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웰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웰빙(Well-being)은 개인에게 궁극적으로 좋은 것이거나 이익에 부합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삶의 질을 측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웰빙은 긍정적 측면을, 일-빙(ill-being)은 부정적 측면을 나타내며, 주관적, 객관적, 개인적, 공동체적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웰빙은 쾌락주의, 욕구, 객관적 목록 이론 등 다양한 이론으로 설명되며, 심리학, 긍정 심리학, 생물심리사회 모델 등 다양한 과학적 접근을 통해 연구된다. 웰빙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긍정적 감정, 몰입, 관계, 의미, 성취를 강조하는 PERMA 모델, 마음 챙김, 신체 활동 등이 제시된다. 복지주의는 행복을 유일한 내재적 가치로 여기는 가치 이론이며, 웰빙은 개인적 웰빙, 사회적 웰빙, 경제적 웰빙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삶의 질 - 여가
    여가는 노동, 직무, 사회적 의무에서 벗어나 개인적 만족과 쾌락을 추구하는 자유로운 시간 활용을 의미하며, 산업혁명 이후 증가하여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고 레저 산업과 연관된다.
  • 삶의 질 -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는 평가 기관별 기준에 따라 순위가 다르지만, 안정성, 의료, 문화, 환경, 교육, 인프라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며, 유럽과 오세아니아의 도시들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한국 도시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녹지 공간 확보, 대중교통 시스템 개선, 시민 참여 확대 등이 필요하다.
  • 16세기 신조어 - 유토피아
    유토피아는 토머스 모어가 처음 사용한 단어로, 이상적인 사회를 묘사하며 시대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어 왔고, 획일성과 인간 자유 억압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16세기 신조어 - 허수아비 때리기 오류
    허수아비 때리기 오류는 상대방의 주장을 왜곡하여 공격하는 오류로, 허위 진술, 맥락 무시, 단순화 등을 통해 실제 논점과 다른 허수아비를 세워 공격하는 형태를 띤다.
  • 긍정심리학 - 감정 지능
    감정 지능은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여 사고와 행동을 이끌어내는 능력으로, 대니얼 골먼의 저서를 통해 대중화되었으며 능력, 혼합, 특성 모델로 나뉘고 사회적 현상과 상호작용한다.
  • 긍정심리학 - 에우다이모니아
    에우다이모니아는 인간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탁월한 삶을 살아가는 상태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추상 명사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이성에 따른 덕 있는 활동으로 정의했으며 다양한 철학자들과 현대 심리학에서 연구되고 있다.
웰빙
개요
정의개인이나 집단의 상태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
웰빙의 측면
주관적 웰빙행복, 고통 및 기타 경험의 차원을 측정
환경적 웰빙도시 환경에서 보행자의 인식과 평가에 관련된 요인
공간적 웰빙물리적 활동 행동과 환경적 웰빙의 연관성
철학적 관점
철학적 탐구웰빙의 본질과 의미에 대한 철학적 탐구

2. 정의

웰빙(Well-being)은 개인에게 궁극적으로 좋은 것이거나 개인의 이익에 부합하는 것을 의미하며, 삶이 얼마나 잘 풀리는지를 측정하는 기준이다.[4] 가장 넓은 의미에서 이 용어는 삶의 질 전반을 포괄하며, 삶에서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모든 요소들의 균형을 나타낸다. 좁은 의미에서 "웰빙"은 긍정적인 정도를, "일-빙(ill-being)"은 부정적인 정도를 나타낸다.[5]

웰빙은 개인 특유의 가치로서, 비개인적 가치 또는 단순한 가치와 대조된다. 어떤 것이 특정 개인에게 국한되지 않고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어 전반적으로 좋다면 비개인적 가치를 지닌다. 반면 웰빙은 특정 개인에게 좋은 것이거나 특정 개인과 관련된 것이다.[8]

웰빙은 일반적으로 내재적이거나 궁극적인 가치로 이해되는데, 이는 외부 요인과 무관하게 그 자체로 좋은 것을 의미한다. 반면 도구적 가치를 지닌 것은 돈의 가치처럼 다른 좋은 것으로 이어지는 수단으로서만 좋은 것이다.[10] 웰빙은 도덕적, 종교적, 미학적 가치와도 구별된다. 예를 들어, 자선 단체에 기부하는 것은 기부자의 웰빙을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도덕적으로 옳을 수 있다.[11]

"삶의 질", "좋은 삶", "복지", "개인적 선" 등의 용어는 종종 "웰빙"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12] 마찬가지로, "쾌락"과 "행복"이라는 단어는 "웰빙"과 중복되는 방식으로 사용되지만, 철학심리학 등 전문적인 맥락에서는 그 의미가 정확하게 다르다.

