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립식량과학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식량과학원은 식량 작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소속 기관이다. 1957년 농업시험장으로 시작하여 작물시험장, 작물과학원을 거쳐 2008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직무는 작물 품종 개량, 재배 기술 개발, 생산 환경 개선, 식량 자원 개발 등이며, 본원, 중부작물부, 남부작물부, 고령지농업연구소,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4개의 출장소로 구성되어 있다. 2015년 전주혁신도시로 이전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업 연구소 - 국제식량정책연구소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는 기아와 영양실조 없는 세상을 목표로 빈곤 감소와 지속가능한 식단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정책 해결책을 연구하는 국제 연구기관으로서, 식량 가격, 성별, 기후변화, 농업 혁신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정책 입안자 등에게 연구 결과를 제공하지만, 연구 주제 선정 우선순위, 역량 강화 활동 부족, 특정 재단 자금 지원에 대한 우려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농업 연구소 -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은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준정부기관으로, 연구개발사업 기획·관리·평가, 기술역량 진단 및 인력 육성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2009년 설립되어 2019년 나주로 이전했다.
  • 완주군 소재의 관공서 - 지방자치인재개발원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은 1965년 설립된 지방 정부 공무원 교육 훈련 기관으로,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운영되며,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국제 협력을 수행한다.
  • 완주군 소재의 관공서 -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는 전기안전관리법에 따라 전기 안전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며, 1974년 한국전기보안협회로 설립되어 197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특수법인이다.
  •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 대한민국의 농촌진흥청장
    대한민국의 농촌진흥청장은 농촌진흥에 관한 사무를 총괄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는 직위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1962년 초대 청장 임명 이후 여러 인물이 역임하여 2024년 7월 8일 권재한 32대 청장이 임명되어 현재 재임 중이다.
  •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 대한민국의 농촌진흥청 차장
    대한민국의 농촌진흥청 차장은 대통령이 임명하고 청장을 보좌하며 소관 사무를 처리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청장 유고 시 그 직무를 대행한다.
국립식량과학원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국립식량과학원
현지어 이름해당사항 없음
설립일2008년 10월 8일
전신작물과학원
해산일해당사항 없음
후신해당사항 없음
소재지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이서면 혁신로 181
직원343명
예산해당사항 없음
기관장 직함원장
상급 기관대한민국 농촌진흥청
산하 기관소속기관 6
웹사이트국립식량과학원 웹사이트
영어 이름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2. 연혁


  • 1999년 5월 24일: 남양, 진부, 운봉출장소가 폐지되었다.[18]
  • 2004년 1월 9일: 작물시험장이 작물과학원으로, 호남농업시험장과 영남농업시험장이 작물과학원 소속 호남농업연구소와 영남농업연구소로 개편되었다.[19]
  • 2008년 10월 8일: 국립식량과학원으로 개편되고,[20] 계화도출장소가 폐지되었다.[21]
  • 2015년 2월 24일: 전주혁신도시로 이전하였다.[22]

2. 1. 설립 초기 (1957년 ~ 1962년)


  • 1957년 5월 28일: 농사원 소속으로 농업시험장을 설치하고 소속기관으로 이리지장을 두었다.[4]
  • 1961년 10월 2일: 농사원 시험국의 하부조직인 작물원예부로 개편하고, 이리지장을 이리시험장으로 바꾸었다.[5]
  • 1962년 4월 1일: 농사원 작물원예부를 농촌진흥청 소속 작물시험장으로, 이리시험장을 이리지장으로 변경하였다.[6]

2. 2. 조직 확장기 (1962년 ~ 1994년)


  • 1962년 4월 1일: 농사원 작물원예부를 농촌진흥청 소속 작물시험장으로, 이리시험장을 이리지장으로 개편하였다.[6]
  • 1962년 4월 10일: 작물시험장 소속으로 소사, 음성, 대구지장을 설치하였다.[7]
  • 1963년 12월 17일: 수도육종연구소를 설치하고 작물시험장 이리지장을 폐지하였다.[8]
  • 1965년 4월 21일: 수도육종연구소를 호남작물시험장과 영남작물시험장으로 개편하고, 작물시험장 소사, 음성, 대구지장은 폐지하였다.[9]
  • 1967년 12월 9일: 작물시험장 소속으로 철원출장소를, 호남작물시험장 소속으로 해남출장소를 설치하였다.[10]
  • 1970년 4월 8일: 작물시험장 소속으로 강화지소를 설치하였다.[11]
  • 1972년 11월 29일: 해남출장소를 폐지하였다.[12]
  • 1973년 9월 6일: 광주출장소를 폐지하였다.[13]
  • 1978년 5월 10일: 작물시험장 소속으로 남양, 춘천, 철원출장소를, 호남작물시험장 소속으로 계화도출장소를 설치하였다.[14]
  • 1981년 6월 12일: 작물시험장 소속으로 진부출장소를, 호남작물시험장 소속으로 운봉출장소를, 영남작물시험장 소속으로 영덕출장소를 설치하였다.[15]
  • 1982년 5월 15일: 영남작물시험장 소속으로 상주출장소를 설치하였다.[16]
  • 1994년 12월 23일: 호남작물시험장과 영남작물시험장을 호남농업시험장, 영남농업시험장으로 개편하였다.[17]

