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ASA)는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의 과학 협력을 통해 설립된 국제 연구 기관이다. 1972년 런던에서 10개국 대표의 헌장 서명으로 시작되었으며, 냉전 이후에는 글로벌 문제 해결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50개국에서 온 500명에 가까운 연구자들이 기후 변화, 에너지, 식량 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과학 외교를 통해 국제적 신뢰 구축에도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후 변화 단체 - 피스보트
    피스보트는 1983년 일본 역사 교과서 논쟁에 대응하여 설립된 비영리 국제 민간단체로, 크루즈 운항과 평화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평화 증진과 국제 교류에 기여하며 논란과 비판도 존재한다.
  • 기후 변화 단체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1988년에 공동 설립한 정부간 기구로서, 독자적인 연구 없이 기존 과학 논문들을 평가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평가보고서와 특별보고서를 통해 기후변화의 위험, 영향, 완화 및 적응 방안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며,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등 국제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쳐 200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 환경경제학 - 녹색 성장
    녹색 성장은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추구하며 경제-생태계 분리 개념을 포함하는 전략으로,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경제 회복 및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채택되었으나, 실현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비판도 있다.
  • 환경경제학 - 인간 개발 지수
    인간 개발 지수(HDI)는 국제 연합 개발 계획에서 발표하는 지표로, 출생 시 기대 수명, 교육 수준, 1인당 국민 총소득을 종합하여 국가의 사회 경제적 발전을 측정하며,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
개요
명칭국제 응용 시스템 분석 연구소
로마자 표기Gukje Eungyong Siseutem Bunseok Yeonguso
약칭IIASA
유형국제 비정부 기구
설립일1972년
본부 위치락센부르크, 오스트리아
좌표48.068272, 16.358171
웹사이트국제 응용 시스템 분석 연구소 공식 웹사이트
조직
주요 조직국가 및 지역 회원 조직
대표대통령 (직책)
사용 언어영어
기타
비고인용 필요
광고성 문구 포함

2. 역사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ASA)는 1972년 런던왕립학회에서 소련, 미국 등 12개국 대표가 서명한 헌장에 의해 설립되었다.[7] 이는 미국 대통령 린든 B. 존슨소련의 수상 알렉세이 코시긴이 추진한 6년간의 노력의 결과였다. IIASA는 냉전의 분열을 넘어 과학 협력을 통해 다리를 놓고, 증가하는 지구적 문제에 대처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8] 1973년 6월에 첫 번째 과학자가 IIASA에 도착했다.[9]

IIASA는 국제적인 다학제 팀을 구성하여 글로벌 과제에 대처했다. 1980년대 IIASA의 화학자, 생물학자, 경제학자 팀이 수행한 수질 오염 연구는 일본, 미국, 구소련에서 현대적인 수질 정책 설계의 기초가 되고 있다.[10] IIASA의 이러한 접근 방식은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등에서 널리 모방되고 있다.

1990년대 냉전 종식 이후, 연구소는 동서 화해에서 일반적인 글로벌 문제로 임무를 확대했다. 오늘날 IIASA는 다양한 과학적 역량을 결합하여 정책 문제에 대한 과학 기반 통찰력을 제공한다.[11]

2. 1. 냉전 시대의 역할

1972년 10월 4일 런던왕립학회에서 소련, 미국 및 동서 양 진영 10개국 대표들이 서명한 헌장에 의해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ASA)가 설립되었다.[7] 이는 미국 대통령 린든 B. 존슨소련 수상 알렉세이 코시긴이 추진한 6년간 노력의 결실이었다. IIASA는 냉전의 분열을 넘어 과학 협력을 통해 가교를 놓고, 진정으로 국제적인 규모로 증가하는 지구적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8] 1973년 6월, 첫 번째 과학자들이 IIASA에 도착했다.[9]

IIASA는 오래된 문제와 새롭게 떠오르는 무수한 글로벌 과제에 대처하기 위해 국제적인 다학제 팀을 구성했다. 예를 들어, 1980년대 IIASA의 화학자, 생물학자, 경제학자 팀이 수행한 수질 오염 연구는 오늘날 일본, 미국, 구소련에서 현대적인 수질 정책 설계의 기초가 되고 있다.[10]

다양한 국적과 분야의 전문가를 모아 공동의 목표를 향해 협력하는 IIASA의 접근 방식은 현재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와 국제 지구-생물권 프로그램 등에서 널리 모방되고 있다.