2. 1. 어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웰빙(well-being)의 어원은 16세기경 이탈리아어 "benessere"에서 유래했으며,[112] 직역하면 "좋은 상태"이다. 좋은 상태와 행복은 반드시 연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전통적인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서는 "최고선=행복"으로 여겨진다. 1947년 채택된 WHO 헌장 서문의 "건강" 정의에서 웰빙이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113]

3. 유형

웰빙은 측정 방법, 소유 주체, 영향을 미치는 삶의 영역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일부 연구자들은 특정 유형 하나에만 초점을 맞추지만, 다른 연구자들은 서로 다른 유형 간의 상호 관계를 연구하기도 한다.[31]

1948년 세계보건기구(WHO) 헌장에서는 웰빙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Health is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115]


“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이나 허약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육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완전히 건강한 상태를 말한다.”한국어

당시 "well-being"은 일반적인 영어 표현이 아니었기 때문에, 유럽과 미국에서 웰빙(well-being)이나 웰니스(wellness)가 "신체뿐 아니라 정신적·사회적 측면을 포함하는 새로운 '건강'"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되었고, 이후 건강 붐을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15]

3. 1. 주관적 및 객관적 웰빙

주관적 웰빙은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평가하는지를 측정하는 것으로, 정서적 및 인지적 요소를 모두 포함한다. 즐거운 경험이 많고 불쾌한 경험이 적다면 높은 정서적 웰빙을, 삶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전반적으로 잘되고 있다고 평가할 때 높은 인지적 웰빙을 가진다.[32]

주관적 웰빙은 개인이 자신의 경험의 질을 보고하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단일 항목 측정은 가장 간단한 접근 방식으로, 1~10점 척도로 자신의 삶에 얼마나 만족하는지 평가하는 등 단일 척도에 중점을 둔다. 다항목 척도에는 주관적 웰빙의 개별 측면에 대한 질문이 포함되어 단일 질문의 영향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부재,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등에 대한 별도 질문을 종합적인 지수로 결합한다.[33]

객관적 웰빙은 사람의 삶이 잘되고 있다는 객관적 요인을 포함한다. 주관적 웰빙과 달리 외부 관점에서 평가하고 정량화할 수 있으며, 건강, 교육, 소득, 주택, 여가, 안보 등 개인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측면을 포함한다.[34]

객관적 웰빙 측정은 객관적 데이터에 의존하여 문화적, 개인적 편향의 영향을 덜 받는다.[35] 그러나 객관적 웰빙이 엄격한 의미에서 웰빙의 한 형태라는 것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웰빙은 본질적으로 사람의 경험과 관련된 주관적인 현상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객관적인 요인은 웰빙에 영향을 미치고 웰빙을 나타내지만, 그 자체로 웰빙의 형태는 아니다.[36]

일부 연구자들은 주관적 또는 객관적 웰빙에만 초점을 맞추지만, 다른 연구자들은 두 가지 관점을 모두 조사에 포함시키고 둘의 관련성에 대한 질문을 포함한다. 주관적 웰빙과 객관적 웰빙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소득 및 허약한 건강과 같이 객관적인 측정에서 낮은 점수를 받더라도 주관적으로 행복하다고 느낄 수 있다.[37]

3. 2. 개인 및 공동체 웰빙

주관적 웰빙은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평가하는지를 측정하는 것으로, 정서적 및 인지적 요소를 모두 포함한다. 즐거운 경험이 많고 불쾌한 경험이 적다면 높은 정서적 웰빙을, 삶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전반적으로 잘되고 있다고 평가할 때는 높은 인지적 웰빙을 가진다.[32]

객관적 웰빙은 사람의 삶이 잘되고 있다는 객관적 요인을 포함하며, 건강, 교육, 소득, 주택, 여가 및 안보와 같은 개인적, 사회적, 경제적 및 환경적 측면을 포함한다.[34] 객관적 웰빙은 자기 보고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및 개인적 편향의 영향을 덜 받는다.[35]

개인의 웰빙은 특정 개인의 삶의 질과 관련이 있으며, 공동체 웰빙은 웰빙의 개념을 사람들의 집단 상태에 적용한다. 여기에는 공동체의 필요를 충족하는 동시에 공동체가 기능하고 번영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및 문화적 측면이 포함된다.[38]

개인과 공동체의 웰빙은 종종 서로를 지지한다. 예를 들어, 높은 주관적 웰빙은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공동체에 더 많이 기여하게 할 수 있으며, 잘 기능하는 공동체는 구성원을 행복하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공동체 웰빙에 필요한 변화가 특정 구성원의 개인적 웰빙과 상충될 때와 같이 긴장이 발생할 수도 있다.[39]

3. 3. 기타 유형

다양한 유형의 웰빙은 그것이 속한 삶의 영역에 따라 분류된다.

