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덕군은 경상북도 동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고구려 시대 우시군에서 시작하여 신라, 고려 시대를 거쳐 1310년 영덕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조선 시대에는 영덕현과 영해도호부로 나뉘었으며, 1914년 영덕군과 영해군이 통합되어 현재의 영덕군이 되었다.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여러 전투가 벌어졌고, 1979년 영덕면이 영덕읍으로 승격되었다. 현재 1읍 8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관광지로는 해수욕장, 삼사해상공원, 영덕대게축제 등이 있다. 교통은 동해선 철도와 서산영덕고속도로를 통해 접근 가능하며, 교육 시설로는 초·중·고등학교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덕군 - 영덕읍
영덕읍은 경상북도 영덕군에 위치한 읍으로, 1914년 영덕면으로 개칭된 후 1979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우곡리에 읍사무소가 있고 17개의 리와 여러 교육기관, 주요 도로를 포함한다. - 영덕군 - 경상북도립영덕공공도서관
경상북도립영덕공공도서관은 1983년 개관하여 영덕군 주민들에게 지식·정보 제공 및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자료실과 열람실 운영, 독서 문화 프로그램 및 문화 행사 등을 통해 평생 학습과 문화 활동을 지원하는 공공 도서관이다. - 경상북도의 군 - 칠곡군
칠곡군은 경상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낙동강을 경계로 충적평야가 발달했으며, 1640년 칠곡도호부 설치 후 여러 번의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3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섬유, 전자 관련 산업이 발달하였으며, 가산산성, 칠곡호국평화기념관 등의 관광지와 경부선, 중앙고속도로를 갖추고 있다. - 경상북도의 군 - 의성군
의성군은 경상북도 중부에 위치하며, 신라 시대 조문국으로 불렸고 고려 시대에 의성이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백악기 지질과 국가지질공원이 존재하고, 1914년 비안군과 용궁군 일부가 통합되었고, 대륙성 기후와 한지형 마늘 주산지, 그리고 대한민국 컬링의 중심지로 컬링훈련원이 있는 군이다. - 1914년 폐지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914년 폐지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영덕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영덕군 |
원어 이름 (언어) | ko |
유형 | 군 |
로마자 표기 (언어) | Korean |
로마자 표기 (유형 1) | Hangul |
로마자 표기 (정보 1) | 영덕군 |
로마자 표기 (유형 2) | Hanja |
로마자 표기 (유형 3) | Revised Romanization |
로마자 표기 (정보 3) | Yeongdeok-gun |
로마자 표기 (유형 4) | McCune-Reischauer |
로마자 표기 (정보 4) | Yŏngdŏk-gun |
위치 | 대한민국 |
지역 | 영남 |
방언 | 경상도 |
면적 | 741.05 km² |
인구 (2024년 9월) | 33,356명 |
인구 밀도 | 71.1 명/km² |
행정 구역 | 1읍 8면 |
읍 | 1 |
면 | 8 |
상징 (문장) | 영덕 로고 |
상징 (유형) | 영덕의 상징 |
상징 (기) | Flag of Yeongdeok.svg |
위치 정보 | |
![]() | |
행정 | |
군수 | 김광열(국민의힘) |
국회의원 | 박형수(국민의힘, 의성군·청송군·영덕군·울진군) |
군청 소재지 | 영덕읍 군청길 116(남석리) |
행정 구역 분류 코드 | 37350 |
상징 | |
군목 | 곰솔 |
군화 | 복숭아꽃 |
군조 | 갈매기 |
기타 | |
지역 번호 | 054 |
홈페이지 | 영덕군 일본어 공식 홈페이지 |
홈페이지 | 영덕군 공식 홈페이지 |
2. 역사
고구려 시대에는 우시군(于尸郡)이었다.[15] 장수왕 때 군 전체가 고구려에 속했다가 진흥왕 때 신라에 편입되어 야시홀, 야성(野城), 유린군(有隣郡)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5] 고려 시대에는 예주(禮州)였다가 1310년 영덕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15]
조선 시대에는 현재의 군역이 영덕현(남정면, 강구면, 영덕읍, 지품면, 달산면)과 영해도호부(축산면, 영해면, 병곡면, 창수면)로 나뉘어 있었다.[15]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안동부 영덕군·영해군이 되었다가,[15]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영덕군·영해군이 되었다.[16]
1914년 4월 1일 영덕군과 영해군이 병합되어 영덕군(9면)이 되었다.[17][18] 이 과정에서 많은 면이 통폐합되었다. 일제강점기 당시 영덕의 독음은 일본어로 에이토쿠(盈徳; えいとく)였다. 1934년 4월 1일 영덕면과 오보면 간의 행정구역 조정이 있었고,[19][20] 오보면 일부 동은 영덕면으로, 영덕면 일부 동과 오보면 잔여 동은 강구면으로 합쳐졌다.[21]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영덕-강구 전투, 영덕-포항 전투 등 여러 전투가 벌어졌고, 일시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점령되었다가 장사 상륙 작전 이후 대한민국이 수복하였다.