2. 2. 냉전 이후의 변화

1990년대 냉전 종식 이후,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는 동서 화해라는 초점에서 벗어나 일반적인 글로벌 문제로 임무를 확대했다. 오늘날 IIASA는 다양한 과학적 역량을 결합하여, 글로벌 변화에 대한 국제 및 국가적 논쟁에서 중요한 정책 문제에 대한 과학 기반 통찰력을 제공한다.[11]

3. 조직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ASA)는 현재 50개국에서 온 500명에 가까운 연구자들이 함께 일하고 있다. IIASA의 국제적이고 학제간 네트워크에는 직원, 동문, 회원, 협력자, 외교 파트너 및 방문 연구원이 포함된다.

3. 1. 지도부

한스 요아힘 "존" 셸른후버는 현재 IIASA 사무총장이며,[1] 볼프강 루츠는 연구소의 임시 과학 부사무총장을 맡고 있다.[2] 역대 소장으로는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및 하버드 케네디 스쿨 교수인 하워드 레이파, 제록스의 전 전략 부사장 로저 레비엔,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공동 연구 센터, 이탈리아 이스프라의 전 소장인 린 호르다이크, 남캘리포니아 대학교 교수인 데트 로프 폰 빈터펠트 등이 있다.[3]

3. 2. 회원국 및 재정

IIASA는 회원국 과학 단체의 자금 지원을 받는 비정부 기구이며, 오스트리아, 브라질, 중국, 이집트, 핀란드, 독일, 인도, 이란, 이스라엘, 일본, 대한민국, 노르웨이, 러시아, 슬로바키아, 스웨덴, 우크라이나, 영국, 미국, 베트남이 이에 해당한다.[4] 2022년, IIASA는 IIASA 연구 및 역량 강화 활동 참여에 대한 지역적 접근 방식의 일환으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 회원 기구(SSARMO)를 통해 회원 범위를 확대했다.[5] SSARMO에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과학 지원 위원회 이니셔티브(SGCI)에 참여하는 17개 아프리카 국가 (보츠와나, 부르키나파소, 코트디부아르, 에티오피아, 가나, 케냐, 말라위, 모잠비크, 나미비아, 나이지리아, 르완다, 세네갈, 남아프리카 공화국, 탄자니아, 우간다, 잠비아, 짐바브웨)가 포함된다. 연구소에 대한 자금은 정부, 국제기구, 학계, 기업 및 개인으로부터의 계약, 보조금 및 기부를 통해 조달된다.[6] 연구는 독립적이며 회원국의 정치적 또는 국가적 사리사욕에 의해 제약되지 않는다.

4. 주요 연구 분야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ASA)는 인류 복지 증진과 환경 보호를 위해 응용 시스템 분석을 활용하여 세계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 정책 입안자에게 과학적 지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또한 과학 외교를 증진하고, 과학이 국가 간 신뢰 구축 및 외교 정책 지원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1]

IIASA가 작성한 과학 외교에 관한 비엔나 성명서는 반기문 제8대 UN 사무총장 겸 반기문 글로벌 시민 센터 공동 의장, 타르야 할로넨 핀란드 공화국 제11대 대통령 겸 UN 사무총장 중재에 관한 고위 자문 위원회 위원 등 학계 및 정책 입안계의 저명 인사 200명 가까이의 지지를 받았다.[1] 이 문서는 인류 전체의 이익을 위해 국가 간의 더욱 강력한 관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국제 과학 협력에 대한 새로운 세계적 약속을 옹호한다.

