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르는 라틴어 '카이사르'에서 유래한 칭호로, 로마 황제, 동로마 황제, 슬라브족 군주 등이 사용했다. 슬라브어권에서는 '바실레우스'를 차르로 번역하면서 '왕'과 '황제'의 이중적 의미를 갖게 되었고, 각 언어별로 차르의 의미가 다르게 사용되었다. 불가리아의 시메온 1세가 최초로 차르 칭호를 사용했으며, 세르비아와 러시아에서도 차르 칭호가 사용되었다. 러시아에서는 1547년 이반 4세가 정식으로 대관하면서 차르국 시대를 열었고, 표트르 1세가 '임페라토르' 칭호를 사용하면서 황제 칭호가 차르를 대체했다. 현대에는 권위 있는 직책이나 독재적 권력을 가진 인물을 비유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차르 | |
---|---|
어원 | |
어원 | 고대 슬라브어 'cěsarь'에서 유래, 이는 카이사르를 의미 |
칭호 및 의미 | |
의미 | 일부 슬라브 국가에서 군주를 지칭하는 칭호 |
기원 | 로마 황제의 칭호인 '카이사르'에서 유래 |
사용 국가 | 불가리아 세르비아 러시아 |
역사적 맥락 | |
불가리아 | 최초 사용: 시메온 1세 사용 기간: 913년경 - 1018년, 1185년 - 1396년 |
세르비아 | 최초 사용: 스테판 두샨 사용 기간: 1346년 - 1371년 |
러시아 | 최초 사용: 이반 4세 (이반 뇌제) 공식 칭호 변경: 표트르 1세 (표트르 대제)가 '임페라토르'로 변경 |
기타 | 여성형: '차리차' 어원적 관련성: 독일어 '카이저'와 어원적으로 동일 |
로마자 표기 | |
로마자 표기 | Tsar (차르) |
2. 어원
차르라는 말은 라틴어 카이사르(Caesarla)가 어원이다.[32] 로마 황제는 카이사르, 임페라토르(Imperatorla), (동로마에서) 바실레우스(basileusla) 등 다양한 칭호를 가졌고, 각기 맥락에 따라 다르게 쓰였다. 본래 그리스어권에서 "바실레우스"는 전제적 통치자(potentate)를 의미하는 것으로, 헬레니즘 시대까지는 대략 "왕"에 해당했다. 그러다 로마 제국이 그리스권을 흡수하면서 그리스어에서는 로마 황제를 바실레우스라고 부르게 되었고, 동로마 황제를 바실레우스라고 부를 때는 "황제"를 의미하게 된다. 그리스에서 바실레우스는 오로지 동로마 황제만을 지칭했고, 서유럽의 왕들은 렉스(rexla, ῥήξgrc)라고 불렀으며 그 외의 군주들은 "지도자"라는 뜻의 아르콘(archonla, ἄρχωνgrc)이라고 불렀다.
슬라브어족 언어들에서 그리스어 문헌들을 번역하면서 "바실레우스"를 "차르"라고 번역했고, "왕"이자 동시에 "황제"인 이중 의미가 고대 교회슬라브어에도 그대로 들어왔다. 그렇기 때문에 슬라브어에서 "차르"란 라틴어 "임페라토르(동로마 황제)"를 의미하면서 동시에 황제가 아닌 성경 속의 왕들이나 고대의 왕들을 의미하는 말이 된다. 교회슬라브어 주기도문을 살펴보면 그런 점을 알 수 있다.
키릴 문자 | 로마자 전사 | 한국어(개역한글판) |
---|---|---|
705년 동로마 황제 유스티니아노스 2세가 불가르인의 군주 테르벨에게 카이사르 칭호를 내렸지만, 테르벨과 그 이후 불가르인 군주들은 카나수비기를 칭호로 사용했다. 보리스 1세를 "차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이는 보리스 1세가 기독교로 개종했음을 찬양하는 뜻이었고 실제로는 차르로 불린 적이 없다. 최초로 "차르" 및 그리스어 "바실레오스"를 칭호로 사용한 것은 시메온 1세다.