  • 신체적 웰빙: 신체 활동 능력, 질병 및 신체적 고통 부재를 의미한다. 여기에는 일반적인 건강과 신체적 제약 없이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능력이 포함된다.[41]
  • 정신적 웰빙: 정신 건강이라고도 하며, 마음속 균형을 이룬 상태를 의미한다. 정신 질환과 장애가 없고, 어려운 상황에 대처하며,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개인의 성장을 이루는 능력을 포함한다.[43] 지적, 영적, 감정적 웰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 지적 웰빙: 비판적 사고, 문제 해결, 호기심 등 원활하게 작동하는 인지 능력 및 특성을 포함한다.[44]
  • 영적 웰빙: 삶의 의미를 찾고 내적 평화, 자신감, 정체성을 갖는 상태이다.[45]
  • 감정적 웰빙: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고, 감정 조절하는 능력과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기분을 포함한다.[46]
  • 쾌락적 웰빙: 즐거운 경험이 많고 고통이 없는 삶을 의미한다.
  • 유다이모니아적 웰빙: 개인이 탁월함을 추구하고 타고난 잠재력을 실현함으로써 번영하는 개인적 성취의 한 형태이다.[48]
  • 사회적 웰빙: 사회에서 얼마나 잘 지내는지, 사회적 지원을 얼마나 잘 받는지 등 대인 관계의 질과 양을 포함한다.[49]
  • 경제적 웰빙: 소득, 직업 기회, 재정적 안정과 관련하여 사람이 가진 자원과 기술을 의미한다.[50]
  • 기타: 재정적, 문화적, 정치적, 환경적 웰빙이 있다.[51]

4. 웰빙 이론

웰빙 이론은 모든 형태의 웰빙에 필수적인 것을 결정하려고 한다. 웰빙 이론에는 쾌락주의 이론, 욕구 이론, 객관적 목록 이론 등이 있다.[24][25]


  • '''쾌락주의 이론:''' 웰빙을 쾌락과 고통의 균형으로 본다.
  • '''욕구 이론:''' 웰빙이 욕구 충족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 '''객관적 목록 이론:''' 웰빙이 주관적, 객관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요인 목록에 따라 달라진다고 본다.


웰빙은 윤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 이유는 사람이 해야 할 일은 어느 정도는 누군가의 삶을 더 좋게 또는 더 나쁘게 만들 것인지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24][53] 복지주의에 따르면 웰빙 외에는 다른 가치가 없다.[53]

웰빙은 도파민, 세로토닌, 엔도르핀, 옥시토신, 코르티솔 등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내인성 분자에 과학적으로 의존한다.[26][27] "웰빙 관련 마커" 또는 "웰빙 바이오 마커"[28]는 유기체의 신진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오작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27]

웰빙은 인간의 웰빙에 기여하는 요인을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긍정 심리학의 중심 주제이다.[29] 마틴 셀리그먼은 긍정적인 감정, 활동에의 몰입, 다른 사람들과의 좋은 관계, 삶의 의미를 찾는 것, 그리고 목표 추구에서 성취감을 갖는 것이 웰빙에 기여한다고 제안했다.[30]

4. 1. 쾌락주의 이론

쾌락주의 이론에서 웰빙은 쾌락과 고통의 경험과 관련된다. 제러미 벤담은 경험의 가치가 그 지속 시간과 그 안에 존재하는 쾌락 또는 고통의 강도에만 의존한다고 주장했다.[55] 예를 들어, 지적인 쾌락이나 미적 쾌락이 감각적 쾌락보다 우월하다는 반론이 제기되기도 한다.[56] 또한 로버트 노직의 체험 기계에 들어가는 것이 현명하지 않다는 반론도 있다.[57]

4. 2. 욕구 이론

욕구 이론은 웰빙이 욕구 충족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충족된 욕구의 수가 많을수록 웰빙 수준이 높아진다.[53] 그러나 모든 욕구가 좋은 것은 아니라는 문제가 있다. 어떤 욕구는 행위자에게 끔찍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욕구 이론가들은 행위자가 완전히 정보를 갖춘 경우에 갖게 될 욕구가 중요한 것이지, 실제 욕구가 중요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함으로써 이러한 반론을 피하려고 했다.[53]

4. 3. 객관적 목록 이론

객관적 목록 이론은 개인의 웰빙이 여러 가지 기본적인 객관적 선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선에는 쾌락-고통 균형이나 욕구 충족과 같은 주관적인 요소 외에도 우정이나 덕목과 같이 주체의 태도와 무관한 요소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24][54]

객관적 목록 이론은 개인이 이러한 요소를 신경 쓰지 않더라도 주체와 무관한 요소가 어떻게 개인의 행복을 결정할 수 있는지 설명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한다.[53][58] 또 다른 반론은 포함된 특정 요소의 선택에 관한 것이다. 서로 다른 이론가들은 매우 다양한 기본적인 객관적 선의 조합을 제시했는데, 이러한 그룹화는 명확한 기준이 제공되지 않는 한, 그들의 선택 내의 항목만이 관련 요소인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면 임의적인 선택으로 보인다.

