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민 계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민 계정은 가계, 기업, 정부 등 경제 주체의 생산, 지출, 소득 활동, 그리고 다른 국가와의 경제적 관계 및 순자산을 포괄적으로 보여주는 통계 시스템이다. 유량과 저량 개념을 모두 활용하며, GDP를 비롯한 다양한 집계 지표를 제공한다. 국민 계정은 명목 또는 실질 금액으로 표시되며, 인플레이션율, 경제 성장률 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주요 계정으로는 당좌 계정(생산, 소득, 지출), 자본 계정, 금융 계정, 대차대조표 등이 있으며, 무급 노동의 가치는 포함되지 않는다. 국민 계정은 세대 회계, 환경 회계 등과 같은 발전과 과제를 거치며, 삼면 등가의 원칙, 국내총생산(GDP), 국내총지출(GDE) 등의 용어를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민 계정 - 경상수지
    경상수지는 한 국가의 대외 거래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서, 상품 및 서비스 수출입, 해외 순소득, 순경상이전을 합산하여 계산되며, 흑자는 순대출, 적자는 순차입을 의미하고, 국제수지의 일부로서 순외자산 변화와 동일하며, 불균형은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 국민 계정 - 제1차 산업
    제1차 산업은 농업, 임업, 어업 등 자연에 직접 의존하는 산업 활동으로, 식량 및 원자재 공급, 환경 보전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국가별 분류 기준에 차이가 있고 세계적으로 GDP 및 고용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 속에서 지속 가능한 생산 및 일자리 창출이 과제로 남아있다.
  • 거시경제학 - 최저임금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과 소득 격차 완화 등을 목표로 법으로 정한 임금의 최저 수준을 의미하며, 고용 감소나 물가 상승 등의 논쟁이 있지만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 거시경제학 - 통화주의
    통화주의는 어빙 피셔의 화폐수량설에 기반하여 화폐 공급과 중앙은행의 역할을 강조하며, 화폐 공급 과잉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고 보는 거시경제학 이론이다.
  • 경제학에 관한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경제학에 관한 - 민간 부문
    민간 부문은 이윤 추구를 목표로 하는 경제 주체들로 이루어진 영역으로, 국가 경제 체제에 따라 비중과 역할이 다르며, 고용 창출의 원천이 되지만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여 국가의 규제를 받는다.
국민 계정
개요
정의한 나라의 경제 활동 결과를 종합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작성된 통계
목적경제 구조 분석
경제 정책 수립
국제 비교
역사
기원제2차 세계 대전 중 케인즈의 국민 소득 계산 연구
발전국제 연합 (UN)의 국민 계정 체계 (SNA) 개발
주요 계정
생산 계정국내 총생산 (GDP) 등 생산 활동 측정
소득 계정국민 총소득 (GNI) 등 소득 분배 측정
자본 계정투자, 저축 등 자본 흐름 측정
금융 계정금융 자산 및 부채 변동 측정
실물 자산 계정토지, 건물 등 실물 자산 변동 측정
측정 지표
국내 총생산 (GDP)일정 기간 동안 한 국가 내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 합계
국민 총소득 (GNI)한 나라의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 합계
국민 순소득 (NNI)국민 총소득에서 고정 자본 소모를 뺀 값
작성 기관 (대한민국)
주요 기관한국은행
관련 통계국민 소득 통계
관련 분야
관련 학문거시 경제학
관련 정책재정 정책 및 통화 정책

2. 국민 계정의 범위 및 주요 요소

국민 계정은 한 나라의 경제 주체인 가계, 기업, 정부의 생산, 지출, 소득 활동을 종합적으로 기록하며, 다른 나라와의 경제적 관계와 자산(순자산)의 변동까지 포괄한다.[1] 이는 특정 기간 동안의 경제 활동 흐름(유량)과 특정 시점의 경제 상태(저량)를 모두 보여주며, 두 측정값이 일치하도록 관리된다.[1] 국민 계정의 대표적인 지표로는 국내 총생산(GDP)이 있으며, 이는 소득이나 지출 등 다양한 기준으로 나누어 분석될 수 있다.[7][8][9][10]

