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은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부론면까지 이어지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1994년 국도 제84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재정 부족으로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구, 동구, 중구,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와 경기도 김포시, 시흥시, 안산시, 화성시, 용인시 처인구, 이천시, 여주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가 있다. 현재 미개통 구간, 만성적인 교통 정체, 안전 문제, 환경 문제 등이 과제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화군의 교통 - 국도 제48호선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시작하여 경기도 김포시를 거쳐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약 88km의 일반국도인 국도 제48호선은 강화도와 수도권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망이다. - 강화군의 교통 - 강화대교
강화대교는 경기도 김포시와 강화군을 잇는 총 연장 780m, 폭 19.5m의 4차로 교량으로, 1993년 8월에 착공하여 1997년 8월에 완공되었으며 13개의 경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 인중로
인중로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동에서 시작해 중구와 동구를 잇는 도로로, 국도 및 국가지원지방도와 교차하며 인천 시내 교통 연결 역할을 하고, 인천숭의동우체국, 인천신광초등학교, 이마트 동인천점, HD현대인프라코어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 능해 나들목
능해 나들목은 1994년 7월 7일 서해안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5동에 위치한 나들목으로, 아암대로와 축항대로를 통해 연결되며 간접적으로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대교 구간, 인천대로, 인항로와 이어진다. - 인천 동구의 교통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는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약 263.4km의 고속도로로, 민간투자 및 국가재정 사업으로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 중이며 일부 구간은 2009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었고 일부는 2020년대 후반 완공 예정이다. - 인천 동구의 교통 -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국토 서쪽 해안선을 따라 이어지는 897km의 장거리 국도로, 주요 교량과 터널을 포함하며 경제 활성화와 교통 편의 증진에 기여하고 일부 구간은 건설 중에 있다.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도로 종류 | 국가지원지방도 |
노선명 | 강화 ~ 원주선 |
노선 번호 |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
총 연장 | 143.8km |
기점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
주요 경유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경기도 김포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시흥시 경기도 안산시 경기도 화성시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 이천시 경기도 여주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부론면 |
주요 교차 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5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지방도 제301호선 지방도 제309호선 지방도 제311호선 지방도 제313호선 지방도 제315호선 지방도 제318호선 지방도 제322호선 지방도 제325호선 지방도 제329호선 지방도 제330호선 지방도 제333호선 지방도 제337호선 지방도 제356호선 |
2. 역사
1994년 '강화 ~ 원주선'이라는 이름으로 '''국도 제84호선'''을 신설하기로 계획되었던 도로가 시초이며, 당시 연장은 140km로 정해져 있었다. 그러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국도로 승격되지 못했으며 구상된 노선은 폐기되지 않고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다.[1]
- 1996년 7월 19일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 강화 ~ 원주선'''으로 지정[1]
- 2000년 1월 4일 : 기존 지방도 제352호선 구간을 편입해 초지대교(강화군 길상면 초지리 ~ 김포시 경계) 7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
- 2000년 8월 21일 : 1996년 12월 28일 인천광역시도 제218호 노선 폐지로 국가지원지방도에 편입해 강화군 강화읍 갑곳리 ~ 선원면 냉정리 58.645 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
- 2012년 9월 27일 : 진등사 교차로 ~ 초지 교차로(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 초지리) 3.7 km 구간 신설 개통[4]
- 2016년 10월 26일 : 본오 ~ 오목천간 도로 2공구(안산시 상록구 본오동 ~ 화성시 매송면 어천리) 5.4 km 구간 개통[5]
2. 1. 연혁
- 1994년 '강화 ~ 원주선'이라는 이름으로 '''국도 제84호선'''을 신설하기로 계획되었던 도로가 시초이며, 당시 연장은 140km로 정해져 있었다. 그러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국도로 승격되지 못했으며 구상된 노선은 폐기되지 않고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다.