이 애매함은 슬라브어가 여러 언어로 분화, 발전하면서 더욱 복잡해졌다. 동슬라브어, 즉 불가리아어와 러시아어에서는 더 이상 "차르"를 "황제"라는 뜻으로 사용하지 않으며, "왕"이라는 뜻으로만 사용한다. 성경 속의 왕들이나 고대의 군주들, 동화나 옛날 이야기 등의 가공의 왕들을 "차르"라고 부른다. 한편 서유럽의 왕(라틴어 렉스와 게르만어 코눙그의 후신)들은 Король|코롤ru, Крал|크랄bg이라고 따로 부른다. 그리고 황제는 "임페라토르(императорru)"라고 한다.
반면 남슬라브어(세르보크로아트어,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에서는 황제를 "차르"라고 하며, 왕은 "크라리"(''kralj'', краљ, король)라고 한다. 그런데 성경 속의 왕들은 세르비아어에서는 "차르(цар)"라고 하고, 크로아티아어에서는 "크라리"라고 한다.
서슬라브어와 슬로베니아어는 오랫동안 독일의 영향을 받아서 작위 체계도 거의 게르만화되었다. 이들 언어에서는 왕은 "코눙그"에 어원을 둔 králcs, kráľsk, królpl, kraljsl라고 부르고, 황제는 "카이사르"에 어원을 둔 císařcs, cisársk, cesarzpl, cesarsl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독일어의 "쾨니히(Königde)"와 "카이저(Kaiserde)"의 관계와 완벽히 같다. 한편 폴란드어에서는 동시에 "차르"를 황제, 특히 표트르 1세 이후의 러시아 황제들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한다.
3. 각국의 사례
925년 직후 교황이 불가리아에 사절을 보내 시메온의 황제 대관을 인정해 주었다는 설이 있는데, 불가르인과 크로아트인의 분쟁을 소강시키거나 불가르인을 서방 로마 교회에 끌어들일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서였다. 1199년-1204년 불가르 군주 칼로얀은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게 보내는 서한에서 스스로를 "불가르인과 블라크인의 황제(Imperator Bulgarorum et Blachorumla)"라고 칭했지만, 교황은 답서에 일관되게 그를 "불가르인의 왕(regesla)"이라고 불렀다.
이후 동로마 전통을 따라서 불가르 군주는 전제자(autokrator)를 칭호에 더했다. 시메온 이후 모든 불가르인 군주들은 1422년 오스만 제국이 불가리아 정복을 완료할 때까지 "전(全)불가르인과 그리스인의 황제이며 전제자"를 공식 칭호로 삼았다. 5세기 가량 지속된 오스만의 불가리아 지배 당시 불가리아에서는 오스만 술탄을 "차르"라고 불렀다.
1878년 불가리아가 독립한 직후 군주들은 처음에는 크냐즈(공작) 작위를 사용하다가, 1908년 완전 독립하면서 페르디난드 1세가 "차르"를 칭했고 1946년까지 군주 칭호가 "차르"로 유지된다. 하지만 이 시기 불가리아 차르는 대내외적으로 "황제"로 인정받지 못했고 국가도 불가리아 왕국이라고 불렸다.
키예프 루스는 벨리키 크냐지를 군주 호칭으로 사용했지만, 야로슬라프 1세 때 잠시 "차르"라고 불렸는데, 이는 키예프 루스가 동로마 제국과 전쟁을 벌인 것과 관계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야로슬라프 1세 이외에는 "차르"라는 칭호를 사용한 적이 없었다.[36] 제4차 십자군에 의해 콘스탄티노플이 함락되고 몽골 제국이 루스인들을 정복한 이후, 루스인 공작들을 지배하는 몽골 왕족들을 "차르"라고 부르기도 했다.
세르비아에서 "차르"를 칭한 군주는 스테판 우로슈 4세 두샨과 슈테판 우로슈 5세 두 명뿐이었으며, 그 이전에는 왕(크라리)이 군주 칭호였다. 1345년 스테판 우로슈 4세 두샨이 "세르브인과 그리스인의 차르"를 칭하고 1346년 부활절 스코페에서 대관했다. 1355년 두샨이 죽자 아들 슈테판 우로슈 5세가 즉위했으나, 두샨의 남동생 시메온 우로슈가 반란을 일으켰다. 시메온이 1370년경 죽자 아들 요반 우로슈가 제위 요구를 계속하다가 1373년 포기하고 수도원으로 들어갔다. 1371년 네마니치조가 단절되면서 제위도 자연히 소멸되었다. 이후 오스만 제국이 5세기 가량 세르비아를 지배하면서 불가리아에서와 마찬가지로 오스만 술탄이 차르라고 불렸다.