국민 계정 통계는 통계 조사, 행정 기록, 인구 조사 자료, 규제 관련 데이터 등 다양한 출처의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다. 일반적으로 각국의 국가 통계청이나 중앙 은행이 이러한 자료를 취합하고 개념적 틀에 맞춰 조정하여 매년 또는 분기별로 발표한다.[13] 하지만 실제 작성 과정에서는 경제 현실과 회계 방법론 간의 차이, 다양한 출처에서 얻는 데이터의 품질 관리 문제, 그리고 무형 자산이나 금융 부문 서비스처럼 가치를 측정하기 어려운 항목들로 인해 통계의 정확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13]

최근에는 국민 계정의 범위를 확장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세대 회계는 사회 보험 등을 포함하여 정부 정책이 여러 세대에 걸쳐 미치는 재정적 부담을 분석하여 재정 정책의 지속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14] 또한, 환경 회계 또는 녹색 국민 계정은 기존 국민 계정에서 제대로 평가되지 못했던 환경 자산의 가치를 측정하고, 환경 파괴를 고려하여 경제 발전의 지속 가능성을 평가하려는 시도이다.[15] 이는 환경 자원의 중요성을 반영하고 보다 포괄적인 관점에서 경제 복지를 측정하기 위한 중요한 발전 방향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생활비 지수, 실업률, 노동력 참여율 등 국민 계정 통계에 직접 포함되지는 않지만 경제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다른 거시 경제 지표들도 널리 활용된다.[16] 때로는 국민 계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인 소비 지출 물가 지수나 GDP 갭(실제 GDP와 잠재 GDP 간의 차이) 같은 파생 지표를 추정하기도 한다.[17]

2. 1. 유량과 저량

국민 계정은 가계, 기업, 정부 등 경제 주체들의 생산, 지출, 소득 활동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며, 다른 국가 경제와의 관계 및 자산(순자산) 현황도 포함한다. 국민 계정은 특정 기간 동안의 경제 활동 흐름을 측정하는 유량(flow)과 특정 시점의 경제 상태를 나타내는 ''저량''(stock)을 모두 제시하며, 이 두 가지 측정값은 서로 일치하도록 관리된다.

  • 유량: 일정 기간(보통 1년 또는 분기) 동안 측정되는 경제 변수를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국민 소득 및 생산 계정이 있으며, 이는 국내 총생산(GDP)을 포함하여 해당 기간의 소득과 생산의 화폐 가치를 추정한다.
  • 저량: 특정 시점(주로 회계 기간 말)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경제 변수이다. '자본 계정'(capital account)은 대차대조표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한쪽에는 자산(토지 가치, 자본 스톡, 금융 자산 포함)을, 다른 한쪽에는 부채와 순자산을 기록하여 특정 시점의 재산 상태를 보여준다.


또한 국민 계정은 회계 기간 동안 발생한 자산, 부채, 순자산의 변화량도 측정하는데, 이는 자금 흐름 계정 또는 다시 자본 계정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1]

2. 2. 주요 계정

국민 계정 데이터 발표 방식은 국가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주요 국민 계정은 경제 전체와 주요 경제 주체에 대한 다음 계정들을 포함한다.

  • 당좌 계정:

::'''생산 계정'''은 국내 생산액과 해당 생산에 사용된 재화 및 서비스를 기록한다. 계정의 균형 항목인 부가가치는 경제 전체로 보면 국내 총생산(GDP)과 같다.

::'''소득 계정'''은 생산 활동으로 발생한 소득(예: 임금 및 급여)과 소득 분배 과정(주로 정부의 세금 징수와 사회 복지 지급을 통한 재분배)을 보여준다. 계정의 균형 항목은 가처분 소득이며, 경제 전체로는 "국민 소득"이 된다.