1979년 5월 1일 영덕면이 영덕읍으로 승격하였다.[22] 1983년 2월 15일 영일군 죽장면 하옥리 일부가 달산면에 편입되었고, 1988년 12월 31일 지품면 오천리 일부가 분할되어 신애리가 신설되었다. 1990년 1월 3일 강구면 하직리가 원직리로, 병곡면 휘리가 덕천리로 개정되었으며,[23] 1990년 6월 29일 축산면 화천리가 영덕읍으로 편입되었다.[24]
2. 1. 고대
고구려 시대에는 우시군(于尸郡)이었다.[15] 장수왕 때 군 전체가 고구려에 속해 있었으나, 진흥왕 때 신라에 편입되었다.[15] 신라 시대에는 야시홀, 야성(野城), 유린군(有隣郡)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5]고려 시대에는 예주(禮州)였다.[15] 1310년 영덕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15]
조선 시대에는 남부 남정면, 강구면, 영덕읍, 지품면, 달산면은 영덕현으로, 북부 축산면, 영해면, 병곡면, 창수면은 영해도호부로 현재의 군역이 둘로 갈라져 있었다.[15]
2. 2. 고려시대
고려 시대에 영덕군은 예주(禮州)였다.[15] 1310년 영덕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15]2. 3. 조선시대
조선시대에 현재의 영덕군 남부는 영덕현, 북부는 영해도호부로 나뉘어 있었다.[15] 1895년 음력 윤5월 1일에는 안동부 영덕군·영해군,[15] 1896년 8월 4일에는 경상북도 영덕군·영해군이 되었다.[16]2. 4. 일제강점기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안동부 영덕군·영해군이 되었다가,[15]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영덕군·영해군이 되었다.[16] 1914년 4월 1일 양군이 병합되어 영덕군이 되었으며(9면),[17][18] 이 과정에서 산하의 면들이 대거 합병되었다. 일제강점기 당시 영덕의 독음은 일본어로 에이토쿠(盈徳; えいとく)였다.1934년 4월 1일 영덕면과 오보면 간의 행정구역 조정이 있었다.[19][20] 오보면 일부 동이 영덕면으로 이관되었고, 영덕면 일부 동과 오보면에 남은 일부 동을 강구면으로 합면하였다.[21]
1950년 영덕-강구 전투, 영덕-포항 전투 등 여러 차례의 전투가 일어났고, 일시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점령당했다가 9월에 장사 상륙 작전이 실시되기도 했다. 인천 상륙 작전 성공 이후 인민군이 패주하면서 대한민국이 수복하였다.
