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가평의회 (핀란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평의회 (핀란드)는 핀란드의 정부를 구성하는 11개의 부처와 총리실을 의미한다. 각 부처는 최소 한 명 이상의 장관이 이끌며, 장관의 수와 직무는 정부 임기 동안 변경될 수 있지만 부처의 수와 명칭은 법률로 고정되어 있다. 핀란드의 국무총리는 전체 정부를 소집할 필요가 없거나 바람직하지 않을 때 장관위원회에서 정부의 일부와 함께 참여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법정 장관 위원회와 정부 특정 장관 위원회가 있다. 정부는 대부분의 입법을 발의하며, 연간 예산을 작성하여 국회에 제출한다. 2023년 6월 20일 출범한 오르포 내각은 현재 핀란드의 정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의회 - 국가재건최고회의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군사 정권 기구로, 헌법 일부 조항 효력 정지, 국회 해산 등 권위주의적 통치를 펼치며 경제 개발을 추진했으나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받았고, 1963년 제3공화국 출범과 함께 해산되었다.
  • 평의회 - 유럽 평의회
    유럽 평의회는 2차 세계대전 후 유럽 재건과 화해를 위해 1949년 설립되어 민주주의, 인권, 법치를 가치로 삼고 46개 회원국이 활동하며 인권 보호, 법치주의 증진, 문화 협력 등을 주요 활동으로 하는 국제기구이다.
  • 핀란드의 내각 - 에리히 내각
    에리히 내각은 불행한 내각이었다.
  • 핀란드의 내각 - 제2기 잉만 내각
국가평의회 (핀란드)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정부 개요
정부 명칭핀란드 정부
현지 명칭(수오멘 발티오네우보스토)
(핀란드 스트라스로데트)
문자적 의미핀란드의 국가 평의회
국가핀란드
주소정부 청사 헬싱키, 핀란드
설립일1917년 11월 27일
예산€558억 (2018년)
주요 기관총리실
부처 수12개 (목록)
책임 기관핀란드 의회
웹사이트government.fi
정부 구성
정부 수반 직함핀란드 총리
총리 임명권자핀란드 대통령
총리페테리 오르포
관련 정보
관련 정보정치

2. 구성

정부는 핀란드의 가장 중요한 행정부이며, 각료들로 구성된다.[12][5][6] 정부의 최고 권한은 핀란드 헌법 제1장 제3조 및 2003년의 하위 정부법[7]에 근거한다.

> 정부 권한은 대통령과 정부에 의해 행사되며, 정부 구성원은 의회의 신임을 받아야 한다.[8]

정부는 핀란드 의회에 장관의 수와 역할을 제안하고, 임기 동안 직무를 개편할 수 있다. 장관의 직무는 참여 정당 간에 분배되지만, 정부는 집단 각료 책임을 가지며, 장관들은 정부 구성 회담에서 합의된 정부 프로그램을 따라야 한다.

2. 1. 총리

정부는 사실상 핀란드에서 가장 강력한 단일 직위로 여겨지며, 종종 가장 큰 정당의 대표인 총리가 이끈다.

각 부처는 최소 1명의 장관이 이끈다. 장관의 수와 직무는 다양하게 변동하지만, 부처의 수와 이름은 법으로 고정되어 있다.[9][10] 모든 장관은 정부에 참여한다.

정부는 핀란드 의회의 확인을 위해 장관의 수와 역할을 제안하며, 정부의 임기 동안 직무를 개편할 수 있다. 선임 또는 하위 장관은 없으며, 2000년 헌법에 따라 무임소 장관은 더 이상 허용되지 않는다. 장관은 국회의원(MP)일 필요는 없지만, 종종 그렇다. 각 장관은 장관의 재량에 따라 근무하는 정치적 임명직인 국무차관(valtiosihteeri|발티오시흐테리fi; statssekreterare|스탓세크레테라레sv)의 지원을 받는다.[12][5][6]

장관의 직무는 참여 정당 간에 분배되지만, 정부는 집단 각료 책임을 가지며, 장관들은 정부 구성 회담에서 합의된 정부 프로그램을 따라야 한다.