::'''지출 계정'''은 가처분 소득이 소비되거나 저축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이 계정의 균형 항목은 저축이다.

  • 자본 계정은 거래를 통해 순수하게 축적된 비금융 자산을 기록하고, 저축과 자본 이전을 통해 자금 조달 방식을 보여준다. 순 대출/차입은 이 계정의 균형 항목이다.
  • 금융 계정은 금융 자산의 순 취득과 부채의 순 발생을 보여준다. 이 계정의 잔액은 재정적 위치의 순 변화이다.
  • 대차대조표는 특정 시점의 금융 자산, 비금융 자산, 부채 규모를 기록한다. 순자산은 대차대조표의 잔액이다.


이러한 계정들은 고정 자본 소비(기업 회계의 감가상각과 유사한 개념)를 포함한 총액 또는 제외한 순액으로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국민 계정 시스템에는 중요한 요소인 무급 노동의 가치가 반영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이는 국내 총생산(GDP) 계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호주의 한 연구에 따르면, 계산되지 않는 무급 노동의 가치는 GDP의 약 50%에 달할 정도로 크기 때문에[18] 이를 제외하는 것은 상당한 의미를 가진다. GDP는 국민 계정 시스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19] 무급 노동의 누락은 국민 계정에 대한 왜곡된 시각을 초래할 수 있다. 국민 계정은 정부 정책 입안자들이 경제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 때문에,[20] 일부 분석가들은 국민 계정의 구성을 변경하거나 공공 정책 수립 방식을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1]

2. 3. 주요 지표

국민 계정에는 다양한 집계 지표가 있는데, 이 중 가장 널리 인용되는 것은 국내 총생산(GDP)이다.[7][8][9][10] GDP는 경제 활동의 총 규모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여러 방식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소득 측면에서 임금, 이윤 등으로 나누거나, 지출 측면에서 소비, 투자, 저축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7][8][9][10] 이러한 GDP와 그 구성 요소들은 거시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 중요한 경제 데이터로 활용된다.[7][8][9][10]

국민 계정의 지표들은 명목 금액 또는 실질 금액으로 표시될 수 있다. 명목 금액은 해당 시점의 시장 가격으로 계산된 값이며, 실질 금액은 기준 연도의 가격으로 환산하여 물가 변동의 영향을 제거한 값이다.[11] 따라서 실질 금액은 시간에 따른 생산량의 실제 변화를 파악하는 데 더 유용하다. 국민 생산량 데이터를 이용해 해당 경제의 물가 지수를 계산할 수도 있다.

또한, 물가 수준의 변화율인 인플레이션율과 실질 GDP의 변화율인 경제 성장률 역시 국민 계정에서 파생되는 중요한 거시 경제 지표이다. 경제 성장률은 보통 실질(불변 가격) 기준으로 측정되며, 국가 경제의 장기적인 성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국민 계정 데이터를 활용한 성장 회계 분석을 통해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생산 요소(노동, 자본 등) 투입 증가인지, 아니면 기술 변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인지를 구분하여 파악할 수도 있다.[12]

3. 국민 계정의 작성 방법 및 한계

국민 계정은 통계 조사, 행정 및 인구 조사 자료, 규제 관련 자료 등 다양한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이 자료들은 일정한 기준에 따라 통합하고 조정하여 작성된다. 주로 각 나라의 통계청이나 중앙은행에서 작성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며 보통 1년 단위 또는 분기 단위(덜 상세한 내용)로 발표된다.

