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가보안부 (동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보안부(Staatssicherheit, MfS), 일명 슈타지는 1949년 동독 건국 이후 소련 KGB의 지원을 받아 설립된 동독의 비밀 경찰이자 정보 기관이다. 동독의 국가 안보를 수호하고 서방 세력의 적대 행위를 감시하는 것을 목표로, 비밀 정보 수집, 정치적 반대 세력 탄압, 해외 첩보 활동 등을 수행했다. 1989년 동독 정권 붕괴와 함께 개혁 시도와 문서 파기 시도가 있었으나, 시민들의 반발로 해체되었고, 관련 자료는 공개되어 슈타지의 활동과 관련된 진실을 밝히는 데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타지 - 연방슈타지기록물처
    연방슈타지기록물처는 동독 비밀경찰 슈타지가 수집한 기록물을 관리하는 독일 연방 기관으로, 슈타지 기록물 접근, 보존, 연구를 지원하며 과거사 청산과 피해자 지원에 기여하고 있다.
  • 독일의 정보기관 - 게슈타포
    게슈타포는 1933년 헤르만 괴링이 프로이센 비밀경찰을 재편성하여 나치 독일의 비밀 국가 경찰로 설립되었으며, 하인리히 힘러의 SS 보안국 하부 기관으로 편입 후 반체제 인사 탄압, 정치적 반대파 감시, 유대인 대량 학살 등에 관여하며 나치 공포 정치의 핵심 기관으로 활동, 전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범죄 조직으로 규정되었다.
  • 독일의 정보기관 - SS전국지도자 보안국
    SS전국지도자 보안국은 나치 독일의 친위대 내 정보기관으로, 나치당의 "적" 조사에서 시작하여 국내외 정보 수집 및 공작 활동을 수행하며 권력을 확대하고 홀로코스트 실행에 관여하여 전쟁 범죄에 연루,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범죄 조직으로 선포되었다.
  • 동독 - 울브리히트 독트린
  • 동독 - 인민경찰
    인민경찰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동독에서 설립된 중앙 경찰 조직으로, 초기 어려움을 겪었으나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 당원 비율이 높아졌고, 일반 경찰 업무 외 국경 보호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다 1990년 독일 통일과 함께 해체되어 독일 연방경찰과 주 경찰에 의해 기능이 계승되었다.
국가보안부 (동독)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슈타지 문장
국가보안부 문장
약칭슈타지 (STASI)
독일어 명칭Ministerium für Staatssicherheit (MfS)
한국어 명칭국가보안부
모토독일어: Schild und Schwert der Partei (당의 방패와 검)
유형비밀경찰, 정보 기관
본부동베를린 리히텐베르크구
해산일(동독 해산일)
조직
산하 기관해외공작총국 (, HVA)
역사
인원
정규 직원91,015명
비공식 협력자174,000명
역대 수장
초대 수장(1950–1953)
2대 수장(1953–1957)
3대 수장에리히 밀케 (1957–1989)
4대 수장(1989–1990)

2. 설립 배경

1949년 독일은 독일민주공화국(동독)과 독일연방공화국(서독)으로 분단되었다. 동독은 소련의 영향권 아래에 있었으며, 바르샤바 조약기구 가입국이자 소련의 동맹국이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소련 정보기구 KGB의 주도로 동독 국가 안보 수호를 위한 비밀경찰 조직인 슈타지가 창설되었다.[198] 슈타지는 서독 및 서방 세력과 그 동조자들의 적대행위를 감시하고 차단하는 역할을 맡았다.[198] 1950년 2월 8일 ‘국가안전보안성법’이 발효되면서, 동독 최고인민의회는 ‘국민경제보호’ 명목으로 내무성 산하 보안본부를 독립시켜 슈타지를 공식 창설했다.[199]

1947년 8월 16일, 동독의 소련 점령군 당국은 비밀 경찰 조직인 "제5 위원부(K-5)"를 창설했다. 초대 위원(장관급)은 Wilhelm Zaisser|빌헬름 차이서de였고, 부위원은 에리히 밀케였다. K-5는 형식상 인민 경찰 형사국에 소속되었다.

1949년 동독 건국 이전부터 소련군 군정 하에 Deutsche Wirtschaftskommission|독일 경제 위원회de(DWK)와 인민 경찰(Volkspolizei, 약칭 포포)이 조직되었다. 인민 경찰은 병영 인민 경찰을 거쳐 국가 인민군이 되었다. K-5와 슈타지 창설에는 나치 정권 시절 게슈타포와 국가 보안 본부 출신 정보부(SD) 요원들이 채용되었다는 설이 있지만, 상세한 내용은 불분명하다.

슈타지 설립 관련 주요 인물
이름역할비고
Wilhelm Zaisser|빌헬름 차이서deK-5 초대 위원, 초대 국가 보안상--
에리히 밀케K-5 부위원, 국가 보안성 차관, 이후 국가 보안상--
Ernst Wollweber|에른스트 볼베버de내무성 국가 보안국 국장--


2. 1. 동독의 분단과 소련의 영향

1949년 독일민주공화국(동독)과 독일연방공화국(서독)으로 분단된 후, 동독은 소련의 점령 통치를 받았다.[198] 동독은 바르샤바 조약기구 가입국이자 소련의 동맹국으로서 소련의 영향권 아래에 있었다.[198]

2. 2. 슈타지 창설 목적

소련의 정보 기구였던 KGB의 주도로 슈타지가 창설되었다. 슈타지의 주요 목적은 동독의 국가 안보를 수호하기 위해 서독과 서방 세력(미국, 프랑스, 영국 등) 및 그 동조자들의 적대행위를 정찰하고 사전에 봉쇄하는 것이었다.[198] 1950년 2월 8일, '국가안전보안성법(독일어: Gesetz über die Bildung eines Ministeriums für Staatssicherheit)'이 발효된 후, 동독 최고인민의회는 '국민경제보호'를 명목으로 내무성 산하 '보안본부(독일어: Hauptabteilung Staatssicherheit)'를 독립시켜 슈타지를 공식 창설했다.[199]

3. 구성

슈타지는 1970년대에 이르러 체포와 고문 같은 노골적인 박해 방법이 너무 조악하고 명백하다고 판단하여, '제르체쭝'(Zersetzung|발음de)이라는 심리적 괴롭힘 기술을 사용했다. 이는 국제적인 비난을 피하고, 피해자들이 저항 의지를 잃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다.[38] '제르체쭝'은 대상에 따라 "창의적이고 차별화된"[40] 방식으로 적용되었으며, 주로 사생활을 파괴하는 심리적 공격을 포함했다.[41]

''제르체쭝''의 전술에는 가스라이팅, 재산 피해, 자동차 파손, 여행 금지, 경력 파괴, 흑색 선전, 거짓 고발, 심리전, 전화 도청 등이 포함되었다.[42] 이러한 괴롭힘은 피해자들에게 심각한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영향을 미쳤으며, 실업과 사회적 고립을 초래했다.[42] 많은 피해자들은 슈타지가 원인이라는 것을 알지 못했고, 정신 붕괴나 자살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 슈타지는 10만 명 이상의 직원을 보유했으며, 40개 이상의 다양한 부서와 지부로 조직되었다.[47] 주요 부서(Hauptabteilungen)는 다음과 같다:[47]


  • HA I (NVA 및 그렌츠트루펜 내부 보안)
  • HA II (방첩, 외국 대사관 통제, 내부 MfS 보안, 특별 행사)
  • HA III (전자 감시)
  • HA VI (여권 및 국경 통제, 관광 보안)
  • HA VII (Volkspolizei 내부 보안)
  • HA VIII (수사 및 감시, 통과 경로 통제)
  • HA IX (내부 수사)
  • HA XVIII (경제, 산업 및 농업 보안)
  • HA XIX (교통 및 통신)
  • HA XX (정부 내부 보안, 정당, 교회, 스포츠, 청소년 단체, 반체제 운동)
  • HA XXII (대테러 정보 및 폭동 진압)
  • HA Cadre (훈련, 인사 관리 및 규율)
  • HA Personal (당 지도부 보호)
  • HVA (외국 정보 및 첩보)


이외에도 Abteilung X (동유럽 보안 협력), Abteilung XI (중앙 암호 서비스), Abteilung XIII (중앙 컴퓨터 센터), Abteilung XIV (교도소 및 노동 수용소), Abteilung XVII (서베를린의 국경 통과 허가 사무소), Abteilung 26 (전화 통제 및 도청), MfS 법률 부서, Juristische Hochschule des MfS (법과대학, MfS 장교 학교), Fachschule Gransee (특수 학교 그란제, MfS 기초 훈련), Zentraler Medizinischer Dienst in MfS (중앙 MfS 의료 서비스), Institute fuer Fremdsprachenausbildung (외국어 훈련), Arbeitsgruppe des Ministers (AGM, 장관 실무 그룹, 억류 및 특수 부대), Arbeitsgruppe des Ministers 5 (AGM 5, 레인저, 교란 작전원 및 저격수), Abteilung M (우편 통제), Abteilung Finanzen (재무 부서), Zentrale Koordinierungsgruppe (ZKG, 중앙 조정 그룹, 탈북 방지), Verwaltung Rueckwaertige Dienste (지원 서비스, MfS 건물 건설), Zentraler Operationsstab (중앙 작전 참모, 중앙 MfS 작전 계획 및 지휘), Abteilung E (여권 및 문서 위조), Abteilung Bewaffnung, Chemische Dienste (무기 및 화학전) 등 다양한 조직·부서가 존재했다.[47]

