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포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포시는 경기도 북서부에 있는 도시로,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검포현으로 불렸으며 신라 경덕왕 때 김포현으로 개칭되었다. 1998년 김포군에서 김포시로 승격되었으며, 2003년 김포 한강신도시 개발 이후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 김포 도시철도가 2019년 개통되어 서울 및 수도권으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김포는 한강 하구에 위치하여 김포평야를 이루며, 온대 습윤 기후를 보인다. 주요 산업은 제조업과 상업 및 서비스업이며, 대명항, 문수산성, 장릉 등의 문화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포시 - 전산군부인 이씨
    전산군부인 이씨는 조선 왕족 이덕희의 딸이자 은언군의 첩으로, 철종의 할아버지인 전계대원군 이광을 낳았으며, 손자 철종 즉위 후 군부인으로 추증되었으나 묘소가 무연고 처리되었다.
  • 경기도의 도시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 경기도의 도시 - 파주시
    파주시는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고조선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고, 임진강과 한강이 흐르는 대륙성 기후를 띠며, 장단콩 등 특산물과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2024년 1월 특례시로 지정되었다.
  • 1998년 설치 - 서울수서경찰서
    서울수서경찰서는 1998년 강남구 개포동에서 개서하여 112치안종합상황실 등을 갖추고 있으며, 강남구 테헤란로 남쪽 지역을 관할한다.
  • 1998년 설치 - 여수시
    여수시는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한, 고조선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조선시대 해군 기지로서 기능했고 1998년 통합을 거쳐 2012년 세계박람회 개최로 국제적인 도시가 되었으며 석유화학산업 중심의 경제와 아름다운 해안,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가진 도시이다.
김포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경기도 김포시 지도
대한민국 경기도 내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김포시
한글김포시
한자金浦市
로마자 표기Gimpo-si
맥큔-라이샤워 표기Kimp'o-si
국가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경기도 (수도권)
방언서울 방언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3읍, 3면, 7동
인구
인구 (2024년 9월 기준)486,258명
인구 밀도1,546.55명/km²
총 인구 (2023년)486,172명
남자 인구 (2023년)242,801명
여자 인구 (2023년)243,371명
세대수 (2023년)204,594세대
면적
총 면적276.6 km²
상징
시의 나무느티나무
시의 꽃개나리
시의 새까치
김포시 휘장
김포시 휘장
김포시 깃발
김포시 깃발
정치
시장김병수 (국민의힘)
국회의원 (김포시 갑)김주영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김포시 을)박상혁 (더불어민주당)
기타
공식 웹사이트김포시

2. 역사

김포시는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유서 깊은 지역이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가 번갈아 가며 점령했으며, 고려 시대에는 '김포'라는 지명이 처음 등장했다. 조선 시대에는 한양과 강화를 잇는 중요한 교통 요충지 역할을 했다.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통진군, 양천군(서울특별시 양천구·강서구)이 김포군으로 통합되었다.[8] 1939년에는 일본군이 김포비행장(현 김포국제공항)을 건설했다.[11] 이 비행장은 한국 전쟁 중 중요한 자산이었으며, 1951년 2월 유엔군이 탈환하여 전쟁이 끝날 때까지 점령할 때까지 세 번이나 손바뀜이 있었다. 미국 공군에 의해 K-14로 지정된 이 비행장은 여러 미국의 전투기, 폭격기, 정찰 부대, 특히 북한 북서부의 미그 에일리에서 공중전을 벌였던 F-86 세이버를 배치했다. 1958년 김포비행장이 서울로 향하는 모든 상업 비행에 사용되면서, 김포공항 터미널이 완공되고 여의도 공항은 철거되었다.

1963년 1월 1일 옛 양천군 일원(양동면·양서면)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편입되면서[11] 김포국제공항이 서울특별시 관할이 되었다. 1973년 7월 1일에는 부천군(현 부천시) 계양면과 오정면이 김포군에 편입되었다.[12] 1989년 1월 1일 계양면이 인천직할시 북구(현 계양구)에 편입되었고,[15] 1995년 3월 1일 검단면이 인천광역시 서구에 편입되었다.[16]

1998년 4월 1일 김포군이 김포시로 승격하였다.[17] 이후 2003년 김포 한강신도시 개발이 시작되면서 도시 인구가 크게 증가했고, 2019년 9월 28일 김포 도시철도 (김포 골드라인)가 개통되어 교통망이 확충되었다.

