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스타프 헤르글로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스타프 헤르글로츠는 1881년 보헤미아 볼라리에서 태어난 독일계 오스트리아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이다. 빈 대학교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공부하고, 뮌헨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괴팅겐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지진학, 상대성 이론, 해석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지진파 분석을 위한 비허트-헤르글로츠 방법 개발, 헤르글로츠-뇌터 정리 공식화, 헤르글로츠 표현 정리 제시 등 여러 업적을 남겼다. 1953년 괴팅겐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 교육자 - 파울 에렌페스트
오스트리아-헝가리 출신의 이론 물리학자 파울 에렌페스트는 볼츠만의 제자로서 통계역학, 양자 물리학에 기여하고 레이던 대학교에서 저명한 물리학자들을 육성했으나, 우울증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과학 교육자 - 크러우스 페렌츠
크러우스 페렌츠는 헝가리와 오스트리아에서 물리학을 전공하고 레이저 물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막스 플랑크 양자 광학 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하고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오스트리아의 수학자 - 크리스티안 도플러
크리스티안 도플러는 오스트리아의 수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로서 파동의 주파수가 상대 속도에 따라 달라지는 도플러 효과를 제시했다. - 오스트리아의 수학자 - 게오르크 요아힘 레티쿠스
오스트리아 태생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지도 제작자인 게오르크 요아힘 레티쿠스는 코페르니쿠스의 유일한 제자로서 지동설을 알리고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 출판을 추진했으며, 삼각법 연구와 지도 제작에도 기여했으나 말년에 불운을 겪었다. - 라이프치히 대학교 교수 - 피터 디바이
피터 디바이는 분자 구조 및 물질의 물리적 성질 연구에 기여한 네덜란드 출신의 물리화학자로, 노벨 화학상 수상, 데바이 단위, 데바이 모델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나치 독일 시대 행적 논란 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연구를 지속하며 현대 화학 및 물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라이프치히 대학교 교수 - 펠릭스 클라인
펠릭스 클라인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독일의 저명한 수학자로, 변환군을 이용한 기하학 분류법인 '에를랑겐 프로그램'으로 유명하며, 괴팅겐 대학교를 수학 연구 중심지로 육성하고 복소해석학, 대수기하학, 위상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했으며, 수학교육 개혁에도 헌신했다.
구스타프 헤르글로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81년 2월 2일 |
출생지 | 오스트리아-헝가리 보헤미아 볼라리 |
사망일 | 1953년 3월 22일 |
사망지 | 독일, 니더작센주, 괴팅겐 |
국적 | 독일 |
학문 분야 및 경력 | |
분야 | 물리학 응용수학 |
직장 | 라이프치히 대학교 |
모교 | 괴팅겐 대학교 뮌헨 대학교 |
박사 지도교수 | 후고 폰 젤리거 루트비히 볼츠만 |
박사 지도 학생 | 에밀 아르틴 |
주요 업적 | |
업적 | 헤르글로츠 공식 헤르글로츠-뇌터 정리 헤르글로츠-리스 표현 정리 헤르글로츠-자기에 함수 비헤르트-헤르글로츠 방법 |
수상 | 리벤 상 (1915년) |
관련 분야 | 지진학 |
2. 생애
1881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였던 보헤미아 볼라리에서 태어났다. 빈 대학교와 뮌헨 대학교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공부하고 괴팅겐 대학교에서 하빌리타치온을 취득했다. 괴팅겐 대학교, 빈 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에밀 비헤르트와 함께 지진학의 비헤르트-헤르글로츠 법을 개발했다. 1947년 은퇴 후 1953년 괴팅겐에서 사망했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구스타프 페르디난트 요제프 벤젤 헤르글로츠는 1881년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일부였던 보헤미아 볼라리(Volarycs) 28번지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가진 공증인 아버지 구스타프 헤르글로츠와 어머니 마리아 넷 바흐텔 사이에서 태어났다.[1] 그의 가족은 수데텐 독일인이었다.[1]2. 2. 대학 시절
1899년 빈 대학교에 입학하여 수학과 천문학을 공부하였고, 루트비히 볼츠만의 강의를 수강하였다. 이 시기에 파울 에렌페스트, 한스 한, 하인리히 티에체 등과 교류하였다. 1900년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뮌헨 대학교로 옮겨 1902년 후고 폰 젤리거 지도 하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대학교 괴팅겐에서 펠릭스 클라인 아래 하빌리타치온(교수 자격)을 취득하였다.[24][1]2. 3. 교수 경력
1904년에 괴팅겐 대학교에서 천문학과 수학 사강사(Privatdozentde)가 되었고, 1907년에 정교수(Professor extraordinariusde)가 되었다. 이 곳에서 에밀 비헤르트와 함께 지진학의 비헤르트-헤르글로츠 법(Wiechert–Herglotz method영어)을 개발하였다.[24]1908년에 빈 대학교 교수, 1909년에 라이프치히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이곳에서 에밀 아르틴을 제자로 두었다. 1925년에 괴팅겐 대학교에서 카를 다비트 톨메 룽게의 뒤를 이어 응용 수학 교수가 되었다.
