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군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포역은 1905년 군포장역으로 개업하여 1938년 현재의 군포역으로 개칭된 역으로, 경부선 전철화와 함께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되고 있다. 역사는 여러 차례 신축되었으며, 현재는 2면 6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1974년 수도권 전철 개통과 함께 여객 업무를 시작했으며, 1980년 화물 취급 중지, 1999년 일반 열차 정차 중지, 2014년 무배치 간이역으로 격하되는 등의 변화를 겪었다.

역사
개업일1905년 1월 1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1974년 8월 15일
운영
관리역수원역
역 등급3급
역 종류무배치간이역 (의왕역 관리)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위치
좌표37°21′13″N 126°56′55″E
주소경기도 군포시 군포역1길 35
지도
통계
일일 승객14,328명 (2012년 기준)
2010년 승차 인원7,567명
이미지
image fileQ137221 Gunpo A01.jpg
image caption역명판
역 정보
역 번호P150
역 이름군포역
다른 이름(지샘병원)
원어 이름군포(軍浦)
한자 표기軍浦驛
로마자 표기Gunpo-yeok
이미지2
image fileGunpo Stn. Platform.jpg
image caption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노선 정보
노선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다음 역당정역(1.6km)
이전 역금정역(2.2km)
역 간 거리서울역 기점 29.7 km
시설 정보
구조지상역
승강장2면 4선 (쌍섬식)

2. 역사

1905년 1월 1일 군포장역(軍浦場驛)으로 개업하였다. 1938년 4월 1일 군포역(軍浦驛)으로 개칭되었으며, 5월 1일 역사 신축이 준공되었다.[ja-1]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710호 1936-12-18 1974년 8월 15일 경부선 전철화가 개통되었다. 1980년 2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ja-2]간행물 철도청고시 제2호 1980-01-26 1988년 12월 10일 현재의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다. 1999년 6월 1일 경부선 일반 열차의 정차가 중지되었다. 2009년 12월 1일 부역명(한세대앞)이 삭제되었고, 2014년 10월 31일 무배치 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ja-3]간행물 한국철도공사 열차운전시행세칙 제2014-128호 2014-10-31 1905년 1월 1일 군포장역(軍浦場驛)이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당시 주소는 과천군 남면 군포리였다. 1937년 1월 1일 군포역(軍浦驛)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ko-2]관보 조선총독부관보 1936-12-18 1938년 5월 1일 역사 신축이 준공되었고,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운행이 개시되었다. 1980년 2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으며,[ko-3]고시 철도청고시 1980-01-26 1988년 12월 10일 현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다. 1999년 6월 1일 통일호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고, 2009년 12월 1일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 2014년 10월 3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ko-4]세칙 한국철도공사 열차운전시행세칙 2014-10-31 2019년 12월 30일 서울-천안 급행이 폐지되었다. 2020년 1월 28일 서울-천안 급행이 재개되었다.

2. 1. 초기 역사

1905년 1월 1일, '''군포장역(軍浦場驛)'''으로 개업하였다. 당시 주소는 과천군 남면 군포리였다.[ja-1]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710호 1936-12-18 1937년 1월 1일, '''군포역(軍浦驛)'''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ko-2]관보 조선총독부관보 1936-12-18 1938년 5월 1일에 역사 신축이 준공되었다. 1974년 8월 15일에는 경부선 전철화가 개통되어 수도권 전철이 운행을 시작하였다. 1980년 2월 1일에는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ja-2]간행물 철도청고시 제2호 1980-01-26[ko-3]고시 철도청고시 1980-01-26 1988년 12월 10일에는 현재의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다. 1999년 6월 1일에는 경부선 일반 열차의 정차가 중지되었으며, 통일호 여객 취급도 중지되었다. 2009년 12월 1일에는 부역명(한세대앞)이 삭제되었고,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 2014년 10월 31일에는 무배치 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ja-3]간행물 한국철도공사 열차운전시행세칙 제2014-128호 2014-10-31[ko-4]세칙 한국철도공사 열차운전시행세칙 2014-10-31 2019년 12월 30일에는 서울-천안 급행이 폐지되었으나, 2020년 1월 28일에 재개되었다.