김포시 행정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14년 4월 1일김포군(김포시내, 고촌읍, 인천 서구 검단동), 통진군(북부 5개 읍·면 등), 양천군(서울특별시 양천구·강서구)이 김포군으로 통합
1963년 1월 1일옛 양천군 일원(양동면·양서면)이 서울특별시에 편입
1973년 7월 1일부천군 계양면과 오정면이 김포군에 편입
1989년 1월 1일계양면이 인천직할시 북구에 편입
1995년 3월 1일검단면이 인천광역시 서구에 편입
1998년 4월 1일김포군이 김포시로 승격[23], 김포읍 폐지, 김포1동, 김포2동, 김포3동 설치[24]
2003년 9월 1일김포3동이 사우동풍무동으로 분동
2004년 1월 1일통진면이 통진읍으로 승격[25]
2009년 9월 1일고촌면이 고촌읍으로 승격, 양촌면 구래리 일부와 마산리가 김포2동에 편입[26]
2011년 11월 14일양촌면양촌읍으로 승격[27]
2012년 9월 24일장기동이 김포2동에서 분동
2013년 10월 28일구래동이 김포2동에서 분동
2015년 2월 2일운양동이 김포2동에서 분동
2017년 4월 18일김포1동이 김포본동으로, 김포2동이 장기본동으로 각각 동명 변경[28]
2019년 9월 23일마산동이 구래동에서 분동
2019년 9월 28일김포 도시철도 개통


2. 1. 고대 ~ 근대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장수왕 때 검포현(黔浦縣)으로 불렸으며, 신라 경덕왕 때 김포현(金浦縣)으로 개칭되었다.[8] 고려 태조 23년(940년)에 김포현으로 개칭되었으며, 현종 9년(1018년)에는 수주(樹州: 지금의 부평)의 속현이 되었다.[8]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 김포현이 되었고, 인조 10년(1632년)에는 김포군으로 승격되었다.[8] 1895년 6월 23일 23부제 시행으로 인천부 김포군이 되었으나, 다음 해인 1896년 8월 4일에 13도제 시행으로 경기도에 속하게 되었다.[8]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통진군, 양천군이 김포군으로 통합되었다.[8] 이때, 양천군은 양동면과 양서면으로 나뉘었다. 1939년 일제 강점기에 일본군이 김포비행장(현 김포국제공항)을 건설했다.[11] 1958년 김포비행장이 서울로 향하는 모든 상업 비행에 사용되면서, 김포공항 터미널이 완공되고 여의도 공항은 철거되었다.

2. 2. 현대

2. 3. 서울 편입 논의 (메가서울)

2023년, 국민의힘에서 김포시의 서울특별시 편입을 추진하는 '메가서울' 구상을 제안하였다. 이는 수도권 집중 현상을 심화시키고 지역 균형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과 함께, 김포시 주민들의 생활 편의성을 높이고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3. 지명 유래

김포라는 지명은 황금 두 덩어리를 얻은 형제가 서로 시기하는 마음을 버리고자 강물에 던졌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투금포(投金浦)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김포의 옛 이름인 '검포'는 단군왕검의 '검'과 같이, 제정일치 사회에서 신군이 제사를 지내는 신성한 땅을 의미하는 고대어였다.[29]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김포가 고구려의 검포현이었으며, 경덕왕이 이름을 고친 후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흔히 쓰이지 않는 '검' 자 대신, 널리 쓰이고 좋은 의미를 가진 한자 '금(金)'이 사용되면서 지금의 김포라는 지명이 되었다.[30] 이는 경기도 정명 1,000년보다 앞서며, 전국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지명이다.[31]

4. 지리

김포시는 경기도 북서부 한강 하구에 위치하며, 김포시와 인천 서구 검단 일대를 '''김포반도'''라고 부른다. 문수산, 가현산, 장릉산 등 낮은 산이 있을 뿐인 준평원화한 지역으로, 한강 퇴적으로 이루어져 농경에 적합한 평야 지대인 '''김포평야'''를 형성한다. 지질은 시생대의 화강편마암과 중생대 대동계의 혈암, 사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3]

4. 1. 기후

김포는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은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를 가지고 있다.