1947년에 은퇴하였다.
2. 4. 사망
1947년에 은퇴하였고, 1953년 3월 22일 괴팅겐에서 사망하였다.[24]3. 연구 업적
헤르글로츠는 지진학, 정수론, 천체역학, 전자 이론, 특수 상대성 이론, 일반 상대성 이론, 유체역학, 굴절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3. 1. 지진학
1907년, 헤르글로츠는 지진 이론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에밀 비헤르트와 함께 지진파의 전파 시간을 통해 지구 내부의 속도 분포를 결정하는 비헤르트-헤르글로츠 방법(역 문제)을 개발했다.[15] 그는 이 과정에서 특수한 아벨형 적분 방정식을 풀었다.3. 2. 상대성 이론
- 1904년, 헤르글로츠는 전자기 전위에 대한 관계식을 정의했는데, 이는 특수 상대성 이론이 완전히 개발되기 전임에도 불구하고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도 유효했다. 헤르만 민코프스키는 아르놀트 조머펠트가 보고한 대화에서 헤르글로츠의 논문에 전자기학의 4차원 대칭성이 잠재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수학적으로 적용되었다는 점을 지적했다.[3]
- 1909년, 헤르글로츠와 프리츠 뇌터는 독립적으로 헤르글로츠-뇌터 정리를 발표하여 본 강체성을 만족하는 모든 가능한 형태의 회전 운동을 분류했다. 이 과정에서 헤르글로츠는 로렌츠 변환이 에서 쌍곡선 운동에 해당한다는 것을 보였고, 이를 통해 1-모수 로렌츠 변환을 록소드롬, 포물선, 타원형 및 쌍곡선 그룹으로 분류했다(뫼비우스 변환#로렌츠 변환 참조).
- 1911년, 상대론적 탄성 이론을 공식화하고, 임의의 속도에 대한 벡터 로렌츠 변환을 얻었다(로렌츠 변환의 역사#헤르글로츠(1911) 참조).
- 1916년, 일반 상대성 이론에 기여하여, 축약된 리만 텐서와 곡률 불변량을 기하학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는 헨드릭 로렌츠의 이전 연구와는 독립적인 결과였다.
3. 3. 해석학
1911년, 헤르글로츠는 헤르글로츠 표현 정리를 공식화했다.[17] 이는 Re ''f'' ≥ 0 이고 ''f''(0) = 1을 만족하는 단위 원판 ''D'' 위의 정칙 함수 ''f''가 확률 측정 μ에 대한 ''D''의 경계에 대한 적분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정리이다. 이 정리는 이러한 함수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μ 가 존재할 때에만 존재한다고 명시한다.::
또한 이 정리는 확률 측정이 ''f''에 대해 유일하다는 점을 보여준다.[18]
3. 4. 기타
헤르글로츠는 지진학, 정수론, 천체역학, 전자 이론, 특수 상대성 이론, 일반 상대성 이론, 유체역학, 굴절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했다.[3]- 1904년, 전자기 전위에 대한 관계식을 정의했는데, 이는 해당 이론이 완전히 개발되기 전임에도 불구하고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도 유효했다. 헤르만 민코프스키는 아르놀트 조머펠트가 보고한 대화에서 헤르글로츠의 논문에 전자기학의 4차원 대칭성이 잠재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수학적으로 적용되었다는 점을 지적했다.[3]
- 1907년, 지진 이론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에밀 비허트와 함께 알려진 지진파의 전파 시간을 통해 지구 내부의 속도 분포를 결정하는 비허트-헤르글로츠 방법(역 문제)을 개발했다. 여기서 헤르글로츠는 아벨 형의 특수한 적분 방정식을 풀었다.
- 1909년, 헤르글로츠와 프리츠 뇌터가 독립적으로 헤르글로츠-뇌터 정리를 발표했다. 이 정리는 헤르글로츠가 본 강체성을 만족하는 모든 가능한 형태의 회전 운동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헤르글로츠는 로렌츠 변환이 에서 쌍곡선 운동에 해당한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이를 통해 1-모수 로렌츠 변환을 록소드롬, 포물선, 타원형 및 쌍곡선 그룹으로 분류했다(뫼비우스 변환#로렌츠 변환 참조).