2. 1. 1. 군포장역 개업

1905년 1월 1일 군포장역으로 개업했다. 1938년 4월 1일 군포역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5월 1일에는 역사 신축이 완료되었다.[ja-1]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710호 1936-12-18 1974년 8월 15일에는 경부선 전철화가 개통되었다. 1980년 2월 1일부터는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ja-2]간행물 철도청고시 제2호 1980-01-26 1988년 12월 10일에는 현재의 역사가 새로 지어졌다. 1999년 6월 1일부터 경부선 일반 열차의 정차가 중지되었고, 2009년 12월 1일에는 부역명(한세대앞)이 삭제되었다. 2014년 10월 31일에는 무배치 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ja-3]간행물 한국철도공사 열차운전시행세칙 제2014-128호 2014-10-31

2. 1. 2. 군포역으로 역명 변경

1905년 1월 1일 '''군포장역'''(Gunpojang Station/군포장역한국어)으로 개업하였다. 1938년 4월 1일 군포역(Gunpo Station/군포역한국어)으로 개칭되었고, 같은 해 5월 1일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다.[ja-1]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710호 1936-12-18 1974년 8월 15일 경부선 전철화가 개통되었으며, 1980년 2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ja-2]간행물 철도청고시 제2호 1980-01-26 1988년 12월 10일 현재의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다. 1999년 6월 1일 경부선 일반 열차의 정차가 중지되었고, 2009년 12월 1일 부역명(한세대앞, Hansei University/한세대앞한국어)이 삭제되었다. 2014년 10월 31일 무배치 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ja-3]간행물 한국철도공사 열차운전시행세칙 제2014-128호 2014-10-31

2. 1. 3. 역사 신축

1905년 1월 1일 군포장역(Gunpojangyeok/군포장역한국어)으로 개업했다. 1938년 4월 1일 군포역(軍浦驛)으로 개칭되었고[ja-1]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710호 1936-12-18, 같은 해 5월 1일 역사 신축이 준공되었다. 1974년 8월 15일에는 경부선 전철화가 개통되었고, 1980년 2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ja-2]간행물 철도청고시 제2호 1980-01-26 1988년 12월 10일 현재의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다. 1999년 6월 1일 경부선 일반 열차의 정차가 중지되었으며, 2009년 12월 1일 부역명(한세대앞, Hansedaeap/한세대앞한국어)이 삭제되었다. 2014년 10월 31일 무배치 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ja-3]간행물 한국철도공사 열차운전시행세칙 제2014-128호 2014-10-31

2. 2. 수도권 전철 개통 이후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이 운행을 시작했다. 1980년 2월 1일에는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ko-3]고시 철도청고시 1980-01-26, 1988년 12월 10일 현재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다. 1999년 6월 1일에는 통일호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으며, 2009년 12월 1일에는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 2014년 10월 31일에는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ko-4]세칙 한국철도공사 열차운전시행세칙 2014-10-31, 2019년 12월 30일 서울-천안 급행이 폐지되었다가 2020년 1월 28일 재개되었다.

2. 2. 1. 수도권 전철 개통

wikitext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이 처음으로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서울 지하철 1호선국철 구간을 통합하여 운행하는 형태로 시작되었으며, 청량리역에서 인천역까지의 구간과 성북역에서 수원역까지의 구간을 포함했다.[ko-1]기타 당시 전철 개통은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교통 체계를 크게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1980년대에는 2호선, 3호선, 4호선이 순차적으로 개통되면서 수도권 전철망이 더욱 확장되었다. 1984년에는 과천선이, 1985년에는 분당선의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고, 1990년대에는 일산선, 안산선 등의 노선이 개통되어 수도권 지역의 교통 편의를 크게 향상시켰다.[ko-2]관보 조선총독부관보 1936-12-18

2000년대 이후에는 기존 노선의 연장 및 새로운 노선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5호선부터 9호선까지의 서울 지하철 노선과 경의선, 중앙선, 경춘선, 수인선, 신분당선, 공항철도 등 다양한 노선이 추가되면서 수도권 전철은 명실상부한 수도권 대중교통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했다.[ko-3]고시 철도청고시 1980-01-26 특히, 경강선과 같이 수도권 외곽 지역을 연결하는 노선들의 개통은 수도권 전체의 교통망을 더욱 촘촘하게 만들었다.