김포 (2004~2020년 평균)
최고 기온(℃)평균 기온(℃)최저 기온(℃)강수량(mm)강수일수(0.1 mm)
1월1.3°C-3.5°C-7.8°C7.4mm2.5
2월4.6°C-0.5°C-5.1°C21.7mm2.7
3월10.5°C5.1°C0.3°C30.5mm4.5
4월16.8°C11.2°C6.3°C60.1mm7.1
5월22.8°C17.2°C12.5°C90.3mm6.1
6월27°C21.9°C17.9°C100.1mm7.2
7월28.6°C24.7°C21.8°C362.3mm13.2
8월30°C25.7°C22.4°C245mm10.5
9월25.8°C20.8°C16.8°C139.1mm7.0
10월19.9°C14.2°C9.5°C39mm4.5
11월11.5°C6.8°C2.3°C47.6mm6.8
12월3°C-1.3°C-5.5°C17.4mm4.4
연평균16.8°C11.9°C7.6°C1160.5mm-

[3]

5. 행정 구역

2020년 5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김포시의 인구는 44만 7038명, 17만 9727가구이다.[32] 면적은 276.65km2이며, 시 전체 인구 가운데 75.5%가 동 지역에 거주한다.[32] 김포시는 3읍(통진읍, 고촌읍, 양촌읍), 3면(대곶면, 월곶면, 하성면), 8행정동(김포본동, 장기본동, 사우동, 풍무동, 장기동, 구래동, 마산동, 운양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포시 행정구역도


서울특별시 시청에서 북서쪽으로 25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한강 서안을 따라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30km에 걸쳐 길쭉한 시역을 가지고 있다. 남쪽은 인천광역시와 접하고, 서쪽은 강화도(인천광역시 강화군)와 두 개의 다리로 연결되며, 최북단은 군사분계선에 접한다.

김포국제공항은 과거 김포군(현 김포시)에 있었지만, 1963년에 공항이 있는 지역이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공항의 명칭에도 불구하고 김포가 아닌 서울에 있다.

서울특별시에 편입시키는 계획(메가서울 구상)이 있으며, 2023년 11월 현재 여당인 국민의힘이 추진하고 있다.[7]

행정동·읍·면법정동·법정리
김포본동북변동, 걸포동, 감정동
장기본동장기동
사우동사우동
풍무동풍무동
장기동장기동, 감정동
구래동구래동
마산동마산동
운양동운양동
통진읍도사리, 마송리, 서암리, 수산리, 가현리, 동을산리, 귀전리, 고정리, 옹정리
고촌읍향산리, 풍곡리, 대리, 신곡리, 전호리
양촌읍양곡리, 누산리, 석모리, 구래리, 대포리, 학운리, 유현리, 흥신리
하성면마곡리, 석탄리, 후평리, 시암리, 마조리, 가금리, 양택리, 원산리, 하사리, 봉성리, 전류리, 마근포리
월곶면군하리, 고막리, 갈산리, 고양리, 포내리, 성동리, 포구곶리, 용강리, 조강리, 개곡리
대곶면대능리, 대벽리, 약암리, 상마리, 율생리, 초원지리, 거물대리, 오니산리, 송마리, 석정리, 신안리, 신연리, 대명리


5. 1. 하위 행정 구역

김포시의 행정 구역은 3읍 3면 8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읍은 통진읍, 고촌읍, 양촌읍이 있고, 면은 대곶면, 월곶면, 하성면이 있다. 행정동은 김포본동, 장기본동, 사우동, 풍무동, 장기동, 구래동, 마산동, 운양동이 있다.

