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노동자협회 (192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노동자협회(IWA)는 1922년 베를린에서 결성된 아나코 생디칼리즘을 주요 이념으로 하는 국제 노동 단체이다. 중앙집권주의, 정당, 의회주의, 국가주의를 거부하며, 노동자들의 직접 행동을 통한 사회 변화를 추구한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와의 결별을 통해 결성되었으며, 스페인의 전국노동연맹(CNT) 등 여러 단체가 참여했다. IWA는 반군국주의를 표방하고, 폭력에 대한 정당방위를 인정하며,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대안을 제시했다. 1930년대에 정부의 탄압으로 쇠퇴했으나, 20세기 후반부터 활동을 재개했으며, 2016년 내부 갈등으로 인해 주요 회원 단체가 탈퇴하여 국제노동연맹(ICL-CIT)을 결성했다. 2020년 기준 IWA는 1,000명 미만의 회원을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노동자협회 - 제네바 회의
    제네바 회의는 1866년 국제 노동자 협회의 제1차 총회로, 8시간 노동제를 요구하는 결정을 내려 노동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국제노동자협회 - 전국노동총연맹
    전국노동총연맹은 1910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창립된 아나키즘-생디칼리즘 노동조합으로, 억압적인 정부 기관에 속하지 않은 모든 이에게 개방되어 노동 해방과 상호 부조를 추구하며 아나키스트 공산주의 사회를 목표로 하고, 스페인 내전 당시 자치적인 사회 운영을 시도했으나 프랑코 정권 하에서 탄압받았고 민주화 이후 노동총연맹과 분열되었으며 현재는 국제노동연맹의 회원으로 활동한다.
  • 생디칼리스트 조직 -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은 멕시코 치아파스 주에서 활동하는 원주민 무장단체로, 1994년 무장봉기를 통해 멕시코 정부의 불평등에 저항하며 토지 개혁과 자치권을 요구하고, 대안세계화 운동과 연계하여 비폭력적 저항과 정치적 운동을 지속하고 있다.
  • 생디칼리스트 조직 - 일본 아나키스트 연맹
    일본 아나키스트 연맹은 1946년 설립되어 '반권력', '무지배'를 기치로 활동하며 전후 일본 아나키즘 운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으나, 이념적 분열과 정치적 좌절로 1969년 해산한 아나코-생디칼리즘 계열의 단체이다.
  • 아나르코생디칼리슴 -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은 멕시코 치아파스 주에서 활동하는 원주민 무장단체로, 1994년 무장봉기를 통해 멕시코 정부의 불평등에 저항하며 토지 개혁과 자치권을 요구하고, 대안세계화 운동과 연계하여 비폭력적 저항과 정치적 운동을 지속하고 있다.
  • 아나르코생디칼리슴 - 전국노동총연맹
    전국노동총연맹은 1910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창립된 아나키즘-생디칼리즘 노동조합으로, 억압적인 정부 기관에 속하지 않은 모든 이에게 개방되어 노동 해방과 상호 부조를 추구하며 아나키스트 공산주의 사회를 목표로 하고, 스페인 내전 당시 자치적인 사회 운영을 시도했으나 프랑코 정권 하에서 탄압받았고 민주화 이후 노동총연맹과 분열되었으며 현재는 국제노동연맹의 회원으로 활동한다.
국제노동자협회 (1922년)
기본 정보
IWA (AIT) 로고
IWA (AIT) 로고
전체 이름국제 노동자 협회
원어 이름아소시아시온 인테르나시오날 데 로스 트라바하도레스
원어 이름 (언어)독일어
본부바르샤바, 폴란드 타르고바 22/27 a, 03-731
창립일1922년 12월
웹사이트IWA/AIT 공식 웹사이트
정치
이념아나르코생디칼리슴

