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서울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서울역은 1899년 경인선 개통과 함께 남대문역으로 시작하여, 1923년 경성역으로, 1947년 현재의 서울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현재는 한국철도공사(KORAIL)와 서울교통공사,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이 지나는 주요 철도역으로, 경부선, 경의선, 호남선, 전라선, 강릉선, 충북선 등 다양한 노선의 열차가 운행된다. 1호선, 4호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이 지나며,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다양한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서울역 주변에는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서울스퀘어, 서울로 7017, 롯데아울렛, 롯데마트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의 역 - 대곡역 (고양)
    대곡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일산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A노선 환승역으로, 1996년 개통 이후 지속적인 노선 확충을 통해 교통 허브로 성장하였으나 복잡한 환승 구조로 편의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의 역 - 연신내역
    연신내역은 1985년 서울 지하철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환승역이 되었으며, 2024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개통 예정으로 3개 노선이 지나는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서울 용산구의 전철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용산구의 전철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역 - 공덕역
    공덕역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5호선, 6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경의·중앙선 등 4개 노선이 지나가는 환승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역 - 홍대입구역
    홍대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환승하는 역으로 홍익대학교 인근 홍대 지역의 중심에 위치하며 다양한 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긴 환승 통로와 9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다.
서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역 이름서울역
로마자 표기Seoul Station
한국어 표기서울역
한자 표기서울驛
주소봉래동 및 동자동, 서울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항철도
서울교통공사
구조지상 및 지하 (지하철 및 공항철도)
개업일1900년 7월 8일 (원래 역사 건물)
역 코드경부선: 1001
경의선: 1251
AFC: 1001 (경부선)/1251 (경의선)
일반 철도: 001 (발매)/010000 (통계)
공항 철도: AFC: 4201, 일반철도 : C10000 (통계)
한국철도공사 (KORAIL)
관리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서울관리역
등급특1급
승강장 (경부선)8면 20선
승강장 (경의선)1면 6선
노선경부선
경의선
영업 거리 (경부선)서울 기점 0.0 km
영업 거리 (경의선)서울 기점 0.0 km, 도라산역 기점 56.1 km
이전 역 (경부선)134 남영
이전 역 (경의선)신촌
이전 역 간 거리 (경부선)1.7 km
이전 역 간 거리 (경의선)3.1 km
개업일 (경인선)1900년 7월 8일
개업일 (경부선)1905년 1월 1일
개업일 (경의선)1921년 7월 11일
개업일 (KTX)2004년 4월 1일
개업일 (ITX-새마을)2014년 11월 1일
개업일 (무궁화호)1984년 1월 1일
개업일 (S-train)2013년 9월 27일
개업일 (DMZ-train)2014년 5월 4일
개업일 (ITX-마음)2023년 9월 1일
전철 노선(경부선 )
(경의선 완행 및 급행)
전철 이전 역 (경부선)P144 금천구청
전철 이전 역 (경의선)P314 신촌
전철 이전 역 간 거리 (경부선)17.3 km
전철 이전 역 간 거리 (경의선)3.1 km
비고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GTX-A (SG레일)
역 번호|X106}}
주소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405
운영 기관SG레일
개업일2024년 12월 28일
승강장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영업 거리운정중앙역 기점 32.9 km
이전 역X105 연신내
이전 역 간 거리9.4 km
다음 역삼성 (미개통)
서울교통공사 (Seoul Metro)
역 이름서울역
노선(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서울 지하철 4호선)
역 번호 (1호선)|133}}
역 번호 (4호선)|426}}
주소 (1호선)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지하 2
주소 (4호선)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 392
관리한국철도공사: 1호선 지상
서울교통공사: 1호선 지하, 4호선
AFC 코드 (1호선)|0150}}
AFC 코드 (4호선)|0426}}
개업일 (1호선)1974년 8월 15일
개업일 (4호선)1985년 10월 18일
승강장 (1호선, 4호선)각 1면 2선 (섬식 승강장)
영업 거리 (1호선)서울역 기점 0.0 km, 연천역 기점 68.3 km
영업 거리 (4호선)진접(경복대) 기점 33.9 km
이전 역 (1호선)132 시청
이전 역 (4호선)425 회현
다음 역 (1호선)134 남영
다음 역 (4호선)427 숙대입구
이전 역 간 거리 (1호선)1.1 km
이전 역 간 거리 (4호선)0.9 km
다음 역 간 거리 (1호선)1.7 km
다음 역 간 거리 (4호선)1.0 km
공항철도 (AREX)
역 이름서울
역 번호|A01}}
주소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78
운영 기관공항철도
AFC 코드4201
일반 철도 코드C10000 (통계)
개업일2010년 12월 29일
승강장2면 3선 (혼합식 승강장)
영업 거리서울역 기점 0.0 km
다음 역A02 공덕
다음 역 간 거리3.3 km
다국어 표기
영어Seoul Station
중국어首爾站
일본어ソウル駅
베트남어Ga Seoul
이미지
KORAIL의 역
경부선 승강장
역명판
승강장
1호선 역명판
4호선 역명판
승강장