''제르체쭝''의 미묘한 특성 덕분에 동독은 외교 관계에서 그럴듯하게 부인할 수 있었다.[46] 이는 동독이 국제적 위상을 높이려 했던 1970년대와 1980년대에 특히 중요했다.[46]

3. 1. 조직도

{| class="wikitable"

|+ 슈타지 주요 조직도[200]

|-

! 본부

! 역할

! 하위 부서

|-

| 베를린 중앙본부

|

| 총국(Hauptabteilung)

|-

! colspan="2" | 총국 산하 5개 관할 영역

|-

| 안전담당국(Arbeits-gruppe S)

| 공작원 및 정규 직원 보안

|

주요 분야



학술 및 과학기술 분야



기타 분야



|-

! colspan="3" | 5개 관할 영역 산하 15개 행정대도시 분국

|-

| 중앙2국(Hauptabteilung II)

| 방첩 및 광범위한 분야 임무 수행 (사회주의통일당 강령 불일치 활동 방지)

|

|-

| 중앙 3국(Hauptabteilung III)

| 서독 통신 및 전화 첩보 담당

|

|-

| 중앙 18국(Hauptabteilung XVIII)

| 산업 스파이 및 서독 기업인 감시

|

|-

| 중앙 22국(Hauptabteilung XXII)

| 국제 테러 단체 연계 및 침투 지원

|

|-

| 중앙협력국(Die Zentrale Koordinierungsgruppe)

| 동독서독 탈주 방지[202]

|

|-

! colspan="3" | 15개 행정대도시 분국 산하 210개 행정소도시 및 7개 대형사업장 분처[200][199]

|-

! colspan="3" | 기타: 자체 구금시설, 수사기관, 집행관, 판사, 검사 보유[201]

|}

이외 슈타지에는 다음과 같은 조직·부서가 존재했다.[47]


  • 정찰총국(Hauptverwaltung Aufklärung) - 대외 첩보 부문. 소련 KGB의 제1총국에 해당한다. A총국이나 HVA라고도 불린다. 주로 서독, 미국, NATO 가맹국, 서베를린의 첩보를 주로 담당했다.[165] 소속된 직원은 대졸 출신이 많았으며, 이 국에서 근무하는 것은 엘리트나 출세로 여겨졌다.[155]
  • 제1국(Hauptabteilung I) - 국가인민군 및 국경경비대, 군사 정찰국 (국방부 직할의 군사 정보 부문)의 감시를 담당.
  • 제2국(Hauptabteilung II) - 방첩 담당.
  • 제3국(Hauptabteilung III) - 동베를린에서의 방첩과 시긴트에 의한 통신 감청을 담당.
  • 펠릭스 제르진스키 경비 연대 - 직속 준군사 조직. 1989년 10월 시점에서 1만 1000명이 당국에 소속되어 있었다.[167]
  • HA I (NVA 및 그렌츠트루펜 내부 보안)
  • HA VI (여권 및 국경 통제, 관광 보안)
  • HA VII (Volkspolizei 내부 보안)
  • HA VIII (수사 및 감시, 통과 경로 통제)
  • HA IX (내부 수사)
  • HA Cadre (훈련, 인사 관리 및 규율)
  • HA Personal (당 지도부 보호)
  • Abteilung X (동유럽 보안 협력)
  • Abteilung XI (중앙 암호 서비스)
  • Abteilung XIII (중앙 컴퓨터 센터)
  • Abteilung XIV (교도소 및 노동 수용소)
  • Abteilung XVII (서베를린의 국경 통과 허가 사무소)
  • Abteilung 26 (전화 통제 및 도청)
  • MfS 법률 부서
  • Juristische Hochschule des MfS (법과대학, MfS 장교 학교)
  • Fachschule Gransee (특수 학교 그란제, MfS 기초 훈련)
  • Zentraler Medizinischer Dienst in MfS (중앙 MfS 의료 서비스)
  • Institute fuer Fremdsprachenausbildung (외국어 훈련)
  • Arbeitsgruppe des Ministers (AGM, 장관 실무 그룹, 억류 및 특수 부대)
  • Arbeitsgruppe des Ministers 5 (AGM 5, 레인저, 교란 작전원 및 저격수)
  • Abteilung M (우편 통제)
  • Abteilung Finanzen (재무 부서)
  • Zentrale Koordinierungsgruppe (ZKG, 중앙 조정 그룹, 탈북 방지)
  • Verwaltung Rueckwaertige Dienste (지원 서비스, MfS 건물 건설)
  • Zentraler Operationsstab (중앙 작전 참모, 중앙 MfS 작전 계획 및 지휘)
  • Abteilung E (여권 및 문서 위조)
  • Abteilung Bewaffnung, Chemische Dienste (무기 및 화학전)
  • 빌헬름 자이서 (1950년 2월 8일 – 1953년 7월 18일)
  • 에른스트 볼베버 (1953년 7월 18일 – 1955년 11월 24일)
  • 에리히 밀케 (1957년 12월 11일 – 1989년 11월 7일)
  • 볼프강 슈바니츠 (1989년 11월 18일 – 1990년 1월 11일)

3. 2. 5개 관할 영역 기구 및 역할

안전담당국(Arbeits-gruppe S)은 공작원 망과 정규 직원에 대한 철저한 보안을 담당했다.[202]

분야담당
주요 분야
제1과정부
제2과정당
제3과유럽
제4과
제9과정보기관
제10과영향력 공작
제11과미국
제12과NATO
학술 및 과학기술 분야
제13과에너지, 생물, 화학
제14과전자기공학
제15과기계공학 및 수출입 통제
제5과학술 및 과학기술부서 자료 조사 및 평가
기타 분야
제16과공식 접촉
제17과국경 잠입
제18과태업 및 국가 방위
제15과지역 조직[202]


3. 3. 15개 행정대도시 분국


  • 중앙2국(Hauptabteilung II): 공식적으로 방첩 임무를 책임졌지만, 실제로는 매우 광범위한 분야에서 임무를 수행했다. 동독에서 사회주의통일당의 강령에 일치하지 않는 모든 활동은 서독 정보기관에 의해 조종되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그러한 활동을 방지하는 것이 주요 임무였다. 이들의 감시 대상에는 서독 언론인, 학술 연구 단체 등이 적성단체(feindliche Zentren)로 분류되어 포함되었다.[202]
  • 중앙3국(Hauptabteilung III): 서독에서의 통신 및 전화 첩보 담당[202]
  • 중앙18국(Hauptabteilung XVIII): 산업 스파이와 서독 기업인들에 대한 감시 담당[202]
  • 중앙22국(Hauptabteilung XXII): 국제 테러 단체와의 연계 및 그들의 침투 지원[202]
  • 중앙협력국(Die Zentrale Koordinierungsgruppe): 동독인이 서독으로 탈주하는 것을 막음[202]

3. 4. 인력 편성

슈타지 요원은 크게 공식 요원(Hauptamtlicher Mitarbeiter)과 비공식 요원(Inoffizieller Mitarbeiter)으로 나눌 수 있다. 1989년 기준으로, 슈타지에는 공식 요원 91,015명과 비공식 요원 173,200명이 있었다.[203] 공식 요원은 베를린 중앙본부나 시도 단위 지부, 읍면 단위 지부 등 각 부서에서 정식으로 근무했고, 비공식 요원은 평범한 시민으로 위장하여 정보를 수집, 공식 요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 이 외에도 사회안전요원(Gesellschaftlicher Mitarbeiter), 접선요원(Kontaktperson), 동독 인민경찰 산하 K1 요원(Mitarbeiter K1) 등이 있었다.[203]

1989년 슈타지는 정규직 직원 91,015명을 고용했는데, 여기에는 전임 비공식 협력자 2,000명, 병사 13,073명, 동독군 장교 2,232명[22], 동독 내 비공식 정보원 173,081명, 서독 내 정보원 1,553명이 포함되었다.[23][24]

정규 슈타지 장교는 18개월 의무 군 복무를 명예롭게 마치고, SED 당원이며, 당 청년 조직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군 복무 중 슈타지 정보원이었던 징집병 중에서 채용되었다. 후보자는 군 부대 정치 장교, 슈타지 요원, 영구 거주 지역 지구(Bezirk) 슈타지 및 Volkspolizei 사무소 지역 책임자, SED 지구 서기 추천을 받아야 했다. 이후 여러 시험을 거쳐 장교가 될 지적 능력과 정치적 신뢰도를 평가받았다. 대학 졸업생은 시험을 면제받았다. 장교 훈련은 포츠담 슈타지 대학(''Hochschule'')에서 2년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정신적, 학문적으로 덜 뛰어난 후보자는 일반 기술자가 되었고 부사관을 위한 1년 과정 기술 교육을 받았다.