1979년 5월 1일 영덕면이 영덕읍으로 승격하였다.[22]
2. 5. 대한민국
영덕군은 고구려 시대에 우시군(于尸郡)으로 불렸다. 장수왕 때 고구려에 속했다가 진흥왕 때 신라에 편입되어 야시홀, 야성(野城), 유린군(有隣郡)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고려 시대에는 예주(禮州)였다가 1310년 영덕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조선 시대에는 현재의 군역이 영덕현(남정면, 강구면, 영덕읍, 지품면, 달산면)과 영해도호부(축산면, 영해면, 병곡면, 창수면)로 나뉘어 있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안동부 영덕군·영해군이 되었다가,[15]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영덕군·영해군이 되었다.[16]
1914년 4월 1일 영덕군과 영해군이 병합되어 영덕군(9면)이 되었다.[17][18] 이 과정에서 많은 면이 통폐합되었다. 일제강점기 당시 영덕의 독음은 일본어로 에이토쿠(盈徳; えいとく)였다. 1934년 4월 1일 영덕면과 오보면 간의 행정구역 조정이 있었고,[19][20] 오보면 일부 동은 영덕면으로, 영덕면 일부 동과 오보면 잔여 동은 강구면으로 합쳐졌다.[21]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영덕-강구 전투, 영덕-포항 전투 등 여러 전투가 벌어졌고, 일시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점령되었다가 장사 상륙 작전 이후 대한민국이 수복하였다.
1979년 5월 1일 영덕면이 영덕읍으로 승격하였다.[22] 1983년 2월 15일 영일군 죽장면 하옥리 일부가 달산면에 편입되었고, 1988년 12월 31일 지품면 오천리 일부가 분할되어 신애리가 신설되었다. 1990년 1월 3일 강구면 하직리가 원직리로, 병곡면 휘리가 덕천리로 개정되었으며,[23] 1990년 6월 29일 축산면 화천리가 영덕읍으로 편입되었다.[24]
3. 지리
경상북도 동북부에 위치하여 영남지방에 속하고 포항시와 울진군, 영양군, 청송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태백산맥이 동남쪽으로 뻗어내리고, 칠보산과 팔각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병곡 영해평야를 이루고 향토의 젖줄인 오십천이 흐르고 있다.[25]
영덕군은 대체적으로 온후한 편이며, 여름 최고 온도는 섭씨 38도, 겨울 최저 온도는 영하 13.8도이다.[26][27] 봄철은 동남풍, 겨울철은 서북풍이 심하게 불며 가을이 길고 봄이 짧은 것이 특징이다. 영덕군은 온난 습윤 기후의 한 유형인 온대 습윤 기후(쾨펜: ''Cfa'')를 가지고 있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평균 최고 기온 (°C) | 5.8 | 8.1 | 12.5 | 18.4 | 22.9 | 25.6 | 28.6 | 29.1 | 25.0 | 20.7 | 14.6 | 8.0 | 18.3 |
평균 기온 (°C) | 1.0 | 2.9 | 7.0 | 12.5 | 17.1 | 20.4 | 24.1 | 24.5 | 20.1 | 15.0 | 9.2 | 3.1 | 13.1 |
평균 최저 기온 (°C) | -3.1 | -1.8 | 1.7 | 6.7 | 11.6 | 16.0 | 20.5 | 21.1 | 16.0 | 10.1 | 4.2 | -1.2 | 8.5 |
최고 기온 기록 (°C) | 17.0 | 24.1 | 27.0 | 34.0 | 35.8 | 37.0 | 38.1 | 39.9 | 35.3 | 30.1 | 26.9 | 20.9 | 39.9 |
최저 기온 기록 (°C) | -15.1 | -13.7 | -9.9 | -3.6 | 1.5 | 6.0 | 11.1 | 12.8 | 6.4 | -1.4 | -7.2 | -13.8 | -15.1 |