2. 역사

서울역은 1899년 9월 18일 경인선이 개통할 당시에는 한강 바로 앞 노량진까지만 연결되어 서울과 직접 연결되지 않았다.[38] 1900년 7월 5일 한강철교가 개통되고 사흘 뒤인 7월 8일 경인선이 경성역까지 완전히 연결되면서, 서울역은 염천교 아래 논 가운데 10평 크기의 목조 바라크 건물로 영업을 시작했다.[12] 당시에는 용산역이 더 규모가 컸기 때문에 서울역은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05년 경부선 개통 등으로 교통이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규모는 작았다.

경성부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경성의 관문 역할을 할 중심역 건설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경부선·경원선·용산선이 만나는 용산역은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되었고 도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새로운 역사 건설에는 부적합했다. 따라서 도심과 가까운 기존의 남대문정거장을 경성역으로 개량하기로 하고 1922년 역사 건설이 시작되었다. 1923년 1월 1일 '''경성역'''으로 역명을 변경하고 경성부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했다.[17] 도쿄역에 이어 동양 제2의 규모로 지어진 역사는 1925년 9월 30일 완공되었으며,[12] 만주 방면 국제 열차를 취급하는 등 한반도 철도 교통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구 서울역사는 절충주의 양식의 벽돌 건물로, 비잔틴 양식의 중앙 돔과 중앙 집중식 대칭 구조가 특징이다.[13] 1층 중앙 홀 바닥은 화강암, 벽은 인조석으로 마감되었고, VIP 라운지는 자작나무로 마감되었으며, 2층에는 서양식 레스토랑이 있었다.[12]

1945년 광복 이후 1947년 11월 1일 현재의 역명인 '''서울역'''으로 개명되었고,[18] 한국 전쟁을 거치며 대한민국의 최대 역으로 성장했다. 1957년에는 서울역 서편에 경의선만 취급하는 서부역사를 신설하여 지역 주민들의 열차 이용을 도왔다. 1960년대 ~ 1970년대 경제 성장기를 거치면서 여객 규모가 커져 기존 역사로는 감당하기 어려워지자, 서울 올림픽에 맞춰 1988년 서울역사와 서부역사를 연결하는 선상역사(한화그룹 계열 민자역사)를 준공하였다. 이 민자역사는 한국 최초의 민자역사이다.[38]

KTX 운행이 다가오면서 다시 새로운 민자역사(한화그룹 계열)를 착공, 2003년 11월 28일 현재의 역사를 건설하여[19] 2004년 4월 1일 KTX를 취급하게 되었다. 기존의 민자역사는 폐쇄되어 롯데마트 서울역점으로 운영 중이다.

2004년 4월 1일 KTX 개통 이후 선로 용량 문제로 호남·전라·장항선 열차는 용산역으로 여객 업무 취급을 이관하였다. 2009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하고, 2010년 12월 29일 인천국제공항철도 2단계 구간(김포공항 - 서울역)이 개통되었다. 2024년 12월 28일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이 개통됨에 따라[21] 이 역은 5개의 전철 운행 계통이 다니는 역이 되었다.

1981년 9월 25일, 구 서울역은 등록문화재 제284호로 지정되었다.[12] 2007년 9월부터 구 서울역 복원 사업이 시작되어 2011년 8월 9일, 문화 복합 공간 "문화역서울 284"로 재개장하였다.[14][15]

'''연혁'''


현행 역사 준공 기록

2. 1. 개요

2. 2. 일제강점기

1900년 7월 8일, 경인선노량진~경성 간 개통되면서 '''남대문역'''(南大門驛)으로 영업을 시작했다.[39][40] 이는 숭례문(남대문)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다. 1905년 경부선, 1921년 경의선 개통으로 서울역과 연결되었다.[41] 1923년 1월 1일에는 한성경성으로 이름이 바뀌면서 역명도 '''경성역'''(京城驛)으로 변경되었다.[42]