금장 칸국의 지배를 처음으로 거부한 류리크 왕조의 미하일 야로슬라비치가 "루스인의 바실레우스"를 칭했다.[37] 이후 모스크바 대공국 이반 3세가 동로마 제국을 처가 쪽으로 계승한다고 주장하며 서방으로 보내는 외교 문서에 "차르"를 칭하기 시작했다. 바실리 3세가 교황 클레멘스 7세에게 보낸 서한에서는 "차르"라고 했는데, 지기스문트 폰 헤르베르슈타인은 이것을 각각 라틴어와 독일어로 "임페라토르", "카이저"라고 번역했다.[38]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이후 정교회의 적통을 이어받은 "제3로마"가 되려 하는 러시아의 야심과 관련된 것이었다. 1514년 신성로마황제 막시밀리안 1세가 모스크바 대공을 왕으로 인정해 주었다.[39][40][41] "전 러시아인의 차르"라는 작위명으로 정식 대관한 최초의 군주는 이반 4세다.
동란 시대에 보리스 차르가 죽고 폴란드군이 모스크바를 점령하자, 1610년 폴란드 국왕 지그문트 3세 바사가 자기 아들 브와디스와프 4세 바사가 차르로 선출되도록 압력을 넣었다.
표트르 1세는 러시아 차르국을 러시아 제국으로 출범시키고 군주 칭호 역시 "차르" 대신 라틴어 어원의 "임페라토르"로 교체했다. 하지만 "차르" 칭호는 그 뒤로도 일상적으로 사용되었다. 러시아 제국에 흡수된 국가들에 대해서 러시아 황제는 그 국가의 "차르"임을 공식적으로 칭했다. 18세기가 되면 "차르" 칭호는 "황제" 칭호보다 열등한 것으로, 또는 "황제"의 동양적 특성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여겨졌다.[45] 1815년 폴란드 분할로 폴란드 영토의 거의 대부분이 러시아로 넘어가자, 러시아는 동군연합인 폴란드 입헌왕국의 군주로서 러시아 황제는 "폴란드 차르"를 칭했다.[46]
차르의 칭호는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로마노프 왕조가 멸망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니콜라이 2세가 마지막 차르였다.
3. 1. 불가리아
705년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2세는 불가리아의 테르벨에게 "카이사르"(καῖσαρ|카이사르el)라는 칭호를 부여했는데, 이는 이 칭호를 받은 최초의 외국인이었지만 그의 후손들은 불가르 칭호 "카나수비기"를 계속 사용했다. 성인 보리스 1세는 때때로 차르로 회고되는데, 이는 그의 시대에 불가리아의 기독교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차르"라는 칭호(및 그에 상응하는 비잔틴 그리스어 "바실레우스")는 실제로 그의 아들 시메온 1세가 91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에 의해 수행된 임시 황제 대관식 이후 처음으로 채택하고 사용했다.[33] 비잔틴 제국이 이 주요 외교적 양보를 철회하려 시도하고 10년간의 격렬한 전쟁을 치른 후, 불가리아 통치자의 황제 칭호는 924년 비잔틴 정부에 의해 인정되었고 927년 평화 조약 공식 체결 시 다시 인정되었다. 비잔틴 정치 이론에서는 동부와 서부(고대 로마 제국 말기처럼) 단 두 명의 황제만 존재했기 때문에, 불가리아 통치자는 비잔틴 "바실레우스"의 "영적인 아들"로서 "바실레우스"로 즉위했다.[33]
925년 또는 그 직후 불가리아에 파견된 교황 사절단이 불가리아-크로아티아 분쟁 해결을 위한 양보 또는 불가리아를 로마와의 재결합을 시도하기 위해 시메온의 칭호를 인정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1199–1204년 불가리아 통치자 칼로얀과 교황 인노첸시오 3세 사이에서 진행된 외교 서신에서, 칼로얀—자칭 라틴어 칭호는 "불가로룸과 블라호룸의 임페라토르"—은 시메온 1세, 그의 아들 페테르 1세, 그리고 사무일의 황제 왕관이 교황청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교황은 그의 답변에서 불가리아의 ''레게스''(왕)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결국 칼로얀에게 그보다 낮은 칭호를 부여했으며, 칼로얀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에게 수여된 "황제 칭호"에 대해 교황에게 감사를 표했다.[34]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시메온 1세가 동로마의 수도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했을 때(침입은 실패), 평화 조건 중 하나로 "황제" 칭호를 얻은 데서 유래되었다.[28] 시메온은 "불가리아인과 로마인의 황제"라고 칭하며 동로마 황제의 자리를 빼앗으려 했지만 이루지 못했다.