2. 2. 장관

정부는 사실상 핀란드에서 가장 강력한 단일 직위로 여겨지며, 종종 가장 큰 정당의 대표인 총리가 이끈다.

정부는 11개의 부처와 총리실로 구성된다. 각 부처는 최소 1명의 장관이 이끈다. 장관의 수와 직무는 다양하게 변동하지만, 부처의 수와 이름은 법으로 고정되어 있다.[9][10] 모든 장관은 정부에 참여한다.

정부는 핀란드 의회의 확인을 위해 장관의 수와 역할을 제안하며, 정부의 임기 동안 직무를 개편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임 또는 하위 장관은 없으며, 2000년 헌법에 따라 무임소 장관은 더 이상 허용되지 않는다. 장관은 국회의원(MP)일 필요는 없지만, 종종 그렇다. 각 장관은 장관의 재량에 따라 근무하는 정치적 임명직인 국무차관(valtiosihteeri|발티오시흐테리fi; statssekreterare|스탓세크레테라레sv)의 지원을 받는다.[12][5][6]

장관의 직무는 참여 정당 간에 분배되지만, 정부는 집단 각료 책임을 가지며, 장관들은 정부 구성 회담에서 합의된 정부 프로그램을 따라야 한다.

2. 3. 장관 위원회

국무총리는 전체 정부를 소집할 필요가 없거나 바람직하지 않을 때 장관위원회(내각위원회)에서 정부의 일부와 함께 참여할 수 있다. 네 개의 법정 장관 위원회 외에 정부 특정 장관 위원회와 선택적 장관 위원회가 있다.[12][5][6]

  • 장관 재무 위원회(raha-asiainvaliokuntafi)
  • 외교안보 정책 장관 위원회(ulko- ja turvallisuuspoliittinen ministerivaliokuntafi; 1922년부터 공식적으로, 그 이전에는 비공식적으로)
  • 경제 정책 장관 위원회(talouspoliittinen ministerivaliokuntafi; 1977년부터 공식적으로, 그 이전에는 비공식적으로)
  • 유럽 연합 관련 장관 위원회(Euroopan unionia koskevien asioiden ministerivaliokuntafi; 유럽 경제 공동체 관련 장관 위원회를 대체하기 위해 1995년에 설립)

3. 산하 부처

}

| 총리

|-

| 외무부

| 우앰(UM)

| ulkoasiainministeriö|울코아시아인미니스테리외fi

| utrikesministeriet|sv

| 외무장관, 무역개발장관, 북유럽협력장관, 유럽장관

|-

| 법무부

| 오앰(OM)

| oikeusministeriö|오이케우스미니스테리외fi

| justitieministeriet|sv

| 법무장관

|-

| 내무부

| 앳새앰(SM)

| sisäministeriö|시새미니스테리외fi

| inrikesministeriet|sv

| 내무장관

|-

| 방위부

| 페앨앰(PLM)

| puolustusministeriö|푸올루스투스미니스테리외fi

| försvarsministeriet|sv

| 방위장관

|-

| 재무부

| 베앰(VM)

| valtiovarainministeriö|발티오바라인미니스테리외fi

| finansministeriet|sv

| 재무장관, 지방개혁장관

|-

| 문교부

| 오코앰(OKM)

| opetus- ja kulttuuriministeriö|오페투스 야 쿨투리미니스테리외fi

| undervisnings- och kulturministeriet|sv

| 교육장관, 문화체육장관

|-

| 농림부

| 앰앰앰(MMM)

| maa- ja metsätalousministeriö|마 야 메채탈로우스미니스테리외fi

| jord- och skogsbruksministeriet|sv

| 농림장관

|-

| 교통통신부

| 앨베앰(LVM)

| liikenne- ja viestintäministeriö|리케네 야 비에스틴태미니스테리외fi

| kommunikationsministeriet|sv

| 교통통신장관

|-

| 노동경제부

| 테에앰(TEM)

