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국민연합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국민연합당은 1918년 핀란드 내전 이후 창당된 핀란드의 중도우파 정당이다. 입헌군주제를 지지했으나 공화제 체제 내에서 강력한 대통령 권한을 주장하며, 사회 및 경제 개혁을 목표로 했다. 1930년대에는 보수화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립 정부에 참여했다. 1951년 현재의 당명으로 변경되었고, 개인의 자유와 자유 시장 경제를 강조하며 이념적 변화를 꾀했다. 1987년 하리 홀케리가 총리가 되었으나, 1990년대 초 불황으로 패배했다. 2000년대 이후 유럽 통합과 NATO 가입을 지지하며, 2011년 총선에서 제1당이 되었고 사울리 니니스퇴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2023년 총선에서 제1당이 되어 페테리 오르포가 총리가 되었고, 2024년 알렉산데르 스투브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자유보수주의를 기본 이념으로 하며, 다자주의, 친유럽주의를 옹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민연합당 - 핀란드인당
    핀란드당은 1860년대 페노만 지식인들이 핀란드어의 지위 향상을 목표로 형성한 정당으로, 러시아 제국 시대 러시아 당국과의 협력 시도와 러시아화 정책 대응에 대한 분열을 겪었으며, 핀란드 독립 후 군주제 지지 여부로 국민연합당과 핀란드 국민진보당으로 분열되었다.
  • 국민연합당 -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유호 쿠스티 파아시키비는 핀란드의 독립과 냉전 시대 생존에 기여한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총리, 스웨덴/소련 대사를 거쳐 대통령을 역임하며 소련과의 우호 관계 구축 및 '파아시키비 독트린'을 통해 핀란드의 안보와 독립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핀란드의 보수주의 정당 - 핀란드인당
    핀란드당은 1860년대 페노만 지식인들이 핀란드어의 지위 향상을 목표로 형성한 정당으로, 러시아 제국 시대 러시아 당국과의 협력 시도와 러시아화 정책 대응에 대한 분열을 겪었으며, 핀란드 독립 후 군주제 지지 여부로 국민연합당과 핀란드 국민진보당으로 분열되었다.
  • 핀란드의 보수주의 정당 - 핀인당
    핀인당은 1995년 라이모 비스타바크가 창당한 핀란드의 정당으로, 유럽회의주의, 민족주의, 사회 보수주의를 표방하며 이민 제한과 EU 통합 반대를 주장하고, 2023년 총선에서 46석을 얻어 오르포 내각에 참여했다.
  • 핀란드의 정당 - 녹색동맹
    1987년 핀란드에서 환경 운동가와 페미니스트들의 대중 운동으로 시작되어 유럽 최초로 집권 연정에 참여한 녹색당인 녹색동맹은 중도좌파 성향의 진보적인 정책과 다소 보수적인 면모를 동시에 보이는 특징을 가진 정당이다.
  • 핀란드의 정당 - 핀란드 의회
    핀란드 의회는 핀란드의 입법 기관으로, 20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단원제 의회이며, 4년 임기의 의원을 비례대표제로 선출하고, 핀란드 헌법에 따라 입법권을 행사하며, 예산 결정, 인사권, 행정 통제 등 광범위한 권한을 갖는다.
국민연합당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당 이름국민연합당
원어 이름fi: Kansallinen Kokoomus
sv: Samlingspartiet
약칭fi: Kok
sv: Saml
로고
창립일1918년 12월 9일
본부헬싱키, Töölönkatu 3, 00100
웹사이트kokoomus.fi
회원 수약 27,000명 (2021년)
기관지Nykypäivä
싱크탱크Ajatuspaja Toivo
정치
의장페테리 오르포
사무총장Timo Elo (poliitikko)
총비서미코 코르텔라이넨
원내대표마티아스 마르티넨
부의장안티 해캐넨
안나카이사 이코넨
Karoliina Partanen
이념자유보수주의
친유럽주의
정치적 성향중도우파
국제 제휴국제민주연합
유럽 제휴유럽 인민당
유럽의회 그룹유럽 인민당 그룹
북유럽 제휴보수 그룹
의회 의석
에두스쿤타 (국회) 의석48석
정원 200석
유럽의회 의석4석
정원 15석
지방 의회 의석1,552석
정원 8,859석
복지 서비스 카운티 의석289석
정원 1,379석
관련 조직
청년 조직Youth of the National Coalition Party - Kokoomusnuoret
학생 조직Student Union of National Coalition Party – Tuhatkunta
여성 조직Kokoomuksen Naisten Liitto
어린이 조직Lastenliitto
성소수자 조직Kansallinen sateenkaariryhmä – Kasary
역사
합병핀란드당, 청년 핀란드당
기타
색상진한 파랑

2. 역사

2. 1. 창당과 초기 활동 (1918년–1939년)

국민연합당의 사자


1933년 핀란드 선거 포스터


국민연합당은 1918년 12월 9일 핀란드 내전 이후 핀란드당과 젊은 핀란드당의 일부 세력이 헤세의 프리드리히 카를 왕자를 핀란드 국왕으로 추대하며 창당되었다.[5][15] 600명이 넘는 대표들이 참석한 창당 회의에서는 "구시대적인 당파를 넘어서는 국가적 연합"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합법적인 사회 질서는 엄격히 준수되어야 하며, 혁명적인 열망과는 타협해서는 안 된다"고 선언했다. 또한, "결연한 건설적인 개혁 작업"을 추진할 것을 천명했다.[7]