- 1996년 7월 19일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 강화 ~ 원주선'''으로 지정[1]
- 2000년 1월 4일 : 기존 지방도 제352호선 구간을 편입해 초지대교(강화군 길상면 초지리 ~ 김포시 경계) 7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
- 2000년 8월 21일 : 1996년 12월 28일 인천광역시도 제218호 노선 폐지로 국가지원지방도에 편입해 강화군 강화읍 갑곳리 ~ 선원면 냉정리 58.645 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
- 2012년 9월 27일 : 진등사 교차로 ~ 초지 교차로(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 초지리) 3.7 km 구간 신설 개통[4]
- 2016년 10월 26일 : 본오 ~ 오목천간 도로 2공구(안산시 상록구 본오동 ~ 화성시 매송면 어천리) 5.4 km 구간 개통[5]
3. 주요 경유지
- 강화군 (강화읍 - 선원면 - 불은면 - 길상면)
- 서구 (금곡동 - 오류동 - 왕길동 - 백석동 - 검암동 - 경서동 - 연희동 - 원창동 - 석남동 - 가좌동)
- 동구 (송현동 - 화수동 - 만석동)
- 중구 (북성동1가 - 송월동2가 - 북성동2가 - 선린동 - 항동 - 해안동 - 항동 - 사동 - 신생동 - 신흥동)
- 미추홀구 (숭의동 - 용현동 - 학익동)
- 연수구 (옥련동 - 동춘동)
- 남동구 (고잔동)
경기도
- 김포시 (대곶면 - 양촌읍 - 구래동 - 양촌읍)
- 시흥시 (월곶동 - 정왕동)
- 안산시 (단원구 - 상록구)
- 화성시 (매송면 - 봉담읍 - 기안동 - 봉담읍 - 기안동 - 안녕동 - 송산동 - 진안동 - 병점동 - 기산동 - 능동 - 석우동 - 장지동)
-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 호동 - 해곡동 - 원삼면 - 백암면)
- 이천시 (호법면 - 모가면 - 대월면)
- 여주시 (가남읍 - 점동면)
강원특별자치도
3. 1.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 선원면 - 불은면 - 길상면)을 지나, 서구 (금곡동 - 오류동 - 왕길동 - 백석동 - 검암동 - 경서동 - 연희동 - 원창동 - 석남동 - 가좌동), 동구 (송현동 - 화수동 - 만석동), 중구 (북성동1가 - 송월동2가 - 북성동2가 - 선린동 - 항동 - 해안동 - 항동 - 사동 - 신생동 - 신흥동), 미추홀구 (숭의동 - 용현동 - 학익동), 연수구 (옥련동 - 동춘동), 남동구 (고잔동)을 지난다.3. 2.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 양촌읍 - 구래동 - 양촌읍), 시흥시 (월곶동 - 정왕동), 안산시 (단원구 - 상록구), 화성시 (매송면 - 봉담읍 - 기안동 - 봉담읍 - 기안동 - 안녕동 - 송산동 - 진안동 - 병점동 - 기산동 - 능동 - 석우동 - 장지동 - 동탄동),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 호동 - 해곡동 - 원삼면 - 백암면), 이천시 (호법면 - 모가면 - 대월면), 여주시 (가남읍 - 점동면)을 지난다.3. 3.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부론면을 지난다.4. 노선
4. 1. 인천광역시 강화군·경기도 김포시
알미골사거리를 시점으로 강화대로와 대월로가 접속된다.[6] 강화풍물시장과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을 지나 보건소앞 교차로에서 남문로와 교차하며, 대문고개입구 교차로에서 대문고개로, 중앙로210번길과 만난다.[6] 찬우물고개를 지나 찬우물삼거리에서 중앙로와 접속되고, 선원초등학교와 선원파출소를 지난다.[6] 금운교를 건너 불은면에서는 불은면사무소 교차로에서 불은북로, 두운주유소에서 고려왕릉로와 교차한다.[6]목비고개를 넘어 덕진진입구 교차로에서 길직로, 덕진로와 접속되며, 온수리 교차로에서는 길상로, 마니산로와 만난다.[6] 길상면사무소를 지나 온수사거리에서 삼랑성길, 온수길과 교차하고, 전등사입구 교차로와 전등사 교차로에서 길상로와 접속된다.[6] 장흥리입구 교차로에서 보리고개로, 길상 교차로에서 장흥로와 만나며, 초지현1 교차로와 초지현2 교차로를 지나 초지 교차로에서 해안남로, 해안동로와 접속된다.[6]
강화초지대교를 건너 김포시 대곶면으로 진입하면 대명항 교차로, 약암지구사거리, 약암교, 대명초교사거리를 지나 대명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56호선과 교차한다.(대명항로)[6] 약암1 교차로와 약암2 교차로, 대벽 교차로를 거쳐 양촌읍 학운 교차로에서 삼도로, 황금4로와 접속되고, 양촌 교차로에서 황금로, 학운4-1 교차로에서 황금5로와 만난다.[6]
학운4-1 교차로에서 양촌 교차로 구간은 공사 중이며(초지대교 ~ 인천간 도로, 2022년 12월 완공 예정),[7] 미개통 구간을 지나 양촌산단 교차로에서 단촌로, 황금1로와 접속되며, 검단양촌 나들목과 간접 연결된다.[6]