개통 초기에는 단순한 통근 수단이었던 수도권 전철은 현재 수도권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교통 시스템으로 발전했다. 지속적인 노선 확장과 서비스 개선을 통해 수도권 전철은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인 대중교통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 2. 2. 화물 취급 중지

wikitext

화물 취급 중지는 철도 사업에서 화물 열차의 운행이 중단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발생한다.

  • 사고: 열차 충돌, 탈선 등의 사고로 인해 선로가 파손되거나, 열차 운행에 지장을 초래할 경우 화물 취급이 중단된다.
  • 자연재해: 홍수, 산사태, 지진 등 자연재해로 인해 선로가 파손되거나, 안전 운행에 문제가 생길 경우 화물 취급이 중단된다.
  • 시설물 고장: 선로, 신호 장치, 건널목 등 철도 시설물의 고장으로 인해 열차 운행이 불가능할 경우 화물 취급이 중단된다.
  • 파업: 철도 노조의 파업으로 인해 철도 운행이 중단될 경우 화물 취급이 중단된다.
  • 정비: 선로 및 시설물 정비 작업으로 인해 열차 운행이 일시적으로 중단될 경우 화물 취급이 중단된다.
  • 정책 변경: 정부 또는 철도 회사의 정책 변경으로 인해 특정 구간 또는 특정 화물의 운송이 중단될 경우 화물 취급이 중단된다.
  • 수요 감소: 특정 화물의 수요가 감소하여 해당 화물 운송 열차의 운행이 중단될 경우 화물 취급이 중단된다.


화물 취급 중지는 철도 사업자와 화주 모두에게 큰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철도 사업자는 운송 수입 감소 및 시설 복구 비용 등의 손실을 입게 되며, 화주는 운송 지연으로 인한 생산 차질 및 재고 관리 비용 증가 등의 손실을 입게 된다. 따라서 철도 사업자는 화물 취급 중지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전 관리 및 시설 유지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하며, 화주 또한 대체 운송 수단을 확보하는 등 화물 취급 중지에 대비해야 한다.

2. 2. 3. 통일호 여객 취급 중지

wikitext

2004년 4월 1일부터 통일호 등급의 여객열차는 더 이상 취급하지 않게 되었다.[ko-1]기타 이는 새마을호와 무궁화호 등급으로 통합되어 운행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통일호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2. 2. 4. 무배치간이역 격하


  • 1905년 1월 1일 - '''군포장역(軍浦場驛)'''으로 개업.
  • 1938년
  • * 4월 1일 - 군포역(軍浦驛)으로 개칭.[ja-1]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710호 1936-12-18
  • * 5월 1일 - 역사 신축 준공.
  • 1974년 8월 15일 - 경부선(京釜線) 전철화 개통.
  • 1980년 2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ja-2]간행물 철도청고시 제2호 1980-01-26
  • 1988년 12월 10일 - 현재의 역사 신축 준공.
  • 1999년 6월 1일 - 경부선(京釜線) 일반 열차의 정차가 중지됨.
  • 2009년 12월 1일 - 부역명(한세대앞) 삭제.
  • 2014년 10월 31일 - 무배치 간이역으로 격하.[ja-3]간행물 한국철도공사 열차운전시행세칙 제2014-128호 2014-10-31

2. 2. 5. 급행열차 운행 변경

wikitext

2017년 12월 22일, 분당선 급행열차 운행 횟수가 감축되었다.[ko-1]기타

3. 역 구조

개찰구


승강장


섬식 승강장 2면 4선을 갖춘 지상역이다. 안쪽 2선(2·3번선)은 경부선A 급행과 경부선 열차의 통과선으로도 사용된다.

출구는 1번(역 서쪽)과 2번(역 동쪽) 2곳이 있다.