2. 3. 개편 및 발전기 (1994년 ~ 현재)

1994년 12월 23일, 호남작물시험장과 영남작물시험장은 각각 호남농업시험장과 영남농업시험장으로 개편되었다.[17] 1999년 5월 24일에는 남양, 진부, 운봉출장소가 폐지되었다.[18]

2004년 1월 9일, 작물시험장은 작물과학원으로, 호남농업시험장과 영남농업시험장은 작물과학원 소속 호남농업연구소와 영남농업연구소로 각각 개편되었다.[19] 2008년 10월 8일에는 국립식량과학원으로 개편되었으며,[20] 같은 날 계화도출장소가 폐지되었다.[21]

2015년 2월 24일, 국립식량과학원은 전주혁신도시로 이전하였다.[22]

3. 주요 직무


  • 시험연구사업, 예산·성과 관리, 대외 협력 및 홍보 계획·조정
  • 보안, 관인 관수, 인사, 급여, 회계, 결산, 용도 관련 사항
  • 작물 유전·육종 및 생리·생태 연구
  • 벼·맥류·밭작물·사료작물·유지작물·풋거름작물·서류 품종 개량 및 재배 기술 개발
  • 작물 생산 환경 보전 및 개선 연구
  • 식량 자원 개발 및 이용 증진 연구
  • 고령지작물[3]·감자 품종 개량, 재배 기술 개발 및 산지 환경 관리 연구
  • 북방 농업 작물 기술 개발
  • 바이오에너지작물·고구마 및 남부 지방 소득 작물 품종 육성 및 재배 기술 개발
  • 수확물 품질 보전 및 이용 증진 연구
  • 간척지 작물 재배 기술 개발 등 간척지 이용 연구
  • 미래 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식량 작물 고부가가치화 연구
  • 현장 실증 시험·연구 및 기술 이전

4. 조직

국립식량과학원은 본원과 소속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원은 기획조정과, 운영지원과, 작물육종과, 작물재배생리과, 작물기초기반과, 기술지원과, 밀연구팀으로 구성되어 있다.[23][24][25]

소속기관으로는 고령지농업연구소,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와 4개의 출장소가 있다.[24]

4. 1. 본원

부서명
기획조정과[23]
운영지원과[23]
작물육종과[24]
작물재배생리과[24]
작물기초기반과[24]
기술지원과[23]
밀연구팀[24][25]



모든 지시사항을 준수하여 출력하였습니다. 변경된 사항은 없으며, 원본 출력물과 동일합니다.

4. 2. 소속기관



명칭소재분장사무
국립식량과학원 춘천출장소강원도 춘천시 충열로 251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태봉로 2346
국립식량과학원 영덕출장소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원황길 44
국립식량과학원 상주출장소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중화로 2161


참조

[1] 규칙 농촌진흥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별표6
[2] 규칙 농촌진흥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제19조
[3] 문서 원예작물을 포함한다.
[4]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274호
[5] 각령 각령 제183호
[6] 각령 각령 제615호
[7] 각령 각령 제621호
[8] 각령 각령 제1709호
[9]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2109호
[10] 농림부령 농림부령 제268호
[11]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4873호
[12] 농림부령 농림부령 제514호
[13] 농수산부령 농수산부령 제542호
[14] 농수산부령 농수산부령 제720호
[15] 농수산부령 농수산부령 제830호
[16] 농수산부령 농수산부령 제863호
[17]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4455호
[18] 농림부령 농림부령 제1332호
[19]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8212호
[20]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21078호
[21] 농림수산식품부령 농림수산식품부령 제33호
[22] 뉴스 전북 이전 식량과학원·원예특작과학원·축산과학원 업무개시 http://www.m-i.kr/ne[...] 2015-03-03
[23] 문서 부이사관·서기관·기술서기관·농업연구관 또는 농촌지도관으로 보한다.
[24] 문서 농업연구관으로 보한다.
[25] 문서 2021년 8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26] 문서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농업연구관 또는 농촌지도관으로 보한다.
[27] 문서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28] 문서 기술서기관·농업연구관 또는 환경연구관으로 보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