2. 이념

국제노동자협회(IWA)는 아나코 생디칼리즘을 주요 이념으로 삼고 있다. IWA는 중앙집권주의, 정당, 의회주의, 국가주의를 명시적으로 거부한다. 사회 변화를 위해 노동자들의 직접 행동을 중요하게 여기며, 파업, 보이콧, 사보타주 등의 투쟁 방식을 활용한다. IWA 규약에 따르면, 직접 행동은 사회 혁명의 전주곡이 되는 총파업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3]

2. 1. 볼셰비즘과의 관계

중앙집권주의, 정당, 의회주의, 국가주의를 명시적으로 거부하는 국제노동자협회(IWA)는 프롤레타리아 독재 개념 또한 거부한다. 이는 미하일 바쿠닌이 "가장 열렬한 혁명가에게 절대 권력을 부여하면 1년 안에 그가 차르보다 더 나빠질 것이다."라고 주장한 것과 같이, 권력 집중이 필연적으로 부패로 이어진다는 아나키즘적 비판에 기반한다.[2]

대신, IWA는 노동자들이 직접 행동을 통해 사회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믿으며, 이를 위한 조직화에 중점을 둔다. IWA 규약은 노동계급의 경제적, 혁명적 조직만이 자유지상 공산주의를 기반으로 사회를 재조직하고 해방을 가져올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명시한다.[3]

3. 역사



국제노동자협회(IWA)는 1922년 베를린에서 여러 국가의 아나코 생디칼리스트 노동조합 대표들이 모여 창립한 국제적인 노동조합 연맹이다. IWA는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권위주의적 통치 방식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며, 중앙집권주의, 정당, 의회주의, 국가주의를 명시적으로 거부했다. 미하일 바쿠닌의 경고처럼, IWA는 프롤레타리아 독재 개념도 수용하지 않고, 노동자들의 직접 행동을 통한 사회 변화를 추구했다.[2][3]

1922년 12월 창립 당시 IWA는 100만 명 이상의 노동자를 대표했으며,[6] 주요 참여 조직은 다음과 같다.

조직명국가조합원 수
이탈리아 생디칼리스트 연합(USI)이탈리아500,000명
아르헨티나 지역 노동자 연맹(FORA)아르헨티나200,000명
노동총연맹(CGT)포르투갈150,000명
독일 자유 노동자 연합(FAUD)독일120,000명
생디칼리즘 방어 위원회(CDS)프랑스100,000명
스웨덴 노동자 중앙 조직(SAC)스웨덴32,000명
노동자 총연맹(CGT)멕시코30,000명
전국 노동 사무국(NAS)네덜란드22,500명
세계산업노동자연맹(IWW)칠레20,000명
노르웨이 생디칼리스트 연맹(NSF)노르웨이20,000명
생디칼리스트 선전 연합덴마크600명



스페인의 전국노동연맹(CNT)은 대표자 체포로 창립 회의에 불참했지만, 이듬해 IWA에 가입하여 60만 명의 회원을 추가했다.[6]

이후 IWA는 각국 정부의 탄압과 제2차 세계 대전 등의 영향으로 쇠퇴하였다. 아르헨티나, 포르투갈, 페루, 브라질, 콜롬비아, 일본, 쿠바, 불가리아, 파라과이, 볼리비아 등지에서 아나코생디칼리즘 노동조합이 파괴되었고, 1930년대 말에는 칠레, 볼리비아, 스웨덴, 우루과이에만 합법적인 노동조합이 남았다.[1]

2016년에는 주요 조직이었던 CNT(스페인), USI(이탈리아), FAU(독일)이 IWA에서 축출되었고, 이들은 2018년 새로운 국제 조직인 '''국제노동연맹'''(ICL-CIT)을 설립했다.[11] 2020년까지 IWA의 회원은 1,000명 미만으로 줄어들었다.[11]

3. 1. 제1 인터내셔널과 아나코 생디칼리즘 (1864–1917)

제1 인터내셔널(국제 노동자 협회; IWMA)은 좌익, 사회주의, 공산주의[5], 아나키스트 정치 단체와 노동 조합을 결집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이들은 노동 계급과 계급 투쟁에 기반을 두었다.