제2차 불가리아 제국, 불가리아 왕국에서도 군주의 칭호로 "차르"가 계속 사용되었다.
1878년 불가리아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해방된 후, 새로운 군주들은 처음에는 "자치 공"(크냐즈)이었다. 불가리아의 페르디난트 1세는 1908년에 완전 독립을 선언하고 전통적인 칭호인 "차르"를 채택했으며, 이는 1946년 군주제가 폐지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칭호는 더 이상 일반적으로 "황제"와 동등한 것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불가리아어와 그리스어 방언에서 칭호의 의미가 바뀌었지만,[35]( 파이시우스의 ''슬라브-불가리아 역사'' (1760–1762)는 여전히 두 개념을 구분했다).
3. 2. 키예프 루스
야로슬라프 1세 때에 잠시 "차르"라고 불렸는데, 이는 당시 키예프 루스가 동로마 제국과 전쟁을 벌인 것과 관계가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야로슬라프 1세 이외에는 "차르"라는 칭호를 사용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36] 제4차 십자군에 의해 콘스탄티노플이 함락당하고 몽골 제국이 루스인들을 정복(1240년)한 이후 루스인 공작들을 지배하는 몽골 왕족들을 "차르"라고 부르기도 했다.
"차르"라는 칭호는 키예프 루스의 성직자들이 야로슬라프 현명공의 명명에서 한 번 사용했다. 이는 야로슬라프의 비잔티움과의 전쟁과 콘스탄티노폴리스로부터 거리를 두려는 그의 노력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키예프 루스의 다른 공들은 스스로를 차르라고 칭하지 않았다.[11] 골든 호드의 칸과 공개적으로 결별한 최초의 러시아 통치자인 트베리 공국의 트베르의 미하일은 "바실레우스 톤 로스"[12]와 "차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13]
11세기의 야로슬라프 1세에게서 최초로 차르 칭호가 확인되나, 이는 자칭이 아니라 그렇게 불렸다는 것이 알려져 있을 뿐이다. 그 후, 성 보리스와 글렙, 무스티슬라프 대공과 그의 아들 이자슬라프, 무스티슬라프 대공의 손자인 로만 등이 차르 칭호를 부여받은 것으로 연대기에 나타난다.[29] 그러나, 이들이 동시대의 동로마 황제나 신성 로마 황제와 같은 지위를 원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이 칭호는 성직자가 공(公)에게 사용하는 동로마 풍의 미사여구 중 하나였다.
몽골의 루스 침공 시대(몽골 제국)에는 카라코룸의 대칸, 사라이에 군림하는 조치 울루스의 칸을 가리켜 "차르"라고 칭하는 용례가 나타난다. 이 시기, 동로마가 "멸망" (십자군에 의한 콘스탄티노플 함락으로 1261년에 부활할 때까지 동로마에 차르가 존재하지 않았다)했다고 이해된 것도 이에 영향을 주었다. 부활 후에는 동로마 황제에게도 이 칭호는 계속 사용되었고, 루스에서는 2명의 인물이 차르라고 불렸다. 루스 제후들에게는 트베리 공국의 미하일 야로슬라비치, 볼히니아 공국의 블라디미르, 할리치 공국의 로만 므스티슬라비치를 제외하고는 거의 차르 칭호가 사용되지 않았다.