1995년까지 확인된 ''inoffizielle Mitarbeiter'' (IM) 슈타지 정보원은 약 174,000명으로, 18~60세 동독 인구의 약 2.5%에 해당한다.[19] 18세 미만 IM은 10,000명이었다.[19] 요아힘 가우크 인터뷰에 따르면 최대 50만 명의 정보원이 있었을 수 있다.[19] 전직 슈타지 대령은 임시 정보원을 포함하면 200만 명에 달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19]

정규직 요원은 모든 주요 산업 공장에 배치되었고, 모든 아파트 건물에는 지역 Vopo 대표에게 보고하는 감시원 세입자가 있었다. 슈타지는 각 정보 제공자 유형에 대한 공식 분류와 정보 추출 및 통제 지침을 가지고 있었다.[27] 정보 제공자에게는 중요성을 느끼게 하고, 물질적/사회적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모험심을 심어주었으며, 공식 수치에 따르면 약 7.7%만이 강압에 의해 협력했다. 정보 제공자 상당수는 SED 당원이었다.[28]

헬싱키 협정이 체결된 1975년 이후 IM 수는 약 180,000명으로 정점에 달했다.[32] 1989년 동독 붕괴 당시 슈타지는 직원 91,015명과 정보 제공자 173,081명을 고용했다.[34]

3. 5. 주요 고위 간부


  • 발터 울브리히트(Walter Ernst Paul Ulbricht): 1949년 동독 설립 당시 부수상이었으며, 1960년부터 1971년까지 국가 평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서독과의 정치범 교환으로 얻은 자금과 재화를 슈타지 조직 증강에 사용하여 슈타지 유지에 기여했다.[204]
  • 빌헬름 자이써(Wilhelm Seisser): 초대 국가보안장관으로, 1957년까지 장관직을 수행했다.
  • 에리히 밀케(Erich Mielke): 제3대 국가보안장관으로, 슈타지가 해체될 때까지 장관직을 맡았다. 슈타지의 문화 정책, 감시, 검열 등을 책임졌다.
  • 에리히 호네커(Erich Honecker): 발터 울브리히트의 후임으로 국가 평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출국 제한 조치가 내려졌던 시기에 밀케와 함께 출국 허가 등에 대한 최종 결정 권한을 가졌다.[205]

3. 6. 주요 간첩


  • 귄터 기욤(Günter Guillaume): 빌리 브란트 서독 총리의 측근으로, '빌리 브란트의 그림자'라고 불릴 정도로 신뢰를 받았으나, 슈타지 간첩으로 밝혀져 서독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서독 기밀 문서에 쉽게 접근해 간첩 활동에 크게 기여했다.[57]
  • 라이너 룹(Rainer Rupp):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내 간첩으로 활동하며, NATO의 기밀 및 정보전달체계를 파악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48]
  • 클라우스 쿠론(Klaus Kuron): 서독 헌법보호청(BfV) 방첩과 근무 중 슈타지에 협력하여, 서독의 대동독 방첩 작전 내용을 공작총국에 알리는 등 배신 행위를 했다.
  • 오토 욘(Otto John): 서독 출신임에도 국가 기밀을 동독에 누설하고 동독 선전 공세에 개입하는 등 변절했으나, 그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일반적인 공작원과는 다른 인물로 평가받는다.[206][207]

4. 주요 역할

슈타지는 표면적으로는 국가 안보를 위한 기관이었지만, 실제로는 사회주의통일당의 권력 유지를 위한 도구로 활용되었다. 공식적으로 내세운 임무는 다음과 같았다.[208]

> 적에 대한 전략적, 전술적 정보를 당에 시의적절하게 제공하고, 적을 출발 단계에서부터 색출, 방해, 격퇴하며, 동독에 대한 적대적 음모를 저지하고, 내부의 적을 색출하며, 동독의 안전을 어떤 조건에서도 보장하고, 예방과 높은 감시, 규율과 질서를 통해 파괴 행위를 방해한다.

그러나 실제 역할은 비밀정보기관, 정치비밀경찰, 사법조사기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동독 사회 전반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것이었다.[209] 이러한 활동은 궁극적으로 테러 및 사보타주 등을 포함한 전쟁이나 위기 상황을 조성하는 것으로 연결되었다.

4. 1. 공식 임무

슈타지의 공식 임무는 다음과 같았다.[208]

> 적에 대한 전략적, 전술적 정보를 당에 시의적절하게 제공하고, 적을 출발 단계에서부터 색출, 방해, 격퇴하며, 동독에 대한 적대적 음모를 저지하고, 내부의 적을 색출하며, 동독의 안전을 어떤 조건에서도 보장하고, 예방과 높은 감시, 규율과 질서를 통해 파괴 행위를 방해한다.

슈타지는 비밀정보기관, 정치비밀경찰기관, 사법조사기관의 성격을 동시에 갖춘 기관이었다.[209]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았다.[210]

  • 외국 첩보 기관 활동 저지를 통한 스파이 활동 예방
  • 동독에 위협이 될 수 있는 국가 및 조직 정보 수집
  • 사회주의통일당 정책이나 사회주의 질서에 반하는 움직임 무력화
  • 국민경제, 우편, 통신, 국경 등을 범죄로부터 보호
  • 동독 주민들의 해외 이주 및 탈주 방지
  • 외환 및 금수 품목 조달


슈타지는 독립적인 기관이 아니라 사회주의통일당의 지시를 따랐다. 거의 모든 슈타지 요원이 당원이었고, 지역 기관장도 당 간부를 겸임하는 경우가 많아 당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당 지도부가 임무를 부여하면, 슈타지는 당 안보 정책을 수행했다.[211][200][201]

4. 2. 실제 역할

슈타지는 비밀정보기관(Aufklärung), 정치비밀경찰기관(Abwehr), 사법조사기관(Strafverfolgung)의 성격을 동시에 갖춘 기관이었다.[209] 외국첩보기관의 활동을 저지하여 스파이 활동을 예방하고, 동독에 위협이 될 수 있는 국가 및 비국가조직의 정보를 수집했다. 또한 당 정책이나 사회주의 사회질서에 대항하는 움직임을 미리 파악해 무력화시키는 역할도 수행했다. 국민경제, 우편, 통신, 국경 등 범죄행위 예방도 슈타지의 역할이었다.[210] 그 외, 동독 주민의 해외 이주 및 탈주를 저지하고, 외환 및 금수 품목을 조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슈타지는 독립적인 부서가 아니었다. 사회주의통일당의 지시, 과제, 투쟁임무(Kampfauftrag) 등을 정확하게 수행해야 했다. 슈타지 요원 거의 100%가 사회주의통일당 당원이었고, 슈타지 지역 산하기관의 장은 사회주의통일당 지역부서의 장을 역임하는 경우가 많아, 슈타지는 사회주의통일당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사회주의통일당 지도부가 임무를 부여하면, 슈타지는 당 안보 정책 임무를 수행하는 기관이었다.[211][200][201]

4. 3. 사회주의통일당(SED)과의 관계

슈타지는 사회주의통일당의 지시, 과제, 투쟁임무(Kampfauftrag)를 정확하게 수행해야 했다. 거의 모든 슈타지 요원이 사회주의통일당 당원이었으며, 시도 단위 지부(BV), 읍면 단위 지부(KD) 등 슈타지 지역 산하기관장은 사회주의통일당 내 각 지역부서장을 겸임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점은 슈타지가 사회주의통일당과 밀접하게 연관되었음을 보여준다. 사회주의통일당 지도부가 임무를 부여하면, 슈타지는 당의 안보 정책 관련 임무를 수행하는 역할을 맡았다.[211][200][201]

4. 4. 시기별 역할 변화

사회주의통일당의 지시를 따르던 슈타지의 역할은 동독의 상황에 따라 변화했다.

  • 1950년~1961년: 동독 설립 초기부터 베를린 장벽이 세워지기 전까지 슈타지는 시민들에 대한 폭력적인 감시를 행했다. 이들은 즉각적으로 개입하고 공작조치(OV)를 발동하여[212] 공산주의 사회질서를 위협하는 움직임을 미리 막고자 했다. 이 시기에는 문학이나 대중매체와 같은 문화 영역은 감시 대상이 아니었다.[214]
  • 1961년~1976년: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동독의 통치 방식은 크게 변화했고 슈타지의 역할도 변화했다. 동독 주민들이 더 이상 서독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면서 사회주의통일당의 권력은 더욱 강해졌다. 슈타지는 동독 체제를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 주민들을 감시하고, 필요한 경우 위협하고 구금했다. 조금이라도 서독에 우호적인 움직임이 보이면 주모자를 색출하고 심문했다.[215] 문화 영역에 대한 감시와 검열도 확대되었다.[216]
  • 1976년~1989년: 냉전 체제가 완화되면서 슈타지는 이전의 폭력적인 통치 방식을 유지하기 어려워졌다.[217] 그래서 직접적인 통제가 드러나지 않는, ‘심리적 테러(독일어: Zersetzung)’라는 교묘한 방법을 사용하여 주민들을 탄압했다.[218] 이 방식에는 전화 감청, 비밀 촬영, 서신 검열, 출입국 감시 등 다양한 수단이 동원되었다.[219] 의심스러운 사람들은 방사능 물질 노출, 독극물, 협박, 유괴, 살해 등의 방법으로 고문당했다.[220] 이전 시기에 활발했던 문화 영역에서의 슈타지의 엄격한 감시와 통제는 시민운동의 투쟁으로 인해 통일 전 마지막 국면에는 어느 정도 축소되었다.[214]

5. 대외 조직 관계

국가보안부(슈타지)는 대외적으로 소련 국가보안위원회(KGB) 및 동독 인민군 산하 군 첩보국과 관계를 맺고 있었다.