강수량 (mm) | 37.4 | 30.5 | 49.1 | 79.5 | 74.5 | 113.4 | 194.3 | 213.6 | 159.6 | 86.2 | 49.8 | 24.3 | 1112.2 |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 | 4.9 | 4.9 | 7.1 | 7.0 | 7.4 | 8.9 | 12.2 | 12.6 | 9.8 | 5.8 | 6.0 | 3.8 | 90.4 |
평균 상대 습도 (%) | 51.8 | 54.0 | 58.3 | 59.3 | 64.3 | 73.9 | 78.7 | 79.9 | 78.0 | 68.9 | 59.9 | 51.5 | 64.9 |
평균 일조 시간 | 195.3 | 187.5 | 210.7 | 228.3 | 243.6 | 201.4 | 178.2 | 188.8 | 178.7 | 198.5 | 181.1 | 190.3 | 2382.4 |
3. 1. 지질
3. 2. 기후
영덕군은 대체적으로 온후한 편이며, 여름 최고 온도는 섭씨 38도, 겨울 최저 온도는 영하 13.8도이다.[26][27] 봄철은 동남풍, 겨울철은 서북풍이 심하게 불며 가을이 길고 봄이 짧은 것이 특징이다. 영덕군은 온난 습윤 기후의 한 유형인 온대 습윤 기후(쾨펜: ''Cfa'')를 가지고 있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평균 최고 기온 (°C) | 5.8 | 8.1 | 12.5 | 18.4 | 22.9 | 25.6 | 28.6 | 29.1 | 25.0 | 20.7 | 14.6 | 8.0 | 18.3 |
평균 기온 (°C) | 1.0 | 2.9 | 7.0 | 12.5 | 17.1 | 20.4 | 24.1 | 24.5 | 20.1 | 15.0 | 9.2 | 3.1 | 13.1 |
평균 최저 기온 (°C) | -3.1 | -1.8 | 1.7 | 6.7 | 11.6 | 16.0 | 20.5 | 21.1 | 16.0 | 10.1 | 4.2 | -1.2 | 8.5 |
최고 기온 기록 (°C) | 17.0 | 24.1 | 27.0 | 34.0 | 35.8 | 37.0 | 38.1 | 39.9 | 35.3 | 30.1 | 26.9 | 20.9 | 39.9 |
최저 기온 기록 (°C) | -15.1 | -13.7 | -9.9 | -3.6 | 1.5 | 6.0 | 11.1 | 12.8 | 6.4 | -1.4 | -7.2 | -13.8 | -15.1 |
강수량 (mm) | 37.4 | 30.5 | 49.1 | 79.5 | 74.5 | 113.4 | 194.3 | 213.6 | 159.6 | 86.2 | 49.8 | 24.3 | 1112.2 |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 | 4.9 | 4.9 | 7.1 | 7.0 | 7.4 | 8.9 | 12.2 | 12.6 | 9.8 | 5.8 | 6.0 | 3.8 | 90.4 |
평균 상대 습도 (%) | 51.8 | 54.0 | 58.3 | 59.3 | 64.3 | 73.9 | 78.7 | 79.9 | 78.0 | 68.9 | 59.9 | 51.5 | 64.9 |
평균 일조 시간 | 195.3 | 187.5 | 210.7 | 228.3 | 243.6 | 201.4 | 178.2 | 188.8 | 178.7 | 198.5 | 181.1 | 190.3 | 2382.4 |
4. 행정 구역
영덕군의 행정 구역은 1읍 8면으로 구성되어 있다.[28] 면적은 741.06km2이며, 인구는 2020년 12월 기준 20,153세대 36,313명(남성 17,197명, 여성 19,116명)이다.[28] 1960년대까지는 119,498명이었으나 이후 인구가 감소하였다.[28]
읍면동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
영덕읍 | 盈德邑 | 66.10 | 5,514 | 11,040 |
창수면 | 蒼水面 | 152.31 | 1,057 | 1,688 |
병곡면 | 柄谷面 | 66.05 | 1,697 | 2,786 |
영해면 | 寧海面 | 63.97 | 3,448 | 6,381 |
축산면 | 丑山面 | 59.38 | 1,549 | 2,657 |