당시의 차르의 이미지는 공식적인 군주호가 아닌 미사여구 중 하나가 아니라, 자신보다 상위에 지배자를 가지지 않은 군주에게 부여된 칭호였다. 『이파티예프 연대기』에서는 "다니일 로마노비치의 아버지(로만)는 차르다"라고 하면서, 다니일이 타타르에게 무릎을 꿇고 자신은 타타르의 종복이라고 칸 앞에서 말한 것을 이유로 차르의 명예에 값하지 않는다고 기록되어 있다.
칸이 존재했던 시기에는 기본적으로 칸만이 차르라고 불렸다. 그 후, 칸국 국가의 약화가 이 사용법에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3. 3. 세르비아
세르비아에서 "차르" 칭호를 사용한 군주는 스테판 우로슈 4세 두샨과 슈테판 우로슈 5세 두 명뿐이었으며, 그 이전에는 왕(크라리)이 군주 칭호였다. 1345년 스테판 우로슈 4세 두샨이 "세르브인과 그리스인의 차르"를 칭하고, 1346년 부활절(4월 16일) 스코페에서 세르비아 총대주교, 불가리아 총대주교, 오흐리드 대주교의 공동 집전으로 대관식을 거행했다. 두샨은 아내 옐레나를 황후, 아들 스테판 우로슈를 왕으로 즉위시켰다. 1355년 두샨이 사망하자 아들 슈테판 우로슈 5세가 즉위했으나, 두샨의 남동생 시메온 우로슈가 이에 반발하여 제위를 주장했다. 시메온이 1370년경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요반 우로슈가 제위 요구를 이어갔으나 1373년 포기하고 수도원으로 들어갔다.
1371년 네마니치조가 단절되면서 제위는 자연스럽게 소멸되었다. 왕위는 마케도니아의 세르브인 군주 부카신 므르냐브체비치가 보존했다. 그 외에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 요반 네나드 체르니, 슈체판 말리 등이 차르를 참칭했지만 모두 인정받지 못했다.
이후 오스만 제국이 5세기 가량 세르비아를 지배하면서, 오스만 술탄이 차르라고 불리기도 했다.
3. 4. 러시아
금장 칸국의 지배를 처음으로 거부한 류리크 왕조의 군주 미하일 야로슬라비치가 "루스인의 바실레우스"를 칭했다.[37] 이후 모스크바 대공 이반 3세가 동로마 제국을 처가 쪽으로 계승한다고 주장하며 서방으로 보내는 외교 문서에 "차르"를 칭하기 시작했다. 1480년경부터 이반 3세는 자신을 라틴어로 "카이사르"라고 했고, 스웨덴에게는 "케위세르(keyser)", 덴마크와 독일기사단, 한자동맹에게는 "케이세르(kejser)"라고 했다. 이반 3세의 아들 바실리 3세도 이런 칭호를 유지했다. 바실리 3세가 교황 클레멘스 7세에게 보낸 서한에서는 "차르"라고 했는데, 지기스문트 폰 헤르베르슈타인은 이것을 각각 라틴어와 독일어로 "임페라토르", "카이저"라고 번역했다.[38]
이것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이후 정교회의 적통을 이어받은 "제3로마"가 되려 하는 러시아의 야심과 관련된 것이었다. 1514년 신성로마황제 막시밀리안 1세가 모스크바 대공을 왕으로 인정해 주었다.[39][40][41] 하지만 "전 러시아인의 차르"라는 작위명으로 정식 대관한 최초의 군주는 이반 4세다.
동란 시대에 보리스 차르가 죽고 폴란드군이 모스크바를 점령, 1610년 폴란드 국왕 지그문트 3세 바사가 자기 아들 브와디스와프 4세 바사가 차르로 선출되도록 압력을 넣었다.