국민연합당은 초기에는 입헌군주제를 지지하였으나, 군주제 도입이 실패한 후에는 공화제 체제 내에서 강력한 대통령 권한을 주장했다.[8] 이들은 의무교육, 보편적 의료, 누진적인 소득세 및 재산세와 같은 사회 및 경제 개혁을 시행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8]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 초반, 조세프 스탈린의 공산주의 소비에트 연방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핀란드 정치권에서 국민연합당의 이념적 입장은 보수적으로 변화했다.[5][15][6] 이러한 변화는 특히 젊은이들에게 영토 회복주의 및 파시즘 운동에 대한 지지를 확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5][15][6]

1933년 총선에서 국민연합당은 라푸아 운동의 전 지지자들이 창설한 애국 국민 운동과 선거 연합을 맺었다.[15][6] 이는 초대 핀란드 대통령인 P.E. 스빈후부드가 라푸아 운동을 중단시키고 맨츠앨라 반란을 진압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진 일이었다. 그 결과, 국민연합당은 의회에서 42석 중 24석을 잃는 큰 패배를 당했다.[15][6] 1934년, 유호 쿠스티 파아시키비가 당 대표로 선출된 후 국민연합당은 애국 국민 운동과의 관계를 끊었지만, 겨울 전쟁이 발발한 1939년까지 핀란드 정부에서 배제되었고, 지지 회복에 어려움을 겪었다.[15][6][9]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전후 (1939년–2000년)

1948년 선거 포스터. 핀란드어로 "자유롭게 되세요, 연립정당에 투표하세요"라고 쓰여 있다.


1953년 연립정당 선거 포스터.


1939년부터 1944년까지의 겨울 전쟁과 계속 전쟁 동안, 국민연합당은 전시 연립정부에 참여하여 정부 정책을 지지했다.[10] 전쟁 후, 국민연합당은 핀란드 공산주의자들에 맞서 민주주의 수호자를 자처했다. 겨울 전쟁 이전에 소련에 더 많은 양보를 주장하고 계속 전쟁 이전에 독일과의 협력에 신중한 입장을 취했던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의장은 핀란드 총리(1944-1946)를 거쳐 핀란드 대통령(1946-1956)으로 활동하며 핀란드 외교 정책을 주도했다.[10] 그는 소련과의 관계를 안정시키고 서방 세계와의 협력을 강화했다. 국민연합당과 공산주의 핀란드 인민민주동맹 간의 갈등은 파시키비 대통령이 당의 청년부를 감시하기 위해 국가경찰을 사용한 공산주의 내무부 장관 위르외 레이노(Yrjö Leino)를 해임했을 때 절정에 달했다.[6][11][12]

1951년, 당명을 현재의 '국민연합당'(Kansallinen Kokoomusfi)으로 변경했다.[13] 1950년대에는 개인의 자유와 자유 시장 경제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이념적 변화를 꾀했다. 1958년에는 기독교 민주당이 분리되어 나갔다. 1966년부터 1987년까지는 야당으로 머물렀다.[13] 우르호 케코넨 대통령을 비판함으로써 대통령의 신뢰를 잃었고, 중앙당과 좌파 정당이 구성한 정부들이 이어졌다.[14] 1970년대에는 케코넨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하는 새로운 세대가 등장했고, 1970년대 후반에 부분적으로 성공했다.[14] 1978년 케코넨을 대통령으로 지지하고 1979년 의회 선거에서 두 번째로 큰 당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케코넨의 임기가 끝날 때까지 정부에 참여하지는 못했다.[15][6][12]

1987년 총선에서 좋은 결과를 얻어 하리 홀케리(Harri Holkeri)가 파시키비 이후 첫 국민연합당 출신 총리가 되었다. 홀케리 집권 기간 동안 핀란드 경제는 침체를 겪었고, 1991년 의회 선거에서 패배했다. 이후 2003년까지 소수 정당으로 정부에 참여했다.[15][6]

2. 3. 현대 (2000년–현재)

2000년대 이후 국민연합당은 유럽 통합과 NATO 가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2003년 총선에서 6석을 잃은 후, 유르키 카타이넨이 2004년 당 대표로 선출되어 2014년까지 당을 이끌면서 자유주의를 당의 주요 특징으로 내세웠다.[16] 2007년 총선에서는 의석을 50석으로 늘리며 큰 성과를 거두었고, 중앙당, 녹색연맹, 핀란드 스웨덴인당과 함께 연립 정부를 구성하여 재무 및 외교 등 핵심 장관직을 맡았다.[15][6][17]

2011년 총선에서는 6석을 잃었지만, 44석으로 사상 처음으로 원내 제1당이 되었고, 유르키 카타이넨 총리가 이끄는 6개 정당 연립 정부(카타이넨 내각)가 구성되었다.[64] 2012년에는 사울리 니니스퇴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어 1956년 이후 56년 만에 국민연합당 출신 대통령이 탄생했다.[15][18] 니니스퇴는 실용적인 재정 보수주의자이자 친유럽적인 인물로, 유럽 국가 부채 위기에 대처하고 미국, 중국, 러시아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 힘썼다.[17] 그는 2018년에 재선되었다.[19]

2019년 총선 포스터. 핀란드어로 "우리는 핀란드를 믿습니다"라고 쓰여 있다.