슈타지는 종전 이후 점령국인 소련의 통제하에 창설되었다. 이후 협력관계로 전환되었지만, 상하 관계는 명확히 구분되었다. 슈타지는 독자적으로 공작 활동을 수행했지만, 소련의 지침을 따랐고 세세한 부분까지 상의했다. KGB는 슈타지 활동에 무제한 접근이 가능했지만, 슈타지는 KGB 활동에 제한적으로만 접근할 수 있었다. 이는 슈타지가 사실상 KGB의 위탁임무를 수행하는 기관 중 하나였음을 보여준다.[221]

1989년 당시 러시아 대통령이었던 블라디미르 푸틴은 KGB 근무 시절 1985년부터 5년간 동독에 주재하며 슈타지 신분 증명서를 소지했던 것이 2018년에 밝혀졌다.[196]

군 첩보국은 주로 서독에서 활동했으며, 정직원 수는 약 1000명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소련의 지령을 받아 군사 관련 첩보를 수행했으며, 서독베네룩스 국가(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덴마크를 담당하였다. 군사기관인 군 첩보국은 슈타지와는 대조적으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적국의 강세를 판별했다. 슈타지와 경쟁 관계에 있었고, 1960년대 중반 이후 슈타지 지도부의 감시를 받았다. 군 첩보국은 동독 체제 붕괴와 함께 해체되었으며, 관련 자료는 동독 신임 국방부 장관에 의해 전량 폐기되었다.[222]

5. 1. 소련 국가보안위원회(KGB)와의 관계

종전 이후 동독의 공작기관은 당시 점령국인 소련의 통제하에 창설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협력관계로 전환되긴 하였지만, 상하 관계의 명확한 구분은 지속되었다.

실제 공작 활동은 슈타지가 독자적으로 수행하였지만, 방침은 소련의 지침을 따랐으며 구체적인 작전 수행에 있어서도 소련과 매우 세세한 부분까지 상의하였다. 다만 소련의 KGB는 슈타지 활동에 대해 훤히 꿰뚫어보고 활동 결과에 대해서 무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었던 반면에, 슈타지는 자매기관인 KGB의 활동 내용에 관련해 KGB가 내어주는 부분만을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하관계는 사실상 슈타지가 KGB의 위탁임무를 수행하는 기관 중 하나였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221]



1989년 당시 러시아 대통령이었던 블라디미르 푸틴은 KGB 근무 시절인 1985년부터 5년간 동독에 주재했는데, 그 당시 슈타지 신분 증명서도 가지고 있었음이 2018년에 밝혀졌다.[196]

5. 2. 동독 인민군 산하 군 첩보국(Verwaltung Aufklärung)과의 관계

군 첩보국은 주로 서독에서 활동하였으며, 정직원 수는 약 1000명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주로 소련의 지령을 받아 군사 관련 첩보를 수행하였으며, 서독베네룩스 국가(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덴마크를 주로 담당하였다. 군사기관인 군 첩보국은 슈타지와 같은 비군사 첩보기관과는 대조적으로 활용 가능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적국의 강세를 판별하였다. 슈타지와는 어느 정도 경쟁 관계에 있었고, 실제 슈타지 지도부에서는 1960년대 중반 이후 군 첩보국을 감시하였다. 군 첩보국은 동독 체제 붕괴와 함께 해체되었으며, 관련 자료와 문서는 체제 붕괴 이후 동독 신임 국방부 장관에 의하여 전량 폐기되었다.[222]

6. 주요 활동 사례

국가보안부(슈타지)는 동독에서 광범위한 활동을 펼쳤다. 주요 활동 사례는 다음과 같다.


  • 국내 감시 및 탄압: 슈타지는 반체제 인사로 의심되는 사람들의 상세한 개인 정보 파일을 작성하여 관리했다. 동독 붕괴 후 이 파일들이 공개되면서 가족, 친구, 동료 등이 슈타지 정보원이었음이 밝혀져 많은 사람들이 충격을 받았다. 일부는 가정 파탄, 인간 불신, 정신 질환 등을 겪기도 했다.[157] 증거 인멸을 위해 많은 파일이 파기되었지만, 독일 연방 정부는 여전히 파일 복원 작업을 진행 중이다.[157]
  • 베를린 장벽 감시: 1973년 작성된 요강에 따르면, 베를린 장벽을 넘어 서방으로 탈출하려는 사람은 어린이일지라도 총격을 가하도록 규정했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157]
  • 심리전 (체르제충크): 1976년부터 슈타지는 '체르제충크(Zersetzungde)'라는 심리전 전술을 사용했다. 이는 감시 대상자의 약점을 파악하여 익명의 편지, 전화, 위조 사진 등을 통해 주변에 알리거나, 가택 및 차량 파괴, 로미오 첩보원을 이용한 이혼 유도 등을 통해 인간관계를 파괴하고 고립시키는 방식이었다.[157] WIRED는 이러한 수법이 정보화 시대에 더욱 주목해야 할 심리전이라고 보도했다.[181]
  • 해외 첩보 활동: 1958년, 슈타지는 대외 첩보를 담당하는 "A" 총국(HV A)을 창설했다. 마르쿠스 볼프가 이끌었던 "A" 총국은 각국에 4,500명 이상의 에이전트를 두고 있었다.[163][164]
  • 준군사조직 운용: 국내 활동을 위한 준군사조직으로 펠릭스 E. 제르진스키 경비 연대를 보유했다.
  • 유사 사례: 체르제충크와 유사한 수법은 미국에서는 코인텔프로로,[182] 러시아에서는 적극적 조치의 일환으로 사용되었다.[183][184]

6. 1. 귄터 기욤, 크리스탈 기욤 부부: 서독 수뇌부 침투

귄터 기욤은 동독 “민중과 지식”이라는 출판사에서 사진기사 및 사진편집자로 일했으며, 슈타지 정보조직 요원이었다. 1956년 서독으로 위장 탈출하여 독일 사회민주당(사민당, SPD)에 입당했다.[223] 그의 부인 크리스텔 기욤도 첩보 활동을 위해 사민당에서 일했다. 기욤은 근면성실함으로 빌리 브란트 총리의 측근이 되었고, 총리의 개인 보좌관으로서 거의 모든 문서에 접근할 수 있었다.[225]

빌리 브란트 총리(좌)와 귄터 기욤(우)


1973년 서독 헌법보호청은 기욤을 스파이 혐의로 포착했고, 1974년 기욤 부부는 체포되었다.[226] 기욤은 체포 당시 자신이 동독 국가 인민군 장교이자 국가 보안성 직원임을 밝혔다.[155] 이 사건으로 빌리 브란트 총리는 사임했고, 기욤은 13년 징역형을 선고받았다.[226] 1981년 동서독 간 스파이 교환으로 기욤은 동독으로 돌아갔다.[226]

6. 2. 하인리히 뤼브케 사건: 나치 전력 논란 조장

동독 공산당은 서독 지도자들을 나치로 몰아붙이는 전술을 애용했다. 동독 정권은 이를 통해 자신들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서독 민주주의의 영향력에 대응했다. 또한, 반나치주의를 통해 공산주의 독재를 필연적인 것으로 호도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슈타지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227]

슈타지는 나치 문서를 활용하여 서독 주요 인사들의 나치 전력 논란을 야기시켰다. 1959년 독일 제2대 대통령 하인리히 뤼브케는 슈타지의 표적이 되었다. 동독은 뤼브케를 '게슈타포의 첩자', '나치의 V-무기(2차 세계대전 말기에 독일군이 사용한 무인 미사일 장비)가 생산된 페네뮌데(독일어: Peenemuende)의 건설 책임자'라고 비난했다. 뤼브케는 나치 문제에 대한 자기 정화를 주장했지만,[228] 동독 언론의 공세로 인해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동독 문서보관소가 찾은 기록은 뤼브케가 '슐렘프 건설회사' 간부로서 갱도를 비행기 제작소로 개조하는 공사에 참여하여 유대인 수용소 수감자들을 동원했다는 것뿐이었다.[229] 그러나 언론은 과장된 보도로 뤼브케를 압박했다.

하인리히 뤼브케 대통령

7. 해체 과정

1989년 11월 9일 베를린 장벽이 붕괴된 후, 슈타지는 국가보안국(, 약칭: ")으로 개칭되었으나 이듬해 12월 해산되었다.[232] 슈타지 해산 이후, 미국서독은 슈타지 에이전트 명단이 담긴 "슈타지 파일"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했다. 이 파일은 정보원의 등록 번호와 가명, 제공 정보 요약 및 일시가 기재된 일종의 카드였다.

1990년 1월 15일, 동독 인권 운동가들이 베를린의 구 슈타지 청사를 점거하여 대량의 파일을 입수했지만, 대외 첩보 기관 관련 서류는 발견하지 못했다.[86] 이 자료들은 마르쿠스 볼프가 소련으로 가져갔거나, KGB 주 동독 지국에서 소각했다는 설이 있다. CIA는 "장미의 나무 작전"을 통해 대량의 마이크로필름을 탈취했다.

