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베르니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베르니야(Guberniya)는 러시아 제국과 러시아 SFSR의 행정 구역 단위였다. 표트르 1세 시대인 1708년 처음 제정되어 1929년까지 사용되었다. 1708년 8개 구베르니야로 시작하여, 예카테리나 2세 시대에 개혁을 거쳐 20개에서 40개로 증가했다. 구베르니야는 군(우예즈드)으로 세분화되었고, 총독 관구(나메스트니체스트보)가 설치되기도 했다. 19세기에는 지방 자치, 도시 행정 개혁이 이루어졌으나, 반동으로 귀족의 영향력이 강화되기도 했다. 1917년 2월 혁명 이후 구베르니야는 구베르니야 위원회로 개칭되었고, 10월 혁명 이후 구베르니야 소비에트와 집행 위원회로 대체되었다. 1929년 주(oblast), 관구(okrug), 지구(rayon)로 재편되면서 구베르니야는 폐지되었다. 우크라이나에도 구베르니야가 설치되었으며, 1925년 오크루가로 재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크림 연방관구
    크림 연방관구는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병합한 후 설치한 연방관구였으나, 국제 사회의 인정 부족으로 우크라이나 영토로 간주되었고, 2016년에 폐지되어 남부 연방관구에 합병되었다.
  • 러시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유즈노사할린주
    유즈노사할린주는 소련이 사할린섬 남부와 쿠릴 열도를 점령한 후 설치한 행정 구역으로, 일본의 가라후토현을 점령한 후 자국 영토로 편입하고 일본인들을 대상으로 러시아화 정책을 추진했으며 1947년 1월 2일 사할린주에 흡수 통합되기 전까지 존속했다.
  • 행정 구역 단위 - 행정동
    행정동은 법정동을 기준으로 설치되며, 행정력 효율성을 위해 법정동을 통합하거나 분할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형태로 발전했다.
  • 행정 구역 단위 - 구성국
    구성국은 단일 국가 내에서 상당한 자치권을 가지나 완전한 독립성은 없는 자치 또는 연합된 단위들을 의미하며, 연합 왕국이나 연방 국가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자치권과 중앙 정부 권한 간의 균형은 지속적인 논의 대상이다.
  • 러시아 제국의 현 - 티플리스현
    티플리스현은 1846년 러시아 제국이 조지아-이메레티 주를 해체하면서 설립된 행정 구역으로,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우예즈드와 오크루그로 재편되었고, 조지아 민주 공화국 존속 후 조지아가 소비에트 연방에 편입되며 해체되어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라이온으로 재편성되었으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사용되었다.
  • 러시아 제국의 현 - 바사주
    바사 주는 1634년에 설립되어 1997년에 폐지된 핀란드의 역사적 행정 구역으로, 오스트로보트니아 주에서 분리되었고 중앙수오미 주가 분리되는 등 변화를 거쳐 서핀란드 주 등으로 통합되었다.
구베르니야
개요
관할 기간1708년 12월 18일 ~ 1929년 10월 1일
해당 국가러시아 제국
하위 행정 구역프로빈치아, 후일 우예스트 (군)
역사
시작일1708년 12월 18일
법률구베르니야 설립 및 소속 도시 관련 법령
최종 구베르니야 수117개 (초기 8개)
최종 구베르니야 수 기준 시점1914년
종료일1929년 10월 1일
통계
정부
하위 행정 구역프로빈치아, 이후 우예스트 (군)
명칭
러시아어губе́рния
로마자 표기gubérniya
러시아어 (개정 이전 표기)губе́рнія
국제 음성 기호/ɡʊˈbʲernʲɪjə/
관련 단어 (러시아어)губе́рния (gubérniya, 구베르니아)
губернатор (gubernator, 지사)
라틴어gubernator (구베르나토르, 지사)
그리스어κυβερνίτης (kybernítis, 지사)
κυβερνήτης

2. 표트르 1세 시대 (1708-1719)

표트르 1세는 1708년 12월 18일 칙령(우카즈)을 통해 러시아를 8개의 구베르니야(현)로 나누는 행정 구역 개편을 단행했다. 이는 중앙 집권화와 효율적인 지방 통치를 위한 조치였다.

1719년에는 구베르니야 행정 기구가 법제화되었고, 구베르니야 수는 23개까지 늘어났다. 구베르니야 수장으로는 구베르나토르(현 지사)가 임명되었으며, 잉게르만란드 현과 아조프 현에는 나메스트니크(총독)가 임명되었다. 현 지사는 행정, 정치, 재정, 사법 기능뿐만 아니라, 유사시 군사적 지휘권까지 부여받았다.

구베르니야 하부 조직으로는 프로빈치야(군)와 지스트리크트(군)가 설치되었으며, 프로빈치야 수장으로는 보예보다, 지스트리크트 수장으로는 젬스키 코미사르가 임명되었다.[3]

2. 1. 최초의 구베르니야 (1708)

1708년 러시아의 8개 구베르니야 분할


표트르 1세 시대에 지방 행정 조직으로서의 현(구베르니야)이 처음으로 제정되었다. 1708년 12월 18일의 칙령(указ|우카즈ru)에 의해, 러시아는 8개의 구베르니야로 분할되었다. 설치된 8개의 현은 다음과 같다.