2014년 카타이넨의 사임 이후 알렉산더 스투브가 당 대표 및 총리가 되었고, 스투브 내각이 출범했다.[20][6] 2015년 총선에서는 득표율 2위, 의석수 3위를 기록했지만, 중앙당, 핀란드당과 함께 우익 성향의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21][22] 그러나 스투브는 당내 낮은 지지율과 경제 침체 등으로 비판을 받았고, 2016년 페테리 오르포에게 당 대표직을 넘겨주었다.[23] 2019년 총선에서 국민연합당은 제3당으로 밀려나 야당이 되었다.[24]

2023년 총선에서 국민연합당은 48석을 얻어 다시 제1당이 되었고,[68] 페테리 오르포가 이끄는 오르포 내각이 출범하여 핀란드당, 핀란드 스웨덴인당, 핀란드 기독교민주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25][26][69] 2024년에는 알렉산데르 스투브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27]

3. 이념 및 정책

1964년 국민연합당 포스터. 핀란드어로 "미래의 안전을 위하여"라고 쓰여 있다.


국민연합당은 이념적으로 정치 스펙트럼에서 중도우파에서 우파에 걸쳐 위치하고 있으며,[3][28] 자유주의,[29][30][31] 보수주의,[32][33][34] 자유보수주의,[35][36][37] 보수자유주의],[38] 그리고

3. 1. 기본 이념



국민연합당은 이념적으로 정치 스펙트럼에서 중도우파에서 우파에 걸쳐 위치하고 있으며,[3][28] 자유보수주의를 기본 이념으로 한다.[35][36][37] 경제적 자유, 개인의 책임, 시장 경제를 강조하며, 자유주의,[29][30][31] 보수주의,[32][33][34] 보수자유주의],[38] 그리고

3. 2. 주요 정책

국민연합당은 중도우파에서 우파에 걸쳐 위치하며,[3][28] 자유주의,[29][30][31] 보수주의,[32][33][34] 자유보수주의,[35][36][37] 보수자유주의,[38] 그리고 재정 보수주의를 표방한다.[39] 문화적경제적 자유주의와 사회 개혁주의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40] 다문화주의, 직업 기반 이민, 성소수자 권리 및 동성 결혼을 지지한다.[3][41][42][43]

국제 관계에서 국민연합당은 다자주의를 옹호하며, 친유럽 성향으로 유럽 연합(EU) 내에서 유럽 통합을 지지한다. 유럽 통합을 지지하며, EU 내에서의 핀란드의 역할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한다. 또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을 강력히 추진하여, 2023년 핀란드의 NATO 가입을 지지했다.[47]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규제 완화, 감세, 노동 시장 유연화 정책을 추진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환경 보호와 기후 변화 대응에 대한 투자를 강조한다. 유럽국민당(EPP)에 가입되어 있으며, 핀란드 남부 도시 지역 기업 경영자들에게 강력한 지지 기반을 가지고 있다.

4. 조직

국민연합당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는 당 대회(당 대회)이며, 2년마다 개최된다.[55] 당 대회는 당 의장과 3명의 부의장, 61명의 당 평의회(puoluevaltuustofi) 의원을 선출한다.[55]

당 대표와 부대표는 각 지역구와 세 개의 당파 대표로 구성된 당 집행부(puoluehallitus)를 이끌며, 당 집행부는 일상 업무를 담당한다.[55] 당 의회는 당 대표 비서를 선출하여 헬싱키에 위치한 본부를 이끌고, 당 집행부의 결정에 따라 국민연합당의 활동을 조율한다.[55]

국민연합당은 장관, 핀란드 의회 의원, 유럽 의회 의원을 위한 별도의 조정 그룹을 두고 있다.[55]

== 하부 조직 ==

국민연합당은 지역별, 직능별, 연령별 등 다양한 하부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67] 특히 여성, 청년, 학생 조직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터키계 이민자가 지도자를 맡는 그룹도 있다.[67] 주요 의사 결정 기구인 당 대회(puoluekokousfi )는 2년마다 하부 조직 대표들을 구성원으로 하여 소집되며, 당 의장과 3명의 부의장, 그리고 61명으로 구성된 당평의회( puoluevaltuustofi )를 선출한다.[55] 학생이나 여성 등 폭넓은 국민으로 구성된 하부 조직이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67]

4. 1. 중앙 조직

국민연합당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는 당 대회(당 대회)이며, 2년마다 개최된다.[55] 당 대회는 당 의장과 3명의 부의장, 61명의 당 평의회(puoluevaltuustofi) 의원을 선출한다.[55]

당 대표와 부대표는 각 지역구와 세 개의 당파 대표로 구성된 당 집행부(puoluehallitus)를 이끌며, 당 집행부는 일상 업무를 담당한다.[55] 당 의회는 당 대표 비서를 선출하여 헬싱키(Helsinki)에 위치한 본부를 이끌고, 당 집행부의 결정에 따라 국민연합당(NCP)의 활동을 조율한다.[55]