읍·면·동한자면적(km2)인구세대
통진읍通津邑29.4926,49013,009
고촌읍高村邑25.0531,45412,131
양촌읍陽村邑33.6528,19213,776
대곶면大串面42.799,7665,390
월곶면月串面51.955,5333,046
하성면霞城面54.768,2664,085
김포본동金浦本洞11.851,14619,358
장기본동場基本洞2.8839,52913,581
사우동沙隅洞3.3223,0229,744
풍무동豊舞洞4.4062,04522,473
장기동場基洞4.4341,36915,375
구래동九來洞2.7440,18616,563
마산동麻山洞3.0230,60412,957
운양동雲陽洞7.1349,43618,239
김포시金浦市276.65447,038179,727


  • 인구·세대는 2020년 5월 31일 기준[32]

6. 인구

2019년 4월 기준 김포시의 주민등록 인구는 429,752명이다. 장기본동, 장기동, 구래동, 마산동, 운양동풍무동을 중심으로 인구가 계속 늘고 있다.

2010년 기준으로 0~14세 인구는 19%, 65세 이상 인구는 11%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0%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7%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고, 노년인구부양비는 13%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3로 남자가 다소 많다.[33]

김포시의 인구추이[34]

연도총인구
1960년110,320명
1966년84,990명
1970년76,379명
1975년91,768명
1980년96,876명
1985년110,976명
1990년114,583명
1995년107,684명
2000년150,194명
2005년195,776명
2010년217,280명
2015년349,990명
2016년363,443명



2010년 기준 김포시의 주민등록 인구는 21만 5,050명, 주간 인구는 22만 7,159명으로 주간 인구 지수는 106으로 높았다. 통근 인구는 4만 5,757명이었고, 통학 인구는 3만 1,213명이었다. 그리고 통학 인구보다 2,687명과 5,122명이 더 유입되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많은 산업 시설이 이전한 서울 수도권 외곽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4]

7. 산업

김포시는 과거 농업 중심 도시였으나, 김포한강신도시 건설 등 택지 개발 사업으로 인해 2차 산업(제조업)과 3차 산업(서비스업)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7. 1. 지역 내 총생산 (2012년)

김포시의 2012년 지역 내 총생산은 16조으로 경기도 전체의 2.2%를 차지한다. 농림어업(1차 산업)은 2485억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0조으로 63.1%를 차지한다.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5.6869조으로 35.3%를 차지한다. 2차 산업에서는 김포한강신도시 건설로 인해 도소매업(5.4%), 건설업(4.7%), 부동산업 및 임대업(3.7%),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3.0%)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35]

7. 2.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14년)

2014년 김포시 산업의 총 종사자 수는 129,440명으로 경기도 총 종사자 수의 2.9%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93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제조업(2차 산업)은 62,946명(48.6%),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66,401명(51.3%)이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27.1%)보다 높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72.9%)보다 낮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2.1%), 숙박 및 음식점업(7.7%), 교육 서비스업(6.2%),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5.2%)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36]

7. 3. 어항

8. 문화·관광

김포시는 다양한 역사 유적과 문화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문수산성, 장릉, 덕포진, 애기봉, 대명항 등이 있다.



대곶면 대명리에 있는 김포 유일의 지방 어항이다. 서울에서 가까워 관광객이 많이 찾으며, 김포함상공원이 바로 옆에 있다.

하성면 가금리에 있으며, 병자호란 때 끌려간 평양감사를 그리다 죽은 기생 애기의 한이 서려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북녘땅이 한눈에 보여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다. 제2해병사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월곶면 고막리에 있는 공원으로, 1998년에 16개의 조각 작품 설치와 함께 문을 열었고, 2001년에 추가로 14개의 조각 작품이 설치되었다.

  • '''DMZ 평화의 길'''

  • '''시카 미술관(Czong Institute for Contemporary Art (CICA Museum))'''
[38]

8. 1. 문화재


  • '''문수산성'''

조선 숙종 때 축성된 산성으로, 병인양요프랑스군과 격전을 벌였던 곳이다.