이 분열은 특히 아나키스트 생테미에 국제 (1872~1881)와 블랙 인터내셔널 (1881~1887)을 포함하여 구체적으로 아나키스트 인터내셔널을 시작하려는 여러 시도를 촉발했다. 그러나 파리 코뮌에 대한 프랑스의 강력한 탄압, 스페인과 이탈리아에서의 탄압, 아나키스트 운동 내 행위 선전의 부상, 유럽 좌익에서 사회 민주주의의 지배적인 흐름 등으로 인해 20세기 초까지 본격적인 아나코-생디칼리즘 인터내셔널 설립 움직임은 시작되지 못했다.[1][6]

3. 2. 볼셰비즘 거부와 IWA 창립 (1918–1922)

러시아 혁명의 성공은 전 세계적으로 생디칼리즘 운동이 부흥하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에서는 세계산업노동자연맹(IWW)의 투쟁, 라틴 아메리카 전역의 대규모 아나키스트 노동조합 창설, 독일,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에서의 대규모 생디칼리즘 주도 파업 등이 이러한 흐름을 보여준다.[1]

그러나 국제노동자협회(IWA)는 볼셰비키권위주의적인 통치 방식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미하일 바쿠닌은 "가장 열렬한 혁명가에게 절대 권력을 부여하면 1년 안에 그가 차르보다 더 나빠질 것이다."라고 경고한 바 있다.[2] IWA는 중앙집권주의, 정당, 의회주의, 국가주의를 명시적으로 거부하며, 프롤레타리아 독재 개념도 수용하지 않았다. 대신 노동자들의 직접 행동 능력을 통해 사회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3]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22년 12월 베를린에서 열린 불법 회의에서 여러 국가의 아나코 생디칼리스트 노동조합 대표들이 모여 국제노동자협회(IWA)를 창립했다.[1] 창립 당시 IWA는 100만 명 이상의 노동자를 대표했다.[6]

창립 당시 참여한 주요 조직은 다음과 같다:

조직명국가조합원 수
이탈리아 생디칼리스트 연합(USI)이탈리아500,000명
아르헨티나 지역 노동자 연맹(FORA)아르헨티나200,000명
노동총연맹(CGT)포르투갈150,000명
독일 자유 노동자 연합(FAUD)독일120,000명
생디칼리즘 방어 위원회(CDS)프랑스100,000명
스웨덴 노동자 중앙 조직(SAC)스웨덴32,000명
노동자 총연맹(CGT)멕시코30,000명
전국 노동 사무국(NAS)네덜란드22,500명
세계산업노동자연맹(IWW)칠레20,000명
노르웨이 생디칼리스트 연맹(NSF)노르웨이20,000명
생디칼리스트 선전 연합덴마크600명



스페인의 전국노동연맹(CNT)은 대표자들이 체포되어 창립 회의에 참석하지 못했지만, 이듬해 IWA에 가입하여 60만 명의 회원을 추가했다.[6] 미국의 IWW는 IWA 가입을 고려했으나, 종교 및 정치적 소속에 대한 정책을 이유로 1936년에 가입을 거부했다.[8]

3. 3. 쇠퇴와 탄압 (1923–1939)

1915년, 아르헨티나의 FORA은 IWA에 가입할 즈음 친 볼셰비키 파와 반 볼셰비키 파로 분열되면서 쇠퇴하기 시작했다. 1922년부터 아나키스트 운동은 세베리노 디 지오반니 사건을 중심으로 분열되어 대부분의 회원을 잃었고, 1930년 호세 펠릭스 우리부루 장군의 군사 쿠데타로 붕괴되었다.[9]

포르투갈의 CGT는 1927년 신임 포르투갈 대통령 고메스 다 코스타를 무너뜨리려는 시도가 실패하고 총파업으로 이어져 거의 100명이 사망한 후 지하로 숨어들었다. 1934년 1월까지 15,000~20,000명의 회원을 유지하며 지하에서 활동하다가 노동조합을 기업으로 대체하려는 계획에 반대하여 혁명적인 총파업을 벌였으나 실패했다. 제2차 세계 대전까지 매우 축소된 상태로 활동을 이어갈 수 있었지만, 효과적인 투쟁 연합으로서의 역할은 사실상 끝났다.