표트르 1세는 러시아 차르국을 러시아 제국으로 출범시키고 군주 칭호 역시 "차르" 대신 라틴어 어원의 "임페라토르"로 교체했다. 하지만 "차르" 칭호는 그 뒤로도 일상적으로 사용되었다. 러시아 제국에 흡수된 국가들(타타르 칸국이나 조지아 정교왕국 등)에 대해서 러시아 황제는 그 국가의 "차르"임을 공식적으로 칭했다. 18세기가 되면 "차르" 칭호는 "황제" 칭호보다 열등한 것으로, 또는 "황제"의 동양적 특성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여겨졌다.[45] 1815년 폴란드 분할로 폴란드 영토의 거의 대부분이 러시아로 넘어오자, 러시아는 폴란드의 왕 크롤(Król)과 동급의 작위로서 "차르"를 사용하여, 러시아 제국과 동군연합인 폴란드 입헌왕국의 군주로서 러시아 황제는 "폴란드 차르"를 칭했다.[46] 당시 폴란드 입헌왕국의 현지 명칭은 폴란드어로는 폴란드 크롤국(Królestwo Polskie), 러시아어로는 "폴란드 차르국(Царство Польское)"이었다.[47]
차르의 칭호는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로마노프 왕조가 멸망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니콜라이 2세가 마지막 차르였다.
3. 4. 1. 러시아 제국 주권자의 공식 칭호
제정 폐지 직전,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의 공식 칭호는 다음과 같았다.[23]3. 4. 2. 러시아 황실 종친 작위
4. 현대적 용례
재벌과 같은 많은 고귀한 칭호와 마찬가지로, 차르(tsar) 또는 czar는 1866년 이후(미국 대통령 앤드루 존슨을 지칭)부터 높은 권위를 가진 직책에 대한 은유로 영어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독재적인 권력과 스타일을 연상시킨다. 이는 "전제군주"가 러시아 황제의 공식 칭호였기 때문에 적절하다(비공식적으로 '차르'라고 불림). 이와 유사하게, 미국 하원 의장 토머스 브래킷 리드는 1880년대와 1890년대에 미국 하원을 독재적으로 통제하여 "차르 리드"라고 불렸다.
미국과 영국에서 "czar"라는 칭호는 특정 고위 공무원을 지칭하는 구어체 용어이다. 예를 들어 "마약 차르"는 국립 마약 통제 정책국 국장(마약 거물과 혼동하지 말 것)을, "테러 차르"는 테러 정책에 대한 대통령 고문을, "사이버 보안 차르"는 컴퓨터 보안 및 정보 보안 정책에 대한 최고위 국토안보부 관계자를, "전쟁 차르"는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감독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국 정부의 차르는 일반적으로 행정부 내의 차관급 고문을 의미한다. 이 용어의 가장 초창기 사용 사례 중 하나는 1919년 블랙삭스 스캔들로 스포츠가 더럽혀진 후 스포츠를 정화하기 위해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받은 야구 커미셔너로 임명된 판사 케네소 마운틴 랜디스였다.[24]
제정 해소 후에도, 러시아 국내외에서는 강대한 권한을 가진 구 소련 및 러시아 연방의 정치 지도자들에게 "차르"라는 문학적 형용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인물 외에도, 두드러지게 거대한 물건을 "차르·○○(○○의 "왕")"의 애칭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이 경우, 민화에서의 "차르"의 용례에 따라, "황제"가 아닌 "왕"으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다). 유명한 것으로는 크렘린에 전시되어 있는 거대한 대포 차르 푸시카, 거대한 종 차르 콜로콜, 소련이 개발한 사상 최대의 핵폭탄 차르 봄바가 있다.
참조
[1]
서적
Word and Power in Mediaeval Bulgaria
Brill
[2]
서적
The Russian Empire and Grand Duchy of Muscov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ittsburgh
[3]
서적
Ivan the Terribl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4]
서적
Politics and Culture in Eighteenth-Century Russi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earch.eb.com[...]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09-07-12
[6]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7]
서적
Encyclopedia of Political Communication
Sage
[8]
서적
Самуилова држава
Београд
[9]
서적
Innocentii pp. III epistolae ad Bulgariae historiam spectantes
Sofia
[10]
서적
Речник на блъгарский язик
[11]
서적
Remarques sur la valeur du terme "czar" appliqué aux princes russes avant le milieu du 15e siècle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Royal and Republican Sovereignty in Early Modern Europe: Essays in Memory of Ragnhild Hatt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10-02
[13]
서적
"Reges" et "Regnum Russiae" au moyen âge
Bruxelles
[14]
서적
Succession to the Throne in Early Modern Russia: The Transfer of Power 1450–1725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10-02
[15]
문서
Den Titel aines Khaisers, wiewol Er alle seine Brief nur Reissisch schreibt, darinn Er sich Czar nent, so schickht Er gemaincklich Lateinische Copeyen darmit oder darinn, und an stat des Czar setzen sy Imperator, den wir Teutsch Khaiser nennen
[16]
서적
Muscovy and the Mongols: Cross-Cultural Influences on the Steppe Frontier, 1304–1589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Use of Titles in Herberstein's "Commentarii". Was the Muscovite Tsar a King or an Emperor?