2면 6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며, 내선(경부1선)과 대피선을 급행이[ko-5]기타, 외선(경부2선)을 완행이 이용한다. 출구는 2개이다. 통일호 정차 시에 썼던 저상 승강장이 현재의 승강장 남쪽(당정역 방향)에 붙어있다. 2021년 기준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1. 승강장

2면 6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며, 내선(경부1선)과 대피선을 급행이[ko-5]기타, 외선(경부2선)을 완행이 이용한다. 출구는 2개이다. 통일호 정차 시에 썼던 저상 승강장이 현재의 승강장 남쪽(당정역 방향)에 붙어있다. 2021년 기준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File:undefined|18px|1|link=]] 경부선완행구로・지하서울・청량리・광운대 방면
2통과선
3
4[[File:undefined|18px|1|link=]] 경부선완행수원・서동탄・천안・신창 방면



{| style="text-align:center; margin-left: 1.5em;"

|-

| ↑금정

|-

|| 12

|-

|| 34

|-

| 당정↓

|}

1[[File:undefined|20px|1호선]]안양 **·** 금천구청 **·** 구로 **·** 용산 **·** 광운대 방면
2B급행안양 **·** 금천구청 **·** 영등포 **·** 서울역 방면
3의왕 **·** 성균관대 **·** 수원 **·** 평택 **·** 천안 방면
4의왕 **·** 성균관대 **·** 수원 **·** 서동탄 **·** 평택 **·** 천안 **·** 신창 방면



원래 이 역은 2면 4선의 승강장이었지만, 2019년에 경부선 급행열차 전면 개편 할 때 경부선 급행열차를 완행열차와 똑같은 경부2선으로 달리게 하기 위해서 외선(경부2선) 바깥쪽에다가 대피선을 별개로 설치했다. 기존의 화단 자리를 철거하고 설치한 것이다. 경부선 급행 A 열차는 완행열차가 군포역에 정차해 있는 경우 이 대피선을 이용해서 통과하는데 문제는 이 대피선이 본선으로부터 분기되는 형태라 서서히 통과한다. 이 때문에 만약에 완행열차가 군포역에서 대피를 안 하는 경우에는 9호선 송파나루역과 비슷한 개념으로, 빠르게 통과한다.

3. 1. 1. 승강장 형태

2면 6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며, 내선(경부1선)은 급행이, 외선(경부2선)은 완행이 이용한다.[ko-5]기타 출구는 2개이다. 통일호 정차 시에 썼던 저상 승강장이 현재의 승강장 남쪽(당정역 방향)에 붙어있다. 2021년 기준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style="text-align:center; margin-left: 1.5em;"

|-

| ↑금정

|-

|| 12

|-

|| 34

|-

| 당정↓

|}

{|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3" frame="hsides" rules="rows"

|-

!1

|rowspan="4"|수도권 1호선

|

|안양 • 금천구청 • 구로 • 용산 • 광운대 방면

|-

!2

|rowspan="2"|B급행

|안양 • 금천구청 • 영등포 • 서울역 방면

|-

!3

|의왕 • 성균관대 • 수원 • 평택 • 천안 방면

|-

!4

|

|의왕 • 성균관대 • 수원 • 서동탄 • 평택 • 천안 • 신창 방면

|}

원래 이 역은 2면 4선의 승강장이었지만, 2019년에 경부선 급행열차 전면 개편 때 경부선 급행열차를 완행열차와 똑같은 경부2선으로 달리게 하기 위해서 외선(경부2선) 바깥쪽에 대피선을 별개로 설치했다. 기존의 화단 자리를 철거하고 설치한 것이다. 경부선 급행 A열차는 완행열차가 군포역에 정차해 있는 경우 이 대피선을 이용해서 통과하는데, 이 대피선이 본선으로부터 분기되는 형태라 서서히 통과한다. 만약 완행열차가 군포역에서 대피를 안 하는 경우에는 9호선 송파나루역과 비슷한 개념으로, 빠르게 통과한다.