5. 과학적 접근

심리적 안녕 연구에 중요한 세 가지 심리학 하위 분야는 다음과 같다.[59]


  • 발달 심리학: 심리적 안녕을 평생에 걸친 성장 패턴으로 분석할 수 있다.
  • 성격 심리학: 매슬로의 자아실현 개념, 로저스의 완전 기능적 인간 개념, 의 개별화 개념, 올포트의 성숙 개념을 적용하여 심리적 안녕을 설명할 수 있다.[62]
  • 임상 심리학: 안녕은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욕구가 충족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키스의 5요소 모델에 따르면, 사회적 안녕은 다음 요소들로 구성된다.[60]

  • 사회 통합
  • 사회적 기여
  • 사회적 일관성
  • 사회적 실현
  • 사회적 수용


심리적 안녕을 이해하는 데 일반적으로 두 가지 접근 방식이 사용된다.

  •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구분하고 최적의 심리적 안녕과 행복을 둘 사이의 균형으로 정의한다.[61]
  • 삶의 만족도를 심리적 안녕의 주요 지표로 강조한다.[62]

6. 웰빙의 모델 및 구성 요소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정서적 웰빙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21] 예를 들어 육체적 웰빙이 향상되면 정서적 웰빙도 향상된다.[21] 경제적 웰빙이 좋아지면 COVID-19 범유행과 같은 역경 속에서도 정서적 웰빙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22][23] 복지주의에 따르면 웰빙 외에 다른 가치는 없다.[53]

웰빙 이론에는 쾌락과 고통의 균형을 중시하는 쾌락주의 이론, 욕구 충족을 강조하는 욕구 이론, 주관적 요소와 객관적 요소를 모두 고려하는 객관적 목록 이론이 있다.[24][25]

웰빙은 도파민, 세로토닌, 엔도르핀, 옥시토신, 코르티솔 등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체내 분자에 과학적으로 의존한다.[26][27] "웰빙 관련 마커"는 유기체의 신진대사 조절에 중요하며, 오작동 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27]

웰빙은 긍정 심리학의 중심 주제로, 인간의 웰빙에 기여하는 요인을 찾고자 한다.[29] 마틴 셀리그먼은 긍정적 감정, 몰입, 관계, 의미, 성취를 웰빙의 요소로 제시했다.[30]

심리학의 하위 분야인 발달 심리학, 성격 심리학, 임상 심리학은 심리적 안녕 연구에 기여한다.[59]

Guttman과 Levy (1982)에 따르면, 웰빙은 "...태도의 특수한 경우"이다.[63]

6. 1. 인과 네트워크 모델

철학자 마이클 비숍(Michael Bishop)은 저서 『좋은 삶: 웰빙에 대한 철학과 심리학의 통합(The Good Life: Unifying the Philosophy and Psychology of Well-being)』에서 웰빙에 대한 인과 네트워크 설명을 제시했다.[65] 웰빙은 감정, 신념, 동기, 습관, 자원 등 다양한 요인들의 산물이며, 이러한 요인들은 서로 인과적으로 연결되어 웰빙이나 불행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작용한다.[65] 최근에는 불행에 대한 인과 네트워크 이론이 우울증[66]과 디지털 기술[67]에 적용되었으며, 네트워크 접근 방식은 정신 건강 전반에도 적용되었다.[68]

6. 2. 디너: 주관적 웰빙의 3요소 모델

에드 디너는 주관적 웰빙의 3요소 모델을 제시했는데, 이는 긍정적 정서의 빈번함, 부정적 정서의 드묾, 그리고 삶의 만족도와 같은 인지적 평가를 포함한다.[61][62]

6. 3. 심리적 웰빙의 6요소 모델 (캐롤 라이프)

캐롤 라이프(Carol Ryff)의 심리적 웰빙 6요소 모델은 다음 요소들을 포함한다.[59][62]

요소설명
자기 수용자신과 자신의 과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
개인적 성장계속 발전하고 잠재력을 실현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신과 행동이 개선되는 느낌
삶의 목적삶의 목적과 의미를 갖는 것
환경 숙달주변 환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자신의 가치에 맞는 환경을 조성하거나 선택하는 능력
자율성독립적이고 스스로 결정하며, 사회적 압력에 저항하고 자신의 행동을 내적으로 조절하는 능력
타인과의 긍정적 관계타인과 따뜻하고 만족스러운 관계를 맺고, 공감 능력을 갖추며,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


6. 4. 코리 키스: 번영

코리 키스는 정신적 웰빙이 감정적/주관적 웰빙, 심리적 웰빙, 사회적 웰빙의 세 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60][61][62]

  • 감정적/주관적 웰빙: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사이의 균형,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통해 측정된다.
  • 심리적 웰빙: 성격 심리학에서 다루는 개념으로, 마슬로우의 자아실현, 로저스의 완전 기능적 인간, 융의 개별화, 올포트의 성숙 개념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 사회적 웰빙: 다음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 사회 통합
  • 사회적 기여
  • 사회적 일관성
  • 사회적 실현
  • 사회적 수용