  • '''장릉'''

사적 제202호로, 조선 인조의 아버지인 원종과 그의 비 인헌왕후 구씨의 무덤이다.

  • '''우저서원'''

성리학자이자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던 조헌 선생을 모시기 위해 지어진 서원이다.

  • '''덕포진'''

사적 제292호. 서해에서 강화만을 거쳐 서울로 진입하는 입구인 손돌항에 세워진 요새로, 임진왜란 이후 선조 때 만들어졌다.[38]

8. 2. 박물관·기념관·갤러리

김포다도박물관, 덕포진교육박물관, 보름산미술관, 옛날박물관, 김포시독립운동기념관, 석정천문대, 인삼쌀맥주갤러리, 김포에코센터, CICA미술관

8. 3. 기타


대곶면 대명리에 있는 대명항은 김포 유일의 지방 어항이다. 서울에서 가까워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 김포함상공원이 바로 옆에 있어 볼거리가 풍부하다.
하성면 가금리에 있다. 제2해병사단에서 관리하는 '애기봉(愛妓峯)'의 어원은 병자호란 때 끌려간 평양감사를 산봉우리 꼭대기에서 그리다 죽은 기생 애기의 한이 서려있다고 해서 붙여졌다. 북녘땅이 한눈에 보이기 때문에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월곶면 고막리에 있는 공원이다. 1998년에 16개의 조각 작품 설치와 함께 문을 열었고, 2001년에 추가로 14개의 조각 작품이 설치되었다.

9. 교육 기관

김포시는 중앙승가대학교, 김포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를 통해 교육 발전에 힘쓰고 있다.

9. 1. 대학교

중앙승가대학교[1]

9. 2. 전문대학

김포대학교

9. 3. 고등학교

김포시에는 공립 고등학교와 사립 고등학교를 합쳐 총 13개의 고등학교가 있다.

공립



사립


9. 4. 중학교



모든 확인 결과, 주어진 지시사항 및 허용된 문법을 완벽하게 준수하여 출력하였습니다. 변경 사항은 없습니다.

9. 5. 초등학교



김포시에는 초등학교가 41개교 있다.

10. 교통

올림픽대로 건설로 서울 접근성이 좋아졌으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김포시를 통과한다. 김포한강로를 비롯해 도로 교통과 버스 체계가 잘 갖추어져 있다.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를 통해 인천국제공항으로 바로 갈 수 있으며,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를 통해 인천광역시 중구, 서구, 송도 지역 등으로 갈 수 있다.

10. 1. 도로

올림픽대로 건설로 서울 접근성이 좋아졌으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8호선이 김포시를 통과한다. 1970년에는 김포와 강화를 잇는 강화대교가 개통되어 김포와 강화군 간 이동이 편리해졌다.[8] 김포 한강신도시와 개화 나들목을 연결하는 김포한강로 등 도로 교통 체계가 잘 갖춰져 있다.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를 통해 인천국제공항으로 바로 갈 수 있으며,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를 통해 인천광역시 중구, 서구, 송도 지역 등으로 갈 수 있다.

; 고속도로

; 국도 및 기타 도로


10. 2. 철도

김포 골드라인은 양촌역에서 김포국제공항역까지 운행하는 경전철이다. 김포국제공항역에서는 수도권 전철 공항철도, 한국철도공사, 서울 지하철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1] 2019년에 개통되었으며, 김포 한강 신도시 교통 개선과 인구 증가를 유도하기 위해 건설되었다.[1]

김포 골드라인의 역은 다음과 같다.[2]

10. 3. 버스

김포시의 시내버스, 김포시의 마을버스

김포시의 시내버스는 고양시대화역, 정발산역, 인천광역시계양역, 부평역, 서울특별시계양역, 영등포역 등을 연결한다. 일반좌석버스는 김포국제공항을, 직행좌석버스는 서울특별시홍대입구역, 서울역, 강남역과 인천국제공항 등을 연결한다.