하지만 국민 계정을 작성하는 데에는 몇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경제학과 회계학의 방법론 차이 때문에 정확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출처에서 얻는 자료의 품질을 엄격하게 관리하기 어렵다는 점, 그리고 무형 자산이나 은행 및 금융 부문의 서비스를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다는 점 등이 문제로 지적된다.[13]

4. 국민 계정의 발전과 과제

1980년대 이후 국민 계정 분야에서는 사회 및 환경 변화를 반영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들이 모색되었다. 이 중 대표적인 두 가지 발전 방향은 세대 회계와 환경 회계이다.[14][15]

세대 회계는 특정 연도의 세금 수입과 지출만을 비교하는 기존의 예산 적자 분석 방식의 한계를 넘어, 정부 재정 정책이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지를 평가하기 위해 고안되었다.[14] 이는 사회 보험, 사회 보장 제도 등과 같이 여러 세대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정책들이 미래 세대에 어느 정도의 세 부담을 지우는지, 또는 어떤 혜택을 주는지를 분석하는 방법이다.[14] 이를 통해 세대 간 재정 부담의 분배 문제를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환경 회계(녹색 국민 계정)는 전통적인 국민 계정에서 간과되었던 환경 자산의 가치를 평가하고, 환경 파괴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경제 활동의 지속 가능성을 측정하려는 접근법이다.[15]

4. 1. 환경 회계 (녹색 국민 계정)

1980년대 이후 국민 계정 분야에서는 새로운 접근법들이 등장했는데, 그중 하나가 환경 회계 또는 녹색 국민 계정이다.[15] 이는 기존의 국민 계정에서 제대로 다루지 못했던 환경 자산의 가치를 평가하려는 시도이다.[15]

일반적으로 숲, 깨끗한 물, 공기와 같은 환경 자산은 그 가치를 돈으로 환산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국민 계정의 자산 측정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았다.[15] 이는 결과적으로 환경 자산의 가치를 과소평가하거나 사실상 없는 것으로 취급하는 문제를 낳았다.[15] 환경 회계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었다.[15]

또한, 환경 회계는 환경 파괴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우리 사회의 복지 수준, 즉 국민들의 삶의 질이 미래에도 지속 가능한지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중요한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15] 즉, 경제 성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비용을 고려하여 보다 현실적인 경제 상황과 지속 가능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4. 2. 무급 노동의 가치 반영

국민 계정의 여러 구성 요소에서 특히 누락된 중요한 부분은 무급 노동이다.[18] 무급 노동의 가치는 앞서 언급된 국민 계정의 모든 범주에 포함되지 않으며, 국내 총생산(GDP)을 계산할 때도 마찬가지이다.[18] 호주에서 진행된 한 연구에 따르면, 이렇게 계산되지 않는 무급 노동의 가치는 GDP의 약 5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제외하는 것이 경제 전체를 이해하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18]

GDP는 국민 계정 시스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19] 무급 노동의 누락은 국민 계정에 대한 왜곡된 시각을 초래할 수 있다. 국민 계정은 정부 정책 입안자들이 경제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널리 사용되므로,[20] 이러한 왜곡은 정책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일부 분석가들은 무급 노동의 가치를 반영하기 위해 국민 계정의 구성을 변경하거나, 공공 정책 수립 과정에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도록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21]

5. 국민 계정 관련 용어 (한국)

국민 계정은 한 나라의 경제 활동 전반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분석하는 통계 체계이다. 경제 주체들의 생산, 소비, 투자, 소득 분배 등 다양한 경제 활동을 측정하고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민 계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핵심적인 용어와 개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대표적인 개념으로는 경제 활동을 생산, 지출, 분배 세 가지 측면에서 파악하며 이 세 값이 이론적으로 동일하다는 삼면 등가의 원칙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 나라의 경제 규모를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지표인 국내총생산(GDP)이 계산된다. GDP는 생산 측면뿐 아니라 지출 측면에서도 측정될 수 있으며, 지출 측면에서 파악한 것을 국내총지출(GDE)이라고 한다. 또한, 생산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본재의 가치 감소분을 제외한 순수한 생산량을 나타내는 국내 순생산(NDP)도 중요한 지표이다.