조선총독부 철도국은 일본 - 조선 - 만주를 잇는 국제적인 수준의 역사를 건설하고자 1922년 6월 착공하여 1925년 9월 30일 구 역사를 준공했다. (현 역사)[12] 설계는 도쿄 대학 교수 쓰카모토 야스시(塚本 靖)가 맡았으며, 비잔틴 풍의 을 올린 철근 콘크리트벽돌 건물이었다. 당시 동양 제2의 규모를 자랑했으며, 1층은 중앙홀, 3등 대합실(조선인용), 1, 2등 대합실(일본인용), 부인대합실, 귀빈실 등으로 구성되었고, 2층은 식당과 사무실, 지하는 역무실로 사용되었다.

건립 당시의 경성역 전경


신구 역사의 위치 관계


{{문화재 정보

| 이름 = 구 서울역사
(舊 서울驛舍)

| 그림 = Seoul station (OLD).JPG

| 그림설명 =

| 국가 =

| 유형 = 사적

| 번호 = 284

| 지정 = 1981년 9월 25일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청파로 426 (봉래동2가)

| 시대 = 일제강점기

| 관리 =

| 면적 = 2,964㎡

}}

1947년 11월 1일 '''서울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2. 3. 해방 이후

1900년 7월 8일 경인선 노량진~경성 간 개통과 함께 '''남대문역'''(南大門驛)으로 영업을 개시했다.[39][40] 당시 역사는 33m²(10평) 규모의 목조 건물이었다. 1905년에는 경부선이, 1921년 7월 11일에는 경의선이 개통되어 서울역과 연결되었다.[41] 1923년 1월 1일 '''경성역'''(京城驛)으로 역명을 변경했으며,[42] 1925년 9월 30일에는 현재 문화역서울284로 사용 중인 구 역사가 준공되었다.

1947년 11월 1일 '''서울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한국 전쟁 이후 서울역은 여러 차례 확장되었는데, 1957년 12월 30일에는 서부역사가 준공되었고, 1988년 9월 12일에는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한국 최초의 민자역사가 준공되었다. 2003년 11월 28일에는 현재의 민자역사가 준공되었고, 2004년 1월 1일 소재지가 이전되었다.[45] 2004년 4월 1일에는 KTX 운행이 개시되었다.

1960년 1월 26일에는 서울역 압사 사고가 발생했다. 1993년 5월 1일 유료휴게실 운영을 개시했다가,[43] 1995년 7월 1일 폐지했다.[44] 2001년 6월 1일 장항선 통일호에 한해 특정통일호 에드몬슨 승차권 발매가 중단되고 전산 발매가 시작되었다. 2006년 5월 1일에는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

2008년 12월 15일 장항선 (천안 ~ 신창) 구간 복선 전철화 개통으로 2009년 6월 1일부터 (서울 ~ 신창) 누리로 운행이 개시되었고, 2009년 7월 1일에는 수도권 전철 경의선(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개통으로 통근열차 운행이 종료되었다. 2013년 4월 12일에는 중부내륙순환열차가, 2014년 5월 4일에는 평화열차가, 2014년 5월 12일에는 경부선 ITX-새마을이, 2014년 6월 1일에는 경전선 ITX-새마을이, 2014년 10월 1일에는 남도해양열차 운행이 개시되었다.

2016년 12월 9일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이 중지되고 호남선, 전라선 KTX 운행이 개시되었으나, 2017년 2월 28일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이 재개되었다. 2017년 12월 22일에는 강릉선 KTX 운행이 개시되었고, 2018년 7월 1일 충북선 누리로 운행이 재개되었다.

2019년에는 4월 1일 평화열차 경원선 운행이, 10월 2일 평화열차 경의선 운행이 중지되었고,[46] 12월 30일 서울~신창간 누리로가 다시 운행 중지됨과 함께 급행열차가 청량리~신창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2020년 1월 13일 누리로가 재운행 개시되었으나, 2월 3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이 중지되었고, 3월 2일 충북선 누리로광주선(서울 ~ 광주), 호남선 운행이 중지되었으며, 5월 23일 누리로 (서울~신창) 운행이 중지되었다. 2023년 9월 1일에는 ITX-마음 운행이 개시되었고, 12월 29일 중앙선, 강릉선 KTX-이음 복합열차 운행이 개시되었다.[47]

도시 철도 및 광역 철도와 관련해서는,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서울역앞역'''으로 영업을 개시했다. 1983년 9월 13일 서울 지하철 4호선 역명이 '''서울역(앞)역'''으로 결정되었고,[48] 1985년 1월 24일 '''서울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 ~ 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49] 2009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 (서울 ~ 문산) 구간이 개통되었고, 2010년 12월 29일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 ~ 김포공항) 구간이 개통되면서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 영업이 개시되었다. 2015년 3월 28일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환승 통로가 개통되었다. 2017년 11월 28일에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이 이전되었다.