국민연합당은 장관, 핀란드 의회 의원, 유럽 의회 의원을 위한 별도의 조정 그룹을 두고 있다.[55]

4. 2. 하부 조직

국민연합당은 지역별, 직능별, 연령별 등 다양한 하부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67] 특히 여성, 청년, 학생 조직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터키계 이민자가 지도자를 맡는 그룹도 있다.[67] 주요 의사 결정 기구인 당 대회( puoluekokousfi )는 2년마다 하부 조직 대표들을 구성원으로 하여 소집되며, 당 의장과 3명의 부의장, 그리고 61명으로 구성된 당평의회( puoluevaltuustofi )를 선출한다.[55]

5. 역대 당 대표

라우리 잉그만(Lauri Ingman)은 총리(1918~1919, 1924~1925)를 역임했다.[62] 안티 툴렌헤이모(Antti Tulenheimo)는 총리(1925)를 역임했다.[62] 페르 에빈드 스빈후푸드는 대통령(1931~1937)을 역임했다.[62] 에드윈 링크미에스(Edwin Linkomies)는 총리(1943~1944)를 역임했다.[62] 유호 쿠스티 파아시키비는 대통령(1946~1956)과 총리(1944~1946)를 역임했다.[62] 하리 홀케리(Harri Holkeri)는 총리(1987~1991)를 역임했다.[62] 리타 우오수카이넨(Riitta Uosukainen)은 교육부 장관(1991~1994)과 국회의장(1994~2003)을 역임했다.[62] 사울리 니니스퇴는 재무부 장관(1995~2003), 국회의장(2007~2011), 대통령(2012~2024)을 역임했다.[62] 유르키 카타이넨(Jyrki Katainen)은 재무부 장관(2007~2011), 총리(2011~2014),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부위원장(2014~2019)을 역임했다.[62] 알렉산더 스텁은 총리(2014~2015), 재무부 장관(2015~2016), 핀란드 대통령(2024~)을 역임했다.[62] 페테리 오르포(Petteri Orpo)는 재무부 장관(2016~2019), 국회의장(2023), 총리(2023~)를 역임했다.[62]

역대 당 대표로는 우고 수올라흐티(1918–1920), 에밀 네스토르 세탈라(1920–1921), 안티 투렌헤이모(1921–1925), 우고 수올라흐티(1925–1926), 퀴오스티 하아타야(1926–1932), 파아보 비르쿠넨(1932–1934), 유호 쿠스티 파아시키비(1934–1936), 페카 페나넨(1936–1943), 에드빈 링코미에스(1943–1945), K. F. 레흐토넨(1945–1946), 아르보 살미넨(1946–1955), 유시 사우코넨(1955–1965), 유하 리흐트니에미(1965–1971), 하리 홀케리(1971–1979), 일카 수오미넨(1979–1991), 페르티 살로라이넨(1991–1994), 사울리 니니스퇴(1994–2001), 빌레 이탈라(2001–2004), 유르키 카타이넨(2004–2014), 알렉산데르 스투브(2014–2016), 페테리 오르포(2016– )가 있었다.

6. 주요 선거 결과

wikitext

선거 결과는 통계 핀란드 기관이 발표한 핀란드 공식 통계(Suomen virallinen tilasto)의 각 파일을 기반으로 합니다.

==== 총선 ====

선거득표수득표율 (%)의석 수±정부 여당 여부
1919년155,01815.7028신규}}
}}
}}
1922년157,11618.1535 7
1924년166,88018.9938 2}}
}}
1927년161,45017.7434 4
1929년138,00814.5128 6
1930년203,95818.0542 14}}
}}
1933년187,52716.9332 10
1936년121,61910.3620 12
1939년176,21513.5825 5}}
}}
1945년255,39415.0428 3
1948년320,36617.0433 5
1951년264,04414.5728 5
1954년257,02512.8024 4
1958년297,09415.2829 5}}
}}
1962년346,63815.0632 3
1966년326,92813.7926 6
1970년457,58218.0537 11
1972년453,43417.5934 3
1975년505,14518.3735 1
1979년626,76421.6547 12
1983년659,07822.1244 3
1987년666,23623.1353 9
1991년526,48719.3140 13
1995년497,62417.8939 1
1999년563,83521.0346 7
2003년517,90418.5540 6
2007년616,84122.2650 10
2011년598,36920.4444 6
2015년540,21218.2037 7
2019년523,95717.0038 1
2023년644,55520.8248 10



1919년 총선부터 2023년 총선까지 국민연합당의 득표율, 득표수, 의석 수 변화는 위 표와 같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에 걸쳐 20% 정도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2007년 총선에서는 50석을 획득하여 의회 제2당으로 도약했다. 이후 녹색동맹, 인민당 등과 연립정부를 구성하기도 했다.