6. 5. 셀리그먼: 긍정심리학

긍정심리학에서 웰빙은 핵심 개념이며, 마틴 셀리그먼은 이를 PERMA 이론으로 설명한다. PERMA는 다음 다섯 가지 요소의 머리글자이다.[114]

  • Positive emotions (긍정적 감정): 즐거움, 희망, 감사 등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것.
  • Engagement (열정적 참여):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몰입하고 시간 가는 줄 모르는 경험을 하는 것. 몰입 참고.
  • Relationships (관계): 타인과 긍정적이고 의미 있는 관계를 맺는 것.
  • Meaning and purpose (의미와 목적):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고, 자신보다 더 큰 무언가에 기여하는 것.
  • Accomplishments (성취):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여 성취감을 느끼는 것.

6. 6. 생물심리사회 모델

생물심리사회 모델은 웰빙의 생물의학적 모델을 대체한다. 웰빙의 생물심리사회 모델은 개인이 웰빙을 느끼는 데 필요한 수정 가능한 요소들을 강조한다. 이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89]

  • 건강한 환경 (신체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 발달 능력 (건강한 정체성, 정서적 및 행동적 조절, 대인 관계 기술, 문제 해결 기술)
  • 소속감
  • 건강한 행동 (수면, 영양, 운동, 즐거운 활동 및 숙달 활동)
  • 건강한 대처 방식
  • 회복력 (타고난 회복력 인식)
  • 질병 치료 (신체적 및 정신적 질병의 조기 근거 기반 치료)


1977년 조지 엔젤(George Engel)은 생물의학적 접근법이 신념, 양육, 트라우마 등 다양한 요인들을 거의 고려하지 않고 생물학적 요인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다고 비판했다.[89]

6. 7. 영국 국가통계청(ONS) 정의

영국 ONS은 웰빙을 전국적 논의를 통해 영국 국민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으로 밝혀진 10가지 광범위한 차원으로 정의한다.[90]

차원
자연 환경
개인적 웰빙
우리의 관계
건강
우리가 하는 일
우리가 사는 곳
개인 재정
경제
교육 및 기술
거버넌스



개인적 웰빙은 특히 중요한 차원이며, ONS는 이를 삶에 대한 만족도, 삶에서 하는 일의 가치, 일상적인 감정적 경험(행복과 불안), 그리고 더 넓은 의미의 정신적 웰빙으로 정의한다.

7. 복지주의

복지주의는 행복에 기반한 가치 이론이다. 이 이론은 행복이 유일하게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고 주장한다. 즉, 행복은 그 자체로 좋으며, 다른 무엇을 위한 수단으로서만 좋은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92][93][94] 이러한 관점에서, 어떤 상황의 가치 또는 한 대안이 다른 대안보다 더 좋은지 여부는 영향을 받는 각 실체의 행복 정도에만 의존한다. 다른 모든 요소는 누군가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까지만 가치와 관련이 있다.[92][93] 여기서 말하는 행복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행복뿐만 아니라 동물의 행복도 포함한다.[94]

복지주의는 행복과 가치 사이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제시한다. ''순수 복지주의자''들은 모든 사람의 행복의 총합으로서 전체 행복만이 중요하다고 주장하는 가장 간단한 접근 방식을 취한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비판받아왔다.[92][95] 예를 들어, 감각적 쾌락과 같은 어떤 형태의 행복은 지적 쾌락과 같은 다른 형태의 행복보다 가치가 덜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96][97][98] 또한, 총합뿐만 아니라 개별 행복의 정도가 어떻게 분배되는지도 중요하다는 직관이 있다. 즉, 행복한 사람들과 불행한 사람들 사이에 큰 차이가 있는 불평등한 분포보다 모든 사람이 거의 같은 정도의 행복을 누리는 평등한 분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전체 행복이 동일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92][95][99] 분배에 관한 또 다른 직관은 도덕적으로 올바른 사람들과 같이 행복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들은 자격이 없는 사람들보다 더 높은 수준의 행복을 누려야 한다는 것이다.[92][95]

이러한 비판은 복지주의의 또 다른 버전인 ''불순 복지주의''를 통해 해결될 수 있다. 불순 복지주의자들은 순수 복지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행복이 중요하다고 동의한다. 그러나 그들은 행복의 전체 정도 이외의 행복의 측면, 예를 들어 행복이 어떻게 분배되는지와 같은 요소들이 가치에 영향을 미치도록 허용한다.[92][95] 순수 복지주의자들은 때때로 이러한 접근 방식에 반대하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복지주의의 핵심 원칙, 즉 행복만이 ''내재적으로'' 가치 있다는 원칙에서 벗어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행복의 분배는 실체들 ''사이''의 관계이며 따라서 그들 중 어느 것에도 ''내재적''이지 않다.[95]

8. 웰빙과 한국 사회

웰빙은 한국 사회에서 문화적, 개인적 차이를 보이며, 미국 중심의 웰빙 연구와는 다른 한국적인 웰빙의 모습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8. 1. 전통적 관점

유교 문화권에서는 禮記중국어의 대학편에 나오는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라는 말처럼 개인의 웰빙은 결국 공동체 사회에서의 행복과 조화를 통해 실현된다고 여겨왔다. 또한 홍익인간 이념은 널리 인간 세상을 이롭게 한다는 의미로, 공동체 전체의 웰빙을 추구하는 한국인의 가치관을 반영한다.