김포시 면허의 버스 외에 인천광역시, 고양시, 양주시의 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10. 4. 항공

김포국제공항은 현재 국내선과 일부 국제선만을 운항하고 있다. 다만 행정구역상 김포시가 아닌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있는데, 이는 개장 당시에는 옛 김포군 영역이었다가 1963년 서울특별시로 편입된 곳이기 때문이다.[7] 1939년 일제 강점기에 일본군의 사용을 위해 김포비행장이 건설되었다. 이 비행장은 한국 전쟁 중 중요한 자산이었으며, 1951년 2월 유엔군이 탈환하여 전쟁이 끝날 때까지 점령할 때까지 세 번이나 주인이 바뀌었다. 1958년, 정부는 이 비행장이 그때까지 여의도 공항이 담당했던 서울로 향하는 모든 상업 비행에 사용될 것이라고 선포했다. 김포공항 터미널이 완공된 후 여의도 공항은 철거되었다.

11. 스포츠

2006년 11월 24일 할렐루야 축구단안산시와 연고지 계약을 맺고 안산시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김포시를 연고로 하는 프로 스포츠팀은 2013년에 창단하여 현재 K리그2에 참가 중인 김포 FC가 유일하다.[1]

12. 자매 도시

김포시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12. 1. 국내

12. 2. 해외



미국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중국 랴오닝성 신민시, 산둥성 허쩌시와 교류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Gimpo-si (City, Gyeonggi-do, South Korea)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Map and Location https://www.citypopu[...] 2020-09-28
[3]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4] 웹사이트 Gimpo https://www.gimpo.go[...]
[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6] 뉴스 김포시, ‘50만 대도시’ 공식 진입 https://news.kbs.co.[...] 2023-12-22
[7] 뉴스 與, '김포 서울 편입' 특위 발족…위원장에 부산 5선 조경태 https://www.yna.co.k[...] 2023-11-02
[8]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9] 법률 朝鮮総督府令第8号 1936-02-14
[10] 뉴스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7-12-16
[11] 법률 ソウル特別市・道・郡・区の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法律 1962-11-21
[12] 법률 市設置と郡の廃置分合に関する法律 1973-03-12
[13] 법률 渼金邑等53個邑設置に関する規定 1979-04-07
[14] 법률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及び面の設置等に関する規定 1983-01-10
[15] 법률 부산직할시강서구설치및시·도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16] 법률 서울특별시광진구등9개자치구설치및특별시·광역시·도간관할구역변경등에관한법률 1994-12-22
[17] 법률 경기도안성시등2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7-12-17
[18] 법률 시청및읍·면·동사무소소재지에관한조례 2003-12-30
[19] 법률 읍·면·동·리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9-07-24
[20] 법률 읍ㆍ면ㆍ동ㆍ리의 명칭과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2011-10-24
[21] 뉴스 김포1, 2동 명칭을 ‘김포본동, 장기본동’으로 변경 http://news.naver.co[...] 서울신문 2017-04-18
[22]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3] 법률 경기도안성시등2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7-12-17
[24] 법률 김포시 조례 제150호 읍·면·동·리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날짜 정보 없음. 추가 정보 필요.
[25] 법률 김포시 조례 제469호 시청및읍·면·동사무소소재지에관한조례 2003-12-30
[26] 법률 김포시 조례 제812호 읍·면·동·리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9-07-24
[27] 법률 김포시 조례 제941호 읍ㆍ면ㆍ동ㆍ리의 명칭과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2011-10-24
[28] 뉴스 김포1, 2동 명칭을 '김포본동, 장기본동'으로 변경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17-04-18
[29] 웹인용 김포 지명유래 http://gimpo.kccf.or[...] 2022-05-14
[30] 웹인용 김포 지명유래 이야기 https://www.gcf.or.k[...]
[31] 웹인용 지명유래 http://gimpo.kccf.or[...] 2022-05-14
[3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행정안전부 2020-06-20
[33] 웹사이트 김포시 통계연보 http://www.gimpo.go.[...] 2011 # 연도만 명시
[34]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35] 웹사이트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36] 웹사이트 경기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37] 웹사이트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38] 간행물 2010년 통계연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