2011년 총선에서는 진정한 핀란드인당의 약진으로 의석이 44석으로 감소했지만, 중앙당의 의석 감소폭이 더 커 제1당이 되었다.[64] 2015년 총선에서는 37석으로 제3당이 되었으나, 중앙당, 진정한 핀란드인당과 연립정부를 구성했다.[65][66]

2023년 총선에서는 48석을 획득하여 제1당이 되었고, 페테리 오르포(Petteri Orpo)가 총리에 취임했다.[68][69]

==== 유럽 의회 선거 ====

선거득표수%의석 수증감EP 그룹
1996년453,72920.17 (#3)4 / 16신규EPP
1999년313,96025.27 (#1)4 / 16 0EPP-ED
2004년392,77123.71 (#1)4 / 14 0
2009년386,41623.21 (#1)3 / 13 1EPP
2014년390,11222.59 (#1)3 / 13 0
2019년380,10620.79 (#1)3 / 13 0
2024년453,63624.80 (#1)4 / 15 1



==== 지방 선거 ====

선거의원 수득표수득표율 (%)
1950년style="text-align:center;"|88,1595.85
1953년style="text-align:center;"|133,6267.59
1956년style="text-align:center;"|105,2206.29
1960년style="text-align:center;"|275,56014.04
1964년style="text-align:center;"|213,37810.0
1968년1,388364,42816.09
1972년1,503451,48418.06
1976년2,047561,12120.92
1980년2,373628,95022.94
1984년2,423619,26422.96
1988년2,392601,46822.87
1992년2,009507,57419.05
1996년2,167514,31321.64
2000년2,028463,49320.84
2004년2,078521,41221.83
2008년2,020597,72723.45
2012년1,735544,68221.9
2017년1,490531,59920.68
2021년1,552522,62321.4



==== 대통령 선거 ====

선거후보득표수1차 투표2차 투표3차 투표결과
득표수%의석 수득표수%득표수%득표수%
1919년colspan=15 bgcolor="lightgrey"|
1925년후고 수올라흐티(Hugo Suolahti)141,24022.722.7 (#3)26.7 (#3)colspan=2 bgcolor="lightgrey"|
1931년페르 에빈드 스빈후푸드(Pehr Evind Svinhufvud)180,37821.629.3 (#2)17.7 (#2)50.3 (#1)
1937년페르 에빈드 스빈후푸드(Pehr Evind Svinhufvud)240,60221.631.3 (#2)34.7 (#2)colspan=2 bgcolor="lightgrey"|
1940년페르 에빈드 스빈후푸드(Pehr Evind Svinhufvud)colspan=3 bgcolor="lightgrey"|0.3 (#4)colspan=4 bgcolor="lightgrey"|
1943년Väinö Kotilainen/Väinö Kotilainenficolspan=3 bgcolor="lightgrey"|1.3 (#2)colspan=4 bgcolor="lightgrey"|
1946년유호 쿠스티 파아시키비(Juho Kusti Paasikivi)colspan=3 bgcolor="lightgrey"|79.5 (#1)colspan=4 bgcolor="lightgrey"|
1950년유호 쿠스티 파아시키비(Juho Kusti Paasikivi)360,78922.957.0 (#1)colspan=4 bgcolor="lightgrey"|
1956년유호 쿠스티 파아시키비(Juho Kusti Paasikivi)340,31117.9colspan=2 bgcolor="lightgrey"|28.0 (#3)colspan=2 bgcolor="lightgrey"|
1962년bgcolor="lightgrey"|288,91213.1colspan="7" bgcolor="lightgrey"|
1968년Matti Virkkunen/Matti Virkkunenfi432,01421.222.0 (#2)colspan="4" bgcolor="lightgrey"|
1978년우르호 케코넨(Urho Kekkonen)360,31014.786.3 (#1)colspan="4" bgcolor="lightgrey"|
1982년하리 홀케리(Harri Holkeri)593,27118.719.3 (#2)19.3 (#2)colspan=2" bgcolor="lightgrey"|
1988년하리 홀케리(Harri Holkeri)603,18020.221.0 (#3)6.0 (#4)colspan=2" bgcolor="lightgrey"|



선거후보1차 투표2차 투표결과
득표수%득표수%
1988년하리 홀케리(Harri Holkeri)570,34018.4colspan="2" style="background:lightgrey;"|
1994년라이모 일라스키비(Raimo Ilaskivi)485,03515.2colspan="2" style="background:lightgrey;"|
2000년리타 우오수카이넨(Riitta Uosukainen)392,30512.8colspan="2" style="background:lightgrey;"|
2006년사울리 니니스퇴(Sauli Niinistö)725,86624.11,518,33348.2
2012년사울리 니니스퇴(Sauli Niinistö)1,131,25437.01,802,40062.6
2018년사울리 니니스퇴(Sauli Niinistö)1,874,33462.6colspan="2" style="background:lightgrey;"|
2024년알렉산데르 스투브(Alexander Stubb)882,11327.211,575,21151.62


6. 1. 총선

선거득표수득표율 (%)의석 수±정부 여당 여부
1919년155,01815.70}}신규}}
}}
}}
1922년157,11618.15}} 7
1924년166,88018.99}} 2}}
}}
1927년161,45017.74}} 4
1929년138,00814.51}} 6
1930년203,95818.05}} 14}}
}}
1933년187,52716.93}} 10
1936년121,61910.36}} 12
1939년176,21513.58}} 5}}
}}
1945년255,39415.04}} 3
1948년320,36617.04}} 5
1951년264,04414.57}} 5
1954년257,02512.80}} 4
1958년297,09415.28}} 5}}
}}
1962년346,63815.06}} 3
1966년326,92813.79}} 6
1970년457,58218.05}} 11
1972년453,43417.59}} 3
1975년505,14518.37}} 1
1979년626,76421.65}} 12
1983년659,07822.12}} 3
1987년666,23623.13}} 9
1991년526,48719.31}} 13
1995년497,62417.89}} 1
1999년563,83521.03}} 7
2003년517,90418.55}} 6
2007년616,84122.26}} 10
2011년598,36920.44}} 6
2015년540,21218.20}} 7
2019년523,95717.00}} 1
2023년644,55520.82}} 10