GDP 계산 시에는 시장에서 직접 거래되지 않지만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 예를 들어 자가 주택 소유자의 주거 서비스 소비를 추정하여 반영하는 귀속 임대료와 같은 개념도 사용된다. 경제 성장률 등을 계산할 때는 연쇄 지수 방식이 사용되며, 통계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기준 개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국 경제의 현황을 분석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5. 1. 삼면 등가의 원칙

한 국가의 경제 활동 규모는 생산, 지출, 분배의 세 가지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이 세 가지 측면에서 계산한 값은 이론적으로 반드시 동일하다. 이를 삼면 등가의 원칙이라고 부른다. 국내에서 생산된 재화나 서비스는 반드시 어떤 용도로 사용되어 생산과 동일한 액수의 지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생산 과정에서 발생한 부가가치는 모두 누군가에게 임금이나 이윤 등의 형태로 분배된다.

이 원칙에 따라 국내총생산(GDP)은 생산 활동 측면에서 보든, 가계의 소비나 기업의 투자 등 지출 측면에서 보든 동일한 액수가 된다. 따라서 국내총생산과 국내총지출(GDE)은 같아진다.

다만, 실제 통계에서는 생산 측면에서 추계한 값과 지출 측면에서 추계한 값 사이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차를 조정하기 위해 '통계상의 불일치'라는 항목을 두어 양쪽에서 추계한 GDP가 일치하도록 만든다.

참고로 일본의 국민 경제 계산에서는 2004년(헤이세이 16년) 확정 보고부터 국내총지출이라는 용어 대신 '국내총생산(지출 측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피용자 보수나 영업잉여·혼합소득 등 분배 측면에서 계산한 국내총생산은 '국내총생산(생산 측면)'으로 표기한다.

5. 2. 국내총생산(GDP)

국내총생산(GDP)은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부가가치의 합계를 의미한다.

한 국가의 경제 활동 규모는 생산, 지출, 분배의 세 가지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이 세 가지는 이론적으로 항상 동일하다. 이를 삼면 등가의 원칙이라고 부른다. 국내에서 생산된 재화나 서비스는 반드시 어떤 형태로든 사용되므로 생산과 동일한 금액의 지출이 발생한다. 또한 생산 과정에서 발생한 부가가치임금이나 이윤 등의 형태로 반드시 누군가에게 돌아가므로 분배와도 동일해진다. 따라서 국내총생산(GDP)은 생산 활동 측면에서 보든, 가계의 소비나 기업의 투자 등 지출 측면에서 보든 동일한 금액이 된다. 즉, 국내총생산(GDP)과 국내총지출(GDE)은 같다.

분배 측면에서 본 국내총생산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국내총생산 = 피용자 소득 + 영업잉여 + 고정 자본 소모 + (생산·수입세) - (보조금)


실제 통계에서는 자료 수집의 한계 등으로 인해 생산 측면에서 계산한 GDP와 지출 측면에서 계산한 GDP 사이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조정하기 위해 '통계상 불일치'라는 항목을 두어 양쪽의 값을 일치시킨다. 참고로 일본의 국민 경제 계산에서는 2004년 확정 보고부터 국내총지출이라는 용어 대신 '국내총생산(지출 측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분배 측면에서 계산된 GDP는 '국내총생산(생산 측면)'으로 표기된다.

국내총생산을 계산할 때는 시장에서 실제로 거래되지 않더라도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일부 활동을 포함하는데, 이를 귀속 계산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예로 귀속 임대료가 있다. 자가 주택 소유자는 실제로 임대료를 지불하지 않지만, 자신이 소유한 주택에서 주거 서비스를 소비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마치 자신에게 임대료를 지불하는 것처럼 추정하여 가계의 소비 지출과 소득에 포함한다. 만약 귀속 임대료를 계산하지 않으면, 세입자가 주택을 구매하여 자가 주택 소유자가 되는 경우 실제 소비 수준은 변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GDP가 감소하는 불합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농가가 시장에 판매하지 않고 직접 소비하는 농산물 역시 그 가치를 추정하여 GDP에 포함한다.