지품면 | 知品面 | 150.24 | 1,195 | 2,018 |
강구면 | 江口面 | 36.81 | 3,528 | 6,248 |
달산면 | 達山面 | 72.92 | 699 | 1,124 |
남정면 | 南亭面 | 73.28 | 1,466 | 2,371 |
5. 인구
연도 | 총인구 |
---|---|
1960년 | 106,198명 |
1966년 | 119,191명 |
1970년 | 112,373명 |
1975년 | 108,941명 |
1980년 | 91,206명 |
1985년 | 77,590명 |
1990년 | 65,415명 |
1995년 | 51,292명 |
2000년 | 44,172명 |
2005년 | 42,347명 |
2010년 | 41,377명 |
2015년 | 39,191명 |
2020년 | 36,313명 |
2024년 8월 | 33,435명 |
6. 문화·관광
영덕군에는 다양한 관광지가 있다. 해수욕장으로는 고래불해수욕장, 대진해수욕장, 장사해수욕장, 남호해수욕장, 하저리해수욕장, 오보해수욕장, 경정해수욕장이 있다. 삼사해상공원, 해맞이공원, 풍력발전단지도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괴시리전통마을에서는 전통 가옥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사찰로는 장육사와 유금사가 있고, 항구로는 강구항과 축산항이 있다.
영덕군에서는 매년 '영덕대게축제'를 개최한다. 이 축제는 어린이 대게잡이, 가족팀 게임, 대게 경매, 마당극 등 다양한 행사를 제공한다.[2][3] 2018년 21주년을 맞이한 영덕대게축제는 강구항에서 열리며 다채로운 행사를 통해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거리를 제공한다.[2][3]
영덕군의 특산품으로는 영덕대게가 있다.
6. 1. 축제
영덕군에서는 매년 '영덕대게축제'를 개최한다. 이 축제는 어린이 대게잡이, 가족팀 게임, 대게 경매, 마당극 등 다양한 행사를 제공한다.[2][3] 2018년 21주년을 맞이한 영덕대게축제는 강구항에서 열리며 다채로운 행사를 통해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거리를 제공한다.[2][3]6. 2. 관광지
영덕군에는 다양한 관광지가 있다. 해수욕장으로는 고래불해수욕장, 대진해수욕장, 장사해수욕장, 남호해수욕장, 하저리해수욕장, 오보해수욕장, 경정해수욕장이 있다. 삼사해상공원, 해맞이공원, 풍력발전단지도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괴시리전통마을에서는 전통 가옥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사찰로는 장육사와 유금사가 있고, 항구로는 강구항과 축산항이 있다.6. 3. 특산품
영덕군의 특산품으로는 영덕대게가 있다.7. 교통
7. 1. 도로 교통
서산영덕고속도로가 있으며 2009년 12월 18일에 연장선인 (낙동 분기점 ~ 영덕 나들목)이 착공하여 2016년 12월에 개통되었다.[30] 추후 동해고속도로와 직결 될 예정이다. 남북으로 국도 제7호선과 동서로 국도 제34호선이 관통한다. 국도 제7호선 확장 공사 이전에는 피서철 상습 정체가 발생했으나, 확장 이후 교통 상황이 개선되었다. 시외버스 이용 시에는 인근의 안동시나 포항시를 경유하는 것이 편리하다. 서산영덕고속도로를 통해 서해안까지 연결된다.7. 2. 철도 교통
2018년 1월 26일에 동해선이 영덕까지 개통되어 장사역, 강구역, 영덕역에서 기차를 이용, 부산, 대구, 서울로의 접근이 용이해졌다. 2025년 1월 1일 동해선이 삼척역까지 연장되면 영해역과 고래불역이 개통되어 영덕군 북부 지역에서도 철도 이용이 편리해질 전망이다. 현재 영덕군에서 가장 가까운 역은 영덕역이며, 김천역에서 영덕역을 잇는 경북내륙선이 검토 중에 있다.7. 3. 도로명
영덕군을 지나는 도로는 다음과 같다.8. 교육
경상북도 영덕군에는 과거 고등학교 5개교, 중학교 11개교, 초등학교 43개교(분교 11개 포함)가 있었으나, 현재는 고등학교 4개교, 중학교 8개교, 초등학교 10개교(분교 1개 포함)만 남아있다.