| työ- ja elinkeinoministeriö|튀외 야 엘린케이노미니스테리외fi

| arbets- och näringsministeriet|sv

| 경제장관, 노동장관

|-

| 사회보건부

| 앳새테앰(STM)

| sosiaali- ja terveysministeriö|소시알리 야 테르베위스미니스테리외fi

| social- och hälsovårdsministeriet|sv

| 사회보건장관, 가족복지장관

|-

| 환경부

| 위앰(YM)

| ympäristöministeriö|윔패리스퇴미니스테리외fi

| miljöministeriet|sv

| 환경장관, 주거장관

|}[15]

각 부처는 최소 1명의 장관이 이끌며, 장관의 수와 직무는 변동될 수 있지만, 부처의 수와 이름은 법으로 고정되어 있다.[9][10]

4. 입법

정부는 대부분의 입법을 발의한다. 법안(laki|라키fi, lag|라그sv)은 해당 장관의 지휘 하에 각 부처에서 초안이 작성된 후 정부의 검토를 거쳐 정부 제안 (hallituksen esitys|할리툭센 에시튀스fi, regeringens proposition|레게링엔스 프로포시티온sv)으로 핀란드 의회에 전달되어 심의 및 수정될 수 있다. 그러나 핀란드에서는 연립 정부가 보편화됨에 따라, 정부에 참여하는 정당들이 대개 의회에서도 다수를 차지하여 절차가 다소 조화롭게 진행된다. 1957년 이후 모든 정부는 다수 정부였다. 제안이 법으로 제정되기 전에 핀란드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12] 대통령은 다수 정치에 대한 견제와 국제 협약 위반 가능성을 막기 위해 지연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대통령과 정부가 서로 다른 정치적 입장을 대표하는 동거 정부 기간은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 대통령의 거부권은 의회에서 무효화될 수 있지만, 실제로 그렇게 행해지지는 않는다. 정당들은 또한 당론에 따라 투표하지 않고 개별 국회의원에게 결정을 위임하기로 합의할 수 있지만, 이는 흔한 일은 아니다.[12]

2007년 핀란드 의회 회의에서 반하넨 2기 내각.


의회가 법을 통과시키는 동안, 정부 또는 개별 부처는 위임 입법으로 포고령(asetus|아세투스fi, förordning|푀로르드닝sv)을 발행한다. 포고령은 의회법의 시행을 명확히 하고, 구체화하며, 안내하지만, 이를 위반할 수 없다. 이는 미국의 상설 행정 명령과 유사하다. 전형적인 예는 법률에서 일반적인 용어로 설명된 혜택에 대한 실제 금전적 금액을 명시하는 것이다.[12] 포고령은 의회법과 함께 중요한 법률 체계를 형성한다.

헬싱키 Kaartinkaupunki에 위치한 스몰나는 핀란드 정부의 연회장으로 사용된다.

5. 예산

국가 기금은 국회에서 승인해야 하는 국가 예산(valtion talousarvio|발뇬 탈로우스아르비오fi, statsbudget|스탓스부제트sv)의 틀 내에서만 지출할 수 있다. 정부는 연간 예산을 작성하여 국회에 제출하여 논의하고 승인을 받는다. 정부가 연중에 더 많은 기금이 필요할 경우, 국회에 추가 예산안을 제출해야 한다.[12] 2018년 중앙 국가 예산은 지방 자치 단체 예산과 국영 기업과 같은 부처가 아닌 기관을 제외하고 558억유로였다.[13]

6. 역대 정부

다음은 1917년 이후 핀란드 역대 정부 목록이다.[14]