8. 2. 현대 사회의 변화와 웰빙

현대 사회는 급격한 경제 성장과 변화를 겪으면서 개인의 삶의 질과 행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물질적인 풍요뿐만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 건강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웰빙은 중요한 사회적 가치로 떠오르고 있다. 일과 삶의 균형을 의미하는 워라밸(Work-Life Balance)을 추구하는 경향이 확산되면서, 이를 통해 웰빙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8. 3. 더불어민주당의 관점과 정책

더불어민주당은 사회적 불평등 해소와 포용적 성장을 강조하며, 모든 국민이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소득 주도 성장, 최저임금 인상, 노동시간 단축,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 등 경제 정책을 통해 국민들의 경제적 웰빙을 증진하고자 한다. 보편적 복지 확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치매 국가책임제 등 사회 정책을 통해 사회적 웰빙을 강화하고자 한다. 국민의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도 중요하게 다루고 있으며, 정신건강복지센터 확대, 정신질환 치료 지원 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8. 4. 기업 사례

토요타자동차는 2020년 중간 결산 발표에서 "행복을 대량 생산하는 사명"을 경영 이념의 중심에 둘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이를 토요타 철학의 미션(사명)으로 내걸었다. 경영 최고 책임자는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는 회사를 목표로 한다"고 선언하고, 기업과 건강 보험 조합이 협력하여 건강 경영과 웰빙에 힘쓰고 있다.[123][124][125]

라쿠텐 그룹은 "어떤 목적 아래, 바람직한 모습을 가진 다양한 개인이 연결된 지속 가능한 팀의 상태"를 "집합적 웰빙(コレクティブ・ウェルビーイング)"으로 정의하고, 이를 조직 개발의 중심에 두고 있다. 또한, CWO(최고 웰빙 책임자)라는 직책을 신설하여 웰빙을 개인, 조직, 사회의 세 단계에서 파악하고 실현에 힘쓰고 있다.[124][126]

9. 글로벌 연구

긍정 심리학, 행복, 유다이모니아 및 행복에 대한 연구와 디너(Diener), 리프(Ryff), 키스(Keyes), 셀리그먼(Seligman)의 이론은 "생물학적, 개인적, 관계적, 제도적, 문화적 및 세계적 차원의 삶"을 포함한 광범위한 수준과 주제를 다룬다.[105] 세계 행복 보고서 시리즈는 주관적 행복의 세계적 현황에 대한 연례 업데이트를 제공한다.[105] 166개국 데이터를 사용한 세계적 연구는 심리사회적 행복의 국가 순위를 제공했다.[106] 후자의 연구는 주관적 행복과 심리사회적 행복(즉, 유다이모니아) 측정이 별개의 구성 개념을 포착하며 정신적 행복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에는 두 가지 모두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166개국 갈럽 세계 여론 조사 데이터 기반 유다이모니아적 행복


갈럽의 행복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근로자의 33%는 번영하고 있으며, 55%는 고군분투하고 있으며, 11%는 고통받고 있다.[107]

10. 웰빙을 위한 실천 방법 (NHS, 로리 산토스)

영국의 국민건강보험 서비스(NHS)는 정신적 웰빙을 얻는 방법으로 다음 5가지를 권장하고 있다.[120]


  • 지역 사회 및 가족과의 유대감 형성.
  • 신체 활동. 자신이 즐길 수 있고 삶의 일부가 되는 활동이어야 한다.
  • 기술 배우기. 요리, 악기 연주, 자전거 수리 등 어떤 것이든 좋다.
  • 다른 사람에게 베풀기. 말이나 미소와 같은 작은 것부터 시작해도 좋다.
  • 현재 이 순간에 집중하기(마음챙김).


미국의 예일대학교 교수인 로리 R. 산토스(Laurie R. Santos)는 다음과 같은 것을 권장하고 있다.[121][122]

  • 매 순간을 즐기기.
  • 감사하기.
  • 명상하기.