영덕고등학교는 영덕읍 군청1길 13에 있으며 1951년 8월 20일 개교하였고 영덕중학교와 병설이다. 10학급[31] 162명[32]이다. 영해고등학교는 영해면 예주길 135에 있으며 1955년 5월 19일 개교하였고 영해중학교와 병설이다. 10학급[33] 173명[34]이다. 강구정보고등학교는 강구면 신강구1길 45-5에 있으며 1968년 3월 4일 개교하였고 강구중학교와 병설이다. 4학급[35] 34명[36]이다. 영덕여자고등학교는 영덕읍 영덕로 206에 있고 1976년 3월 2일 개교하였고, 영덕여자중학교와 병설이다. 8학급 131명이다. 영해여자정보고등학교는 2009년 3월 1일 폐교되었다.
학교명 | 주소 | 학급수 | 학생수 | 비고 |
---|---|---|---|---|
영덕중학교 | 영덕읍 군청1길 13 | 7학급[37] | 130명[38] | 1946년 8월 27일 개교, 영덕고등학교 병설 |
영해중학교 | 영해면 예주길 135 | 8학급[39] | 143명[40] | 1951년 10월 30일 개교, 영해고등학교 병설 |
강구중학교 | 강구면 신강구1길 45-5 | 6학급[41] | 90명[42] | 1953년 5월 11일 개교, 강구정보고등학교 병설 |
병곡중학교 | 병곡면 병곡길 24-7 | 4학급[43] | 13명[44] | 1955년 6월 13일 개교 |
남정중학교 | 남정면 진불길 11-27 | 3학급 | 13명 | 1966년 3월 15일 개교, 남정초등학교 병설 |
영덕여자중학교 | 영덕읍 영덕로 206 | 6학급 | 141명 | 1968년 3월 6일 개교, 영덕여자고등학교 병설 |
지품중학교 | 지품면 지영로 30 | 3학급 | 12명 | 1969년 2월 15일 개교, 지품초등학교 병설 |
축산중학교 | 축산면 도곡1길 54 | 3학급 | 11명 | 1974년 4월 12일 개교 |
2001년 3월 1일 영덕중학교 달산분교가 폐교되었고, 2009년 3월 1일에는 창수중학교와 영해여자중학교가 폐교되었다.[39][40]
영덕군에는 여러 초등학교가 있다.
학교명 | 주소 | 학급수 | 학생수 | 비고 |
---|---|---|---|---|
영해초등학교 | 영해면 예주5길 22 | 12학급[45] | 185명[46] | 1910년 9월 1일 개교 |
영덕야성초등학교 | 영덕읍 덕곡길 96 | 25학급[47] | 518명[48] | 1911년 4월 11일 개교[49]/ 2012년 3월 1일 개교[50] |
남정초등학교 | 남정면 진불길 15-6 | 4학급 | 17명 | 1922년 5월 21일 개교, 남정중학교 병설 |
병곡초등학교 | 병곡면 영길 103-10 | 6학급[51] | 26명[52] | 1928년 10월 15일 개교 |
지품초등학교 | 지품면 지영로 7-4 | 6학급 | 25명 | 1931년 4월 15일 개교, 지품중학교 병설 |
강구초등학교 | 강구면 나비산길 8 | 8학급[53] | 89명[54] | 1935년 4월 21일 개교 |
창수초등학교 | 창수면 영양창수로 3184 | 5학급 | 25명 | 1935년 10월 8일 개교 |
축산항초등학교 | 축산면 축산항초교길 2 | 4학급 | 16명 | 1944년 5월 11일 개교 |
원황초등학교 | 병곡면 원황길 64 | 4학급 | 13명 | 1946년 11월 6일 개교 |
창수초등학교 인천분교 | 창수면 오서로 1370 | 4학급 | 19명 | 1936년 5월 5일 개교 |
이 외에도 과거에는 여러 초등학교들이 있었으나, 1977년 3월 1일 폐교된 신리국민학교 자래목분교를 시작으로, 가장 최근인 2023년 3월 1일 축산항초등학교 경정분교까지 여러 학교들이 폐교되었다.[55]
8. 1. 고등학교