부처약칭핀란드어스웨덴어소관 각료
국가평의회청베앤코(VNK)valtioneuvoston kanslia|발티오네우보스톤 칸슬리아fi{{lang|sv|statsrådets kansli|}
정부발족일의석정당
스빈후부드 원로원1917년 11월 27일103/200청년 핀란드당, 스웨덴 인민당, 핀란드당, 농업동맹
파시키비 원로원1918년 5월 27일103/200청년 핀란드당, 스웨덴 인민당, 핀란드당, 농업동맹
잉만 내각1918년 11월 27일77/200국민연합당, 스웨덴 인민당, 국민 진보당
K. 카스트렌 내각1919년 4월 17일90/200스웨덴 인민당, 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베놀라 내각1919년 8월 15일68/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에리히 내각1920년 3월 15일118/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국민연합당, 스웨덴 인민당
베놀라 제2차 내각1921년 4월 9일68/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카야네르 내각1922년 6월 2일
칼리오 내각1922년 11월 14일60/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카야네르 제2차 내각1924년 1월 18일
잉만 제2차 내각1924년 5월 31일122/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국민연합당, 스웨덴 인민당
툴렌헤이모 내각1925년 3월 31일82/200농업동맹, 국민연합당
칼리오 제2차 내각1925년 12월 31일82/200농업동맹, 국민연합당
타네르 내각1926년 12월 13일52/200사회민주당
수닐라 내각1927년 12월 17일52/200농업동맹
만테레 내각1928년 12월 22일10/200국민 진보당
칼리오 제3차 내각1929년 8월 16일60/200농업동맹
스빈후부드 제2차 내각1930년 7월 4일132/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국민연합당, 스웨덴 인민당
수닐라 제2차 내각1931년 3월 21일132/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국민연합당, 스웨덴 인민당
키비매키 내각1932년 12월 14일85/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스웨덴 인민당
칼리오 제4차 내각1936년 10월 7일60/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카야네르 제3차 내각1937년 3월 3일164/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스웨덴 인민당, 사회민주당
뤼티 내각1939년 12월 1일165/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스웨덴 인민당, 사회민주당
뤼티 제2차 내각1940년 3월 27일190/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스웨덴 인민당, 사회민주당, 국민연합당
랑겔 내각1941년 1월 4일198/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스웨덴 인민당, 사회민주당, 국민연합당, 애국인민운동
링코미에스 내각1943년 3월 5일190/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스웨덴 인민당, 사회민주당, 국민연합당
하크젤 내각1944년 9월 8일190/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스웨덴 인민당, 사회민주당, 국민연합당
U. 카스트렌 내각1944년 10월 21일190/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스웨덴 인민당, 사회민주당, 국민연합당
파시키비 제2차 내각1944년 11월 17일165/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스웨덴 인민당, 사회민주당, 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
파시키비 제3차 내각1945년 4월 17일171/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스웨덴 인민당, 사회민주당, 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
페칼라 내각1946년 3월 26일162/200농업동맹, 스웨덴 인민당, 사회민주당, 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
파게르홀름 내각1948년 8월 29일54/200사회민주당
케코넨 내각1950년 3월 17일75/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스웨덴 인민당