한편, 국내총생산에서 고정 자본 소모(감가상각)를 제외한 것을 국내 순생산(NDP)이라고 한다. 이는 생산 활동으로 인해 마모되거나 가치가 하락한 자본재의 가치를 제외한 순수한 생산량을 나타낸다.

자세한 내용은 국내총생산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5. 3. 국내 순생산(NDP)

국내총생산에서 고정 자본 감가상각을 제외한 것이다.

5. 4. 국내총지출(GDE)

국내에서 생산된 부가가치액이 가계 최종 소비, 정부 최종 소비, 자본 형성에 어느 정도 지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삼면 등가의 원칙에 따라 한 국가의 경제 활동 규모는 생산, 지출, 분배의 세 가지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론적으로 이 세 값은 동일하다. 즉, 국내에서 생산된 재화나 서비스는 반드시 어떤 용도로 사용되어 생산과 동일한 액수의 지출이 이루어지므로, 국내총생산(GDP)과 국내총지출(GDE)은 원칙적으로 같게 된다.

실제 통계에서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 생산 측면과 지출 측면의 추계치를 일치시키기 위해 통계상의 불일치라는 조정 항목을 사용한다. 일본의 국민 경제 계산에서는 2004년 이후 국내총지출이라는 표기 대신 '국내총생산(지출 측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국내총지출은 수요 측면에서 크게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국내총지출(GDE)의 주요 구성 항목
구분세부 항목
민간 최종 소비 지출가계 최종 소비 지출 (자가 주택의 귀속 임대료 포함)
+ 대가계 민간 비영리 단체 최종 소비 지출
정부 최종 소비 지출
총자본 형성민간 주택 투자
+ 민간 기업 설비 투자
+ 공공 고정 자본 형성
+ 민간 재고품 증가
+ 공공 재고품 증가
재화·서비스의 순수출재화·서비스의 수출
- 재화·서비스의 수입



민간 최종 소비 지출에는 가계 최종 소비 지출과 대가계 민간 비영리 단체 최종 소비 지출이 포함된다. 가계의 소비 행동을 파악할 때는 주로 가계 최종 소비 지출의 움직임을 살핀다. 가계 최종 소비 지출에는 자가 주택 소유자가 자신에게 임대료를 지불한다고 간주하는 귀속 임대료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실제 현금 지출이 아니므로 가계의 소비 의욕이나 소득 변동에 따른 소비 변화를 분석할 때는 귀속 임대료를 제외한 수치를 참고하기도 한다.

5. 5. 연쇄 지수

2004년 12월부터 도입된 방식으로, 매년의 신장률을 바탕으로 지표를 작성한다. 자세한 내용은 지수 항목을 참조할 수 있다.

5. 6. 귀속 임대료

세입자가 지불하는 임대료는 가계의 소비 지출에 포함되지만, 자가 주택 소유자의 경우 실제로 임대료 지불이 발생하지 않는다. 만약 자가 주택 소유자들이 서로 집을 빌려주는 상황을 가정하면, 실제 소비 생활 수준은 변하지 않았음에도 국내총생산(GDP)가 증가하는 불합리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민 계정에서는 자가 주택 소유자가 마치 자신에게 임대료를 지불하는 것처럼 간주하여, 해당 임대료 추정액을 가계의 소비 지출과 소득 양쪽에 포함시킨다. 이를 귀속 임대료라고 부른다. 이 방식을 통해 자가 주택 소유 여부에 따른 GDP 계산의 불일치를 방지한다.

또한, 농가가 시장에 출하하지 않고 자가 소비한 농산물도 그 가치를 추정하여 GDP에 가산된다.

일본의 경우, 과거 귀속 임대료 추정 방식의 적절성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며, 2005년 말, 2000년(헤이세이 12년) 기준으로 개정하면서 추정 방법이 개선된 바 있다.