4. 2.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구간은 서구 금곡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중봉대로, 검단로, 원당대로를 거쳐, 청라 나들목에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130호선)와 교차한다.[6] 이후 경명대로, 국제대로, 경제로, 청중로를 지나 율도입구사거리에서 파랑로와 만난다.[6] 서인천선착장입구사거리에서는 북항로와 교차하고, 인천교펌프장입구사거리에서 백범로와 접속한다.[6] 동구 구간에서는 현대제철 인천공장을 지나 송현사거리에서 국도 제6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중복되는 인중로와 교차한다.[6] 화수사거리에서는 제물량로, 만석사거리에서는 화도진로와 만난다.[6]중구 구간에서는 인천역과 인천중부경찰서를 지나고, 신포사거리에서 신포로, 제물량로와 교차한다.[6] 인천제2국제여객터미널과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를 지나 수인사거리에서 서해대로와 접속하며, 신광사거리에서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6호선, 인중로, 제물량로, 도원로와 만난다.[6] 미추홀구 구간은 능안삼거리에서 인주대로와 접속하고, CJ제일제당 인천1공장과 인천 나들목(인천대로)을 지난다.[6] 낙섬사거리에서 매소홀로, 능해 나들목에서 제2경인고속도로(110호선)와 교차한다.[6]
연수구 구간은 옹암 교차로에서 능허대로, 비류대로, 서해대로94번길과 접속하고, 옥련 나들목과 송도 나들목에서 제2경인고속도로(110호선)와 교차한다.[6] 송도국제도시를 지나 송도2교 교차로에서 미추홀대로, 컨벤시아대로와 만나고, 외암도사거리에서 경원대로, 송도국제대로와 접속한다.[6] 남동구 구간은 제3경인고속화도로와 여러 차례 교차하고, 인천운전면허시험장을 지나 소래포구 수변광장과 소래포구에 이른다.[6] 마지막으로 소래대교를 건너 시흥시로 이어진다.[6]
4. 3. 경기도
경기도 구간은 시흥시에서 여주시까지 이어지며, 여러 도시와 주요 시설을 연결한다.시흥시 월곶동에서 소래대교를 통해 시작하여 국도 제77호선과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중복된다.[6] 정왕 나들목에서 제3경인고속화도로와 지방도 제330호선이 접속한다.[6] 정왕동을 지나 시화공단과 반월공단을 통과한다.[6]
안산시 단원구에서는 원시역을 지나고, 상록구에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사리사거리(광덕대로, 용신로)를 거친다.[6]
화성시 매송면에서는 숙곡 나들목에서 국도 제39호선(서해로)과 접속하고,[6] 어천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13호선(화성로)과 교차한다.[6] 샘내 나들목과 천천 나들목을 지나 봉담읍에 이른다. 오목천삼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매송고색로)과 다시 만나고, 수원시 권선구를 지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기지역대학을 거친다.[6]
다시 화성시로 진입하여 봉담읍에서는 이마트 화성봉담점, 수원대학교를 지나고, 화산동에서는 융건릉과 지방도 제322호선(세자로)이 교차한다.[6] 지방도 제315호선, 지방도 제318호선(만년로)과 중복되는 구간을 지나 진안동에서는 병점지하차도 교차로에서 국도 제1호선(경기대로)과 만난다.[6] 동탄동에서는 능리 교차로(동탄원천로)를 지나 영천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11호선(동부대로)과, 동북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17호선(동탄기흥로)과 교차한다.[6]
동탄면 중리에서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상반 교차로, 천리 교차로, 원천 교차로(국도 제45호선, 남북대로)로 이어지는 구간은 미개통 상태이며, 2018년 완공 예정이다.[6]
이천시 호법면, 모가면, 대월면을 지나 여주시 가남읍에서는 흑석삼거리에서 국도 제3호선(경충대로)과 만난다.[6] 점동면에서는 점동사거리(청안로)를 지나 청안 교차로에서 국도 제37호선(장여로)과 접속한다.[6] 점동면 사곡리, 도리, 장안리, 삼합리 구간은 현재 미개통 상태이다.[6]
4. 4.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부론면 구간은 일부 구간이 미개통 상태이다.[6] 흥호리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견훤로)과 접속한다.[6]5. 도로명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알미골삼거리에서 선원면 찬우물삼거리 구간은 중앙로이다. 강화군 선원면 찬우물삼거리에서 길상면 온수사거리 구간은 강화동로이다. 강화군 길상면 온수사거리에서 전등사입구 교차로 구간은 온수길이다.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입구 교차로에서 장흥리입구 교차로 구간은 전등사로이다. 강화군 길상면 장흥리입구 교차로에서 강화초지대교 구간은 초지로이다.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강화초지대교에서 ''대명 교차로'' 구간은 대명항로이다.