- 1911년, 헤르글로츠 표현 정리를 공식화했는데, 이는 Re ''f'' ≥ 0이고 ''f''(0) = 1인 단위 원판 ''D'' 위의 정칙 함수 ''f''가 확률 측정 ''μ''에 대한 ''D''의 경계에 대한 적분으로 표현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 정리는 이러한 함수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μ''가 있을 때에만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
: 또한 이 정리는 확률 측정이 ''f''에 대해 고유하다는 점을 주장한다.
- 1911년, 상대론적 탄성 이론을 공식화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임의의 속도에 대한 벡터 로렌츠 변환을 얻었다(로렌츠 변환의 역사#헤르글로츠(1911) 참조).
- 1916년, 일반 상대성 이론에 기여했다. 헨드릭 로렌츠의 이전 연구와는 별개로 그는 축약된 리만 텐서와 곡률 불변량을 기하학적으로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4. 저서
- 《구스타프 헤르글로츠 전집》(Gesammelte Schriften / Gustav Herglotz), 한스 슈베르트페거 편집, 괴팅겐 과학 아카데미, 1979.[25][11][22]
- 《연속체 역학 강의》(Vorlesungen über die Mechanik der Kontinua / G. Herglotz), R. B. 귄터, H. 슈베르트페거 편집, Teubner, 1985.
- 《인력 질량 내부로의 퍼텐셜의 해석적 연장에 관하여》(Über die analytische Fortsetzung des Potentials ins Innere der anziehenden Massen), 라이프치히, 1914.[26][12][23]
- 《허수 이차 수체에서의 이차 상호 법칙에 관하여》(Über das quadratische Reziprozitätsgesetz in imaginären quadratischen Zahlkörpern), 라이프치히, 1921.
참조
[1]
웹사이트
DigiArchiv of SRA Trebon - ver. 22.05.20
https://digi.ceskear[...]
2022-05-25
[2]
간행물
Über die Berechnung retardierter Potentiale
http://gdz.sub.uni-g[...]
[3]
간행물
Zur Relativitätstheorie II: Vierdimensionale Vektoranalysis
https://zenodo.org/r[...]
[4]
간행물
Über das Benndorfsche Problem der Fortpflanzungsgeschwindigkeit der Erdbebenstrahlen
[5]
간행물
Über den vom Standpunkt des Relativitätsprinzips aus als starr zu bezeichnenden Körper
https://zenodo.org/r[...]
[6]
간행물
Über Potenzreihen mit positivem, reellen Teil im Einheitskreis
[7]
간행물
Classical Function Theory, Operator Dilation Theory, and Machine Computations on Multiply-Connected Domains
[8]
간행물
Über die Mechanik des deformierbaren Körpers vom Standpunkte der Relativitätstheorie
http://gallica.bnf.f[...]
[9]
간행물
Zur Einsteinschen Gravitationstheorie
[10]
간행물
Die Relativitätstheorie
http://resolver.sub.[...]
[11]
간행물
Review: Gesammelte Schriften, by Gustav Herglotz
http://www.ams.org/j[...]
[12]
간행물
Review: Ueber die analytische Fortsetzung des Potentials ins Innere der anziehenden Massen, by Gustav Herglotz
http://www.ams.org/j[...]
[13]
간행물
Über die Berechnung retardierter Potentiale
http://gdz.sub.uni-g[...]
[14]
간행물
Zur Relativitätstheorie II: Vierdimensionale Vektoranalysis
[15]
간행물
Über das Benndorfsche Problem der Fortpflanzungsgeschwindigkeit der Erdbebenstrahlen
[16]
간행물
Über den vom Standpunkt des Relativitätsprinzips aus als starr zu bezeichnenden Körper
[17]
간행물
Classical Function Theory, Operator Dilation Theory, and Machine Computations on Multiply-Connected Domains
[18]
간행물
Über Potenzreihen mit positivem, reellen Teil im Einheitskreis
[19]
간행물
Über die Mechanik des deformierbaren Körpers vom Standpunkte der Relativitätstheorie
http://gallica.bnf.f[...]
[20]
간행물
Zur Einsteinschen Gravitationstheorie
[21]
간행물
Die Relativitätstheorie
http://resolver.sub.[...]
[22]
간행물
Review: Gesammelte Schriften, by Gustav Herglotz
http://www.ams.org/j[...]
[23]
간행물
Review: Ueber die analytische Fortsetzung des Potentials ins Innere der anziehenden Massen, by Gustav Herglotz
http://www.ams.org/j[...]
[24]
웹인용
DigiArchiv of SRA Trebon - ver. 22.05.20
https://digi.ceskear[...]
2022-05-25
[25]
저널
Review: ''Gesammelte Schriften'', by Gustav Herglotz
https://www.ams.org/[...]
[26]
저널
Review: ''Ueber die analytische Fortsetzung des Potentials ins Innere der anziehenden Massen'', by Gustav Herglotz
https://www.ams.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