페루, 브라질, 콜롬비아, 일본, 쿠바, 불가리아, 파라과이, 볼리비아 등지에서 정부의 대대적인 탄압으로 아나코생디칼리즘 노동조합이 파괴되었다. 1930년대 말까지 합법적인 아나코생디칼리즘 노동조합은 칠레, 볼리비아, 스웨덴, 우루과이에만 존재했다.[1]

3. 4. 최근 동향 (1940–)

1958년 제10차 대회에서 SAC는 압력에 대한 대응으로 다른 국제 조직과 충돌을 빚었다. SAC는 지방 선거에 출마할 수 있도록 단체의 정관을 수정하려는 시도가 실패하고, 실업 수당 분배와 관련하여 국가와의 통합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면서 IWA에서 탈퇴했다.[4]

2000년대 초, 슬로바키아에서 Priama akcia|프리아마 악치아sk(Direct Action|직접 행동영어)라는 조직이 설립되어 IWA의 슬로바키아 지부가 되었다. 이 단체는 ''Žerme bohatých'' (Eat the Rich|부자를 먹어 치우자영어)라는 저널을 발행하여 슬로바키아와 세계 각지에서 벌어지는 파업과 노동조합 투쟁에 대해 보도했다.[10]

21세기 들어 IWA는 내부 위기를 겪었다. 이 과정은 2016년에 CNT(스페인), USI(이탈리아), FAU(독일)의 축출로 절정에 달했는데, 이들은 IWA 활동 회원 중 80~90%를 차지했다. 2018년, IWA에서 축출된 단체들은 새로운 국제 조직인 '''국제노동연맹'''(''Confederación Internacional del Trabajo''; ICL-CIT)을 설립했다.[11] CNT, USI 및 FAU와 함께, 이 조직에 가입한 다른 단체로는 IWW의 북미 지역 관리부, FORA(아르헨티나), ESE(그리스), IP(폴란드) 등이 있었다.[12] ICL-CIT는 창립 당시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에 걸쳐 1만 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반면, 2020년까지 IWA의 회원은 1,000명 미만의 활동 회원으로 줄어들었고, 대부분 유럽에 위치해 있었다.[11]

4. 같이 보기


  • 아나코 생디칼리즘
  • 생 이마 국제 무정부주의자 동맹
  • 국제 노동자 연합
  • 국제 무정부주의 연맹

참조

[1] 간행물 Anarcho-syndicalism in the 20th Century http://libcom.org/fi[...] 2009
[2] 서적 Anarchism: From Theory to Practice Monthly Review Press 1970
[3] 웹사이트 The Statutes of Revolutionary Unionism (IWA) http://www.iwa-ait.o[...] IWA 2022-12-09
[4] 서적 Black Flame 2009
[5] 문서 Dictionary of politics: selected American and foreign political and legal terms https://archive.org/[...] Brunswick Publishing Corp 1992
[6] 서적 Anarchism and Anarcho-Syndicalism 1960
[7] 서적 The Workers Themselves 1989
[8] 서적 IWW: Its First 70 Years, 1905-1975 1976
[9] 논문 The Uniqueness of Anarchism in Argentina 1997
[10] 논문 Places of Revolt: Geographical References in the Slovak Anarchist Press Around the Turn of the Millennium https://www.forumhis[...]
[1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oci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Founding of a New International https://freedomnews.[...] 2018-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