1919년 총선부터 2023년 총선까지 국민연합당의 득표율, 득표수, 의석 수 변화는 위 표와 같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에 걸쳐 20% 정도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2007년 총선에서는 50석을 획득하여 의회 제2당으로 도약했다. 이후 녹색동맹, 인민당 등과 연립정부를 구성하기도 했다.

2011년 총선에서는 진정한 핀란드인당의 약진으로 의석이 44석으로 감소했지만, 중앙당의 의석 감소폭이 더 커 제1당이 되었다.[64] 2015년 총선에서는 37석으로 제3당이 되었으나, 중앙당, 진정한 핀란드인당과 연립정부를 구성했다.[65][66]

2023년 총선에서는 48석을 획득하여 제1당이 되었고, 페테리 오르포(Petteri Orpo)가 총리에 취임했다.[68][69]

6. 2. 유럽 의회 선거

wikitable

선거득표수%의석 수증감EP 그룹
1996년453,72920.17 (#3)4 / 16신규EPP
1999년313,96025.27 (#1)4 / 16 0EPP-ED
2004년392,77123.71 (#1)4 / 14 0
2009년386,41623.21 (#1)3 / 13 1EPP
2014년390,11222.59 (#1)3 / 13 0
2019년380,10620.79 (#1)3 / 13 0
2024년453,63624.80 (#1)4 / 15 1


6. 3. 지방 선거

선거의원 수득표수득표율 (%)
1950년style="text-align:center;"|88,1595.85
1953년style="text-align:center;"|133,6267.59
1956년style="text-align:center;"|105,2206.29
1960년style="text-align:center;"|275,56014.04
1964년style="text-align:center;"|213,37810.0
1968년1,388364,42816.09
1972년1,503451,48418.06
1976년2,047561,12120.92
1980년2,373628,95022.94
1984년2,423619,26422.96
1988년2,392601,46822.87
1992년2,009507,57419.05
1996년2,167514,31321.64
2000년2,028463,49320.84
2004년2,078521,41221.83
2008년2,020597,72723.45
2012년1,735544,68221.9
2017년1,490531,59920.68
2021년1,552522,62321.4


6. 4. 대통령 선거

선거후보득표수1차 투표2차 투표3차 투표결과
득표수%의석 수득표수%득표수%득표수%
1919년colspan=15 bgcolor="lightgrey"|
1925년후고 수올라흐티(Hugo Suolahti)141,24022.722.7 (#3)26.7 (#3)colspan=2 bgcolor="lightgrey"|
1931년페르 에빈드 스빈후푸드(Pehr Evind Svinhufvud)180,37821.629.3 (#2)17.7 (#2)50.3 (#1)
1937년페르 에빈드 스빈후푸드(Pehr Evind Svinhufvud)240,60221.631.3 (#2)34.7 (#2)colspan=2 bgcolor="lightgrey"|
1940년페르 에빈드 스빈후푸드(Pehr Evind Svinhufvud)colspan=3 bgcolor="lightgrey"|0.3 (#4)colspan=4 bgcolor="lightgrey"|
1943년Väinö Kotilainen/Väinö Kotilainenficolspan=3 bgcolor="lightgrey"|1.3 (#2)colspan=4 bgcolor="lightgrey"|
1946년유호 쿠스티 파아시키비(Juho Kusti Paasikivi)colspan=3 bgcolor="lightgrey"|79.5 (#1)colspan=4 bgcolor="lightgrey"|
1950년유호 쿠스티 파아시키비(Juho Kusti Paasikivi)360,78922.957.0 (#1)colspan=4 bgcolor="lightgrey"|
1956년유호 쿠스티 파아시키비(Juho Kusti Paasikivi)340,31117.9colspan=2 bgcolor="lightgrey"|28.0 (#3)colspan=2 bgcolor="lightgrey"|
1962년bgcolor="lightgrey"|288,91213.1colspan="7" bgcolor="lightgrey"|
1968년Matti Virkkunen/Matti Virkkunenfi432,01421.222.0 (#2)colspan="4" bgcolor="lightgrey"|
1978년우르호 케코넨(Urho Kekkonen)360,31014.786.3 (#1)colspan="4" bgcolor="lightgrey"|
1982년하리 홀케리(Harri Holkeri)593,27118.719.3 (#2)19.3 (#2)colspan=2" bgcolor="lightgrey"|
1988년하리 홀케리(Harri Holkeri)603,18020.221.0 (#3)6.0 (#4)colspan=2" bgcolor="lightgrey"|