  • 잉게르만란드 현(1710년부터 상트페테르부르크 현)
  • 모스크바 현
  • 아르한겔고로드 현(1780년부터 아르한겔스크 현)
  • 스몰렌스크 현
  • 키예프 현
  • 카잔 현
  • 아조프 현
  • 시베리아 현

2. 2. 1719년 개편

1719년에 구베르니야는 군(프로빈치)으로 세분화되었다. 이후 구베르니야의 수는 23개로 증가했다.[1]

현 지사(구베르나토르)는 행정, 사법, 군사적 권한을 가졌으며, 일부 현에는 총독(наместник|나메스트니크ru)이 임명되었다. 프로빈치의 수장은 보예보다(воевода|보예보다ru)였고, 디스트릭트(지스트리크트)의 수장은 젬스키 코미사르(земский комиссар|젬스키 코미사르ru)였다.[3]

3. 예카테리나 2세 시대 (1775-1796)

예카테리나 2세는 1773년 푸가초프의 난 이후 지방 통제 강화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1775년 대대적인 지방 행정 개혁을 단행했다. 이 개혁은 이후 러시아 지방 행정 제도의 기초가 되었다.[3]

1775년 개혁 이전에는 구베르니야(guberniya)가 인구 규모에 따라 우예즈드(uezd, )로 세분화되어 있었다. '구베르니야'는 러시아어 동의어인 나메스트니체스트보(namestnichestvo, наместничествоru)로 대체되었는데, "부왕령" 또는 "부왕 통치"로 번역되기도 했다. 그러나 '구베르니야'라는 용어는 여전히 사용되었다.

나메스트니크(namestnik, наместникru)(직역: "대리인") 또는 총독(генерал-губернаторru, )이 통치하는 부왕령은 총독부(генерал-губернаторство, )라고 불렸다. 총독은 이전 지사보다 더 많은 행정 권한과 높은 지위를 가졌으며, 때로는 여러 구베르니야를 통치했다.

3. 1. 1775년 개혁

1775년 예카테리나 2세는 푸가초프의 난 이후 지방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지방 행정 제도 개혁을 실시했다. 이 개혁은 이후 러시아 지방 행정 제도의 기초가 되었다.

개혁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구베르니야 재편성: 인구 30만~40만 명을 기준으로 구베르니야를 재편성하여, 기존 20개였던 구베르니야를 40개로 늘렸다.[3]
  • 총독 관구 및 총독부 도입: 강력한 행정권을 가진 총독 관구(наместничество|나메스트니체스트보ru)와 총독부(генерал-губернаторство|게네랄 구베르나토르스트보ru)를 도입하여 여러 구베르니야를 관할하게 했다.[3] 총독(генерал-губернатор|게네랄 구베르나토르ru)은 이전의 지사보다 더 많은 행정 권한과 높은 지위를 가졌다.[3]
  • 우예스트 설치 및 프로빈치 폐지: 구베르니야 아래에 우예스트(уезд|우예스트ru, 군)를 설치하고, 기존의 프로빈치(провинции)는 폐지했다.[3]
  • 관료 기구 정비: 현 부지사(вице-губернатор|비체 구베르나토르ru), 군 경찰 본부장(капитан-исправник|카피탄 이스프라브니크ru) 등 관료 기구를 정비하고, 귀족 신분에서 임명했다.[3] 총독이나 현 지사를 감독하는 고등 감찰관(генерал-прокурор|게네랄 프로크롤ru)도 도입되었다.[3]


1796년 12월 31일 원로원 결정에 따라 총독부의 권한은 기존의 현과 마찬가지로 격하되었고, 다시 현이 설치되었다. 또한, 현의 하부 조직으로 군(우예스트), 군의 하부 조직으로 향(волость|볼로스트ru)이 설치되었다. 이 시기에 총독 관구는 폐지되었다.[3]

3. 2. 1796년 변화

1796년 12월 31일 러시아 원로원의 칙령에 의해 총독의 직위는 이전의 구베르니야 수준으로 강등되었고, 러시아는 다시 구베르니야로 분할되었으며, 구베르니야는 다시 우예스트(군)로, 우예스트는 볼로스트(향)로 세분화되었다.

4. 19세기 - 20세기 초

19세기에는 러시아 제국의 중앙 집권화와 관료제 강화가 추진되었다. 유럽 러시아 지역에는 구베르니야가 설치되었고, 발트 3국을 제외한 변경 지역에는 총독부(генерал-губернаторство|게네랄 구베르나토르스트보ru)가 설치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는 변경 지역에 구베르니야에 해당하는 주(область|오블라스티ru)가 설치되었다.