독일 연방 정부는 문서 반환을 요구했으나, 미국 연방 정부는 이를 거부했다. CIA는 BfV 주 워싱턴 대표에게 명단 열람을 허용했지만, 필사만 가능하고 복사는 허용되지 않았다.

독일과 미국 모두 슈타지 기록 해독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암투는 심화되었다. 1999년 1월, 일부 문서가 해독되면서 문제는 해결 국면에 접어들었다. 해독된 문서는 1969년부터 1987년까지의 기록으로 16만 건이 넘었다. 현재 슈타지 문서 해독 및 보관은 전 반체제파 목사 요아힘 가우크를 수장으로 하는 40명의 직원이 담당하며 "가우크 기관"으로 불린다(2000년부터 마리안네 빌트라로 교체되어 "빌트라 기관"). 문서 총량은 9억 건에 달한다.

2001년 1월 2일, 인터넷에 에이전트 10만 명의 명단이 공개되었다. 명단에는 성명, 평가, 매달 보수까지 상세히 기록되어 있었다.

2007년 11월, 덴마크 오덴세에서 남덴마크 대학교 냉전 연구 센터 주최로 슈타지 첩보 활동 종사자 약 60명이 "냉전 시대 긴박한 평화의 산 증인"으로 증언하는 회합이 열렸다.[193]

2009년, 서독 학생 운동과 독일 적군 등의 테러를 격화시킨 경찰관 카를-하인츠 클라스의 데모 참가 학생 벤노 오네조르크 살해 사건과 관련, 클라스가 슈타지 스파이였다는 자료가 발견되었다.[194] 각 매체는 이 사실을 톱뉴스로 보도하여 독일 국민에게 충격을 주었고, 베를린 오네조르크 위령비에는 "스탈린주의 희생자"라는 문구가 추가되었다.[195]

7. 1. 시민혁명 확산과 개혁세력 등장

1980년대 말, 소련 및 동구권 공산 국가들의 개혁, 개방 정책은 동독 주민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동독 지도부는 주변 국가들의 개혁과 주민들의 요구에 냉담했고, 오히려 독재 체제를 강화하려 했다. 그러나 동독 주민들은 새로운 사회를 갈망하며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를 시작했다.[230]

1980년대 중반, 동독에서는 교회를 중심으로 평화 운동 단체들이 활동하며 체제 변혁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들은 청년, 반정부 운동 단체, 예술가, 문인, 학자, 지식인층의 참여를 통해 새로운 정치적 구조를 지닌 시민 운동으로 발전했다. 이 단체들은 각자의 노선에 따라 동독의 개혁을 요구하며 대중 시위를 주도했다.[230]

동독 정부는 재야 단체 및 시민 단체의 목소리를 수렴하기 위해 원탁 회의를 개최했다. 이 원탁 회의는 훗날 슈타지 해체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230]

7. 2. 슈타지의 개혁 반발

1989년 10월, 슈타지는 시민들의 민주화 개혁 요구 시위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자체 무장병력과 경찰을 동원하여 시위대를 진압하였다.[231] 시위가 확산되자 슈타지는 외부적으로 침묵하면서도 내부적으로는 새로운 정치 세력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반격을 위한 무장을 강화했다. 1989년 11월 중순, 슈타지 내부에서는 상실감과 허탈감으로 인한 반항적이고 자포자기적인 폭력 행위 가능성이 증가했다.[231] 그러나 이는 새롭게 창설된 국가안전부 지휘부의 조직적이고 명확한 행동과 결합되지 못하여 반혁명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슈타지의 반혁명 시도와 시위대의 개혁 요구 진압이 모두 실패하면서, 본부의 정예요원들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중요 문서들을 폐기하기 시작했다.[231]

7. 3. 슈타지의 개혁

1989년 10월 이후 동독 전역에서 대규모 시위가 확산되면서 시위대는 '슈타지 해체'를 요구했고, 결국 정부는 슈타지 개혁에 착수하였다. 지난 40년간 슈타지가 동독 공산당의 독재를 위한 행동대 역할을 했기 때문에 시위대는 슈타지의 전면적 폐지를 요구하였다. 동독 공산당은 초기에는 이런 극단적 요구를 거부하고 '민주 사회주의적' 개혁에 역점을 두었다. 슈타지와 당 최고 지도부는 개혁 논의 혼란 속에 뚜렷한 대안 마련에 실패했고, 1989년 11월 13일 과도정부의 총리로 임명된 한스 모드로가 동독 지도자로서 처음으로 슈타지의 해체를 약속했다. 그러나 이 조치는 국가보안기구의 외형을 바꾸어 슈타지를 존속시키려는 것이었다. 1989년 11월 15일 슈타지를 국가안전부로 전환하는 것을 결정하고, 11월 17일 조직 명칭을 국가안전부로 개칭하는 조직 개편을 단행하였다. 슈바니츠의 국가안전부가 기존의 조직을 계속 유지하려 하고 개혁에는 진전이 없자, 결국 시민들의 강력한 반발로 인해 슈타지의 해체는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232]

7. 4. 슈타지의 해체

슈바니츠의 국가안전부 개혁은 실패했고, 중요 문건들은 계속 파기되었다. 시민운동가와 검사들은 슈타지 자료 파기 금지 운동을 확산시켰고, 각 지역별로 슈타지 해체를 위한 시민위원회가 조직되었다. 1989년 12월 4일, 국가안전부는 업무 중지를 선언했다.[233] 12월 7일, 중앙 원탁회의는 국가안전부 해체를 요구했고, 12월 8일 모드로우 내각은 국가안전부 해체를 발표하고 주요 간부 전원 사퇴 및 주요 부서, 지역 사무소를 해체했다. 슈타지 요원들은 흩어졌고, 지방, 중앙 조직 순서로 순차적으로 해체되었다.[233]

모드로우 내각은 국가안전부를 해체하면서 새로운 정보기관 신설을 준비했지만, 중앙 원탁회의와 시민들의 압력으로 전환 계획을 포기했다. 1990년 1월 12일, 동독 총리 모드로우는 새로운 비밀정보기관 설립은 없다고 주장했고, 1월 15일 슈타지의 현황보고서를 원탁회의에 제출했다.[233] 같은 날, 현황보고서를 통해 중요 문서가 계속 파기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시민들은 슈타지 본부를 장악했다.[233]

시민들이 베를린의 슈타지(Stasi) 건물에 항의하며 진입하는 모습; 팻말은 슈타지와 SED를 나치와 같은 독재자로 비난한다(1990).


1990년 1월 15일 저녁, 군중들이 슈타지 본부 정문 밖으로 몰려들어 파일 파기 중단을 요구했다.[86] 건물 안에는 방대한 개인 파일 기록이 보관되어 있었고, 시위대는 경찰을 제압하고 건물 안으로 진입했다. 시위대는 에리히 호네커에리히 밀케의 초상화를 찢거나 불태웠고, 일부 슈타지 직원들은 구타당했지만, 사망자나 심각한 부상자는 없었다.[86]

모드로우 정부는 1990년 2월 8일 '구 슈타지 해체위원회'를 구성했고, 정부 대표 통제 하에 해체 작업이 시작되었다. 1990년 3월 31일, 국가안전부는 완전히 해체되고 근무자들은 전역 조치되었다. 슈타지 해체위원회가 발족되었고, '특별위원회'도 설치되어 슈타지 해체 문제를 관리했다. 1990년 9월 25일, 슈타지 해체위원회는 최종 보고서를 제출했다. 중요 문건들은 거의 파기되었고, 남은 문건들은 중앙 관청에서 관리하게 되었으며, 구 슈타지 청사는 사무실, 박물관, 전시장으로 사용되고 있다.[233]

8. 통일 이후의 슈타지 요원

1989년 10월 이후 슈타지 요원들은 동독 사회에서 고립되기 시작했다. 슈바니츠의 개혁 프로그램에 따라 산업 전반에 걸쳐 전직이 추진되었지만, 동독 경제 악화로 인해 제한적이었다. 슈바니츠는 슈타지 해체 과정에서 직원들을 보호하려 노력했고, 해체 후 실업에 대비한 계획도 준비했지만, 급박한 상황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234]

모드로우 정부는 해고 요원들을 위해 보상 규정을 마련했지만, 원탁회의에 공개되면서 비판 여론이 거세져 해고 보상을 포기하고 동독 노동자와 동일한 실직 수당을 지급했다. 해고자 고용 창출을 위한 일반 회사 설립 계획 또한 실패했다. 신분과 경력을 위조하여 일반 회사에 전직하더라도 신분이 노출되면 즉각 해고되었다. 슈타지 요원들은 해체 전까지 임용과 보상을 약속받았으나, 통일 과정에서 모든 공직 근무 기회가 박탈되었고 연금 외의 사회보장 혜택도 차단되었다. 이들은 안정된 직장을 얻기조차 어려웠다.[234]

전직 슈타지 요원 마티아스 바르니히(암호명 "아르투어")는 현재 노르트 스트림의 대표이다.[112] 조사에 따르면, 가스프롬 게르마니아 경영진 일부는 전직 슈타지 요원이다.[113][114]

과거 슈타지 요원들은 ''법적 및 인도적 지원 협회''(GRH)를 통해 정치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마지막 슈타지 국장인 볼프강 슈바니츠를 포함한 전직 고위 간부들과 슈타지 직원들이 이 단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독일 공산당 등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다.