2024년 12월 28일에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이 개통될 예정이다.[50]

3. 역 구조

3. 1. 한국철도공사 승강장

개찰구는 2층과 3층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로 2층은 일반 열차(ITX-새마을, 무궁화호)를, 3층은 KTX를 취급한다. KTX 개통 초기에는 구분이 명확했지만, 모든 승강장과 그 계단이 상호 연결되어 있어 최근에는 거의 구분하지 않는다.[25]

서울역 승강장은 15개로, 동편 1~2번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 1호선용 고상홈이며 나머지는 KTX 및 일반열차가 사용하는 저상홈이다. 1~2번 승강장은 출퇴근 시간에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가 운행하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열차는 구 역사 연결 승강장을 이용한다. 1~2번 승강장은 지상 서울역과 바로 연결되는 계단이 없고, 지하 서울역과 이어지는 계단만 존재한다. 지상 서울역으로 가려면 3~4번 승강장으로 건너가야 한다. 1~2번 승강장과 3~4번 승강장을 잇는 연결통로는 승강장과 같은 선상에 위치하며, 천안 급행 승강장(1~2번)과 일반 저상홈(3번)은 선로 끝부분이 수도권 전철 1호선 인천역,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처럼 끊어져 있다. 1~2번 승강장은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연결되어 있다. 경부선은 이 역부터 부산역까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이 역부터 문산역을 지나 임진강역까지 모두 지상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차량은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서부역 승강장은 원래 경의선 승강장이었으나, 경의선 승강장이 옛 서울역으로 이전하면서 사용이 중지되었다. 현재 경의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4번 승강장 방향 지하에는 일반열차 승강장과 연결된 지하 통로가 있다. 이전에는 일반열차 이용 후 지하 서울역과 연계되었으나, 현재는 열차 내 판매용 식품 관리 역할로 사용되어 일반인 출입이 제한된다. 과거 철도청 관할 수도권 전철 매표소가 있었지만, 신 역사 공사로 서울 지하철 1호선 운임 구역과 중첩되어 폐쇄되었다. 당시 천안급행은 지하철 서울역과 운임 구역이 분리되었으나, 현재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3~4번 승강장의 통로는 2017년 3월에 새로 개통되었다.[51]

3·4번 승강장 위에는 KTX 차량을 본뜬 “철도 기점” 비석이 설치되어 있다. 롯데아울렛 서울역점, 롯데마트 서울역점, 피자헛이 역사와 함께 있다.

2017년 3월 24일, 3·4번 승강장과 1·2번 승강장 사이에 환승 개찰구를 설치하여 지상 역사를 통하지 않고 지하 서울역으로 직접 환승할 수 있게 되었다.[25]

승강장 번호노선열차목적지
1경의·중앙선일반, 급행(서울-문산)신촌 · 가좌 · 한국항공대 · 행신 · 능곡 · 대곡 · 일산 · 파주 · 문산 방면, 당역종착
1~2B급행금천구청 · 안양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수원 · 병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두정 · 천안 방면
3경부선 · 경전선ITX-새마을대전 · 동대구 · 창원 · 마산 · 진주 · 부산 방면
4~12경부고속선KTX대전 · 동대구 · 부산 방면
경부선KTX (수원)영등포 · 수원 · 부산 방면
KTX (구포)밀양 · 구포 · 부산 방면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대전 · 동대구 · 부산 방면
경전선KTX · ITX-새마을창원 · 마산 · 진주 방면
호남고속선KTX익산 · 광주송정 · 목포 방면
호남선KTX서대전 · 익산 · 목포 방면
전라선KTX · S-train익산 · 전주 · 여수EXPO 방면
충북선무궁화호청주 · 충주 · 제천 방면
전 노선 공통KTX행신 방면
ITX-새마을
무궁화호
S-train
DMZ-Train
당역도착
13~14강릉선KTX-이음서원주 · 강릉 · 동해 방면
중앙선원주 · 제천 · 안동 · 부전 방면
15미사용(구 경의선 전철 승강장)colspan="2" |