5. 7. 기준 개정

국민 계정은 기초 자료가 되는 국세 조사나 산업 연관표 등이 5년에 한 번 공표되고, 소비자 물가 지수 등이 5년에 한 번 기준 개정을 하기 때문에, 이에 맞춰 5년마다 기초 자료를 교체하는 등 대폭적인 개정을 실시한다. 이러한 대폭적인 개정을 기준 개정이라고 부른다.

6. 일본의 국민 계정

일본은 2016년(헤이세이 28년) 7-9월기 2차 속보부터 2008 SNA에 기초한 지표로 개정했다.[26] 그 이전에는 1993년에 채택된 93SNA 기준을 사용했으며, 일본은 2000년(헤이세이 12년)에 이 기준을 도입하여 2016년 7-9월기 1차 속보까지 적용했다. 더 이전에는 68SNA, 그 전에는 53SNA 기준을 따랐다.

일본의 국민 계정은 국세조사를 비롯한 다양한 1차 통계와 통계학적 추계를 활용한 2차 통계이다. 이러한 통계 자료의 취합은 내각부에서 담당한다.
*공표 시기*

국민 경제 계산의 전체 체계는 해당 연도 종료 2년 후에 연보 형태로 발표된다. 하지만 최근의 경기 동향을 신속하게 파악하기 위해, 분기별 국내 총생산(GDP)을 별도로 추계하여 공표한다. 해당 분기가 종료된 후 약 1개월 반 뒤에 1차 속보치가 발표되고, 약 2개월 반 뒤에는 2차 속보치가 나온다.

매년 12월 중순에는 전년도 국내 총생산 확정치가 발표된다. 그러나 이후에도 새로운 통계 정보가 추가되거나 추계 방법이 변경되면 과거에 공표된 수치가 수정될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social accounting 1987
[2] 웹사이트 The System of National Accounts http://unstats.un.or[...]
[3] 간행물 accounting and economics http://www.dictionar[...]
[4] 서적 Social Accounting Matrices: A Basis for Planning World Bank 1985
[5] 서적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Macmillan 1936
[6] 논문 A Contribution to the Empirics of Economic Growth 1992
[7] 문서 JEL classification codes
[8]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 Behavioral Sciences 2001
[9] 서적 Understanding National Accounts http://www.oecdbooks[...] OECD 2006
[10] 서적 Understanding National Accounts - Lequiller François, Derek W. Blades - Google Boeken https://books.google[...] OECD 2006-01-01
[11] 논문 The Welfare Basis of Real Income Comparisons: A Survey https://www.jstor.or[...] 1979
[12] 간행물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2008
[13] 간행물 On the Accuracy of Economic Observations http://cowles.econ.y[...] 1963
[14] 웹사이트 Generational Accounting http://www.economist[...]
[15] 간행물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2008
[16] 간행물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2008
[17] 논문 Unemployment and Potential Output in the 1980s http://www.brookings[...] 1984
[18] 서적 Understanding national accounts OECD 2006
[19] 서적 Understanding national accounts OECD 2006
[20] 웹사이트 National Income Accounting and Public Policy http://www.gmu.edu/d[...]
[21] 웹사이트 National Accounts: A Practical Introduction http://unstats.un.or[...]
[22] 간행물 national accounting, history of http://www.dictionar[...] 2008
[23] 웹사이트 System of National Accounts 2008-2008 SNA http://unstats.un.or[...]
[24] 웹사이트 Economic theory http://www.bibliotek[...]
[25] 간행물 Studies in Income and Wealth http://www.nber.org/[...]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937-2010
[26] 웹사이트 国民経済計算の平成23年基準改定および2008SNA対応について https://www.esri.cao[...]
[27] 웹사이트 Government finance statistics http://epp.eurostat.[...]
[28] 웹사이트 OECD Glossary of Statistical Terms https://stats.oecd.o[...] OECD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