GRH는 슈타지에 대한 형사 기소를 "승자의 정의"라 비난하며 기소 철회를 요구하고, 동독의 유산에 대한 대중적 논쟁에서 다소 유토피아적인 대안적인 목소리를 제공한다. 베를린-호엔쇤하우젠 기념관 폐쇄를 요구하며, 추모 행사와 공공 행사에서 목소리를 높인다. 2006년 3월 베를린에서 GRH 회원들은 박물관 행사를 방해하여 정치적 스캔들이 일어났다.[115]

GRH는 또한 반대 입장을 가진 사람들과 기관에 로비를 펼치고 있다. 예를 들어, 2006년 3월 베를린 교육부 장관은 GRH 회원인 전직 슈타지 요원으로부터 박물관이 "거짓, 반공주의 선동, 미성년자에 대한 심리적 테러"를 조장한다는 내용의 서신을 받았다.[116] 이 박물관으로 견학을 계획하는 학교들도 비슷한 내용의 서신을 받았다.[117]

슈타지 해산 후, 미국서독 사이에서 슈타지 에이전트의 이름이 적힌 "슈타지 파일" 획득을 둘러싼 암투가 시작되었다. 1990년 1월 15일, 동독의 인권 운동가들이 베를린의 구 슈타지 청사를 점거하여 대량의 파일을 입수했지만, 대외 첩보 기관 관계 서류는 발견하지 못했다. 당시 CIA는 "장미의 나무 작전"을 실행하여, 대량의 마이크로필름을 탈취하는 데 성공했다.

독일 연방 정부는 이 문서의 반환을 요구했지만, 미국 연방 정부는 거부했다. 1999년 1월에 문서 일부가 해독되면서 문제는 해결되었다. 해독된 문서는 1969년부터 1987년까지의 기록으로, 16만 건이 넘는다. 현재 슈타지 문서 해독과 보관에는 전 반체제파 목사 요아힘 가우크를 수장으로 하는 40명의 직원이 종사하며 "가우크 기관"으로 통칭된다(2000년부터 수장이 마리안네 빌트라로 교체되어 "빌트라 기관"). 문서의 총 수는 9억 건에 달한다고 한다.

2001년 1월 2일, 인터넷상에 에이전트 10만 명의 명단이 게재되었다. 명단에는 성명뿐만 아니라, 그들의 평가와 매달의 보수까지 적혀 있었다.

2007년 11월, 덴마크오덴세에서, 남덴마크 대학교 냉전 연구 센터가 주최하여, 슈타지에서 첩보 활동에 종사했던 약 60명이 "냉전 시대의 긴박한 평화의 산 증인"으로서 증언하는 회합이 열렸다.[193]