3. 2. 서울교통공사 승강장

1호선과 4호선 모두 대합실은 지하 1층,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다.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호선과 4호선 모두 섬식 승강장으로 건설된 이유는 이 역을 중간 시종착역으로 삼고 회차선을 건설해서 회차에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이 역부터 청량리역까지 지하 구간이고 서울교통공사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4호선 차량은 각각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53]

1호선 승강장
상행{{llang시청 · 종로3가 · 동대문 · 청량리 · 연천 방면 (일반, 급행)
하행{{llang영등포 · 부천 · 인천 · 서동탄 · 천안 · 신창 방면 (일반, 급행)



1호선 하행 방향으로 Y자형 회차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서울역을 출발하고 나서 바로 지상으로 올라가지만 가운데의 이 회차선은 그대로 지하로 이어진 다음 끝난다. 구파발역의 회차선과 비슷하다.[52]

4호선 승강장
상행{{llang회현 · 명동 · 창동 · 노원 · 진접(경복대) 방면
하행{{llang삼각지 · 이촌 · 동작 · 금정 · 오이도 방면



4호선 하행 방향으로도 Y자형 회차선이 설치되어 있다.

3. 3.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



기존 한국철도공사 서울역 남서편에 위치하며, 기존 서울역사와 연결되어 있다. 서울역 서부 출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용 출구와 마주보고 있다. 지상 2층, 지하 7층 규모로, 일반 열차 및 직통 열차 승강장은 지하 7층에 있다.[26] 고심도의 지하에 있어서 경부선경의선 선로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지하 2층에 직통 열차용 개찰구 및 도심공항터미널이, 지하 3층에 일반 열차용 개찰구가 있다.

승강장은 2면 3선식 구조로, 1면 2선을 일반 열차와 직통 열차 종착이 이용하고, 인천공항2터미널역 방면 일반 열차 승강장이 마주보고 있는 나머지 1면 1선을 직통 열차가 이용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역사 건설로 코레일 멤버십 라운지가 이전되었다. 유동 인구가 많아 에스컬레이터도 병행 가동되고 있으나, 상당히 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더욱 편리하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이 역부터 디지털미디어시티역까지 지하 구간이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열차 차량은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하고, 일반열차 차량은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도심공항터미널은 시내 체크인이 가능한 시설로, 2024년 4월 기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에어서울, 에어부산, 진에어, 루프트한자 등 8개의 항공사에서 시내 체크인을 진행할 수 있다.[54] 탑승 수속 및 출국 심사를 거친 뒤에는 직통 열차를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으로 갈 수 있다. 카운터는 05:20 ~ 19:00까지 운영한다.

승강장노선열차목적지
2인천국제공항철도한국어일반열차·직통열차당역 종착
1일반열차공덕 · 디지털미디어시티 · 김포공항 ·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직통열차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3. 4.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승강장

연신내

A노선

↓ 시.종착

킨텍스 · 운정중앙 방면
시.종착


4. 운행 노선

한국철도공사(KORAIL)의 역에 진입하는 노선은 선로 명칭상으로는 경부선경의선의 두 노선이며, 모두 서울역이 기점이다.

경부선은 고속열차인 KTX와 일반 열차인 ITX-새마을·무궁화호 등 우등 열차의 종착역이며, 경부선 외에 충북선·동해선·경전선(밀양 경유)·경강선(평창·강릉 방면, KTX만)에 직통하는 열차도 운행한다.

경의선은 행신 발착 KTX를 제외하고는 일반 열차의 회송 열차가 운행된다. 경부고속선·호남고속선을 경유하는 KTX는 남쪽으로는 금천구청역 부근에 있는 시흥연결선 분기점(서울역에서 17.7km)까지 경부선 선로를 경유한다(수원 경유 KTX는 대전역까지 경부선을 운행).

참고로, 경부선 열차 중 호남선·전라선·장항선·경전선(서광주 경유) 방면으로 직통하는 열차는 일부를 제외하고 용산역 발착이다. 또한, 행신 발착 KTX 일부 열차는 서울역을 통과하여 용산역에 정차한다.