2021년, IIASA는 지속 가능성을 위한 변화를 지원하기 위해 시스템 과학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새로운 전략을 시작했다.[1]

4. 1. 연구 프로그램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ASA) 2021-2030 전략은 연구소를 현재, 새롭게 부상하는, 그리고 새로운 글로벌 지속 가능성 과제, 위협, 기회에 대한 통합 시스템 솔루션과 정책적 통찰력을 제공하는 주요 기관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연구, 영향력 강화, 실행이라는 세 개의 통합된 기둥을 결합한다.[1]

이 전략을 지원하기 위해 연구소는 연구소 전체의 과학적 작업을 통합하고 글로벌 시스템을 탐색함에 따라 연구소를 강화하기 위해 재설계된 연구 구조를 구현했다. 새로운 구조는 우선순위가 변경됨에 따라 그룹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는 옵션과 함께, 6개의 연구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두 개의 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프로그램은 다시 연구 그룹으로 나뉜다. 연구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1]

  • 시스템 분석 발전
  • 생물 다양성 및 천연 자원
  • 경제적 개척지
  • 에너지, 기후 및 환경
  • 인구 및 공정한 사회
  • 전략적 이니셔티브

5. 주요 프로젝트 및 성과

IIASA는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적인 협력 연구를 통해 지구촌 문제 해결에 기여해 왔다. 주요 프로젝트 및 성과는 다음과 같다.


  • 기후 변화: IIASA 과학자 10명은 2007년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한 IPCC 제4차 평가 보고서 작성에 참여했으며,[13] IPCC 제5차 평가 보고서 및 IPCC 제6차 평가 보고서 작성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14]
  • 대기 오염: 2006년 IIASA는 온실가스-대기오염 상호작용 및 시너지(GAINS)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대기 오염 방지 정책 효과를 평가하는 데 활용되며, 2019년 중국 정부에 의해 공식 채택되었다.[15]
  • 기타 연구: IIASA는 북극의 미래, 식량 및 토지 이용, 물-에너지-토지 통합 관리,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 유럽 및 유라시아 경제 통합 연구: IIASA는 유럽 및 유라시아 지역의 경제 통합 관련 과제와 기회를 분석하고, 관련 정책 제언을 담은 보고서를 발간하여 이해 관계자 간의 대화를 촉진하는 플랫폼 역할을 수행했다.
  • 인구 및 인적 자본: 2010년부터 비트겐슈타인 인구 및 글로벌 인적 자본 센터의 주요 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다.[16]
  • 글로벌 에너지: 2012년에는 전 세계 500명 이상의 전문가가 참여한 글로벌 에너지 평가 보고서를 발표하여 에너지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제공했다.

5. 1. 기후 변화 연구

IIASA(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의 과학자 10명은 IPCC 제4차 평가 보고서의 저자 중 한 명이었으며, IPCC는 2007년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했다. IIASA 연구원들은 IPCC 제5차 평가 보고서와 IPCC 제6차 평가 보고서에도 주요 기여자이다.[13][14]

2006년에는 대기 오염 방지 전략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온실가스-대기오염 상호작용 및 시너지(GAINS) 모델이 출시되었다. 중국 정부는 2019년에 이 모델을 공식 채택하여 대기 질 관리를 강화했다.[15]

IIASA는 북극 미래 이니셔티브(AFI)를 통해 북극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한 보고서를 발간했고, Food and Land Use (FOLU) 연합의 핵심 멤버로서 식량 안보, 생물 다양성 손실 중단, 생태계 서비스 복원, 기후 변화 및 환경 오염 완화를 위한 솔루션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환경 기금 및 UN 산업 개발 기구와의 협력 프로젝트인 물, 에너지 및 토지 통합 솔루션(ISWEL) 프로젝트를 통해 인더스 강 및 잠베지 강 유역의 자원 관리 도구를 개발했다.

IIASA는 지속 가능한 개발 솔루션 네트워크(SDSN)와 함께 식량, 농업, 토지 이용, 생물 다양성 및 에너지(FABLE) 컨소시엄을 통해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SDGs) 및 파리 협정 달성을 위한 분석 도구 개발에 힘쓰고 있다.

IIASA의 글로벌 에너지 평가는 2012년에 발표되었으며, 에너지 관련 문제에 대한 분석을 제공한다. 이 평가는 지속 가능한 개발, 빈곤 퇴치, 기후 변화 완화, 건강, 에너지 안보 및 에너지 접근성을 포함한다.