2009년, 서독의 학생 운동, 독일 적군 등에 의한 테러 격화의 계기가 되었던, 경찰관카를-하인츠 클라스에 의한 데모 참가 학생 벤노 오네조르크 살해 사건과 관련하여, 클라스가 슈타지 스파이였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자료가 발견되었다.[194] 이 사실을 각 미디어가 일제히 톱 뉴스로 보도하여, 독일 국민에게 충격을 주었고, 높은 관심을 샀다.[195] 베를린에 있는 오네조르크의 위령비에 "스탈린주의에 의한 희생자"라는 문구가 덧붙여졌다.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the Stasi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5-03-09
[2] 간행물 Eternal Return: Berlin Journal, 1989–2009
[3] 웹사이트 Stasi files still cast shadow for Germans https://www.reuters.[...] 2024-11-05
[4] 뉴스 Germans campaign for memorial to victims of communism https://www.bbc.com/[...] 2018-01-31
[5] 웹사이트 No remorse from Stasi as Berlin marks fall of Wall https://www.reuters.[...] 2024-11-15
[6] 간행물 Unholy Allian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East German Stasi and the Right-Wing Terrorist Odfried Hepp 2018
[7] 서적 The United Nations and Terrorism: Germany, Multilateralism, and Antiterrorism Efforts in the 1970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4-09-02
[8] 서적 The Murder of Alexander Litvinenko: To Kill a Mockingbird https://books.google[...] White Owl 2023-07-18
[9] 서적 Daily Life behind the Iron Curtain https://books.google[...] ABC-CLIO 2023-07-18
[10] 서적 Reinventing Germany: German political development since 1945 https://books.google[...] Berg
[11] 서적 The East German Leadership, 1946-73: Conflict and Crisis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History of the Stasi: East Germany's Secret Police, 1945-1990 Berghahn Books 2014
[13] 서적 The Conditions, Means and Methods of the MfS in the GDR; An Analysis of the Post and Telephone Control Cuvillier Verlag 2004
[14] 뉴스 Putin's Stasi spy ID pass found in Germany https://www.bbc.co.u[...] 2023-04-08
[15] 서적 Spin Dictators: The Changing Face of Tyranny in the 21st Centu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04-04
[16] 서적 Spin Dictators: The Changing Face of Tyranny in the 21st Centu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04-04
[17] 문서 Koehler "2000"
[18] 뉴스 Stasi: The Untold Story of the East German Secret Police https://archive.nyti[...] 1999
[19] 문서 Koehler "2000"
[20] 문서 Fulbrook "2005"
[21] 웹사이트 Political prisoners in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https://communistcri[...] 2020-11-24
[22] 문서 Gieseke "2001"
[23] 문서 Müller-Enbergs "1993"
[24] 문서 Gieseke "2001"
[25] 문서 Koehler "2000"
[26] 뉴스 Video Games in East Germany: The Stasi Played Along https://www.zeit.de/[...] 2018-11-30
[27] 문서 Fulbrook "2005"
[28] 문서 Fulbrook "2005"
[29] 문서 Fulbrook "2005"
[30] 서적 Revolution 1989: The Fall of the Soviet Empire https://archive.org/[...] Pantheon Books
[31] 문서 Koehler "2000"
[32] 문서 Fulbrook "2005"
[33] 문서 Koehler "2000"
[34] 문서 Gieseke "2001"
[35] 뉴스 Computers to solve stasi puzzle http://news.bbc.co.u[...] 2007-05-25
[36] 뉴스 Stasi https://www.nytimes.[...] 2017-02-18
[37] 웹사이트 Hubertus Knabe: The dark secrets of a surveillance state http://www.ted.com/t[...] 2014-08-15
[38] 서적 The Stasi: Myth and Reality Pearson Education Limited 2003
[39] 서적 The Stasi: Myth and Reality Pearson Education Limited 2003
[40] 서적 The Stasi: Myth and Reality Pearson Education Limited 2003
[41] 서적 The Stasi: Myth and Reality Pearson Education Limited 2003
[42] 서적 The Stasi: Myth and Reality Pearson Education Limited 2003
[43] 간행물 Zersetzung (GDR) in ''Global Encyclopaedia of Informality, Volume 2: Understanding Social and Cultural Complexity'' https://www.jstor.or[...] UCL Press 2021-08-22
[44] 간행물 Cold war, hot secret 2001-01
[45] 간행물 Cold war, hot secret 2001-01
[46] 서적 The Stasi: Myth and Reality Pearson Education Limited 2003
[47] 웹사이트 East Germany: The Stasi and De-Stasification https://demokratizat[...] 2024-10-01
[48] 간행물 Spy Charges Widen in Germany's East https://www.nytimes.[...] 2017-02-18
[49] 서적 2000
[50] 문서 Seduced by Secrets: Inside the Stasi's Spy-Tech World
[51] 문서 The Culture of Conflict in Modern Cuba
[52] 서적 2000
[53] 웹사이트 A brave woman seeks justice and historical recognition for past wrongs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18-04-24
[54] 서적 2000
[55] 서적 2000
[56] 문서 Rafiq Hariri and the Fate of Lebanon 2009
[57] 뉴스 Gunter Guillaume, 68, Is Dead; Spy Caused Willy Brandt's Fall https://www.nytimes.[...] 2017-02-18
[58] 뉴스 Where Have All His Spies Gone? https://query.nytime[...] New York Times 1990-08-12
[59] 뉴스 Olympiakos soccer chief was 'spy for Stasi'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2-02-24
[60] 서적 The Stasi 1999
[61] 웹사이트 E. Germany Ran Antisemitic Campaign in West in '60s http://www.paulbogda[...] Washington Post 2010-12-20
[62] 문서 Neo-Nazism: a threat to Europe? Institute for European Defence & Strategic Studies
[63] 서적 The United Nations and Terrorism: Germany, Multilateralism, and Antiterrorism Efforts in the 1970s. Palgrave Macmillan
[64] 뉴스 The Truth about the Gunshot that Changed Germany http://www.spiegel.d[...] Spiegel Online 2009-05-28
[65] 뉴스 The gunshot that hoaxed a generation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09-05-28
[66] 뉴스 East German Stasi Spy Killed Protester, Ohnesorg, in 1967 https://www.nytimes.[...] 2017-02-18
[67] 웹사이트 Karl-Heinz Kurras: Erschoss er Benno Ohnesorg? Gab Mielke den Schießbefehl? http://www.bild.de/B[...] 2013-12-18
[68] 서적 Stasi: The Untold Story of the East German Secret Police 1999
[69] 웹사이트 Operation INFEKTION - Soviet Bloc Intelligence and Its AIDS Disinformation Campaign https://web.archive.[...] 2009
[70] 뉴스 KGB ordered Swiss explosion to distract attention from Chernobyl. United Press International 2000-11-27
[71] 뉴스 Stasi accused of Swiss disaster https://www.irishtim[...] The Irish Times 2000-11-23
[72] 서적 Sehnsucht Natur: Ökologisierung des Denkens Johannes Straubinger 2009
[73] 뉴스 Svensk tv-reporter mördades av DDR http://www.dn.se/DNe[...] Dagens Nyheter 2003-09-25
[74] 뉴스 Misstänkt mördare från DDR gripen http://www.dn.se/DNe[...] Dagens Nyheter/Tidningarnas Telegrambyrå 2003-09-26
[75] 뉴스 Misstänkte DDR-mördaren släppt http://www.dn.se/DNe[...] Dagens Nyheter/Tidningarnas Telegrambyrå 2003-12-17
[76] 서적 Seduced by Secrets: Inside the Stasi's Spy-Tech World Kristie Macrakis
[77] 웹사이트 Stasi Files Implicate KGB in Pope Shooting http://www.dw-world.[...] Deutsche Welle 2011-03-18
[78] 뉴스 The Kremlin's Killing Ways—A long tradition continues http://www.nationalr[...] National Review 2006-11-28
[79] 웹사이트 Stasi Aid and the Modernization of the Vietnamese Secret Police https://www.wilsonce[...] 2014-08-20
[80] 서적 Stasi: Shield and Sword of the Party John C. Schmeidel 2008
[81] 간행물 2005
[82] 뉴스 The Schlaff Saga / Laundered funds & 'business' ties to the Stasi http://www.haaretz.c[...] 2010-09-07
[83] 잡지 Piecing Together the Dark Legacy of East Germany's Secret Police https://www.wired.co[...] 2008-01-18
[84] 서적 God's Jury: The Inquisitio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2-01-17
[85] 웹사이트 The Stasi Headquarters http://www.stasimuse[...]
[86] 뉴스 Sturm auf die Stasi-Zentrale https://www.morgenpo[...] 2015-01-14
[87] 웹사이트 Functions of the BStU http://www.bstu.bund[...]
[88] 웹사이트 The File http://www.timothyga[...]
[89] 뉴스 Germans piece together millions of lives spied on by Stasi https://www.theguard[...] 2011-03-13
[90] 뉴스 Piecing Together the Dark Legacy of East Germany's Secret Police http://archive.wired[...] Wired
[91] 뉴스 Stasi files return to Germany http://news.bbc.co.u[...] BBC News 2000-04-05
[92] 웹사이트 Stasi Records Agency. History of the Records https://www.bstu.de/[...]
[93] 웹사이트 Stasi Museum Berlin. https://www.stasimus[...]
[94] 웹사이트 Gedenkstätte Berlin-Hohenschönhausen. History https://www.stiftung[...]
[95] 서적 Civil Society and Memory in Postwar German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96] 웹사이트 Stiftung Ettersberg. Andreasstrasse https://www.stiftung[...]
[97] 뉴스 How ordinary people smashed the Stasi https://www.thelocal[...] The Local 2014-12-04
[98] 웹사이트 The Bautzner Straße Memorial in Dresden website https://www.bautzner[...]
[99] 뉴스 Frankfurt (Oder) baut sein altes Gefängnis zum Kulturzentrum um / Gedenkstättenbeirat entsetzt Der einstige Hinrichtungsraum wird ein Café https://www.berliner[...] Susanne Rost 2002-05-25
[100] 웹사이트 Museum Viadrina. Gedenk- und Dokumentationsstätte „Opfer politischer Gewaltherrschaft“ http://www.museum-vi[...]
[101] 웹사이트 Torhaus Gera http://www.torhaus-g[...]
[102] 웹사이트 Geschichtsverbund Thüringen Arbeitsgemeinschaft zur Aufarbeitung der SED-Diktatur. Gedenkstätte Amthordurchgang Gera e.V. https://geschichtsve[...]
[103] 웹사이트 Stiftung Gedenkstätten Sachsen-Anhalt. Gedenkstätte Roter Ochse Halle (Saale) https://gedenkstaett[...]
[104] 웹사이트 Runde Ecke Leipzig (in English) http://www.runde-eck[...]
[105] 웹사이트 Runde Ecke Leipzig. Stasi Bunker Museum http://www.runde-eck[...]
[106] 웹사이트 Runde Ecke Leipzig. Execution site http://www.runde-eck[...] 2019-08-18
[107] 웹사이트 Gedenkstätte Moritzplatz Magdeburg. Zur Geschicte der Gedenkstätte https://gedenkstaett[...] 2019-08-18