그 외에 경의선에는 경의·중앙선과 같은 수도권 전철 운행 계통이 운행된다. 경의·중앙선과 1호선·4호선·공항철도는 개찰구 외 환승이며, T-money 사용 시에만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 경의·중앙선의 역 번호는 '''P313'''이다.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서울역이 기점이며, '''A01'''의 역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 한국철도공사

: 경부선

:: KTX

::: 행신역 - '''서울역''' - 광명역

:: KTX(수원역 경유)・ ITX-새마을무궁화호

::: '''서울역''' - 영등포역

: 경전선

:: KTXITX-새마을무궁화호

::: '''서울역''' - 영등포역

: 동해선

:: KTX

::: 행신역 - '''서울역''' - 광명역

: 호남선

:: KTX

::: 행신역 - '''서울역''' - 용산역

: 전라선

:: KTX

::: 행신역 - '''서울역''' - 용산역

:: 남도해양열차

::: '''서울역''' - 영등포역

: 강릉선

:: KTX

::: '''서울역''' - 청량리역

: 충북선

:: 무궁화호

::: '''서울역''' - 영등포역

: 1호선

:: 경부선

:

18x18픽셀
경의·중앙선

:: 경의선・완행

::: '''서울역 (P313)''' - 신촌역 (P314)

; 공항철도

: 인천국제공항철도

:: 직통

::: '''서울역 (A01)''' -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역 (A10)

:: 일반(각역정차)

::: '''서울역 (A01)''' - 공덕역 (A02)

; 수도권광역급행철도

:
|18px|link=]] A노선

:: 용산역 (X105) - '''서울역 (X106)'''

4. 1. 한국철도공사(KORAIL)

서울역은 한국철도공사(KORAIL)의 주요 역 중 하나로, 여러 노선의 열차가 운행된다. 선로 명칭상으로는 경부선경의선 두 노선의 기점이다.

경부선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우등 열차의 종착역이다. 경부고속선을 이용하는 KTX는 부산, 대전, 대구, 포항, 마산, 진주 방면으로 운행하며,[1] 수원역 경유 KTX는 영등포역으로, 그 외 KTX는 광명으로 이어진다. 경부선 KTX는 행신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도 있다.

경전선을 운행하는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열차는 서울역에서 영등포역으로 이어진다. 동해선 KTX는 행신역에서 출발하여 서울역을 거쳐 광명으로 운행한다.

호남선 KTX는 행신역에서 출발하여 서울역을 경유, 용산으로 이어진다. 전라선 KTX도 행신역에서 출발, 서울역을 지나 용산으로 운행하며, 남도해양열차는 서울역에서 영등포역으로 이어진다.

강릉선 KTX는 서울역에서 출발하여 청량리역으로 이어진다. 충북선 무궁화호는 서울역에서 영등포역으로 운행한다.

경의선은 일반 열차 회송 열차가 운행되며, 행신역 발착 KTX를 제외한 일반 열차는 운행되지 않는다. 경의·중앙선 완행 및 급행 열차는 서울역(P313)에서 신촌역(P314) 방면으로 운행된다.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서울역(A01)이 기점이다. 직통 열차는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역(A10)까지, 일반 열차는 공덕역(A02) 방향으로 운행한다.

1호선경부선 급행A, 경원-경인선 완행, 경원선 급행, 경부선 완행 열차가 운행되며, 시청역 (132)과 남영역 (134) 사이에 위치한다.

|18px|link=]] 수도권 광역 급행 철도 A 노선은 용산역 방향에서 운행될 예정이다.

4. 2. 서울교통공사

1
1호선시청역남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경부선 완행, 경원-경인선 완행, 경원선 , 경부선 [67] 열차가 운행된다.
18x18픽셀
4호선회현역숙대입구역 사이에 위치하며, 진접(경복대) 방면과 오이도 방면 열차가 운행된다.[64][65][66] 경의·중앙선은 신촌역(P314)과 연결되며, 경의선 완행 및 열차가 운행된다. 인천국제공항철도공덕역(A02)과 연결되는 일반 열차와 인천국제공항1터미널역(A10)과 연결되는 직통열차가 운행된다. |18px|link=]]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연신내역과 연결될 예정이다.

4. 3. 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AREX)는 서울역에서 직통열차와 일반열차 두 종류를 운행한다. 직통열차는 인천국제공항까지 무정차 운행하며,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과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에만 정차한다.[7] 일반열차는 김포국제공항을 포함하여 11개 역에 모두 정차하는 통근열차이다.[8]

직통열차 승객은 서울역의 시티에어터미널을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에서 대부분의 한국 항공사를 이용하는 경우 열차 탑승 전에 수하물을 부치고 탑승권을 받을 수 있다. 지하 공항철도역과 시티에어터미널은 중앙역 광장이나 역 서쪽의 전용 하차 구역 및 주차장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서울역이 기점이며, '''A01'''의 역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 공항철도

: 인천국제공항철도

:: 직통

::: '''서울역 (A01)''' -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역 (A10)