로리 산토스는 또한 이 순간을 빨리 끝낼 수 있도록 미래에 대해 생각하는 행위는 삼가야 한다고 주장한다.[121][122]

참조

[1] 서적 Subjective Well-Being: Measuring Happiness, Suffering, and Other Dimensions of Experience https://www.ncbi.nlm[...] National Academies Press (US) 2021-02-17
[2] 웹사이트 Pedestrians' Perceptions of Motorized Traffic Variables in Relation to Appraisals of Urban Route Environments https://www.research[...]
[3] 웹사이트 Physical activity behaviours and environmental well-being in a spatial context. https://www.research[...]
[4] 논문 https://books.google[...]
[5] 논문 https://books.google[...]
[6] 논문
[7] 논문 https://books.google[...]
[8] 논문 https://books.google[...]
[9] 논문 https://books.google[...]
[10] 논문 https://books.google[...]
[11] 논문 https://books.google[...]
[12] 논문 https://books.google[...]
[13] 논문 https://books.google[...]
[14] 논문
[15] 논문 https://books.google[...]
[16] 논문
[17] 논문 https://books.google[...]
[18] 논문 https://books.google[...]
[19] 논문 https://books.google[...]
[20] 논문
[21] 학술지 How the COVID-19 pandemic impacts tobacco addiction: Changes in smoking behavior and associations with well-being 2021-08-01
[22] 학술지 Relationship between wealth and emotional well-being before, during, versus after a nationwide disease outbreak: a large-scale investigation of disparities in psychological vulnerability across COVID-19 pandemic phases in China https://bmjopen.bmj.[...] 2021-06-15
[23] 학술지 High income improves evaluation of life but not emotional well-being 2010-09-21
[24] 학술지 Defending the Objective List Theory of Well-Being 2013-06
[25] 서적 Handbook of the Philosophy of Medicine 2017
[26] 학술지 Happiness & Health: The Biological Factors- Systematic Review Article 2014-11-01
[27] 학술지 Determination of well-being-related markers in nails by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2023-11-15
[28] 웹사이트 WellBeing Biomarkers https://www.dropbioh[...] 2023-11-02
[29] 학술지 Mental illness and well-being: the central importance of positive psychology and recovery approaches 2010-01-26
[30] 서적 Flourish https://books.google[...] Penguin Random House Australia 2011-05-02
[31] 논문 https://books.google[...]
[32] 논문 https://books.google[...]
[33] 논문 https://books.google[...]
[34] 논문 https://books.google[...]
[35] 논문
[36]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37] 논문 null null null
[38]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39]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40] 논문 null null null
[41]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42]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43]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44]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45]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46]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47] 논문 null null null
[48]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49]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50]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51]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null
[52] 서적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hilpapers.o[...] Macmillan Reference 2020-12-05
[53] 웹사이트 Well-Being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7-12-05
[54]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Philosophy of Well-be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55]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Principles of Morals and Legislation: The Collected Works of Jeremy Bentham https://philpapers.o[...] Oxford University Press UK 2020-12-05
[56] 서적 Utilitarianism https://books.google[...] Longmans, Green and Company null
[57] 서적 Anarchy, State, and Utopia https://philpapers.o[...] Basic Books 2020-12-05
[5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Value Theory https://philpapers.o[...]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20-12-05
[59] 학술지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https://revistascien[...] 1989-01-01
[60] 학술지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Well-Being 2009-08
[61] 학술지 How an Epidemic Outbreak Impacts Happiness: Factors that Worsen (vs. Protect) Emotional Well-being during the Coronavirus Pandemic 2020-07-01
[62] 학술지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1995
[63] 학술지 On the definition and varieties of attitude and wellbeing 1982-02
[64] 웹사이트 Measuring what matters: the role of well-being methods in development policy and practice https://www.odi.org/[...] ODI 2018-10-14
[65] 서적 The Good Life: Unifying The Philosophy and Psychology of Well-being null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66] 학술지 Network structure of depression symptomology in participants with and without depressive disorder: The population-based Health 2000–2011 study https://doi.org/10.1[...] 2020
[67] 서적 Ethics of Digital Well-Being: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Springer: Philosophical Studies Series (volume 140) 2020
[68] 학술지 Mental disorders as networks of problems: A review of recent insights https://doi.org/10.1[...] 2016
[69] 백과사전 Subjective Well-Being http://ink.library.s[...] Research Collection School of Social Sciences 2017-06-14