1914년 러시아 제국의 행정 구역


1775년 개혁으로 구베르니야는 인구 규모에 따라 우예즈드()로 세분화되었으며, '구베르니야'라는 용어는 '나메스트니체스트보(наместничествоru)'로 대체되기도 했다. 나메스트니체스트보는 "부왕령" 또는 "부왕 통치"로 번역되었다. 그러나 '구베르니야'라는 용어는 계속 사용되었다. 부왕령은 나메스트니크(наместникru) 또는 총독(генерал-губернатор|게네랄-구베르나토르ru)에 의해 통치되었다. 총독은 여러 구베르니야를 통치하기도 했다.

1796년 러시아 원로원 칙령에 의해 총독 직위는 이전의 구베르니야 수준으로 강등되었고, 러시아는 다시 구베르니야로 분할되었다. 구베르니야는 우예즈드, 볼로스트(волостьru)로 세분화되었다. 그럼에도 여러 구베르니야로 구성된 몇몇 총독부는 1917년 러시아 혁명까지 존속했다.

4. 1. 알렉산드르 2세의 개혁 (1860년대)

알렉산드르 2세의 대개혁으로 지방 자치, 도시 행정, 사법 제도 개혁이 이루어졌다. 유럽 러시아의 34개 구베르니야에는 지방 자치체인 젬스트보가 도입되어 지방 경영을 담당했다. 도시에는 시의회(городская дума|고로츠카야 두마ru) 및 시참사회(городская управа|고로츠카야 우프라바ru)가 설치되었다.

4. 2. 반개혁 시대 (1890년대)

드미트리 톨스토이 내무장관은 1890년대에 '반개혁'을 추진하여 젬스트보(1890년)와 도시 행정(1892년)에 대한 귀족의 영향력을 강화했다. 1889년에는 임명제 지방 목민관(земский начальник|젬스키 나찰니크ru)이 설치되었다.

4. 3. 스톨리핀 시대 (1907-1910)

표트르 스톨리핀은 지방 행정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비밀 경찰 (오흐라나)과 귀족의 역할을 강화했다.

5. 러시아 혁명 이후

2월 혁명 이후 러시아 임시 정부는 구베르니야 지사의 명칭을 '구베르니야 위원'으로 바꾸었지만, 실제 조직 구조는 그대로 유지했다. 한편, 각지에 지방 소비에트가 설립되면서 소비에트 정권에 의한 지방 조직 장악이 병행되었다.

10월 혁명 이후 구베르니야의 행정 기관은 구베르니야 소비에트(губернский совет|구베르니스키 소베트ru)와 집행 위원회(губисполком|구비시폴콤ru)로 대체되었다.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으로 폴란드, 핀란드, 발트 3국이 러시아에서 분리되면서 25개 구베르니야가 상실되었다.

현재 러시아에서는 '구베르니야'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지만, (오블라스티) 또는 지방(크라이)의 수장을 지사(губернатор|구베르나토르ru)라고 부른다.

5. 1. 소련 시대의 행정 구역 개편 (1918-1929)

10월 혁명 이후, 구베르니야는 존속되었지만, 행정 기관은 구베르니야 소비에트(губернский совет|구베르니스키 소베트ru) (구비스폴콤)로 대체되었다.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으로 인해 1917년 러시아 국내 78개 구베르니야 중 25개가 폴란드, 핀란드, 발트 3국으로 분리되었다. 1918년부터 1929년 사이에는 지방 행정 제도도 변경되었는데, GOELRO 계획에 따른 소련의 전력화 프로그램으로 이반 알렉산드로프는 고스플란의 지역 위원회에 소련을 13개의 유럽과 8개의 아시아 주로 나누도록 지시했다.[1] 이는 "상실된 주권의 잔재"가 아닌 합리적인 경제 계획을 사용한 것이었다. 결국 1929년에는 주(область|오블라스티ru), 관구(округ|오크루크ru), 지구(район|라욘ru)로 재편되면서 구베르니야는 폐지되었다.

6. 우크라이나의 구베르니야

러시아 제국은 현대 우크라이나 영토에 9개의 구베르니야(현)를 설치했다. 이들은 체르니히우, 하르키우, 헤르손, 키이우, 포돌리아, 폴타바, 볼린, 예카테리노슬라프, 타우리다였다.[2] 1912년에는 홀름 현이 추가되었다.[2]

1917년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이 독립을 선언하면서 구베르니야는 유지되었고, 1918년에는 모길레프, 쿠르스크, 보로네시, 민스크 현의 우크라이나인 거주 지역이 병합되었다.[2][3]

소련-우크라이나 전쟁(1920년) 이후, 볼셰비키는 이 지역을 우크라이나 SSR의 일부로 만들었다.[3] 처음에는 12개 구베르니야로 재편되었으나, 1922년 소련 건국 시 9개로 축소되었고, 1925년에는 구베르니야 대신 오크루가(округа)라는 행정 구역으로 대체되었다.[2]

참조

[1] 서적 Ekonomicheskoe raionirovanie Rossii Gosplan 1921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Ukraine https://www.worldcat[...] Scarecrow Press 2005
[3] 서적 International law in the relations of Ukraine and the Russian Federation https://www.worldcat[...] Ukrainian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Law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