인천광역시 서구 금곡 교차로에서 검단2 교차로 구간은 중봉대로이다. 서구 검단2 교차로에서 안동포사거리 구간은 원당대로이다. 서구 안동포사거리에서 경서사거리 구간은 봉수대로이다. 서구 경서사거리에서 경서삼거리 구간은 경명대로이다. 서구 경서삼거리에서 동구 송현사거리 구간은 중봉대로이다. 동구 송현사거리에서 화수사거리 구간은 인중로이다. 동구 화수사거리에서 중구 신포사거리 구간은 제물량로이다. 중구 신포사거리에서 (제1부두입구) 구간은 신포로이다. 중구 (제1부두입구)에서 신광사거리 구간은 인중로이다. 중구 신광사거리에서 미추홀구 능안삼거리 구간은 제물량로이다. 미추홀구 능안삼거리에서 남동구 소래대교북단 구간은 아암대로이다. 남동구 소래대교북단에서 소래대교 구간은 소래로이다.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 소래대교에서 월곶입구삼거리 구간은 소래로이다. 시흥시 월곶동 월곶입구삼거리에서 정왕동 환경사업소 교차로 구간은 서해안로이다. 시흥시 정왕동 환경사업소 교차로에서 정왕7교 구간은 공단2대로이다. 안산시 단원구 정왕7교에서 (대연) 구간은 별망로이다. 안산시 단원구 (대연)에서 별망고가사거리 구간은 시우로이다. 안산시 단원구 별망고가사거리에서 상록구 (본오지하차도) 구간은 해안로이다. 안산시 상록구 (본오지하차도)에서 본오 교차로 구간은 비봉로이다. 안산시 상록구 본오 교차로에서 화성시 매송면 어천 교차로 구간은 본오매송로이다. 화성시 매송면 어천 교차로에서 수원시 권선구 오목천삼거리 구간은 매송고색로이다. 수원시 권선구 오목천삼거리에서 화성시 동탄동 능리 교차로 구간은 효행로이다. 화성시 동탄동 능리 교차로에서 동북 교차로 구간은 동탄원천로이다. 화성시 동탄동 동북 교차로에서 동탄면 중리 구간은 동탄치동천로이다. 여주시 가남읍 흑석삼거리에서 양귀삼거리 구간은 흑석로이다. 여주시 가남읍 양귀삼거리에서 점동면 점동사거리 구간은 가남로이다. 여주시 점동면 점동사거리에서 사곡리 구간은 점동로이다.
6. 문제점 및 향후 과제
6. 1. 미개통 구간 문제
6. 2. 만성적인 교통 정체
6. 3. 안전 문제
6. 4. 환경 문제
6. 5. 향후 과제
참조
[1]
간행물
대통령령 제15124호 국가지원지방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19
[2]
간행물
인천광역시고시 제1999-205호
http://theme.archive[...]
2000-01-04
[3]
간행물
인천광역시고시 제2000-141호
http://theme.archive[...]
2000-08-21
[4]
간행물
인천광역시공고 제2012-1275호
http://www.incheon.g[...]
2012-10-02
[5]
간행물
경기도공고 제2016-5854호
http://www.gg.go.kr/[...]
2016-10-26
[6]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7]
문서
단, 양촌산단 교차로 ~ 금곡 교차로 구간은 개통됨. 2021년 12월 31일 대명 교차로 ~ 학운4-1 교차로 구간까지 추가 개통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