선거후보1차 투표2차 투표결과
득표수%득표수%
1988년하리 홀케리(Harri Holkeri)570,34018.4colspan="2" style="background:lightgrey;"|
1994년라이모 일라스키비(Raimo Ilaskivi)485,03515.2colspan="2" style="background:lightgrey;"|
2000년리타 우오수카이넨(Riitta Uosukainen)392,30512.8colspan="2" style="background:lightgrey;"|
2006년사울리 니니스퇴(Sauli Niinistö)725,86624.11,518,33348.2
2012년사울리 니니스퇴(Sauli Niinistö)1,131,25437.01,802,40062.6
2018년사울리 니니스퇴(Sauli Niinistö)1,874,33462.6colspan="2" style="background:lightgrey;"|
2024년알렉산데르 스투브(Alexander Stubb)882,11327.211,575,21151.62


7. 국민연합당 출신 대통령



국민연합당 소속으로 1946년부터 1956년까지 재임한 J.K. 파아시키비가 당 소속 최초의 대통령이었다. 2012년에는 사울리 니니스퇴가 당 소속으로 56년 만에 대통령이 되었다.

참조

[1] 뉴스 Tällaisia ovat suurimpien puolueiden jäsenet: MTV Uutiset selvitti iät ja sukupuolijakauman – keskustalla, SDP:llä ja vihreillä selvät erityispiirteensä https://www.mtvuutis[...] MTV Uutiset 2021-07-27
[2] 웹사이트 Programme of Principles https://www.kokoomus[...] 2017-11-26
[3] 웹사이트 National Coalition Party (KOK) http://www.demsoc.or[...] The Democratic Society 2014-03-03
[4] 서적 Parties, Governments and Voters in Finland: Politics Under Fundamental Societal Transformation https://books.google[...] ECPR Press 2018-04-30
[5] 서적 Suomalaiskansallinen Kokoomus osa 1: Suomalaisen puolueen ja Kansallisen kokoomuspuolueen historia vuoteen 1929 Suomen kansalliskirja
[6] 서적 Suomen puolueet: Vapauden ajasta maailmantuskaan Vastapaino
[7] 간행물 Kansalaisille 1918-01-01
[8] 서적 Kansallisen Kokoomuspuolueen ohjelma National Coalition Party 1919-02-02
[9] 웹사이트 Kokoomus itsenäisessä Suomessa 1918–44 http://www.verkkouut[...] 2017-11-26
[10] 서적 Political Leaders of Contemporary Western Europe: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11] 웹사이트 Kokoomus Valpon silmätikkuna http://www.verkkouut[...] 2017-11-26
[12] 서적 Suomen puolueiden muuttuminen 1945–1980 University of Turku
[13] 서적 Kokoomus eilen ja tänään National Coalition Party
[14] 서적 Kokoomus, Kekkonen ja NKP:n luottamus. Kansallisen Kokoomuksen toiminta hallitusaseman saavuttamiseksi 1969–1981 http://ethesis.helsi[...] University of Helsinki
[15] 웹사이트 Kokoomuksen historia https://www.kokoomus[...] 2017-11-26
[16] 뉴스 Finnish PM to step down, seek new EU post https://www.japantim[...] 2017-11-26
[17] 서적 The Statesman's Yearbook 2015: The Politics, Cultures and Economi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12-27
[18] 웹사이트 Sauli Niinistö is Finland's 12th president https://yle.fi/uutis[...] 2017-11-26
[19] 뉴스 Finland's President Niinisto declares election victory https://www.reuters.[...] 2018-02-19
[20] 뉴스 Finland Prepares for Prime Minister Switch as Katainen Quits https://www.bloomber[...] 2015-02-24
[21] 웹사이트 Parliamentary election 2015: Party results https://tulospalvelu[...] Ministry of Justice 2018-06-22
[22] 뉴스 Sipilä opts for right-leaning government http://yle.fi/uutise[...] Yle News 2018-06-22
[23] 뉴스 Finland's co-ruling NCP ousts finance minister Stubb as party chief https://www.reuters.[...] 2017-11-27
[24] 뉴스 Finland's new female-powered government sworn in https://apnews.com/a[...] 2019-06-06
[25] 웹사이트 Finnish far right in talks to join coalition government https://www.politico[...] 2023-04-29
[26] 웹사이트 New NATO member Finland swears in government regarded as country's most right-wing in decades https://finance.yaho[...] 2023-06-20
[27] 뉴스 As it happened: Stubb wins presidency https://yle.fi/a/74-[...] 2024-02-11
[28] 서적 Political Institutions in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3-17
[29] 서적 Suomalainen oikeisto ja "kansankoti" : Kansallisen kokoomuksen suhtautuminen pohjoismaiseen hyvinvointivaltiomalliin jälleenrakennuskaudelta konsensusajan alkuun http://urn.fi/URN:NB[...] University of Turku 2018-01-07
[30] 서적 National Politics and European Integration: From the Constitution to the Lisbon Treaty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31] 뉴스 Finnish government collapses after far-right elects hardline leader https://www.ft.com/c[...] 2021-12-21
[32] 서적 Political Economy of Institutions, Democracy and Voting https://books.google[...] Springer
[33] 웹사이트 Finland's coalition loses ground to opposition in local elections https://www.euronews[...] 2021-12-21