영덕고등학교는 영덕읍 군청1길 13에 있으며 1951년 8월 20일 개교하였고 영덕중학교와 병설이다. 10학급[31] 162명[32]이다. 영해고등학교는 영해면 예주길 135에 있으며 1955년 5월 19일 개교하였고 영해중학교와 병설이다. 10학급[33] 173명[34]이다. 강구정보고등학교는 강구면 신강구1길 45-5에 있으며 1968년 3월 4일 개교하였고 강구중학교와 병설이다. 4학급[35] 34명[36]이다. 영덕여자고등학교는 영덕읍 영덕로 206에 있고 1976년 3월 2일 개교하였고, 영덕여자중학교와 병설이다. 8학급 131명이다. 영해여자정보고등학교는 2009년 3월 1일 폐교되었다.8. 2. 중학교
학교명 | 주소 | 학급수 | 학생수 | 비고 |
---|---|---|---|---|
영덕중학교 | 영덕읍 군청1길 13 | 7학급[37] | 130명[38] | 1946년 8월 27일 개교, 영덕고등학교 병설 |
영해중학교 | 영해면 예주길 135 | 8학급[39] | 143명[40] | 1951년 10월 30일 개교, 영해고등학교 병설 |
강구중학교 | 강구면 신강구1길 45-5 | 6학급[41] | 90명[42] | 1953년 5월 11일 개교, 강구정보고등학교 병설 |
병곡중학교 | 병곡면 병곡길 24-7 | 4학급[43] | 13명[44] | 1955년 6월 13일 개교 |
남정중학교 | 남정면 진불길 11-27 | 3학급 | 13명 | 1966년 3월 15일 개교, 남정초등학교 병설 |
영덕여자중학교 | 영덕읍 영덕로 206 | 6학급 | 141명 | 1968년 3월 6일 개교, 영덕여자고등학교 병설 |
지품중학교 | 지품면 지영로 30 | 3학급 | 12명 | 1969년 2월 15일 개교, 지품초등학교 병설 |
축산중학교 | 축산면 도곡1길 54 | 3학급 | 11명 | 1974년 4월 12일 개교 |
2001년 3월 1일 영덕중학교 달산분교가 폐교되었고, 2009년 3월 1일에는 창수중학교와 영해여자중학교가 폐교되었다.[39][40]
8. 3. 초등학교
영덕군에는 여러 초등학교가 있다.학교명 | 주소 | 학급수 | 학생수 | 비고 |
---|---|---|---|---|
영해초등학교 | 영해면 예주5길 22 | 12학급[45] | 185명[46] | 1910년 9월 1일 개교 |
영덕야성초등학교 | 영덕읍 덕곡길 96 | 25학급[47] | 518명[48] | 1911년 4월 11일 개교[49]/ 2012년 3월 1일 개교[50] |
남정초등학교 | 남정면 진불길 15-6 | 4학급 | 17명 | 1922년 5월 21일 개교, 남정중학교 병설 |
병곡초등학교 | 병곡면 영길 103-10 | 6학급[51] | 26명[52] | 1928년 10월 15일 개교 |
지품초등학교 | 지품면 지영로 7-4 | 6학급 | 25명 | 1931년 4월 15일 개교, 지품중학교 병설 |
강구초등학교 | 강구면 나비산길 8 | 8학급[53] | 89명[54] | 1935년 4월 21일 개교 |
창수초등학교 | 창수면 영양창수로 3184 | 5학급 | 25명 | 1935년 10월 8일 개교 |
축산항초등학교 | 축산면 축산항초교길 2 | 4학급 | 16명 | 1944년 5월 11일 개교 |
원황초등학교 | 병곡면 원황길 64 | 4학급 | 13명 | 1946년 11월 6일 개교 |
창수초등학교 인천분교 | 창수면 오서로 1370 | 4학급 | 19명 | 1936년 5월 5일 개교 |
이 외에도 과거에는 여러 초등학교들이 있었으나, 1977년 3월 1일 폐교된 신리국민학교 자래목분교를 시작으로, 가장 최근인 2023년 3월 1일 축산항초등학교 경정분교까지 여러 학교들이 폐교되었다.[55]
9. 의료
영덕군에는 병원이 있으나 영해면에 종합병원이 한 곳 있을 뿐이다. 그마저도 분만실이 없어 출산은 안동시나 포항시에서 하는 실정이다.