[70] 학술지 Cognitive, affective and contextual predi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2011
[71] 서적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Bradford Books
[72] 웹사이트 Carol Ryff's Mod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http://livingmeaning[...] 2014-12-04
[73] 학술지 The Mental Health Continuum: From Languishing to Flourishing in Life 2002-01-01
[74] 학술지 Keyes's model of mental health with personal growth initiative as a parsimonious predictor.
[75] 학술지 Reinvestigation of the factor structure of the MHC-SF in the Netherlands: Contributions of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ttps://ris.utwente.[...] 2016-07-01
[76] 학술지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Well-Being 2009-08
[77] 서적 Authentic Happiness New York: Free Press
[78] 뉴스 Best Benefit of Exercise? Happiness http://www.foxnews.c[...] 2006-05-30
[79] 웹사이트 The Father of Positive Psychology and His Two Theories of Happiness http://www.huffingto[...]
[80] 웹사이트 The World Question Center 2011 http://www.edge.org/[...] Edge.org 2011-02-07
[81] 서적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New York: Free Press
[82] 웹사이트 The Pursuit of Happiness http://www.pursuit-o[...]
[83] 웹사이트 Mihaly Csikszentmihalyi TED talk http://www.ted.com/t[...] 2008-10-23
[84] 웹사이트 Other People Matter http://www.psycholog[...]
[85] 웹사이트 Using Positive Psychology in Your Relationships http://health.usnews[...]
[86] 뉴스 Mental Daily creator Joey Florez shares tips on staying healthy this winter https://www.readersd[...]
[87] 웹사이트 Why do You do What You Do? http://www.huffingto[...] 2013-09-06
[88] 웹사이트 The Science of a Happy Startup http://awesomecultur[...]
[89] 학술지 From the Lesson of George Engel to Current Knowledge: The Biopsychosocial Model 40 Years Later https://www.karger.c[...] 2017
[90] 웹사이트 What is wellbeing? | What Works Centre for Wellbeing https://whatworkswel[...]
[91] 학술지 Personal Wellbeing Score (PWS)—a short version of ONS4: development and validation in social prescribing
[92] 서적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thics, 2nd print edition https://philpapers.o[...] New York: Wiley-Blackwell 2021
[93] 학술지 Utilitarianism and Welfarism https://philpapers.o[...] 1979
[94] 웹사이트 Well-Being: 5.1 Welfaris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7
[95] 학술지 Welfarism – The Very Idea https://philpapers.o[...] 2003
[96] 웹사이트 John Stuart Mill: ii. Basic Argument https://iep.utm.edu/[...]
[97] 웹사이트 Hedonis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9
[98] 웹사이트 Hedonism https://iep.utm.edu/[...]
[99] 학술지 Welfarism and Utilitarianism: A Rehabilitation*: Yew-Kwang Ng https://philpapers.o[...] 1990
[100] 학술지 Welfarism in moral theory https://philpapers.o[...] 1996-12-01
[101] 학술지 Good-for-Nothings https://philpapers.o[...] 2010
[102] 웹사이트 William David Ross https://iep.utm.edu/[...]
[103] 웹사이트 William David Ros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2
[104] 웹사이트 Consequentialism: 3. What is Good? Hedonistic vs. Pluralistic Consequentialism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
[105] 웹사이트 World Happiness Report http://worldhappines[...]
[106] 논문 Optimal human functioning around the world: A new index of eudaimonic well-being in 166 nations
[107] 웹사이트 Indicator: Employee Wellbeing https://www.gallup.c[...] 2024-01-29
[108] 웹사이트 Well-being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https://www.ons.gov.[...] 2019-09-05
[109] 뉴스 New Zealand's world-first 'wellbeing' budget to focus on poverty and mental health https://www.theguard[...] 2019-05-14
[110] 뉴스 Policy approaches for well-being in the US https://www.brooking[...] 2024-01-22
[111] 서적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7
[112] 웹사이트 Home: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oed.com/star[...] 2021-07-06
[113] 웹사이트 健康の定義 {{!}} 公益社団法人 日本WHO協会 https://japan-who.or[...] 2021-07-06
[114] 웹사이트 Health https://www.un.org/s[...] 2021-07-06
[115] 뉴스 Wellness https://www.nytimes.[...] 2010-04-16
[116] 논문 Evaluation of Wellness Determinants and Interventions by Citizen Scientists https://www.ncbi.nlm[...] 2015-07-14
[117] 논문 Evaluation of Wellness Determinants and Interventions by Citizen Scientists 2015-06-11
[118] 기타
[119] 웹사이트 The Differences between Happiness and Meaning in Life https://blogs.scient[...] 2019-05-28
[120] 웹사이트 Five steps to mental wellbeing https://www.nhs.uk/c[...] 국민保健サービス 2018-11-20
[121] 웹사이트 The Science of Well-Being https://www.coursera[...] 2022-07-21
[122] 논문 Does savoring increase happiness? A daily diary study http://www.tandfonli[...] 2012-05
[123] 웹사이트 「私」から「万物」までを見据える、ウェルビーイングなモノづくり|JOURNAL(リサーチやレポート)|事業共創で未来を創るOPEN HUB for Smart World https://openhub.ntt.[...] 2023-03-06
[124] 웹사이트 【企業事例4選】ウェルビーイング経営で社員の幸福度を高めよう https://designers-of[...] 2022-12-26
[125] 웹사이트 トヨタフィロソフィー {{!}} 経営理念 {{!}} 企業情報 https://global.toyot[...] 2023-03-06
[126] 웹사이트 ニューノーマル時代に向けて、コレクティブ・ウェルビーイングを考えよう|楽天株式会社 https://corp.rakuten[...] 2023-03-06
[127] 웹사이트 Material Driven Innovation Award 2022 https://awrd.com/awa[...] 2023-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