케코넨 제2차 내각1951년 1월 17일129/200국민 진보당, 농업동맹, 스웨덴 인민당, 사회민주당
케코넨 제3차 내각1951년 10월 20일119/200농업동맹, 사회민주당, 스웨덴 인민당
케코넨 제4차 내각1953년 8월 9일66/200농업동맹, 스웨덴 인민당
사카리 투오미오야 내각1953년 11월 17일53/200
퇴르그렌 내각1954년 5월 5일120/200농업동맹, 스웨덴 인민당
케코넨 제5차 내각1954년 10월 20일107/200농업동맹, 사회민주당
파게르홀름 제2차 내각1956년 3월 3일120/200농업동맹, 사회민주당, 스웨덴 인민당
수켈라이넨 내각1957년 4월 27일79/200농업동맹, 스웨덴 인민당, 노동자 및 소농 사회민주 연합, 핀란드 인민당
폰 피안트 내각1957년 11월 29일
쿠우스코스키 내각1958년 4월 26일
파게르홀름 제3차 내각1958년 9월 29일152/200사회민주당, 농업동맹, 국민연합당, 핀란드 인민당, 스웨덴 인민당
수켈라이넨 제2차 내각1959년 1월 13일62/200농업동맹, 스웨덴 인민당
미에투넨 내각1961년 8월 14일48/200농업동맹
카르얄라이넨 내각1962년 4월 13일114/200농업동맹, 노동자 및 소농 사회민주 연합, 스웨덴 인민당, 국민연합당, 핀란드 인민당
레토 내각1963년 12월 18일
비롤라이넨 내각1964년 10월 12일112/200중앙당, 국민연합당, 스웨덴 인민당, 핀란드 인민당
파시오 내각1966년 5월 27일152/200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 사회민주당, 노동자 및 소농 사회민주 연합, 중앙당
코이비스토 내각1968년 3월 22일164/200사회민주당, 노동자 및 소농 사회민주 연합, 중앙당, 스웨덴 인민당, 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
아우라 내각1970년 5월 14일
카르얄라이넨 제2차 내각1970년 8월 15일144/200사회민주당, 중앙당, 스웨덴 인민당, 자유주의자
아우라 제2차 내각1971년 10월 29일
파시오 제2차 내각1972년 2월 23일55/200사회민주당
소르사 내각1972년 10월 4일109/200중앙당, 스웨덴 인민당, 자유주의자, 사회민주당
리이나마 내각1975년 6월 13일
미에투넨 제2차 내각1975년 11월 30일152/200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 중앙당, 스웨덴 인민당, 자유주의자, 사회민주당
미에투넨 제3차 내각1976년 10월 29일58/200중앙당, 스웨덴 인민당, 자유주의자
소르사 제2차 내각1977년 5월 15일152/200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 스웨덴 인민당, 자유주의자, 사회민주당, 중앙당
코이비스토 제2차 내각1979년 5월 26일133/200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 스웨덴 인민당, 사회민주당, 중앙당
소르사 제3차 내각1982년 2월 19일133/200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 스웨덴 인민당, 사회민주당, 중앙당
소르사 제4차 내각1983년 5월 6일123/200스웨덴 인민당, 사회민주당, 중앙당, 핀란드 농촌당
홀케리 내각1987년 4월 30일131/200국민연합당, 사회민주당, 스웨덴 인민당, 핀란드 농촌당
아호 내각1991년 4월 26일115/200중앙당, 국민연합당, 스웨덴 인민당, 기독교 민주당
리포넨 내각1995년 4월 13일145/200국민연합당, 사회민주당, 스웨덴 인민당, 좌파 동맹, 녹색 연맹
리포넨 제2차 내각1999년 4월 15일140/200국민연합당, 사회민주당, 스웨덴 인민당, 좌파 동맹, 녹색 연맹 (−2002)
야테엔마키 내각2003년 4월 17일117/200중앙당, 사회민주당, 스웨덴 인민당
반하넨 내각2003년 6월 24일117/200중앙당, 사회민주당, 스웨덴 인민당
반하넨 제2차 내각2007년 4월 19일126/200중앙당, 국민연합당, 녹색 연맹, 스웨덴 인민당
키비니에미 내각2010년 6월 22일126/200중앙당, 국민연합당, 녹색 연맹, 스웨덴 인민당
카타이넨 내각2011년 6월 22일124/200국민연합당, 사회민주당, 좌파 동맹 (−2014), 녹색 연맹, 스웨덴 인민당, 기독교 민주당
스투브 내각2014년 6월 24일112/200국민연합당, 사회민주당, 녹색 연맹 (−2014), 스웨덴 인민당, 기독교 민주당
시필래 내각2015년 5월 29일124/200중앙당, 핀란드인 정당 (−2017), 국민연합당, 청색 개혁 (2017−)
린네 내각2019년 6월 6일117/200사회민주당, 중앙당, 녹색 연맹, 좌파 동맹, 스웨덴 인민당
마린 내각2019년 12월 10일117/200사회민주당, 중앙당, 녹색 연맹, 좌파 동맹, 스웨덴 인민당
오르포 내각2023년 6월 20일109/200국민연합당, 핀란드인 정당, 스웨덴 인민당, 기독교 민주당