:: 일반(각역정차)

::: '''서울역 (A01)''' - 공덕역 (A02)

4. 4.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서울역에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이 지난다. 운정중앙 방면으로 연신내 (X105)와 연결될 예정이다.[67]

5. 역 주변

5. 1. 개요

5. 2. 동쪽

서울역 동쪽


서울역 동쪽에는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가 있으며, 구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 )가 있다. 서울남대문경찰서, 남대문시장, 숭례문이 근처에 위치해 있다. 서울스퀘어, 주한 독일 대사관, 서울로 7017, LG이노텍 본사, 밀레니엄서울힐튼호텔, 후암동행정복지센터, 후암동우체국, 연세재단 세브란스 빌딩, 대우재단 빌딩, 서울 시티타워, 남대문교회, 후암로 등이 있다.

지하 서울역(서울교통공사), 강우규 동상, 구 서울역(문화역서울284), 서울스퀘어몰, 두산그룹 본사 등도 동쪽에 위치한다.

5. 3. 서쪽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와 수도권본부, 경기여자상업고등학교, 우리은행, 만리동1가우편취급국(만리동 1가 우체국), 서울봉래초등학교(봉래초등학교)가 있다. 손기정기념공원, 만리동행정복지센터(중림동주민센터), 만리동고개, 소화아동병원, 국립극단이 있다.

5. 4. 서울역광장

서울역광장은 역 앞의 넓은 도보 거리를 일컫는다. 이 곳은 오래 전부터 시위의 장소로 사용되어 왔으며, 5.15 서울역 집회가 대표적이다. 자동차 출입을 제한할 목적으로 쇠말뚝을 광장 양측에 설치하였으며, 역무실에서 광장 사용 허가를 받으면 광장을 사용할 때마다 역무실에서 자물쇠를 받아 쇠말뚝을 일시적으로 제거하고 자동차를 출입한다.

5. 5. 역사 내부

2003년 12월 11일 한화그룹은 서울역사에 갤러리아백화점 콩코스점을 개점했다.[57] 그러나 2013년 매출 부진으로 콩코스백화점을 폐점하고 롯데쇼핑과 양해각서를 체결, 롯데아울렛이 문을 열었다.[58] 롯데마트 서울역점은 2003년 12월까지 영업했던 구 민자역사 건물에 입주하여 2004년 6월 3일 영업을 시작했다. 롯데쇼핑은 2003년 4월 한화건설과 20년 장기 임대 계약을 맺었다.

롯데아울렛 전경


그 외에도 피자헛 서울역점, 계절밥상 서울역점, 국군장병 라운지 TMO, 코레일 라운지, 중소기업마루, 공차 서울역점, 빈즈앤베리즈 서울역점 등이 있다. 국군장병 라운지 TMO는 군인들이 인터넷 등을 사용할 수 있는 휴게 공간으로 1층에 있고, 코레일 라운지는 우리은행과 코레일 홈페이지에서 회원 가입 후 등록한 IC카드로 출입하여 휴대폰 충전, 음료, 간행물 열람 등을 할 수 있는 휴게 공간으로 2층에 있다.