[108] 웹사이트 Stiftung Gedenkstaette Lindenstrasse https://www.gedenkst[...] 2019-08-18
[109] 웹사이트 DDR Museum. Dokumentations- und Gedenkstätte in der ehemaligen U-Haft der Stasi in Rostock https://www.ddr-muse[...] 2019-08-18
[110] 서적 The History of the Stasi AuthorHouse 2015
[111] 웹사이트 BBL-MV. Sanierung einer Dokumentations- und Gedenkstätte in Rostock https://www.bbl-mv.d[...] 2019-08-18
[112] 웹사이트 Nord Stream, Matthias Warnig (codename "Arthur") and the Gazprom Lobby http://www.jamestown[...] Eurasia Daily Monitor 2011-06-05
[113] 웹사이트 Gazprom's Loyalists in Berlin and Brussels http://www.jamestown[...] Eurasia Daily Monitor 2009-05-26
[114] 웹사이트 Police investigate Gazprom executive's Stasi past http://www.thelocal.[...] 2011-03-18
[115] 뉴스 Stasi_Offiziere_leugnen_den_Terror http://www.morgenpos[...] Berliner Morgenpost 2006-03-16
[116] 웹사이트 Stasi-Anhänger schreiben an Bildungssenator Böger http://morgenpost.be[...] 2006-04-04
[117] 뉴스 Ehemalige Stasi-Kader schreiben Schulen an https://www.welt.de/[...] Die Welt 2006-03-26
[118] 뉴스 I regret nothing, says Stasi spy http://news.bbc.co.u[...] 2005-09-15
[119] 웹사이트 Aris, Helmut * 11.5.1908, † 22.11.1987 Präsident des Verbandes der Jüdischen Gemeinden http://www.bundessti[...] Bundesstiftung zur Aufarbeitung der SED-Diktatur: Biographische Datenbanken 2014-12-07
[120] 서적 Lexikon der DDR-Historiker. Biographien und Bibliographien zu den Geschichtswissenschaftlern aus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K. G. Saur, München 2006
[121] 웹사이트 Mandatsentzug läßt Beck kalt: "Ich bin ein Schlachtroß" http://archiv.rhein-[...] Rhein-Zeitung 2019-03-05
[122] 간행물 Neues Maueropfer http://www.spiegel.d[...] Der Spiegel (online) 2019-03-05
[123] 뉴스 Perfektes Dopen mit der Stasi https://www.tagessch[...] 2019-03-05
[124] 뉴스 February 11, 1992 ''New York Times'' article on Czudaj's espionage involvement. https://query.nytime[...] 2008-04-12
[125] 웹사이트 H-Soz-u-Kult / Mielke, Macht und Meisterschaft http://hsozkult.gesc[...] 2007-11-22
[126] 뉴스 Was der Geheimdienst der DDR mit dem Sport zu tun hatte https://www.dnn.de/D[...] Verlagsgesellschaft Madsack GmbH & Co. KG 2020-11-22
[127] 뉴스 Mielkes Rächer unbestraft https://www.welt.de/[...] welt.de 2009-06-26
[128] 뉴스 Spying Who's Who http://news.bbc.co.u[...] 2008-10-02
[129] 웹사이트 Das Stasi-Geheimnis der Hotelchefin Uta Felgner http://investigativ.[...] WeltN24 GmbH, Berlin 2019-03-05
[130] 뉴스 Cottbus-Trainer Geyer horchte Kirsten und Sammer aus https://www.spiegel.[...] Der Spiegel GmbH & Co. KG 2020-11-07
[131] 뉴스 Dynamo-Vereinslegenden treten als Ehrenspielführer zurück - wegen Ede Geyer https://www.spiegel.[...] Der Spiegel GmbH & Co. KG 2021-07-18
[132] 웹사이트 Ich war der Goebbels der Defa http://www.zeit.de/2[...] Die Zeit 2003-03-12
[133] 웹사이트 Vaterlandsverräter http://vaterlandsver[...] Film homepage. IT WORKS! Medien GmbH 2013-08-11
[134] 서적 Das Diktat des Konsenses: Geschichtswissenschaft in der DDR 1949–1969 Oldenbourg, München 2001
[135] 서적 Strafjustiz und DDR-Unrecht: Dokumentation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00
[136] 뉴스 Eine Stasi-Debatte, die nicht beendet wurde http://www.berliner-[...] 2017-01-05
[137] 뉴스 DDR: Birthler-Behörde ließ Stasi-Spitzel einladen - WELT https://www.welt.de/[...] 2017-01-05
[138] 뉴스 Heinz Kahlau ist tot http://www.spiegel.d[...] Der Spiegel (online) 2019-03-05
[139] 웹사이트 Kamnitzer, Heinz * 10.5.1917, † 21.5.2001 Präsident des PEN-Zentrums DDR http://www.bundessti[...] Bundesstiftung zur Aufarbeitung der SED-Diktatur: Biographische Datenbanken 2014-12-20
[140] 뉴스 Olympiakos soccer chief was 'spy for Stasi' https://www.independ[...] 2002-02-24
[141] 웹사이트 Socrates Kokkalis and the STASI https://cryptome.org[...] 2017-09-13
[142] 뉴스 Stasi spy claims hit Greek magnate http://news.bbc.co.u[...] 2002-02-20
[143] 웹사이트 Luft, Christa geb. geb. Hecht * 22.02.1938 Stellv. Vorsitzende des Ministerrats u. Ministerin für Wirtschaft https://www.bundesst[...] Ch. Links Verlag, Berlin & Bundesstiftung zur Aufarbeitung der SED-Diktatur, Berlin 2018-11-05
[144] 웹사이트 Biography: Lothar de Maizière - Biographies - Chronik der Wende https://www.chronikd[...] 2017-02-07
[145] 웹사이트 Stellungnahme Homepage https://web.archive.[...] 2014-11-04
[146] 웹사이트 Bundesstiftung Aufarbeitung http://bundesstiftun[...] 2019-03-05
[147] 뉴스 Respected lecturer's double life http://news.bbc.co.u[...] 1999-09-20
[148] 뉴스 Wie ein Jenaer Stasi-Spitzel Menschen verriet, die ihm eigentlich vertrauen https://archive.toda[...] Thueringer Allgemeine 2014-10-27
[149] 뉴스 Former Stasi Agent Bernd Runge Gets Phillips Top Job (Update1) https://www.bloomber[...] 2009-01-26
[150] 뉴스 The Schlaff Saga / Laundered funds & 'business' ties to the Stasi http://www.haaretz.c[...] 2010-09-07
[151] 뉴스 E.German Stasi informant wins battle to conceal past https://www.reuters.[...] 2008-03-25
[152] 웹사이트 Court Decision Paves Olympics Way for Stasi-linked Coach - Germany - DW - 06.02.2006 http://www.dw-world.[...] 2008-04-03
[153] 뉴스 Projektgruppe moralische Entsorgung: Linke Gesinnungswächter denunzieren die Gauck-Behörde https://www.faz.net/[...] Frankfurter Allgemeine (Feuilleton section) 1999-07-16
[154] 뉴스 Christa Wolf obituary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1-12-02
[155] 문서 熊谷(2007年)
[156] 문서 アナ(2005年)
[157] 서적 ドイツ文化史入門 16世紀から現代まで 昭和堂
[158] 문서 熊谷(2007年)
[159] 문서 熊谷(2007年)
[160] 문서 熊谷(2007年)
[161] 문서 熊谷(2007年)
[162] 문서 アナ(2005年)
[163] 문서 熊谷(2007年)
[164] 문서 関根(1995年)
[165] 문서 関根(1995年)
[166] 문서 熊谷(2007年)
[167] 문서 ウルリヒ(2019年)
[168] 문서 関根(1995年)
[169] 문서 関根(1995年)
[170] 문서 熊谷(2007年)
[171] 문서 桑原(1993年)
[172] 문서 アナ(2005年)
[173] 문서 アッシュ(2002年)
[174] 문서 桑原(1993年)
[175] 문서 熊谷(2007年)
[176] 문서 アナ(2005年)
[177] 문서 アッシュ(2002年)
[178] 서적 "Berlin at War" by Roger Moorhouse/「戦時下のベルリン」高儀進訳 白水社
[179] 뉴스 「闇は、まだ広がっている」 旧東ドイツ・ドーピング被害者の告白 https://withnews.jp/[...]
[180] 웹사이트 Hubertus Knabe: The dark secrets of a surveillance state http://www.ted.com/t[...] 2014
[181] 뉴스 かつての東西ドイツを震え上がらせた秘密警察「シュタージ」のアーカイヴ施設に潜入してみた https://wired.jp/201[...]
[182] 웹사이트 Federal Bureau Investigation (FBI) https://kinginstitut[...]
[183] 뉴스 Russia uses dirty tricks despite U.S. 'reset' http://www.washingto[...]
[184] 뉴스 Russian spy agency targeting western diplomat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1-07-23
[185] 뉴스 The Stasi's "Zersetzung" Tactics And Gang Stalking https://sagaciousnew[...]
[186] 문서 熊谷(2007年)
[187] 문서 熊谷(2007年)
[188] 문서 熊谷(2007年)
[189] 문서 熊谷(2007年)
[190] 문서 熊谷(2007年)
[191] 문서 熊谷(2007年)
[192] 문서 熊谷(2007年)
[193] 뉴스 「我々は平和のためのスパイだった」、旧東ドイツの情報員らが主張 国際ニュース https://www.afpbb.co[...] AFPBB News
[194] 뉴스 Stasi spy shot West German protester in inflammatory 1967 killing http://www.dw.de/dw/[...]
[195] 간행물 ベンノ・オーネゾルクの新たな追悼に向けて:シュタージ文書の発見・ウーヴェ・ティムの『友と異邦人』・ドイツの"68年"と暴力 https://hdl.handle.n[...] 小樽商科大学言語センター
[196] 뉴스 プーチン氏の秘密警察身分証、ドイツで発見 旧東独シュタージ用 https://www.bbc.com/[...] 英国放送協会 2018-12-12
[197] 서적 God's Jury: The Inquisitio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http://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2-01-17
[198] 논문 동독 문화영역에 대한 슈타지의 영향 연구 부산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대학원
[199] 서적 슈타지: 그들의 정체는 무엇이었나? 통일연구원
[200] 논문 동독 문화영역에 대한 슈타지의 영향 연구 부산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대학원
[201] 서적 슈타지: 그들의 정체는 무엇이었나? 통일연구원
[202] 서적 동독 슈타지의 침투 그리고 서독의 방어 평화문제연구소
[203] 서적 슈타지: 그들의 정체는 무엇이었나? 통일연구원
[204] 서적 슈타지: 그들의 정체는 무엇이었나? 통일연구원
[205] 서적 슈타지: 그들의 정체는 무엇이었나? 통일연구원
[206] 서적 동독 슈타지의 침투 그리고 서독의 방어 평화문제연구소
[207] 서적 슈타지 문서의 비밀 월간조선사
[208] 간행물 동독의 문화정책과 슈타지 한국독일어문학회
[209] 간행물 동독의 문화정책과 슈타지 한국독일어문학회
[210] 간행물 ”국가 속의 국가” 구동독의 슈타지체제: 해체와 규명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11] 논문 동독의 문화정책과 슈타지 한국독일어문학회
[212] 서적 슈타지: 그들의 정체는 무엇이었나? 통일연구원
[213] 서적 슈타지: 그들의 정체는 무엇이었나? 통일연구원
[214] 논문 동독 문화영역에 대한 슈타지의 영향 연구 부산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대학원
[215] 서적 슈타지: 그들의 정체는 무엇이었나? 통일연구원
[216] 논문 동독 문화영역에 대한 슈타지의 영향 연구 부산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대학원
[217] 서적 슈타지: 그들의 정체는 무엇이었나? 통일연구원
[218] 서적 슈타지: 그들의 정체는 무엇이었나? 통일연구원
[219] 서적 슈타지: 그들의 정체는 무엇이었나? 통일연구원
[220] 서적 슈타지: 그들의 정체는 무엇이었나? 통일연구원
[221] 서적 동독 슈타지의 침투 그리고 서독의 방어 평화문제연구소
[222] 서적 동독 슈타지의 침투 그리고 서독의 방어 평화문제연구소
[223] 서적 슈타지 문서의 비밀 월간조선사
[224] 서적 동독 슈타지의 침투 그리고 서독의 방어 평화문제연구소
[225] 서적 동독 슈타지의 침투 그리고 서독의 방어 평화문제연구소
[226] 웹인용 국가정보원: 귄터 기욤 사건 https://web.archive.[...] 2014-11-05
[227] 서적 슈타지 문서의 비밀 월간조선사
[228] 서적 슈타지 문서의 비밀 월간조선사
[229] 서적 슈타지 문서의 비밀 월간조선사
[230] 논문 독일통일과정에서의 슈타지(국가보위부) 해체ㆍ청산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31] 논문 독일통일과정에서의 슈타지(국가보위부) 해체ㆍ청산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32] 논문 독일통일과정에서의 슈타지(국가보위부) 해체ㆍ청산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33] 논문 독일통일과정에서의 슈타지(국가보위부) 해체ㆍ청산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34] 논문 독일통일과정에서의 슈타지(국가보위부) 해체ㆍ청산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