[34] 서적 Riding the populist wave: Europe's mainstream right in crisis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12-27
[35] 서적 The Nordic Countries and the European Union: Still the Other European Commun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11-08
[36] 웹사이트 Finland is the world's happiest nation – and I want to keep it that way, says prime minister https://www.theguard[...] 2021-12-21
[37] 웹사이트 Finland's opposition gain popularity as Greens suffer major slump https://www.euractiv[...] 2021-12-03
[38] 논문 From Steering Capitalism to Seeking Market Acceptance: Social Democrats and employment in Finland, 1975–1998 2017-08-08
[39] 뉴스 Finland's right-wing opposition leads in poll ahead of April 2 election https://www.reuters.[...] Reuters 2023-03-21
[40] 서적 The Baltic Sea Region: A Comprehensive Guide: History, Politics, Culture and Economy of a European Role Model https://books.google[...] BWV Berliner Wissenschafts-Verlag 2017-09-19
[41] 뉴스 Kokoomus: "Avioliitto sukupuolineutraaliksi" https://www.uusisuom[...] 2010-06-13
[42] 논문 No nordic model: Understanding differences in the labour migration policy preferences of mainstream Finnish and Swedish political parties 2014-11-01
[43] 웹사이트 Centre Party split over immigration https://yle.fi/uutis[...] Yle Uutiset 2015-03-07
[44] 뉴스 Tässä on hallituksen säästölista: Suurimmat leikkaukset sotesta ja sosiaaliturvasta https://www.iltaleht[...] Iltalehti 2023-06-17
[45] 뉴스 Kokoomus ison muutoksen kynnyksellä https://verdelehti.f[...] Verde 2023-08-11
[46] 뉴스 Kokoomuksen sisäinen selvitys paljastaa kovan kamppailun perussuomalaisten kanssa – Kokoomuslähde: Sinivihreys oli toiveajattelua https://www.hs.fi/po[...] Helsingin Sanomat 2021-01-14
[47] 뉴스 Kokoomus päätti Nato-linjastaan: Puolustusliittoon lähivuosina http://www.verkkouut[...] Verkkouutiset 2016-06-12
[48] 뉴스 Tällaisia ovat puolueiden peruskannattajat, katso profiilit ja kuvat https://suomenkuvale[...] 2011-01-20
[49] 뉴스 HS: Suurissa puolueissa miesenemmistö https://www.ts.fi/uu[...] 2005-09-18
[50] 웹사이트 Kokoomus, vihreät ja perussuomalaiset kasvattavat jäsenmääriään https://web.archive.[...] Helsingin Sanomat 2008-02-08
[51] 웹사이트 Puolueiden jäsenmäärien kehitys (ilmoitetut jäsenrekisteritiedot) https://web.archive.[...] Finnish Election Study Portal 2016-11-29
[52] 웹사이트 Tutkimus: Kokoomus saa puolueista eniten myönteisyyttä https://web.archive.[...] 2008-09-18
[53] 웹사이트 Kokoomus ja vihreät kirivät nuorten suosioon https://web.archive.[...] 2008-12-03
[54] 뉴스 Kokoomus on yhä nuorten suosikki: SDP:n sanoma ei pure https://yle.fi/uutis[...] 2014-12-31
[55] 웹사이트 Kansallinen Kokoomus r.p:n säännöt https://s3-eu-west-1[...] 2014-09-18
[56] 서적 Talo Pasilassa – Kansallissäätiö 1958–1994 Karisto
[57] 서적 Puolue ja säätiö: Kansallisen Kokoomuspuolueen Säätiö 1924–1984 Säätiö
[58] 웹사이트 Kokoomus-säätiö pitää lahjoittajat salassa https://yle.fi/uutis[...] 2009-08-21
[59] 웹사이트 Puolueen yhtiöt https://www.kokoomus[...] 2017-11-27
[60] 웹사이트 Om oss http://borgerligsaml[...] 2017-11-27
[61] 웹사이트 Tästä on kyse http://kasary.fi/kas[...] 2017-11-27
[62] 웹사이트 Governments and Ministers since 1917 http://valtioneuvost[...] 2018-01-17
[63] 뉴스 Perussuomalaisilla hurja tahti: "Jäseniä tulee ovista ja ikkunoista" http://www.kauppaleh[...] 2011-03-13
[64] 웹사이트 フィンランド議会選挙:国民連合党、社会民主党、真のフィンランド人が3大政党に http://www.finland.o[...] 駐日フィンランド大使館
[65] 뉴스 フィンランドで政権交代、議会選で野党・中央党が勝利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5-04-20
[66] 웹사이트 フィンランド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外務省
[67] 웹사이트 Järjestörekisteri https://archive.is/2[...]
[68] 뉴스 フィンランド首相、議会選の敗北認める 中道右派が第1党に https://jp.reuters.c[...] 2023-04-03
[69] 뉴스 フィンランド議会、国民連合のオルポ党首を首相に選出 右派連立 https://jp.reuters.c[...] 2023-06-20
[70] 뉴스 Perussuomalaisilla hurja tahti: "Jäseniä tulee ovista ja ikkunoista" http://www.kauppaleh[...] 2011-03-13
[71] 웹인용 Parties and Elections in Europe http://www.parties-a[...] 2015-02-24
[72] 서적 The Nordic countries: Between scepticism and adaption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73] 서적 The Nordic Countries: Compromise and Corporatism in the Welfare State https://books.google[...] Routledge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