6. 문화 속 서울역



7.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KTX Seoul to Busan, Daeju etc. Train Reviews, Photos & Information https://trainreview.[...] 2020-10-12
[2] 웹사이트 TrainReview's Guide to ITX-Saemaeul trains https://trainreview.[...]
[3] 웹사이트 TrainReview's guide to Mugunghwa-ho trains https://trainreview.[...]
[4] 웹사이트 TrainReview's guide to the DMZ train https://trainreview.[...]
[5] 웹사이트 TrainReview's guide to the O-Train https://trainreview.[...]
[6] 웹사이트 TrainReview's guide to the S-Train (Seoul - Yeosu) https://trainreview.[...]
[7] 웹사이트 AREX Express Seoul - Incheon Airport Train Reviews, Photos & More https://trainreview.[...] 2020-10-12
[8] 웹사이트 AREX All Stop Seoul - Incheon Airport Train Reviews, Photos & More https://trainreview.[...] 2020-10-12
[9] 웹사이트 서울역 버스환승센터 - 회현동 - 36 tips https://foursquare.c[...] Foursquare.com 2018-09-13
[10]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General Railroad Stations https://web.archive.[...]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2013-10-15
[11]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s://web.archive.[...]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2013-10-15
[12] 웹사이트 History http://www.seoul284.[...] Culture Station 284 2012-08-10
[13] 웹사이트 서울역사 (Seoul Station Building) http://sca.visitseou[...]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9-04-26
[14] 웹사이트 Restoration Project http://www.seoul284.[...] Culture Station 284 2012-08-10
[15] 뉴스 Historic Seoul Station reopens http://english.hani.[...] 2011-08-10
[16] 뉴스 Old Seoul Station Gets New Lease of Life http://english.chosu[...] 2011-08-10
[17] 뉴스 東亜日報 1922-12-29
[18] 웹사이트 「KTXサイバーステーション」ソウル駅案内ページ http://ktxcyberstati[...]
[19] 문서 중구(서울특별시) 한강대로 405 (蓬莱洞2街 122-21) → 용산구(서울특별시) 한강대로 405 (東亭洞 43-205)로 이설
[20] 뉴스 仁川空港発着のKTX、8月末で廃止 https://www.nna.jp/n[...] NNA.ASIA 2018-08-03
[21] 뉴스 파주 운정중앙역~서울역 ‘21분 30초’…GTX-A 서북부 구간 28일 개통 https://www.hani.co.[...] 한겨레
[22] 뉴스 オピニオン・ソウル駅美術館 http://japan.donga.c[...] 東亜日報 2006-10-25
[23] 뉴스 ソウル駅の「思い出」募集中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11-02
[24] 뉴스 13년만에 부활한 옛 서울역, 나는 계속 타고 싶다 http://www.ohmynews.[...] OhmyNews 2017-11-24
[25] 뉴스 서울역 KTX 내려 바로 지하철 환승 가능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7-03-24
[26] 뉴스 仁川空港鉄道ソウル駅の地下鉄乗り換え通路が開通…観光名所への移動が便利に https://web.archive.[...] 中央日報 2015-04-10
[27] 웹사이트 철도통계연보 http://info.korail.c[...]
[28] 문서 통일호 폐지
[29] 웹사이트 http://info.korail.c[...]
[30] 웹사이트 http://www.korail.co[...]
[31] 웹사이트 정보공개 공개자료실 http://info.korail.c[...] 코레일
[32] 문서 2010년 12월 29일 개통 3일간 데이터
[33] 문서 도라산역 기점 56.1km
[34] 문서 연천역 기점 68.3km
[35] 문서 현재 경의중앙선 역사
[36] 문서
[37] 문서
[38] 문서
[39] 뉴스인용 滊車全通 https://nl.go.kr/new[...] 황성신문 1900-07-04
[40] 뉴스인용 경인 철도 리슈 https://nl.go.kr/new[...] 독립신문 1899-09-16
[41]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정차장신설 1921-07-07
[42] 뉴스 역명개칭고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22-12-29
[43]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3-19호 1993-04-17
[44]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5-24호 1995-06-17
[45] 문서
[46] 웹인용 [공지] DMZ-train(용산↔도라산) 운행조정 알림 http://www.letskorai[...] 2019-10-01
[47] 웹인용 안동시, 올 한해 경제·관광 분야 획기적 도약 ‘눈길’ https://daily.hankoo[...] 2023-12-26
[48]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http://event.seoul.g[...] 1983-09-13
[49] 뉴스 地下鐵(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5-10-18
[50] 웹인용 GTX-A 캐치프레이즈가 별자리를 새긴다 이래서 그런지 뭔가 감성있네…그와중에 GTX-A 운정~서울역 구간은 12월 28일에 개통할 예정으로 되어 있습니다. https://x.com/locomo[...] 2024-07-08
[51] 뉴스 서울역서 KTX 내려 바로 지하철 탄다…승강장에 '환승통로' 설치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03-23
[52] 문서
[53] 문서
[54] 뉴스인용 공항철도,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에서 ‘루프트한자’ 탑승수속 개시 https://www.sedaily.[...] 2024-04-05
[55]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문화재청고시 제2008-37호 http://gwanbo.mois.g[...] 2008-05-01
[56] 뉴스인용 옛 서울역 건물, 복합문화공간 탈바꿈… 문화역서울 284’로 개관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1-08-09
[57] 뉴스 갤러리아백화점 서울역 콩코스점 11일 오픈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03-12-12
[58] 뉴스 서울역 콩코스, 롯데 아울렛으로 변신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2-09-25
[59] 웹인용 철도통계연보 http://info.korail.c[...] 2010-08-25
[6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ktdb.go.k[...] 2014-11-23
[61] 웹사이트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62]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63] 웹사이트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http://info.korail.c[...]
[64] 문서
[65] 문서
[66] 문서
[67] 문서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