7. 현 정부 (오르포 내각)

오르포 내각은 2023년 6월 20일에 출범한 핀란드의 77번째 정부이다. 국민연합당 8명, 핀란드인당 7명, 핀란드 스웨덴 인민당 3명, 기독교 민주당 1명 등 총 19명의 장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7. 1. 장관 목록

직책이름정당취임일
총리페테리 오르포국민연합당2023년 6월 20일
총리 대행 장관 겸 재무부 장관리이카 푸라핀란드인당2023년 6월 20일
교육부 장관안데르스 아들레르크로이츠핀란드 스웨덴 인민당2024년 7월 5일
농림부 장관사리 에사야기독교 민주당2023년 6월 20일
국방부 장관안티 해캐넨국민연합당2023년 6월 20일
개발 협력 및 대외 무역부 장관빌레 타비오핀란드인당2023년 6월 20일
경제부 장관빌레 뤼드만핀란드인당2023년 7월 6일
고용부 장관아르토 사토넨국민연합당2023년 6월 20일
환경 및 기후 변화부 장관카이 미키넨국민연합당2023년 6월 20일
유럽 담당 및 소유권 관리 장관요아킴 스트란드핀란드 스웨덴 인민당2024년 7월 5일
외무부 장관엘리나 발토넨국민연합당2023년 6월 20일
내무부 장관마리 란타넨핀란드인당2023년 6월 20일
법무부 장관레에나 메리핀란드인당2023년 6월 20일
지방 정부 및 지역 정부 장관안나-카이사 이코넨국민연합당2023년 6월 20일
과학 문화부 장관사리 멀탈라국민연합당2023년 6월 20일
사회 복지 보건부 장관카이사 유우소핀란드인당2023년 6월 20일
사회 보장 장관산니 그란-라소넨국민연합당2023년 6월 20일
교통 통신부 장관룰루 란네핀란드인당2023년 6월 20일
청소년, 스포츠 및 신체 활동 장관산드라 베리크비스트핀란드 스웨덴 인민당2023년 6월 20일


참조

[1] 웹사이트 Valtion talousarvioesitys 2018 http://budjetti.vm.f[...] 2018-01-23
[2] 웹사이트 About the Government http://valtioneuvost[...] 2017-12-11
[3] 웹사이트 Finnish Government Glossary https://mot.kielikon[...] Finnish Government Termbank Valter 2018-01-09
[4] 웹사이트 Governments in chronological order http://valtioneuvost[...] 2018-03-21
[5] 서적 Suomen keskushallinnon historia 1809–1996 https://www.finna.fi[...] Prime Minister's Office and Edita 2018-01-10
[6] 서적 Valtioneuvoston kanslia 200 vuotta http://julkaisut.val[...] Prime Minister's Office and Edita
[7] 웹사이트 Government Act 175/2003 https://www.finlex.f[...] 2018-01-09
[8]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Finland https://www.finlex.f[...] 2019-09-19
[9] 웹사이트 FINLEX ® - Ajantasainen lainsäädäntö: Laki valtioneuvostosta 175/2003 https://www.finlex.f[...]
[10] 웹사이트 Ministerin käsikirja 2019 - Tietoa valtioneuvoston toiminnasta http://julkaisut.val[...] 2019-05-29
[11] 웹사이트 Kielitoimiston ohjepankki http://www.kielitoim[...] 2018-03-21
[12] 서적 Suomen poliittinen järjestelmä http://blogs.helsink[...] University of Helsinki
[13] 웹사이트 Tutki budjettia http://tutkibudjetti[...]
[14] 웹사이트 Finnish Governments and Ministers since 1917 http://valtioneuvost[...]
[15] 웹인용 Kielitoimiston ohjepankki http://www.kielitoim[...] 2018-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