Harrassowitz Verlag
[18]
문서
Et ainsi retiennent le nom de Zar comme plus autentique, duquel nom il pleut iadis à Dieu d'honorer David, Salomon et autres regnans sur la maison de Iuda et Israel, disent-ils, et que ces mots ''Tsisar'' et ''Krol'' n'est que invention humaine, lequel nom quelqu'un s'est acquis par beaux faits d'armes
[19]
서적
The Present State of Russia, in a Letter to a Friend at London. Written by an Eminent Person residing at Great Tzars Court at Mosco for the space of nine years
London
[20]
서적
Царь и император: помазание на трон и семантика монарших титулов
Языки русской культуры
[21]
웹사이트
The Brockhaus and Efron Encyclopedia entry on Tsar
http://www.cultinfo.[...]
2006-07-27
[22]
서적
Transnational Histories of the 'Royal N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3-10-02
[23]
서적
First Blood The Russian Revolution of 1905
Macmillan
[24]
뉴스
Close, But No Big Czar
http://www.reason.co[...]
Reason magazine
2000-12-18
[25]
문서
ラテン文字表記の例
[26]
문서
ツァー
[27]
문서
カイサル
[28]
문서
バシレウス
[29]
문서
個別の例
[30]
서적
世界歴史大系 ロシア史1
山川出版社
[31]
문서
モスクワ大公国、モスクワ国家、モスクワ皇国、ロシア皇国、ロシア帝国
[32]
웹인용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33]
서적
Самуилова држава
Београд
[34]
서적
Innocentii pp. III epistolae ad Bulgariae historiam spectantes
Sofia
[35]
서적
Речник на блъгарский язик
[36]
서적
Remarques sur la valeur du terme "czar" appliqué aux princes russes avant le milieu du 15e siècle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37]
서적
"Reges" et "Regnum Russiae" au moyen âge
Bruxelles
1966
[38]
문서
"Den Titel aines Khaisers, wiewol Er alle seine Brief nur Reissisch schreibt, darinn Er sich Czar nent, so schickht Er gemaincklich Lateinische Copeyen darmit oder darinn, und an stat des Czar setzen sy Imperator, den wir Teutsch Khaiser nennen"
[39]
서적
Muscovy and the Mongols: Cross-Cultural Influences on the Steppe Frontier, 1304-158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40]
서적
The Use of Titles in Herberstein's "Commentarii". Was the Muscovite Tsar a King or an Emperor?
Harrassowitz Verlag
2002
[41]
문서
"Kayser vnnd Herscher aller Rewssen und Groszfürste zu Wolodimer" and "Imperator et Dominator universorum Rhutenorum et Magnus Princeps Valadomerorum"
[42]
문서
"Et ainsi retiennent le nom de Zar comme plus autentique, duquel nom il pleut iadis à Dieu d'honorer David, Salomon et autres regnans sur la maison de Iuda et Israel, disent-ils, et que ces mots ''Tsisar'' et ''Krol'' n'est que invention humaine, lequel nom quelqu'un s'est acquis par beaux faits d'armes"
[43]
서적
The Present State of Russia, in a Letter to a Friend at London. Written by an Eminent Person residing at Great Tzars Court at Mosco for the space of nine years
London
1671
[44]
웹사이트
Wladyslaw IV Vasa - biography - king of Poland
http://www.britannic[...]
[45]
서적
Царь и император: помазание на трон и семантика монарших титулов
Языки русской культуры
2000
[46]
웹인용
The Brockhaus and Efron Encyclopedia entry on Tsar
http://www.cultinfo.[...]
2006-07-27
[47]
웹인용
The Brockhaus and Efron Encyclopedia entry on The Kingdom of Poland
http://www.cultinfo.[...]
2006-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