10. 정치
wikitable
250px |
```
적은 인구로 인해 국회의원 선거구는 봉화군, 영양군, 울진군과 공유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청송군과 선거구를 공유한 적이 있었다.
11. 출신 인물
12. 성씨
다음의 성씨들이 현재의 영덕군 지역을 관향으로 하고 있다.
13. 자매 도시
서울특별시 송파구, 전라남도 해남군, 여수시, 대구광역시 동구, 후쿠이현 에치젠정, 북마리아나 제도 사이판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영덕대게축제(YeongdeokCrabFestival)
http://www.ydcrabfes[...]
2018-04-09
[3]
웹사이트
영덕대게축제(Yeongdeok King's Lab Festival)
http://korean.visitk[...]
2018-04-09
[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5]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8]
웹사이트
http://www.yd.go.kr/[...]
[9]
법률
郡条例第1293号
[10]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영덕(277)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11]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영덕(277)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12]
웹사이트
영덕문화관광
http://tour.yd.go.kr[...]
2020-03-23
[1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4]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5]
법률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1895-05-26
[16]
법률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1896-08-04
[17]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8]
법률
도령 제2호
1914-03-16
[19]
문서
당시 영덕면은 영덕읍과 강구면의 내륙부를 관할하였다.
[20]
문서
당시 오보면은 영덕읍과 강구면의 해안과 접한 부분을 관할하였다.
[21]
법률
도령 제83호
1933-10-06
[22]
법률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23]
법률
군 조례 제1147호
[24]
법률
군 조례 제1293호
[25]
웹사이트
영덕군의 지리
http://www.yd.go.kr/[...]
2011-07-28
[26]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영덕(277)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27]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영덕(277)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28]
웹인용
영덕군 주민등록인구 통계
https://web.archive.[...]
2011-07-29
[29]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30]
뉴스
상주~안동~영덕 잇는 고속도로 첫 삽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31]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32]
문서
특수학급 6명
[33]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34]
문서
특수학급 4명
[35]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36]
문서
특수학급 3명
[37]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38]
문서
특수학급 1명
[39]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40]
문서
특수학급 2명
[41]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42]
문서
특수학급 5명
[43]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44]
문서
특수학급 1명
[45]
문서
특수학급 2학급 포함
[46]
문서
특수학급 9명
[47]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48]
문서
특수학급 7명
[49]
문서
舊 영덕초등학교 기준
[50]
문서
영덕야성초등학교 교명 기준
[51]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52]
문서
특수학급 2명
[53]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54]
문서
특수학급 3명
[55]
문서
'영덕초등학교'라는 교명이 사라졌을 뿐, 현재 영덕야성초등학교로 존속되고는 있으나 일단은 명칭상 사라진 학교이므로 기재함.
[56]
문서
초·중·고교처럼 개교일자순이 아닌 가나다순으로 정렬함. 또한 현존하는 영덕군 관내의 유치원은 모두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임.
[57]
문서
주소가 있는 유치원은 사립 유치원임.
[58]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59]
문서
특수학급 4명
[60]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61]
문서
특수학급 2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