이지 21년) 도쿄 제국대학 교수 겸 임시 편년사 편찬 위원에 취임하여 메이지 정부의 수사 사업에 참여했다. 1890년 『사학회 잡지』에 「에타 비인의 유래」를 발표했다. 쓰보이 구마조 등과 순수 역사학을 주장했다.[6]
1892년(메이지 25년), 다구치 우키치의 권유로 잡지 『사해』에 실었던 논문 ‘신도는 제천의 고속'이 문제가 되어, 도쿄 제국대학 교수직과 임시 편년사 편찬 위원직에서 물러났다. 이를 구메 구니타케 필화 사건이라고 한다.
1895년, 오쿠마 시게노부의 초청으로 도쿄 전문학교(현 와세다 대학)에서 역사학자로서 일본 고대사와 고문서학을 연구했다. 1894년부터 1896년까지 릿쿄 학교 전수과에서 사학을 강의했다.[7][3][8] 1909년 70세에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8] 1922년 오쿠마 시게노부 사후, 와세다 대학 강사직을 사임했다.[8] 1931년 노환으로 사망했다.(향년 93세)
2. 1. 유년기와 교육
히젠국 사가성 아래 야와타 소로에서 사가 번사 구메 구니사토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854년(안세이 원년) 16세 때 사가 번교 고도관(홍도관)에 입학하여 한 살 더 많은 오쿠마 시게노부와 만났다. 유학, 역사, 미쓰쿠리 쇼고의 ‘곤여도식’(坤與図識, 1845년 간행) 등 일본과 중국의 세계 지리서를 탐독했다. 5년 후 졸업했다. 에다요시 신요오가 결성한 존왕양이파 '기사이 동맹'(義祭同盟)에 오쿠마 시게노부와 함께 참여했다. 고도관에서 수석을 차지했고, 번주 나베시마 나오히로에게 어전강의를 했다.[4] 1862년(분큐 2년) 25세 때 번주의 명으로 에도의 쇼헤이자카 학문소에서 고가 긴이치로에게 배웠다. 이듬해 귀향하여 고도관에서 교편을 잡고, 선대 번주 나베시마 나오마사의 근시를 맡았다. 30세에 고도관 교수가 되었다.2. 2. 메이지 유신과 이와쿠라 사절단
1868년 31세 때부터 메이지 유신 확립 후 부번현 삼치제에 따른 번정 개혁안 수립에 힘썼다. 폐번치현 이후 나베시마 후작가에서 일했고, 이어 메이지 정부에 출사했다. 1871년(메이지 4년) 권소외사 직을 맡아 이와쿠라 사절단의 일원으로 구미를 시찰했다. 1871년 11월 12일 요코하마를 출항하여 샌프란시스코에 도착, 추밀기록 조사와 각국 종교 시찰 임무를 받았다.[4] 미국에 반년, 영국에 4개월 동안 체류를 했고, 프랑스에 3개월 머물렀고, 벨기에, 네덜란드, 프로이센,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의 국가를 방문했다. 귀국길에는 프랑스의 마르세유를 출발해 수에즈 운하를 거쳐, 아시아의 여러 항구를 통해 1873년(메이지 6년) 9월에 요코하마에 도착했다. 1년 9개월의 장기 시찰을 하며, 그동안 관찰에 전념했고, 하타케야마 요시나리의 통역으로 탐문 조사를 실시하여 각지에서 통계서, 개론서, 지리 역사서 등을 수집했다.[4]2. 3. 귀국 후 활동과 학문적 업적
1873년(메이지 6년) 9월, 1년 9개월간의 이와쿠라 사절단 구미 시찰을 마치고 요코하마에 귀국했다. 귀국 후 태정관 공무원이 되어 시찰 보고서 집필에 전념했다.[4] 1878년(메이지 11년) 40세 때 총 100권에 달하는 『특명전권대사 미구회람실기』[5]를 편찬하여 정부로부터 500엔의 포상금을 받았다. 이 자금으로 메구로에 토지를 구입하고, 아들 구메 게이치로를 프랑스에 유학시켰다. 태정관 수사관으로 임명되어 시게노 야스쓰구와 함께 『대일본편년사』 등 국사 편찬에 힘썼다.1888년(메이지 21년) 도쿄 제국대학 교수 겸 임시 편년사 편찬 위원에 취임하여 메이지 정부의 수사 사업에 참여했다.[6] 1890년 『사학회 잡지』에 「에타 비인의 유래」를 발표했다. 쓰보이 구마조 등과 순수 역사학을 주장했다.[6]
2. 4. 구메 구니타케 필화 사건