3. 1. 2. 승강장별 열차 운행 정보

1[[File:https://cdn.onul.works/wiki/7/71/Seoul_Metro_Line_1.svg|18px|1|link=]] 경부선완행구로・지하서울・청량리・광운대 방면
2통과선
3
4[[File:https://cdn.onul.works/wiki/7/71/Seoul_Metro_Line_1.svg|18px|1|link=]] 경부선완행수원・서동탄・천안・신창 방면



2면 6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며, 내선(경부1선)과 대피선을 급행이[ko-5]기타, 외선(경부2선)을 완행이 이용한다. 출구는 2개이다. 통일호 정차 시에 썼던 저상 승강장이 현재의 승강장 남쪽(당정역 방향)에 붙어있다. 2021년 기준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금정




12




34




당정↓



1[[File:https://cdn.onul.works/wiki/7/71/Seoul_Metro_Line_1.svg|20px|1호선]]안양 **·** 금천구청 **·** 구로 **·** 용산 **·** 광운대 방면
2B급행안양 **·** 금천구청 **·** 영등포 **·** 서울역 방면
3의왕 **·** 성균관대 **·** 수원 **·** 평택 **·** 천안 방면
4의왕 **·** 성균관대 **·** 수원 **·** 서동탄 **·** 평택 **·** 천안 **·** 신창 방면



원래 이 역은 2면 4선의 승강장이었지만, 2019년에 경부선 급행열차 전면 개편 할 때 경부선 급행열차를 완행열차와 똑같은 경부2선으로 달리게 하기 위해서 외선(경부2선) 바깥쪽에다가 대피선을 별개로 설치했다. 기존의 화단 자리를 철거하고 설치한 것이다. 경부선 급행 A 열차는 완행열차가 군포역에 정차해 있는 경우 이 대피선을 이용해서 통과하는데 문제는 이 대피선이 본선으로부터 분기되는 형태라 서서히 통과한다. 이 때문에 만약에 완행열차가 군포역에서 대피를 안 하는 경우에는 9호선 송파나루역과 비슷한 개념으로, 빠르게 통과한다.

3. 1. 3. 급행열차 통과 방식

2면 6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며, 내선(경부1선)과 대피선을 급행이[ko-5]기타, 외선(경부2선)을 완행이 이용한다. 출구는 2개이다. 통일호 정차 시에 썼던 저상 승강장이 현재의 승강장 남쪽(당정역 방향)에 붙어있다. 2021년 기준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원래 이 역은 2면 4선의 승강장이었지만, 2019년에 경부선 급행열차 전면 개편 할 때 경부선 급행열차를 완행열차와 똑같은 경부2선으로 달리게 하기 위해서 외선(경부2선) 바깥쪽에다가 대피선을 별개로 설치했다. 기존의 화단 자리를 철거하고 설치한 것이다. 경부선 급행 A 열차는 완행열차가 군포역에 정차해 있는 경우 이 대피선을 이용해서 통과하는데, 이 대피선이 본선으로부터 분기되는 형태라 서서히 통과한다. 만약 완행열차가 군포역에서 대피를 안 하는 경우에는 9호선 송파나루역과 비슷한 개념으로 빠르게 통과한다.

4. 역 주변

동쪽은 공장 지대, 서쪽은 주택 지대로 되어 있다.


  • 군포1동 주민센터
  • 군포2동 주민센터
  • 군포중학교
  • 군포 치안센터
  • 신라테크노빌
  • 군포1동 행정복지센터
  • 군포2동 행정복지센터
  • 군포지구대
  • 신라테크노빌
  • 당동도서관
  • 당정동우편취급국

4. 1. 주요 시설


  • 군포1동 주민센터
  • 군포2동 주민센터
  • 군포중학교
  • 군포 치안센터
  • 신라테크노빌
  • 군포1동 행정복지센터
  • 군포2동 행정복지센터
  • 군포지구대
  • 신라테크노빌
  • 당동도서관
  • 당정동우편취급국

4. 2. 지역 특징

군포 지역은 동쪽은 공장 지대, 서쪽은 주택 지대로 나뉜다. 군포1동과 군포2동에는 각각 행정복지센터와 행정복지센터가 있으며, 군포중학교와 당동도서관 등의 시설도 위치한다. 치안을 담당하는 군포지구대와 당정동우편취급국도 이 지역에 있다. 신라테크노빌과 같은 산업 시설도 찾아볼 수 있다.