5. 2. 대기 오염 관리 모델 개발

IPCC 제4차 평가 보고서 저자 중 한 명이자 2007년 노벨 평화상 공동 수상에 기여한[13] IIASA(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 과학자 10명은 IPCC 제5차 평가 보고서의 제2실무그룹과 제3실무그룹, IPCC 제6차 평가 보고서의 제1, 2, 3실무그룹에도 주요 기여자로 참여했다.[14]

2006년 출시된 온실가스-대기오염 상호작용 및 시너지(GAINS) 모델은 미세 입자 및 지표면 오존과 같은 대기 오염 방지를 위한 비용 효율적인 대응 전략 평가에 사용되는 RAINS 모델의 확장판이다. 2019년 중국 정부는 이 모델을 공식 채택하여 국가 대기 질 관리를 강화했다.[15]

5. 3. 북극 미래 이니셔티브 (AFI)

IIASA가 주도하는 북극 미래 이니셔티브(AFI)는 핀란드 외무부와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북극 행위자들이 인간적 차원, 거버넌스, 국제 협력, 환경 보호, 오염, 기후 변화, 안보, 안전, 경제, 관광, 인프라, 과학 및 교육과 관련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고려한 보고서를 발간했다.[13]

5. 4. 식량 및 토지 이용 연합 (FOLU)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ASA)는 학계,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이해 관계자들을 모아 식량 안보, 건강하고 저렴한 식단 제공, 생물 다양성 손실 중단, 생태계 서비스 복원 및 보호, 기후 변화 및 환경 오염 완화를 위한 해결책을 찾고 발전시키는 식량 및 토지 이용 연합(FOLU)의 핵심 구성원이다.

5. 5. 물, 에너지 및 토지 통합 솔루션 (ISWEL)

글로벌 환경 기금 및 UN 산업 개발 기구와의 파트너십으로 진행된 물, 에너지 및 토지 통합 솔루션(ISWEL) 프로젝트는 인더스 강 및 잠베지 강 유역의 물, 에너지, 토지 자원의 통합 관리를 위한 도구와 역량을 개발했다.

5. 6. FABLE 컨소시엄

IIASA는 지속 가능한 개발 솔루션 네트워크(SDSN)와 함께 지식 플랫폼인 식량, 농업, 토지 이용, 생물 다양성 및 에너지(FABLE) 컨소시엄을 시작했다. FABLE은 20개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의 연구 및 정책 팀을 모아 개발 경로가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및 파리 협정 등과 함께 국가적 열망을 충족할 수 있는 능력을 분석하기 위해 분석 도구 및 모델 기반 의사 결정 지원을 발전시킨다.

5. 7. 유럽 및 유라시아 경제 통합 연구

IIASA의 유럽 및 유라시아 공간 내 경제 통합을 위한 과제 및 기회 프로젝트는 주요 이해 관계자들이 증거 기반 대화에 참여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했다. 2018년 이 프로젝트는 여러 중요한 분야에서 분석 및 권고 사항을 담은 세 개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첫 번째 보고서는 해당 지역의 제품 표준 및 기술 규정을 비교했으며, 유라시아 경제 연합이 이전에 인식했던 것보다 국제 표준을 더 완벽하게 채택했음을 밝혔다. 외국인 직접 투자에 대한 두 번째 보고서는 유럽 연합과 러시아 간의 자본 흐름이 감소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세 번째 보고서는 유라시아 횡단 육상 운송 회랑을 살펴보고, 유럽과 아시아 간의 무역을 증진하려면 증가된 수용력, 인프라 병목 현상 제거, 규제 환경 조화, 관련 투자 증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5. 8. 비트겐슈타인 인구 및 글로벌 인적 자본 센터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ASA)는 2007년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한 IPCC 제4차 평가 보고서에 과학자 10명이 저자로 참여했고,[13] IPCC 제5차 평가 보고서의 제2실무그룹과 제3실무그룹, IPCC 제6차 평가 보고서의 제1, 2, 3실무그룹에 주요 기여자로 참여했다.[14]

2010년부터 IIASA는 비트겐슈타인 인구 및 글로벌 인적 자본 센터의 세 "기둥 기관" 중 하나이다.[16]

5. 9. 글로벌 에너지 평가 (GEA)

2012년에 IIASA의 글로벌 에너지 평가가 발표되었다. 이 평가는 500명 이상의 저자, 분석가 및 검토자가 참여한 협력적 연구 결과이며, 독립적이고 과학적이며 정책 관련성이 높은 분석을 제공한다. 글로벌 에너지 평가는 지속 가능한 개발, 빈곤 퇴치, 기후 변화 완화, 건강, 에너지 안보 및 에너지 접근성을 포함한 에너지 관련 문제를 분석한다.