1892년(메이지 25년), 다구치 우키치의 권유로 잡지 『사해』에 실었던 논문 ‘신도는 제천의 고속'이 문제가 되어, 도쿄 제국대학 교수직과 임시 편년사 편찬 위원직에서 물러났다.[1] 이를 구메 구니타케 필화 사건이라고 한다.2. 5. 와세다 대학 교수 시절과 만년
1895년, 오쿠마 시게노부의 초청으로 도쿄 전문학교(현 와세다 대학)에서 역사학자로서 일본 고대사와 고문서학을 연구했다.[8] 1894년 9월부터 1896년까지 릿쿄 학교(현 릿쿄 대학) 전수과에서 사학을 강의했다.[7][3][8] 1909년 70세에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8] 1922년 오쿠마 시게노부 사후, 와세다 대학 강사직을 사임했다.[8] 1931년 노환으로 사망했다.[9] (향년 93세)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구메 구니사토 | 사가 번 무사 |
아내 | 채 | 오노 야스토모의 넷째 딸 |
장남 | 구메 게이치로 | 서양 화가 |
증손 | 구메 구니사다 | 외교관 |
4. 기타
사가 번 출신 오쿠마 시게노부와 평생 우정을 나누었으며, 사가의 오쿠마 기념관에 세워진 오쿠마 시게노부 생탄지비의 비문은 구메 구니타케가 썼다.[4] 아버지가 이마리야키의 산지인 아리타의 사라야마 대관을 맡았던 인연으로, 구미 열강을 방문한 후 아리타를 방문하여 도업의 근대화에 대해서도 새로운 지식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조언을 했다. 이것이 후에 고란샤의 설립으로 이어지게 된다.
5. 상훈
6. 주요 저서
- 《특명전권대사 미구회람실기》(特命全権大使 米欧回覧実記), 도쿄, 1878년[1]
- 『구메 구니타케 박사 90년 회고록』 전 2권, 복각: 종고 서방, 1975년[3]
- 『구메 구니타케 역사 저작집』 전 5권, 요시카와 고분칸, 1988-91년[4]
- 1) 쇼토쿠 태자 연구
- 2) 일본 고대 중세사 연구
- 3) 사학·사학 방법론
- 4) 고문서 연구
- 5) 일본 문화사 연구
- 별권 『구메 구니타케 연구』 오쿠보 도시켄 편, 1991년
- 『구메 구니타케 문서』 전 4권, 구메 미술관 편 요시카와 고분칸, 1999-2001년[5]
- 1) 순행 일기·문서 채집 기록
- 2) 과학 기술사 관계
- 3) 이와쿠라 사절단 관계
- 4) 중국 고대·근대사론
- 『특명 전권 대사 미주·유럽 회람 실기』
- 이와나미 문고 전 5권, 다나카 아키라 교주, 1977-82년 / 단행본 1985년[6]
- 현대어 번역: 게이오기주쿠 대학 출판회 전 5권 세트, 미즈사와 슈 역주, 2005년 / 선서판, 2008년[7]
참조
[1]
서적
Japanese historians and the national myths, 1600–1945: the age of the gods and Emperor Jinmu
[2]
웹사이트
朝日日本歴史人物事典「久米邦武」
https://kotobank.jp/[...]
[3]
간행물
久米邦武の宗教観―『米欧回覧実記』を中心に―
https://tais.repo.ni[...]
大正大学
[4]
서적
日本地理学人物事典 [ 近代編 1 ]
原書房
[5]
문서
[6]
간행물
立教大学史学会小史(I) : 立教史学の創生 : 建学から昭和11年まで (100号記念特集)
https://doi.org/10.1[...]
立教大学史学会
[7]
웹사이트
品川人物伝 第30回
https://web.archive.[...]
[8]
간행물
久米邦武と岩倉使節団報告『米欧回覧実記』
https://doi.org/10.2[...]
新潟県立歴史博物館
2012-03
[9]
서적
事典有名人の死亡診断 近代編
吉川弘文館
[10]
웹사이트
東京の中の佐賀「賢崇寺1 久米邦武・桂一郎」
https://sagaijinden.[...]
2024-12-22
[11]
서적
「違和感」の日本史
https://id.ndl.go.jp[...]
産経新聞出版, 日本工業新聞社 (発売)
[12]
간행물
官報
1889-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