5. 승차량 변동

최근 1일 평균 승차 인원 추이는 다음과 같다.

노선승차 인원주석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
[[File:https://cdn.onul.works/wiki/7/71/Seoul_Metro_Line_1.svg|18px|1|link=]] 경부선 전철7828900610267116399134956498291018810434103027567



당정역 개통 이후로 승하차량이 크게 감소했다.

경부선의 승차량 변동은 다음과 같다. 2000년 7828명, 2001년 9006명, 2002년 10267명, 2003년 11639명, 2004년 9134명, 2005년 9564명, 2006년 9829명, 2007년 10188명, 2008년 10434명, 2009년 10302명, 2010년 7567명이다.[ko-6]웹사이트 정보공개 공개자료실 코레일 2011-07-22 2011년 7437명, 2012년 7389명, 2013년 7454명이다.[ko-6]웹사이트 정보공개 공개자료실 코레일 2011-07-22

5. 1. 승차량 통계

최근의 1일 평균 승차 인원 추이는 아래와 같다.

노선승차 인원주석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
[[File:https://cdn.onul.works/wiki/7/71/Seoul_Metro_Line_1.svg|18px|1|link=]] 경부선 전철7828900610267116399134956498291018810434103027567



당정역 개통 이후로 승하차량이 크게 감소했다.

6. 인접한 역

1
경부선

급행

'''통과'''

완행

금정역(P149) - '''군포역 (P150)''' - 당정역(P151)

노선종별
경부선1호선{{llang|ko|경부선 완행|경부선 완행}}금정(P149)
경부선1호선{{llang|ko|경부선 급행 B|경부선 급행 B}}안양(P147)
경부선1호선{{llang|ko|경부선 완행|경부선 완행}}당정(P151)
경부선1호선{{llang|ko|경부선 급행 B|경부선 급행 B}}의왕(P152)


6. 1. 경부선 완행

경부선 완행은 금정역(P149) - '''군포역 (P150)''' - 당정역(P151) 순으로 정차한다.

{{한국 도시철도|SM1}}
경부선 완행
광운대 방면{{한국 철도 노선색|SM|1}}서동탄 · 신창 방면
P149 금정군포역P151 당정
{{한국 도시철도|SM1}}
경부선 급행 B
서울역 (지상) 방면{{한국 철도 노선색|SM|1}}신창 방면
P147 안양군포역P152 의왕


6. 2. 경부선 급행

노선종별인접역
경부선{{한국 도시철도|SM1}}
경부선 완행
금정 - 당정
{{한국 도시철도|SM1}}
경부선 급행 B
안양 - 의왕


7. 사진



7. 1. 역사 전경

군포역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역명판

7. 2. 내부 시설



7. 3. 역명판



참조

[en-1]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2013-10-15
[en-2] 웹사이트 군포역 http://terms.naver.c[...] KRIC 2015-10-29
[en-3] 웹사이트 군포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5-10-29
[en-4] 웹사이트 Gunpo Station https://terms.naver.[...]
[ja-1]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710호 1936-12-18
[ja-2]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2호 1980-01-26
[ja-3] 간행물 한국철도공사 열차운전시행세칙 제2014-128호 2014-10-31
[ja-4] 웹사이트 정보공개 공개자료실 http://info.korail.c[...] 코레일
[ko-1] 기타
[ko-2] 관보 조선총독부관보 1936-12-18
[ko-3] 고시 철도청고시 1980-01-26
[ko-4] 세칙 한국철도공사 열차운전시행세칙 2014-10-31
[ko-5] 기타
[ko-6] 웹사이트 정보공개 공개자료실 http://info.korail.c[...] 코레일 2011-07-22
[ko-6] 웹사이트 철도정보 일반자료실 http://info.korail.c[...] 코레일 2011-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