6. 과학 외교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ASA)는 응용 시스템 분석을 통해 세계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 정책 입안자에게 과학적 지침을 제공하여 인류의 복지를 증진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소는 과학 외교를 증진하고, 과학이 국가 간 신뢰 구축과 외교 정책 지원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장려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1]

IIASA는 2021년에 지속 가능성을 위한 변화를 지원하기 위해 시스템 과학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새로운 전략을 시작했다. IIASA 2021-2030 전략은 연구, 영향력 강화, 실행이라는 세 가지 통합된 기둥을 결합하여 연구소를 글로벌 지속 가능성 과제, 위협, 기회에 대한 통합 시스템 솔루션과 정책적 통찰력을 제공하는 주요 기관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한다.

IIASA는 연구소 전체의 과학적 작업을 통합하고 연구소를 강화하기 위해 재설계된 연구 구조를 구현했다. 새로운 구조는 6개의 연구 프로그램(시스템 분석 발전, 생물 다양성 및 천연 자원, 경제적 개척지, 에너지, 기후 및 환경, 인구 및 공정한 사회, 전략적 이니셔티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프로그램은 다시 연구 그룹으로 나뉜다.

6. 1. 비엔나 성명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ASA)가 작성한 과학 외교에 관한 비엔나 성명서는 인류 전체의 이익을 위해 국가 간의 더 강력한 관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국제 과학 협력에 대한 새로운 세계적 약속을 옹호하는 문서이다.[1] 반기문 제8대 UN 사무총장 겸 반기문 글로벌 시민 센터 공동 의장과 타르야 할로넨 핀란드 공화국 제11대 대통령 겸 UN 사무총장 중재에 관한 고위 자문 위원회 위원 등 학계 및 정책 입안계의 저명 인사 200명 가까이 이 성명서를 지지하였다.[1]

참조

[1] 웹사이트 Hans Joachim (John) Schellnhuber appointed as IIASA Director General https://iiasa.ac.at/[...]
[2] 웹사이트 Interim IIASA Deputy Director General for Science appointed https://iiasa.ac.at/[...] 2022-10-31
[3] 웹사이트 Dr. Roger E. Levien http://en.www.mcu.es[...] 2022-03-19
[4] 웹사이트 Full List of Members https://iiasa.ac.at/[...] 2023-12-11
[5] 웹사이트 IIASA welcomes its first regional member organization https://iiasa.ac.at/[...] 2023-12-11
[6] 문서 IIASA Funding
[7] 웹사이트 Profile of IISA appended to summary of "Energy in a Finite World" (1981) http://www.iiasa.ac.[...]
[8] 간행물 Scientific Cooperation as a Bridge Across the Cold War Divide: The Case of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Applied Systems Analysis (IIASA) 1 Wiley
[9] 서적 Energy in a Finite World http://www.iiasa.ac.[...]
[10] 보고서 Modeling and Managing Shallow Lake Eutrophication: An overview of an IIASA book on the Lake Balaton Case Study https://pure.iiasa.a[...] EXECUTIVE REPORT 10 1986-03
[11] 웹사이트 History of IIASA - History https://iiasa.ac.at/[...] 2020-12-04
[12] 웹사이트 IIASA Research Plan 2021–2024 (HIGHLIGHTS) https://iiasa.ac.at/[...]
[13] 웹사이트 Climate Change 2013/2014: Fifth Assessment Report - 5th Assessment Report https://iiasa.ac.at/[...] 2020-12-04
[14] 웹사이트 Climate Change 2021/2022: IPCC Sixth Assessment Report https://iiasa.ac.at/[...] 2021-03-17
[15] 웹사이트 The GAINS Model https://iiasa.ac.at/[...] 2021-03-17
[16] 웹사이트 Wittgenstein Centre 5-year Report http://www.wittgenst[...] 2020-1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